KR20220060110A - Cup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110A
KR20220060110A KR1020200145672A KR20200145672A KR20220060110A KR 20220060110 A KR20220060110 A KR 20220060110A KR 1020200145672 A KR1020200145672 A KR 1020200145672A KR 20200145672 A KR20200145672 A KR 20200145672A KR 20220060110 A KR20220060110 A KR 20220060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irection
cup
support ring
vehic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주봉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110A/en
Publication of KR2022006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A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es an outer cup, a support ring, an inner cup, and a balance mass body. The support ring can be rotated around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can be rotated around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the central axi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Therefore, the inner cup can be tilt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oreover, the balance mass body is moved in a direction where inertia is applied to a vehicle, so that the inner cup can be tilt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where the inertia is appli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beverage of the container from spilling out.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Cup holder for vehicle}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콘솔에 구비되어 욤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is provided in a console of a vehicle to store a yomyo container.

일반적으로 차량의 콘솔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장치 중에는 컵과 같은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있다. In general, a console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devi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mong the devices is a cup holder for holding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컵 홀더는 단순히 상기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홈에 수용된 상기 음료 용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료 용기를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up holder is simply made of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or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groove from shaking.

상기 컵 홀더에 상기 음료 용기가 수용되거나 고정되더라도 상기 차량의 가감속, 좌우 방향 전환시 상기 차량의 관성에 의해 상기 음료 용기의 내용물이 쏟아질 수 있다. Even if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or fixed in the cup holder,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may be poured by the inertia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and decelerates, and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changed.

본 발명은 차량의 관성에 의해 음료 용기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holder for a vehicle capable of suppressing the pouring of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due to the inertia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는, 차량의 콘솔에 고정되는 외부 컵과, 제1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외부 컵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지지 링과, 상기 지지 링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내부 컵 및 상기 내부 컵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 컵을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균형 질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cup fixed to a console of a vehicle, both ends in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external cup, and rotatable with the both end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 ring-shaped support ring provided and both ends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and rotated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It is provided so as to be possible a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and the inner cup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inner cup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nd a balancing mass to prevent spillage of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외부 컵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들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내부 컵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up, and the support r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able rollers on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ail. is supported, and as the rollers move along the rail, the support ring rotates about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s a central axis, and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and the inner cup at the inner cup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 locking jaw caught on the protrus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외부 컵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컵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들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and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a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 locking jaw caught on the protrusion, respectively, , A rail is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pport ring, and the inner cup is supported on the rail by a pair of rotatable roller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ollers support the rail While moving along, the support ring may rotate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s a central 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외부 컵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내부 컵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and the first protrus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ar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applied to the first protrusion, respectively. 1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and a second protrus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ner cup, respectively, a second protrusion part and a second locking jaw hooked to the second protrusion part Thi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일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상기 차량용 컵 홀더는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지지 링에 대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In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ing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is rotatable about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Do. Accordingly, the inner cup may be inclin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균형 질량체가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부 컵이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the balancing mass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inner cup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out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상하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균형 질량체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내부 컵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does not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inner cup rotates about the vertical central axis, or the inner cup rotate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otated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balancing mass may stabl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nd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may be prevented from po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D-D'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E-E'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F-F'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cup holder for the vehicle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the cup holder for the vehicle shown in FIG. 1 .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4 taken along the line C-C'.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for the vehicle shown in FIG. 4 taken along the line D-D'.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7 taken along line E-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7 taken along the line F-F'.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B-B'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cup holder shown in FIG. 1 taken along the line A-A', and FIG. 3 is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1 cut along the line B-B'.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컵 홀더(100)는 차량의 콘솔(미도시)에 구비되어 컵, 캔과 같은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컵 홀더(100)는 외부 컵(110), 지지 링(120), 내부 컵(130) 및 균형 질량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vehicle cup holder 100 is provided on a vehicle console (not shown) to accommodate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and cans. The vehicle cup holder 100 may include an outer cup 110 , a support ring 120 , an inner cup 130 , and a balance mass 140 .

상기 외부 컵(110)은 상기 콘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컵(110)은 일 예로, 상기 콘솔에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 컵(110)은 상기 홀과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컵(110)을 상기 콘솔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는 나사를 들 수 있다. The outer cup 110 may be fixed to the console. The external cup 110 may be, for example, provided with a hole in the console, and the external cup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 screw may be used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xternal cup 110 to the console.

상기 외부 컵(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112)은 상기 외부 컵(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이격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rail 112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up 110 . The rail 112 may be located at a height spac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outer cup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레일(112)은 상기 외부 컵(110)이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이거나 상기 외부 컵(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The rail 112 may be a clasp formed by bending the outer cup 110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up 110 .

상기 지지 링(120)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컵(110)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upport ring 120 has a ring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up 110 .

상기 지지 링(12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각각 롤러(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122)들은 상기 레일(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링(12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외부 컵(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support ring 120 may include rollers 122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ollers 122 may be supported by the rail 112 .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upport ring 1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cup 110 .

상기 롤러(122)들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링(12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rollers 122 may rotate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support ring 12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th end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또한, 상기 롤러(122)들이 상기 레일(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링(120)이 상기 외부 컵(110)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ers 122 may move along the rail 112 , the support ring 12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110 in a vertic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130)은 상기 지지 링(1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inner cup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120 , and both ends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링(12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돌기부(124)들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 컵(13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114)들에 걸리는 걸림턱(132)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upport ring 120 , protrusions 12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cup 130 , locking projections 132 caught by the protrusions 114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12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상기 걸림턱(13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내부 컵(13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114)들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locking protrusions 13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120 , and in the inner cup 130 , outside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protrusions 114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ide,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돌기부(114)들과 상기 걸림턱(132)들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컵(130)의 상기 제2 수평 방향 양단이 상기 지지 링(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cup 13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using the protrusions 114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32 .

상기 걸림턱(132)들은 대략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돌기부(114)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130)은 상기 제2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locking jaws 132 have an approximately inverted U-shape, they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s 114 . Accordingly, the inner cup 130 may be rotatable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지지 링(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지지 링(120)이 상기 외부 컵(110)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컵(110)도 상기 지지 링(120)과 같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지지 링(120)에 대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Since the inner cup 1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 the inner cup 110 when the support ring 120 rotates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110 . ) may also rotat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like the support ring 120 . In addition, the inner cup 13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12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inner cup 130 may be inclined while rotating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지지 링(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지지 링(120)이 상기 외부 컵(110)에 대해 상기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컵(110)도 상기 지지 링(120)과 같이 상기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inner cup 1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120 , when the support ring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the inner cup 110 is also Like the support ring 120 , it may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130)은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기 외부 컵(110)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130)의 하단부와 상기 외부 컵(1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inner cup 1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outer cup 110 may have a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a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130 and the outer cup 110 may be increased. The angle at which the inner cup 130 is inclin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increased.

한편, 상기 외부 컵(110)도 상기 내부 컵(130)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Meanwhile, like the inner cup 130 , the outer cup 110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균형 질량체(140)는 상기 내부 컵(130)의 하단, 구체적으로 외측 하부면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균형 질량체(140)는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가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감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이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The balance mass 14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130 , specifically, to the center of the outer lower surface. The balance mass 140 may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de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turns left, inertia i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inertia i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상기 균형 질량체(140)는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내부 컵(130)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1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balance mass 14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inner cup 130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30 .

또한, 상기 관성의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균형 질량체(140)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상기 내부 컵(130)이 상기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of inertia does not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inner cup 130 is moved by a force to move the balance mass 140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otated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may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면, 상기 균형 질량체(140)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1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coincides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balance mass 140 may stabl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130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C-C'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D-D'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4,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4 .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컵 홀더(200)는 차량의 콘솔(미도시)에 구비되어 컵, 캔과 같은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컵 홀더(200)는 외부 컵(210), 지지 링(220), 내부 컵(230) 및 균형 질량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6 , the vehicle cup holder 200 may be provided on a vehicle console (not shown) to accommodate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and cans. The vehicle cup holder 200 may include an outer cup 210 , a support ring 220 , an inner cup 230 , and a balance mass 240 .

상기 외부 컵(210)은 상기 콘솔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콘솔에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 컵(210)은 상기 홀과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컵(210)을 상기 콘솔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는 나사를 들 수 있다. The outer cup 210 may be fixed to the console. For example, a hole is provided in the console, and the external cup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 screw may be used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xternal cup 210 to the console.

상기 지지 링(220)은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컵(2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링(220)은 제1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외부 컵(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support ring 220 has a ring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up 210 .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upport ring 2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cup 210 .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컵(21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돌기부(212)들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 링(22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212)들에 걸리는 걸림턱(222)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protrusions 21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210 , respectively. In addition, locking projections 222 caught by the protrusions 2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ring 2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컵(21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상기 걸림턱(22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22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212)들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Contrary to this, although not shown, the locking protrusions 22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210 , and in the support ring 220 , the outer cup 21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The protrusions 2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s,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돌기부(212)들과 상기 걸림턱(222)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링(220)의 상기 제1 수평 방향 양단이 상기 외부 컵(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upport ring 2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external cup 210 using the protrusions 212 and the locking projections 222 .

상기 걸림턱(222)들은 대략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돌기부(212)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링(22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locking jaws 222 have an approximately inverted U-shape, they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s 212 . Accordingly, the support ring 220 may be rotatable with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지지 링(2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2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214)은 상기 지지 링(220)의 하단과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rail 214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ing 220 . The rail 214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ing 220 .

상기 레일(214)은 상기 지지 링(220)이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이거나 상기 지지 링(2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The rail 214 may be a clasp formed by bending the support ring 220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ng 220 .

상기 내부 컵(230)은 상기 지지 링(2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inner cup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220 , and both ends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220 .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컵(230)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롤러(232)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232)들은 상기 레일(2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cup 230 may be provided with rollers 232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lso, the rollers 232 may be supported by the rail 224 .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inner cup 23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220 .

상기 롤러(232)들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상기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The rollers 232 may rotate about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inner cup 230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both ends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또한, 상기 롤러(232)들이 상기 레일(2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지지 링(220)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ers 232 may move along the rail 224 , the inner cup 23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지지 링(2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지지 링(220)이 상기 외부 컵(210)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컵(210)도 상기 지지 링(220)과 같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지지 링(220)에 대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Since the inner cup 2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220 , the inner cup 210 when the support ring 220 rotates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210 . ) may also rotat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like the support ring 220 . Also, the inner cup 23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22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inner cup 230 may be inclined while rotating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230)은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기 외부 컵(210)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의 하단부와 상기 외부 컵(2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inner cup 2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outer cup 210 may have a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230 and the outer cup 210 may be increased. The angle at which the inner cup 230 is inclin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increased.

한편, 상기 외부 컵(210)도 상기 내부 컵(230)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Meanwhile, like the inner cup 230 , the outer cup 210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균형 질량체(240)는 상기 내부 컵(230)의 하단, 구체적으로 외측 하부면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균형 질량체(240)는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가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감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이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The balance mass 24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230 , specifically, to the center of the outer lower surface. The balance mass 240 may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de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turns left, inertia i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inertia i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상기 균형 질량체(240)는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내부 컵(230)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balance mass 24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inner cup 230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230 .

또한, 상기 관성의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균형 질량체(240)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상기 내부 컵(230)이 상기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of inertia does not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inner cup 230 is moved by a force to move the balance mass 240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rotated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may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면, 상기 균형 질량체(240)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2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coincides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balance mass 240 may stabl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230 .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E-E'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차량용 컵 홀더를 F-F'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the cup holder for the vehicle shown in FIG. 7, and FIG. 9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shown in FIG. 7 .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컵 홀더(300)는 차량의 콘솔(미도시)에 구비되어 컵, 캔과 같은 음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컵 홀더(300)는 외부 컵(310), 지지 링(320), 내부 컵(330) 및 균형 질량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7 to 9 , the vehicle cup holder 300 may be provided on a vehicle console (not shown) to accommodate beverage containers such as cups and cans. The vehicle cup holder 300 may include an outer cup 310 , a support ring 320 , an inner cup 330 , and a balance mass 340 .

상기 외부 컵(310)은 상기 콘솔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콘솔에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 컵(310)은 상기 홀과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컵(310)을 상기 콘솔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는 나사를 들 수 있다. The outer cup 310 may be fixed to the console. For example, the console may have a hole, and the external cup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 screw may be used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external cup 310 to the console.

상기 지지 링(320)은 원형의 링 형상이며, 상기 외부 컵(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320)은 사각의 링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지지 링(320)이 상기 원형의 링 형상인 경우, 상기 외부 컵(310) 및 상기 내부 컵(330)도 원형의 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링(320)이 상기 사각의 링 형상인 경우, 상기 외부 컵(310) 및 상기 내부 컵(330)도 사각의 컵 형상일 수 있다. The support ring 320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up 310 . Although not shown otherwise, the support ring 320 may have a rectangular ring shape. When the support ring 320 has the circular ring shape, the outer cup 310 and the inner cup 330 may also have a circular cup shape. When the support ring 320 has the rectangular ring shape, the outer cup 310 and the inner cup 330 may also have a rectangular cup shape.

또한, 상기 지지 링(320)은 제1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외부 컵(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일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upport ring 3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cup 310 .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컵(31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제1 돌기부(312)들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 링(32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1 돌기부(312)들에 걸리는 제1 걸림턱(322)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first protrusions 31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310 , respectively. In addition, first locking projections 322 caught on the first protrusions 3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ring 3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 컵(31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상기 제1 걸림턱(32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320)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1 돌기부(312)들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Contrary to this,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32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310, and in the support ring 320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s 312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

따라서, 상기 제1 돌기부(312)들과 상기 제1 걸림턱(322)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링(320)의 상기 제1 수평 방향 양단이 상기 외부 컵(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pport ring 320 may be supported by the external cup 310 using the first protrusions 312 and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322 .

상기 제1 걸림턱(322)들은 대략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돌기부(312)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링(32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s 322 have an approximately inverted U-shape, they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trusions 312 . Accordingly, the support ring 320 may be rotatable with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지지 링(3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3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314)은 상기 지지 링(320)의 하단과 인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rail 314 may be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ing 320 . The rail 314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ing 320 .

상기 레일(314)은 상기 지지 링(320)이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이거나 상기 지지 링(3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The rail 314 may be a clasp formed by bending the support ring 320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ng 320 .

상기 내부 컵(330)은 상기 지지 링(320)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일 수 있다. The inner cup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320 , and both ends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320 .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링(32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제2 돌기부(324)들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 컵(33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2 돌기부(324)들에 걸리는 제2 걸림턱(332)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upport ring 320 , second protrusions 32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second locking projections 332 caught on the second protrusions 324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cup 330 , respectively.

이와 달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32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에 상기 제2 걸림턱(332)들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내부 컵(330)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상기 제2 돌기부(324)들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33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ng 32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inner cup 33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s 324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

상기 제2 돌기부(324)들과 상기 제2 걸림턱(332)들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지지 링(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inner cup 33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320 using the second protrusions 324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332 .

상기 제2 걸림턱(332)들은 대략 뒤집어진 U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2 돌기부(324)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330)은 상기 제2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locking jaws 332 have an approximately inverted U-shape, they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rotrusions 324 . Accordingly, the inner cup 330 may be rotatable with both ends of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지지 링(3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지지 링(320)이 상기 외부 컵(310)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컵(310)도 상기 지지 링(320)과 같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지지 링(320)에 대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Since the inner cup 3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320 , the inner cup 310 when the support ring 320 rotates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310 . ) may also rotat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like the support ring 320 . In addition, the inner cup 330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320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inner cup 330 may be inclined while rotating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상기 내부 컵(330)은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기 외부 컵(310)은 대략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330)의 하단부와 상기 외부 컵(3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inner cup 3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outer cup 310 may have a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330 and the outer cup 310 may be increased. The angle at which the inner cup 330 is inclin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increased.

한편, 상기 외부 컵(310)도 상기 내부 컵(330)과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Meanwhile, like the inner cup 330 , the outer cup 310 may also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균형 질량체(340)는 상기 내부 컵(330)의 하단, 구체적으로 외측 하부면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균형 질량체(340)는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가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감속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또한, 상기 차량이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우측으로 관성이 가해지고, 상기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좌측으로 관성이 가해진다. The balance mass 340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330 , specifically, to the center of the outer lower surface. The balance mass 340 may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decelerates, inertia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turns left, inertia i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inertia i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상기 관성의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인 경우, 상기 균형 질량체(340)가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내부 컵(330)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3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of inertia is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balance mass 34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inner cup 330 is It can be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330).

또한, 상기 관성의 방향이 상기 제1 수평 방향이나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일치하지 않더라고 상기 내부 컵(330)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균형 질량체(340)가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330)은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내부 컵(330)에 수용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direction of inertia does not coincide with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inner cup 330 can rotate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The balance mass 340 may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Accordingly, the inner cup 330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and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up 330 may be prevented from pourin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컵 홀더는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지지 링에 대해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내부 컵이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cup holder, the support ring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has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ing as a central axis. can be rotated Accordingly, the inner cup may be incline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균형 질량체가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부 컵이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the balancing mass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inner cup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ouring out of the contain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200, 300 : 차량용 컵 홀더
110, 210, 310 : 외부 컵
112, 224 : 레일
120, 220, 320 : 지지 링
122, 232 : 롤러
124, 212, 312, 324 : 돌기부
130, 230, 330 : 내부 컵
132, 222, 322, 332 : 걸림턱
140, 240, 340 : 균형 질량체
100, 200, 300 : car cup holder
110, 210, 310: outer cup
112, 224: rail
120, 220, 320: support ring
122, 232: roller
124, 212, 312, 324: protrusions
130, 230, 330 : inner cup
132, 222, 322, 332: jamming jaw
140, 240, 340: Balanced mass

Claims (5)

차량의 콘솔에 고정되는 외부 컵;
제1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외부 컵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상기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링 형상의 지지 링;
상기 지지 링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수직하는 제2 수평 방향의 양단이 상기 지지 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수평 방향 양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내부 컵; 및
상기 내부 컵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차량에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부 컵을 상기 관성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균형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an outer cup secured to the vehicle's console;
a ring-shaped support ring having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supported by the outer cup and rotatable with the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Both ends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serted into the support ring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ring, and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both ends as a central axis, and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the inner cup; and
A balance mass that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cup and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nertia is applied to the vehicle to tilt the inner cup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ia is applied to prevent pouring of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컵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들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내부 컵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il is provid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outer cup,
The support r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able rollers on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on the rail,
As the rollers move along the rail, the support ring rotates about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A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an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ner cup a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 locking jaw caught by the protrus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컵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컵은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롤러들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롤러들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링이 상기 외부 컵에 대해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and the support ring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r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 locking protrusion engaging the protrusion, respectively,
A rail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ring,
The inner cup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able rollers on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is supported on the rail,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ile the rollers move along the rail, the support ring rotates with respect to the outer cup in a vertic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컵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링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내측면 양단과 상기 내부 컵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의 외측면 양단에는 각각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cup and the first protrus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upport ring, respectively,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caught on the first protrusion provided,
In the support ring,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and at both ends of the outer surfac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ner cup are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caught by the second protrusion, respectively Car cup hol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2 수평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The cup hold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is a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s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KR1020200145672A 2020-11-04 2020-11-04 Cup holder for vehicle KR202200601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72A KR20220060110A (en) 2020-11-04 2020-11-04 Cup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72A KR20220060110A (en) 2020-11-04 2020-11-04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10A true KR20220060110A (en) 2022-05-11

Family

ID=8160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672A KR20220060110A (en) 2020-11-04 2020-11-04 Cup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11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4633B2 (en) Equipment for holding beverage containers, etc.
US7520405B2 (en) Cup holder
US6705580B1 (en)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JP2005297956A (en) Drink holder
US7802767B2 (en) Holding device for storing sundry items
KR20220060110A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0774402B1 (en) Cup holder of a car
US20090152284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725720B1 (en) Cup holder
JP2010000823A (en) Cup holder
JP4736638B2 (en) Cup holder device
US3844460A (en) Holder for can or bottle of beer or other beverage container
WO2011155167A1 (en) Cup holder
JPH08238969A (en) Drink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JP2003170772A (en) Cup holder for vehicle
CN105668485B (en) For the device of transport box and the sealing device of closing container filling
JP3501197B2 (en) In-vehicle container holder
JP6251155B2 (en) A shaft support structure and a cup holder having the shaft support structure
JPH09175246A (en) Container holder assembly
KR20040066582A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2007145216A (en) Article holder
KR102627367B1 (en) Cup holder for vehicle
WO2014156500A1 (en) Cup holder
KR20240061152A (en) Cup holder structure for vehicle
KR20210052001A (en) Cup holder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