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853A - 생물 조직 마쇄 기구 - Google Patents

생물 조직 마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853A
KR20220059853A KR1020200145562A KR20200145562A KR20220059853A KR 20220059853 A KR20220059853 A KR 20220059853A KR 1020200145562 A KR1020200145562 A KR 1020200145562A KR 20200145562 A KR20200145562 A KR 20200145562A KR 20220059853 A KR20220059853 A KR 2022005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biological tissue
uni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250B1 (ko
Inventor
김수
박인경
임은서
백이슬
Original Assignee
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 filed Critical 김수
Priority to KR102020014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66Grinding or homogene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할 수 있도록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마쇄봉에 차단부가 형성되므로, 원심력에 의하여 버퍼와 함께 공간부로 이동된 생물 조직의 상방 이동을 차단부가 차단시키게 되어, 생물 조직은 공간부에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신속하게 마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물 조직 마쇄 기구{Biological Tissue Grinding Device}
본 발명은 생물 조직 마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 조직의 마쇄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에 관한 것이다.
분자생물학은 생명공학 연구, 생물정보학 연구, 유전자 발현과 조절 연구 등 현대 생물학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인 배경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자 수준에서의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가 눈으로 보는 생명 현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규명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분자생물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시료의 세포 조직을 마쇄하여, 세포 내에 있는 유전자, 단백질 등을 추출해야 한다. 세포는 세포벽 또는 세포막으로 둘러 쌓여 있고, 세포벽 또는 세포막 내부에 분자생물학 연구에 사용되는 세포질, 핵 등의 단백질 또는 유전물질이 있으므로, 이들 물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세포마쇄과정을 통하여 시료의 세포벽 또는 세포막을 마쇄하는 것이다.
세포마쇄과정의 예시를 살펴보면, 대량 샘플인 경우 조직파쇄기(Tissue lyser) 등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샘플의 조직을 균질하게 마쇄할 수 있다. 그런데 조직파쇄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현장진단 등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식물체 조직을 세포용해액, 증류수, 효소 등이 함유된 버퍼(buffer)와 함께 튜브에 넣고, 튜브를 회전시켜서 마쇄하는데, 이때, 원심력에 의하여 식물 조직이 튜브의 상방으로 몰리게 되어, 식물 조직을 마쇄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6734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 조직의 마쇄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마쇄수용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되 상단부는 상기 기둥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안내부와, 상기 연결안내부의 하단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외주연은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마쇄부와, 상기 마쇄부에 관통되는 슬릿을 갖는 마쇄봉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로 생물 조직과 버퍼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마쇄봉을 회전시켜 상기 생물 조직을 마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 하측과 상기 기둥부의 내주연 사이를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기둥부의 내주연과 맞닿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수용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쇄수용부와 상기 기둥부의 경계선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쇄부가 상기 마쇄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가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수용부 및 마쇄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마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쇄부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상기 슬릿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마쇄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마쇄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마쇄홈부는 상기 마쇄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진 사선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안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마쇄봉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기구와 끼움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쇄봉에 차단부가 형성되므로, 원심력에 의하여 버퍼와 함께 공간부로 이동된 생물 조직의 상방 이동을 차단부가 차단시키게 되어, 생물 조직은 공간부에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신속하게 마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릿이 마쇄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마쇄부가 회전되면, 수용공간부의 상하 방향으로 퍼지는 버퍼가 길게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신속하게 공간부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쇄돌부 및 마쇄홈부는 마쇄부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공간부로 이동된 버퍼가 공간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퍼지게 되면, 마쇄돌부 및 마쇄홈부가 버퍼에 혼합된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의 본체를 단면으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분해한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의 본체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는(1000) 생물 조직을 마쇄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및 마쇄봉(2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부(110)와, 기둥부(1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쇄수용부(120)와, 기둥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뚜껑(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마쇄수용부(120)는 후술하는 마쇄봉(200)의 마쇄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마쇄수용부(120)에는 마쇄하고자 하는 생물 조직이 수용된다. 그리고 마쇄수용부(12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는 기둥부(11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마쇄수용부(120)의 내경과 기둥부(110)의 내경의 경계선에 단턱(124)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마쇄수용부(120)의 강도를 높여 마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쇄수용부(120)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마쇄홈부(12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마쇄홈부(122)는 마쇄수용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뚜껑(130)은 캡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둥부(130)의 상부에 플랙시블하게 연결되어 기둥부(130)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때, 뚜껑(130)의 외경은 뚜껑(130)이 본체(100)의 기둥부(110)에 꽉끼움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뚜껑(130)의 내경은 끼움홈(214)이 형성된 연결안내부(210)의 상부 테두리 또는 기둥부(110)의 상부 테두리가 꽉끼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는, 본체(100)에 마쇄된 생물 조직과 버퍼가 수용된 상태에서 뚜껑(130)을 닫아 보관하거나, 본체에 마쇄봉(200), 및 마쇄된 생물 조직과 버퍼가 수용된 상태에서 뚜껑(130)을 닫아 내부 수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분해한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마쇄봉(200)은 본체(100)에 삽입되어 생물 조직을 마쇄시키는 것으로, 연결안내부(210) 및 마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쇄봉(200)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튜브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마쇄가 완료된 후 마쇄봉(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추출 버퍼 또는 즙액을 피펫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샘플링할 수 있다.
연결안내부(210)는 기둥부(110)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버퍼가 수용되도록 하는 튜브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기둥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는 기둥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안내부(210)의 외주연 하측에는 기둥부(110)의 내주연과 맞닿도록 차단부(212)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단부(212)는 연결안내부(210)의 외주연 하측과 기둥부(110)의 내주연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고, 마쇄부(220)의 외주면과 마쇄수용부(120)의 내주면 사이를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마쇄 효과를 극대화하고 마쇄된 생물 조직이 수용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단부(212)가 연결안내부(210)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차단부(212)는 연결안내부(210)의 외주연 하측과 기둥부(110)의 내주연 사이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기둥부(110)의 내주연 하측에 연결안내부(210)의 외주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안내부(210)의 상단부에는 연결안내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미도시)와 끼움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끼움홈(214)이 형성된다. 회전기구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회전력을 갖는 드릴, 드라이버 등으로 형성되며, 회전기구에 결합된 팁이 끼움홈(214)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기둥부(110)에 삽입된 연결안내부(21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홈(214)은 팁의 회전에 대하여 헛돌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면 족하고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끼움홈(214)에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안내부(210)의 상부는 외주면이 회전기구의 회전 팁에 끼워져 회전 팁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아 마쇄봉(200)이 회전하도록 각진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회전기구의 회전 팁이 연결안내부(214)의 내부에 끼워지는 경우뿐만 아니라 회전 팁에 연결안내부(214)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경우에도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마쇄봉(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마쇄부(220)는 마쇄수용부(120)에 수용된 생물 조직을 마쇄시키는 것으로, 연결안내부(210)의 하단부에 수용공간부(220a)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쇄부(220) 또한 마쇄수용부(120)와 마찬가지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쇄부(220)가 마쇄수용부(120)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면, 마쇄부(220)의 외주연은 마쇄수용부(120)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마쇄수용부(120)와 마쇄부(220) 사이에 빈틈 즉, 공간부(230: 도 6 도시)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마쇄부(220)에는 수용공간부(220a)로 공급된 버퍼가 통과되거나, 마쇄된 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 버퍼가 마쇄수용부(120)을부터 유입되기 위한 슬릿(222)과, 버퍼에 혼합된 생물 조직을 용이하게 마쇄시키기 위한 마쇄돌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222)은 마쇄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슬릿(222)이 마쇄부(220)의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마쇄돌부(224)는 슬릿(222)과 겹치지 않도록 마쇄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마쇄돌부(224)는 마쇄부(220)의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기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마쇄돌부(224)는 마쇄수용부(120)의 내주연에 맞닿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쇄부(220)에 슬릿(222)과 마쇄돌부(224)가 형성될 때,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슬릿(222)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쇄부(220)가 위치되며, 예를 들면, 슬릿(222)은 4개로 구성되고, 마쇄돌부(224)는 12개로 구성되어,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슬릿(222) 사이에 3개의 마쇄돌부(224)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쇄돌부(224)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마쇄돌부(224)가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마쇄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쇄돌부(224)는, 마쇄봉(200)이 회전하는 방향과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쇄돌부(22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마쇄가 일어나는 공간부(230)를 생물 조직이 벗어나는 것을 마쇄돌부(224)가 억제하여 마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쇄돌부(224)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마쇄돌부(224)의 상부가 회전방향으로 하부보다 앞서는 구조에서는, 마쇄돌부(224)가 수평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마쇄력이 더 증대되는 것은 물론, 마쇄가 일어나는 공간부(230)를 생물 조직이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마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쇄돌부(224)는, 나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마쇄돌부(224)의 나선 방향은 마쇄봉(200)이 소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 시에 마쇄봉(200)이 본체(100)로부터 풀리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마쇄돌부(224)가 수평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마쇄력이 더 증대되는 것은 물론, 마쇄가 일어나는 공간부(230)를 생물 조직이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마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의 본체(100)와 마쇄봉(200)은, 마쇄부(220)가 마쇄수용부(120)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며, 이때, 차단부(212)의 하측은 단턱(124)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차단부(212)의 외주연 측방은 기둥부(110)의 내주연과 맞닿도록 위치되어, 마쇄수용부(120)와 마쇄부(220)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230)의 상부는 차단부(212)에 의하여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를 이용하여 생물 조직을 마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본체(100)의 마쇄수용부(120)에 생물 조직과 버퍼를 공급한 후 기둥부(110)를 통하여 마쇄봉(200)을 끼우고,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마쇄봉(200)을 회전시키면 생물 조직을 마쇄시킬 수 있다. 마쇄봉(200)의 회전에 의하여, 마쇄부(220)의 외주면과 마쇄수용부(120)의 내주면 사이에 있는 생물 조직은 마쇄되고, 마쇄부(220)에 형성된 슬릿(222)에 의하여 버퍼가 기둥부(110)를 따라 위로 올라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생물 조직은 계속하여 공간부(230)에 머무를 수 있어서 마쇄효율이 높아진다. 이에 덧붙여, 마쇄봉(200)에 형성된 차단부(212)는 생물 조직이 공간부(230)를 벗어나는 것을 더욱 억제하여 마쇄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생물 조직이 슬릿(222)보다 충분히 작을 경우에는 본체(100)와 마쇄봉(20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공간부(220a)로 생물 조직과 버퍼를 공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때, 회전기구를 이용하여 마쇄봉(200)을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하여 수용공간부(220a)로 공급된 버퍼가 슬릿(222)을 통하여 공간부(230)로 유입되고, 마쇄돌부(224)는 마쇄부(220)와 함께 회전되면서 공간부(230)에 위치된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시킨다. 이때, 생물조직은 마쇄돌부(224) 및 마쇄홈부(122)의 울퉁불퉁한 형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딪히면서 조직이 미세하게 분쇄된다.
한편, 원심력에 의하여 공간부(230)로 이동된 생물 조직은 차단부(212)에 의하여 차단부(212)의 상부로 이동될 수 없어, 공간부(230)에 위치되는 생물 조직은 차단부(212)의 상부로 임의로 올라가지 못하고, 공간부(230)에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마쇄돌부(224) 및 마쇄홈부(122)에 의하여 신속하게 마쇄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마쇄된 생물 조직은 본체(100)와 마쇄봉(200) 사이의 공간부(230)에 머무르고 마쇄된 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 버퍼는 마쇄봉(200) 내의 수용공간부(220a)에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피펫(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추출 버퍼를 샘플링하고 이를 진단, 검사 및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물 조직은 일반적인 동식물 조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식물체 조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 조직 마쇄 기구는, 슬릿(222)이 마쇄부(220)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마쇄부(220)가 회전되면, 수용공간부(220a)의 상하 방향으로 퍼지는 버퍼가 길게 형성된 슬릿(222)을 통하여 신속하게 공간부(230)로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쇄돌부(224) 및 마쇄홈부(122)는 마쇄부(220)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공간부(230)로 이동된 버퍼가 공간부(230)에서 상하 방향으로 퍼지게 되면, 마쇄돌부(224) 및 마쇄홈부(122)가 버퍼에 혼합된 생물 조직을 신속하게 마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쇄홈부(122)는 마쇄된 생물 조직이 수용되는 공간을 확보하여 마쇄된 생물 조직의 일부가 슬릿을 통하여 마쇄봉의 수용공간부(220a)로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1000: 생물 조직 마쇄 기구
100: 본체 110: 기둥부
120: 마쇄수용부 122: 마쇄홈부
124: 단턱 130: 뚜껑
200: 마쇄봉 210: 연결안내부
212: 차단부 214: 끼움홈
220: 마쇄부 220a: 수용공간부
222: 슬릿 224: 마쇄돌부
230: 공간부

Claims (11)

  1.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마쇄수용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기둥부에 삽입되되 상단부는 상기 기둥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안내부와, 상기 연결안내부의 하단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그 외주연은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마쇄부와, 상기 마쇄부에 관통되는 슬릿을 갖는 마쇄봉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로 생물 조직과 버퍼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마쇄봉을 회전시켜 상기 생물 조직을 마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 하측과 상기 기둥부의 내주연 사이를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연결안내부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기둥부의 내주연과 맞닿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수용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는 상기 기둥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쇄수용부와 상기 기둥부의 경계선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쇄부가 상기 마쇄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차단부가 상기 단턱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수용부 및 마쇄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마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쇄부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상기 슬릿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마쇄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수용부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마쇄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마쇄홈부는 상기 마쇄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진 사선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돌부는 상기 마쇄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마쇄봉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기구와 끼움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조직 마쇄 기구.
KR1020200145562A 2020-11-03 2020-11-03 생물 조직 마쇄 기구 KR10244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562A KR102448250B1 (ko) 2020-11-03 2020-11-03 생물 조직 마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562A KR102448250B1 (ko) 2020-11-03 2020-11-03 생물 조직 마쇄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53A true KR20220059853A (ko) 2022-05-10
KR102448250B1 KR102448250B1 (ko) 2022-09-27

Family

ID=8159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562A KR102448250B1 (ko) 2020-11-03 2020-11-03 생물 조직 마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2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48B1 (ko) 2004-08-31 2006-04-0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쇄하는 방법
JP2007511759A (ja) * 2003-11-14 2007-05-10 エンファー・テクノロジー サンプルホモジェナイザー
JP2007218903A (ja) * 2006-01-20 2007-08-30 Mizuho Medy Co Ltd 試料摩砕容器並びにそれを用いる用具及び方法
JP3227154U (ja) * 2019-01-31 2020-08-06 瑩芳有限公司IN FUNG Co., Ltd. 検体採取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154B2 (ja) * 1990-10-11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759A (ja) * 2003-11-14 2007-05-10 エンファー・テクノロジー サンプルホモジェナイザー
KR100567348B1 (ko) 2004-08-31 2006-04-04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쇄하는 방법
JP2007218903A (ja) * 2006-01-20 2007-08-30 Mizuho Medy Co Ltd 試料摩砕容器並びにそれを用いる用具及び方法
JP3227154U (ja) * 2019-01-31 2020-08-06 瑩芳有限公司IN FUNG Co., Ltd. 検体採取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250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4572A1 (en) Foodstuff crushing and blending apparatus
KR102448250B1 (ko) 생물 조직 마쇄 기구
AR046708A1 (es) Metodo y aparato para homogeneizar muestras
CN102847565A (zh) 用于破碎组织的装置
CN1925797A (zh) 经过蒂进入椎间盘的方法和装置
TW201130965A (en) Method for extracting lipids from aqueous suspensions of biomass
ES2759919T3 (es) Dispositivos para el procesamiento de muestras y métodos para su uso
CN1889892A (zh) 外科手术锤
RU2306543C1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CN109331914B (zh) 药物研磨装置
CN209438775U (zh) 一种医疗用中药材研磨装置
US9314790B1 (en) System for separation of a sample
US20050277183A1 (en) Electroporation cuvette
CN212693277U (zh) 土壤快速整段取样装置
CN107505156A (zh) 土壤分层取样器
CN106596181A (zh) 一种配备有原状土样品收纳座的采样刀具
KR102271814B1 (ko)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CN206109420U (zh) 改进型破碎仪
CN217368589U (zh) 一种微藻破壁装置
CN207086536U (zh) 一种有机垃圾分类生化处理设备
KR20130032043A (ko) 액란 혼합/분리기
EP0906741B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mit einem voreinstellbaren Behältervolumen
Sefid-Sefidehkhan et al. Application of ASCA as a Multivariate Statistical Tool for Identification of Critical Parameters for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Dexamethasone
CN214749239U (zh) 一种用作兽药的塞拉菌素检测提取装置
CN206609645U (zh) 一种配备有原状土样品收纳座的采样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