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637A -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637A
KR20220059637A KR1020200145049A KR20200145049A KR20220059637A KR 20220059637 A KR20220059637 A KR 20220059637A KR 1020200145049 A KR1020200145049 A KR 1020200145049A KR 20200145049 A KR20200145049 A KR 20200145049A KR 20220059637 A KR20220059637 A KR 2022005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unit
installation groove
groov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호
Original Assignee
이연쏠라스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쏠라스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연쏠라스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637A/ko
Publication of KR2022005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볼라드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한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Safety guide bollard using solar power}
본 발명은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볼라드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한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되어 차량의 보도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이 보도에 주/정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도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주로 석재, 콘크리트 또는 철재로 만들어져서 충격에 강한 재질적인 특성으로 차량의 진입방지기능을 하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보행자가 보행과정 중에 볼라드에 부딪히는 경우 충격완충기능이 없기 때문에 부상의 우려가 많고, 보도에 차량의 진입이 필요할 경우 볼라드를 제거한 후에 재설치 해야 하여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226171, 등록일자 2013년 01월 18일, '태양광 볼라드' 등록특허 10-2085740, 등록일자 2020년 03월 20일, '태양광 발전식 볼라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볼라드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한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및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로 전송하고, 승하강하는 볼라드(1000); 및 상기 볼라드(10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볼라드(10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감지DB(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라드(10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0); 상기 몸체부(1100)에 일부가 장착되고 반대 측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부(1200); 상기 승강부(120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0); 상기 구동부(13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1100)를 통해 전달되는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1400); 및 상기 감지DB(20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부(1300)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라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100)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봉(1120)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1110)와 상기 하부 부재(1110)의 고정봉(1120)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중간 부재(1130)와 상기 하부 부재(1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간 부재(1130)를 고정하는 상부 부재(1140)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부재(1130)는 고정봉(1120)에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지지봉(1130b)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구(1130a)와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재(1130c)로 구성되는 몸체 케이스(1110); 상기 몸체 케이스(1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반사띠(1120); 및 상기 반사띠(1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한 전력을 상기 구동부(1300) 및 볼라드 제어부에 공급하는 LED부재(1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격 흡수부(1400)는, 판재 형상의 흡수 지지판(1410); 및 상기 흡수 지지판(141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충격흡수 스토퍼(1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1200)는, 충격 흡수부에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1210); 상기 승강 프레임(1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벨트 기어(1220); 상기 벨트 기어(1220)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1230); 및 상기 타이밍 벨트(1230)와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양측은 몸체부(1100)의 몸체 케이스(1110)와 결합되는 벨트 이동 유닛(1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ED부재(1130)는, 전면 중앙에 조명설치홈(11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외곽에 상기 조명설치홈(1131a)보다 깊이가 깊은 솔라유닛설치홈(11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과 조명설치홈(1131a)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보다 깊게 수직 방향의 수직홈(11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설치홈(1131a)과 마주한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수직홈(1131c)과 연통되는 연통홈(1131d)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1131)와; 상기 조명설치홈(1131a)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중앙측 상면에는 접근금지 이미지가 프린팅되어 형성된 프린팅부(113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곽측 상면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1132c)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아크릴판(1132)과; 저부 둘레가 상기 하부아크릴판(1132)의 접착부(1132c)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되며, 저부 중앙측에는 상기 프린팅부(1132c)의 이미지의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각홈(1133a)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면에는 복수 개의 칩설치홈(11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둘레에는 상면 중앙에 비해 높이가 낮게 단턱지게 형성된 링안착부(1133c)가 형성되어 잇는 투명한 상부아크릴판(1133)과; 상기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되는 링 형태의 반사판(1134)과; 상기 반사판(1134)에 접착 고정되는 링 형태의 플라스틱 간격재(1135)와;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강화유리판(1136)과; 상기 간격재(1135)에 접착 고정되며, 상면이 상기 강화유리판(1136)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금속질의 마감링(1137)과;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3b)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케이스(1139a) 상면에는 태양전지판(1139b)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139a) 내부에 태양전지판(1139b)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되며,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1139a) 하부에 일측이 회로부와 연결된 채 케이스(1139a) 외부로 제1전원선(1139c)이 돌출되어 연통홈에 연속으로 삽입되는 솔라유닛(1139)과; 상기 칩설치홈(1133b)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선(1139c)과 연결되는 제2전원선(L)이 연결되어 솔라유닛(113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칩(C)과; 상기 칩설치홈(1133b)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LED칩(C)과 센서부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바닥면에는 상기 솔라유닛(1139)의 하부에 배수재(1138)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재(1138)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1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과 이격되는 수분체류홈(113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부(1132c)와 접착부(1132b)의 경계에 월류방지홈(1132a)이 형성되어 접착부(1132b)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프린팅부(1132c)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안착부(1133c)는 평면상에서 칩설치홈(1133b)이 위치한 부분에 접착방지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판(1134)은 상기 접착방지홈(H)을 제외한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ED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야간에 차량 또는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2000)로 전송하고 상기 LED칩(C)을 구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라드(1000)의 몸체부(1100), 승강부(1200), 구동부(1300), 충격 흡수부(1400)는 지면에 매설되는 볼라드 케이스(15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볼라드 케이스(1500)는, 상부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상부 부재(1510); 상기 상부 부재(1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구 형상의 볼(1530)이 형성되는 흡수 부재(1520); 상기 흡수 부재(1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판 형상의 하부 부재(1540); 및 상기 흡수 부재(1520)와 하부 부재(1540)의 외면에 배치되는 측면 흡수 부재(1550)로 구성되는 방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여 친환경적이고, 원격으로 볼라드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하여 차량 진입이 필요할 경우 볼라드를 제거 후 재설치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배수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LED칩 연결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케이스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통한 볼라드 제어방법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여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및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로 전송하고, 승하강하는 볼라드(1000) 및 상기 볼라드(10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볼라드(10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감지DB(200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라드(1000) 및 상기 감지DB(2000)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라드(10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0)와 상기 몸체부(1100)에 일부가 장착되고 반대 측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부(1200)와 상기 승강부(120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0)와 상기 구동부(13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1100)를 통해 전달되는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1400) 및 상기 감지DB(20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부(1300)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라드 제어부와 볼라드 케이스(1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0)는 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케이스(1100)와 상기 몸체 케이스(1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반사띠(1200) 및 상기 반사띠(1200)의 상부에 위치한 몸체 케이스(1100)에 장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된 전력을 상기 구동부(1300) 및 볼라드 제어부로 전송하는 LED부재(1300)로 이루어 진다.
즉, 상기 몸체부(1100)는 기둥 형상의 몸체 케이스(1100)의 상부에 빛이 반사되는 반사띠(1200)와 빛을 조사하는 LED부재(1300)를 각각 장착하여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가 볼라드(1000)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 케이스(1100)는 금속 이외에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케이스(1110)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봉(1112)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1111)와, 상기 하부 부재(1111)의 고정봉(1112)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중간 부재(1113) 및 상기 하부 부재(1111)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간 부재(1112)를 고정하는 상부 부재(1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몸체 케이스(1110)는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부 부재(1111)의 고정봉(1112)에 중간 부재(1113)를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 상기 고정봉(1112)의 최상단에 상부 부재(1114)를 결합하여 중간 부재(1113)를 고정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중간 부재(1113)는 고정봉(1112)에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지지봉(1113b)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구(1113a)과 상기 중간 고정구(1112a)의 지지봉(1112b)에 끼움 결합되고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착탈부재(1113c)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 케이스(1110)는 외력에 의한 중간 부재(1113)의 손상시 해당되는 착탈부재(1113c)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의 작동상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라드(1000)의 볼라드제어부는 상기 감지DB(20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상기 구동부(1300)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1200)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시킨다.
상기 승강부(1200)는 충격 흡수부(1400)에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1210)과, 상기 승강 프레임(1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벨트 기어(1220)와, 상기 벨트 기어(1220)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1230)와, 상기 타이밍 벨트(1230)와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양측은 몸체부(1100)의 몸체 케이스(1110)와 결합되는 벨트 이동 유닛(12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부(1200)는 승강 프레임(1210)의 상부와 하부에 벨트 기어(1220)를 장착한 후, 상기 벨트 기어(1220)에 타이밍 벨트(1230)를 장착한 다음, 상기 타이밍 벨트(1230)에 몸체 케이스(1110)와 결합되는 벨트 이동 유닛(1240)을 장착한 것이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승강부(1200)는 구동부(1300)와 결합되는 하부의 벨트 기어(1220)의 회전작동시 타이밍 벨트(1230)가 승·하강작동하면서 몸체 케이스(1110)와 결합된 벨트 이동 유닛(1240)을 승강 또는 하강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0)를 승강 또는 하강작동시키는 구성을 타이밍 벨트(1230)로 구성한 것은 상기 몸체부(1100)의 일정한 속도로 승·하강 작동시키면서도 정확하게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1210)의 상부에는 벨트 이동 유닛(1240)의 작동 구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리미트 스위치(1250), 근접스위치, 포토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부재(1130)는 몸체부재(1131), 하부아크릴판(1132), 상부아크릴판(1133), 반사판(1134), 간격재(1135), 강화유리판(1136), 마감링(1137), 배수재(1138), 솔라유닛(1139), LED칩(C), 센서부 및 LE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몸체부재(113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재(1131)의 상면 중앙에는 조명설치홈(11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명 외곽에는 상기 조명설치홈(1131a)보다 깊이가 깊은 솔라유닛설치홈(1131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솔라유닛설치홈(1131b)은 2개로 이루어진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3개, 4개 등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재(1131)는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과 마주한 조명설치홈(1131a)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보다 깊게 수직 방향을 수직홈(1131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설치홈(1131a)과 마주한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수직홈(1131c)과 연통되는 경사홈(1131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직홈(1131c)과 경사홈(1131d)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딩처리되어 후술하는 전선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홈(1131c)의 직경을 경사홈(1131d)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전선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함은 물론 물 저장 능력이 보다 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의 직경에 비해 수직홈(1131c)과 경사홈(1131d)의 직경은 더 크게 이루어짐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하부아크릴판(1132)은 중앙측 상면에 이미지가 프린팅되어 형성된 프린팅부(1132b)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팅된 시트를 절단하고, 접착하여 부착하고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직접 프린팅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하부아크릴판(1132)의 외곽측 상면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113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울러, 접착부(1132c)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접착제가 프린팅부(1132b)로 흘러들어가게 될 경우 프린팅부(1132b)의 외곽에 얼룩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프린팅부(1132b)와 접착부(1132c)의 경계에 월류방지홈(1132a)을 형성하여 접착부(1132c)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프린팅부(1132b)로 흘러 들어가는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프린팅된 시트를 활용할 경우 중앙 부위가 외곽 부위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프린팅부(1132b)가 아크릴판에 직접 인쇄되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접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은 투명한 아크릴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부 둘레가 상기 하부아크릴판(1132)의 접착부(1132c)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더불어, 저부 중앙측에는 상기 프린팅부(1132b)의 이미지의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각홈(1133a)이 형성되어 음각홈(1133a)에 조사된 빛이 굴절되면서 이미지의 윤곽이 선명하고 뚜렷하게 발광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아크릴판(1133)의 측벽면에는 복수 개의 칩설치홈(11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아크릴판(1133)의 상면 둘레에는 상면 중앙에 비해 높이가 낮게 단턱지게 형성된 링안착부(1133c)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사판(1134)은 상기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된다. 이 때, 접착제를 통해 반사판(1134)이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LED칩(C)과 반사판(1134)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이로 인해 반사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링안착부(1133c)는 평면상에서 칩설치홈(1133b)이 위치한 부분에 접착방지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판(1134)은 상기 접착방지홈(H)을 제외한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반사판(1134)을 통한 LED칩(C)에서 발광하는 빛의 반사가 최대한 이루어져 상부아크릴판(1133)의 중앙 영역까지 빛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중앙 부위의 시인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착방지홈(H)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아크릴판(1133)의 외주면 단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반사판(154)의 접착에 빈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좋다.
다음으로 간격재(1135)는 상기 반사판(1134)에 접착 고정되며, 간격재(1135)는 반사판(1134)과 마감링(1137) 사이에 위치하여 고가의 스텐레스 부재 사용량을 절감하여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강화유리판(1136)은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링안착부(1133c)를 제외한 상부아크릴판(1133)의 상면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화유리판(1136)은 하부의 상부아크릴판(1133)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링(1137)은 스텐레스와 같이 미감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착제를 통해 상기 간격재(1135)에 접착 고정된다. 더불어, 마감링(1137)은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강화유리판(1136)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솔라유닛(1139)은 원통형의 케이스(1139a) 내부에는 미도시된 축전지, 회로부 등이 설치최고, 상면에는 태양전지판(1139b)이 설치되어 태양광을 전기력을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생산된 전력은 내부의 축전지에 충전되는데, 케이스(1139a) 내부에는 축전지의 축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내장된다. 더불어, 케이스(1139a) 하부에 일측이 회로부와 연결된 채 케이스(1139a) 외부로 제1전원선(1139c)이 돌출되어 있다. 제1전원선(1139c)에는 전선 간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연결잭이 구비되어, LED칩(C) 및 승강부(1200), 구동부(1300), 센서부, LED 제어부 및 볼라드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전원선(1139c)은 앞서 설명한 경사홈(1131c) 및 수직홈(1131d)에 연속으로 삽입되며, 이는 도 9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LED칩 연결 예시도이다. 바닥면으로부터 경사진 경사홈(1131c) 및 연결된 수직홈(1131d)을 통해 수분이 임시로 머무는 공간이 형성되어 솔라유닛(1139) 습기나 물로부터 격리되어 누전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바닥면에는 상기 솔라유닛(1139)의 하부에 배수재(1138)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재(1138)는 경질 재질로 구성됨이 하중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는 도 8과 같다. 도 8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부재의 배수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배수재(1138)는 도시된 것처럼 상하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1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과 이격되는 수분체류홈(113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통공(1138a)은 결로나 상부의 틈 발생으로 인해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상측에서 물이 유입될 때 하부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수분체류홈(1138b)은 전술한 경사홈(1131c), 수직홈(1131d)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넓은 체류공간을 형성하여 솔라유닛(1139)을 수분으로부터 가일층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LED칩(C)은 상기 칩설치홈(1133b)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선(1139c)과 연결되는 제2전원선(L)이 연결되어 솔라유닛(113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전원선(L)에도 연결잭이 단부에 설치되어 전술한 연결잭과 간편하게 탈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LED 제어부는 상기 칩설치홈(1133b)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센서부가 야간에 차량 또는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2000)로 전송해주고 상기 LED칩(C)을 구동시켜 차량이나 보행자가 볼라드(1000)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라드 케이스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라드 케이스(150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510)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부(15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부(1520)는 볼라드 케이스(1500)의 상부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상부 부재(1521)와 상기 상부 부재(1521)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구 형상의 볼(1523)이 형성되는 흡수 부재(1522)와 상기 흡수 부재(1522)의 하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판 형상의 하부 부재(1524) 및 상기 흡수 부재(1522)와 하부 부재(1524)의 외면에 배치되는 측면 흡수 부재(1525)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방수부(1520)는 상부 부재(1521)를 통해 일차적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몸체부(1100)를 따라 유입되는 물은 흡수 부재(1522)를 통해 흡수하며, 상기 하부 부재(1524)를 통해 하부로 전달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수 부재(1522)의 내측으로 볼(1523)을 형성한 것은 몸체부(1100)의 원활한 승강 작동을 위한 것이고, 상기 측면 흡수 부재(1525)는 흡수 부재(1522)를 통해 흡수된 물을 흡수하여 많은 량의 물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통한 볼라드 제어방법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구동 시스템을 통한 볼라드 제어방법은 LED부재(1130)의 센서부가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S100)와 LED 제어부가 LED칩(C)을 구동시키고, 감지정보를 감지DB(2000)로 전송하는 단계(S200)와 감지DB(2000)가 볼라드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00)와 볼라드 제어부가 구동부(1300)를 구동시켜 승강부(1200)를 통해 몸체부(1100)를 하강시키는 단계(S400)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여 친환경적이고, 원격으로 볼라드의 승하강 조작이 가능하여 차량 진입이 필요할 경우 볼라드를 제거 후 재설치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볼라드
1100 : 몸체부
1110 : 몸체 케이스
1111 : 하부 부재
1112 : 고정봉
1113 : 중간 부재
1113a : 중간 고정구
1113b : 지지봉
1113c : 착탈부재
1114 : 상부 부재
1120 : 반사띠
1130 : LED부재
1131 : 몸체부재
1131a : 조명설치홈
1131b : 솔라유닛설치홈
1131c : 수직홈
1131d : 경사홈
1132 : 하부아크릴판
1132a : 월류방지홈
1132b : 프린팅부
1132c : 접착부
1133 : 상부아크릴판
1133a : 음각홈
1133b : 칩설치홈
1133c : 링안착부
1134 : 반사판
1135 : 간격재
1136 : 강화유리판
1137 : 마감링
1138 : 배수재
1138a : 통공
1138b : 수분체류홈
1139 : 솔라유닛
1139a : 케이스
1139b : 태양전지판
1139c : 제1전원선
1200 : 승강부
1210 : 승강 프레임
1220 : 벨트 기어
1230 : 타이밍 벨트
1240 : 벨트 이동 유닛
1300 : 구동부
1400 : 충격흡수부
1410 : 흡수 지지판
1420 : 충격흡수 스토퍼
1500 : 볼라드 케이스
1510 : 상부 부재
1520 : 흡수 부재
1530 : 구 형상의 볼
1540 : 하부 부재
1550 : 측면 흡수 부재
2000 : 감지DB
C : LED칩
L : 제2전원선
H : 접착방지홈

Claims (10)

  1.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및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로 전송하고, 승하강하는 볼라드(1000); 및
    상기 볼라드(10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볼라드(10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감지DB(2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10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100);
    상기 몸체부(1100)에 일부가 장착되고 반대 측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승강부(1200);
    상기 승강부(120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0);
    상기 구동부(13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1100)를 통해 전달되는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1400); 및
    상기 감지DB(20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부(1300)를 제어하여 상기 몸체부(1100)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볼라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0)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고정봉(1120)이 형성되는 하부 부재(1110)와 상기 하부 부재(1110)의 고정봉(1120)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중간 부재(1130)와 상기 하부 부재(1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간 부재(1130)를 고정하는 상부 부재(1140)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부재(1130)는 고정봉(1120)에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지지봉(1130b)이 형성되는 중간 고정구(1130a)와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스테인리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부재(1130c)로 구성되는 몸체 케이스(1110);
    상기 몸체 케이스(1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반사띠(1120); 및
    상기 반사띠(1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한 전력을 상기 구동부(1300) 및 볼라드 제어부에 공급하는 LED부재(1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1400)는,
    판재 형상의 흡수 지지판(1410); 및
    상기 흡수 지지판(1410)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충격흡수 스토퍼(1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0)는,
    충격 흡수부에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1210);
    상기 승강 프레임(1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벨트 기어(1220);
    상기 벨트 기어(1220)에 감기는 타이밍 벨트(1230); 및
    상기 타이밍 벨트(1230)와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양측은 몸체부(1100)의 몸체 케이스(1110)와 결합되는 벨트 이동 유닛(1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ED부재(1130)는,
    전면 중앙에 조명설치홈(11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외곽에 상기 조명설치홈(1131a)보다 깊이가 깊은 솔라유닛설치홈(11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과 조명설치홈(1131a)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보다 깊게 수직 방향의 수직홈(11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설치홈(1131a)과 마주한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단부측 바닥에는 상기 수직홈(1131c)과 연통되는 연통홈(1131d)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재(1131)와;
    상기 조명설치홈(1131a)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중앙측 상면에는 접근금지 이미지가 프린팅되어 형성된 프린팅부(113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곽측 상면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1132c)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아크릴판(1132)과;
    저부 둘레가 상기 하부아크릴판(1132)의 접착부(1132c)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되며, 저부 중앙측에는 상기 프린팅부(1132c)의 이미지의 경계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음각홈(1133a)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면에는 복수 개의 칩설치홈(11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둘레에는 상면 중앙에 비해 높이가 낮게 단턱지게 형성된 링안착부(1133c)가 형성되어 잇는 투명한 상부아크릴판(1133)과;
    상기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되는 링 형태의 반사판(1134)과;
    상기 반사판(1134)에 접착 고정되는 링 형태의 플라스틱 간격재(1135)와;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강화유리판(1136)과;
    상기 간격재(1135)에 접착 고정되며, 상면이 상기 강화유리판(1136)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금속질의 마감링(1137)과;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3b)에 안착되어 설치되며, 케이스(1139a) 상면에는 태양전지판(1139b)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139a) 내부에 태양전지판(1139b)에서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되며,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1139a) 하부에 일측이 회로부와 연결된 채 케이스(1139a) 외부로 제1전원선(1139c)이 돌출되어 연통홈에 연속으로 삽입되는 솔라유닛(1139)과;
    상기 칩설치홈(1133b)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1전원선(1139c)과 연결되는 제2전원선(L)이 연결되어 솔라유닛(1139)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LED칩(C)과;
    상기 칩설치홈(1133b)의 일측에 설치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LED칩(C)과 센서부를 제어하는 LE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솔라유닛설치홈(1131b)의 바닥면에는 상기 솔라유닛(1139)의 하부에 배수재(1138)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재(1138)에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11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 솔라유닛설치홈(1131b) 바닥면과 이격되는 수분체류홈(113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부(1132c)와 접착부(1132b)의 경계에 월류방지홈(1132a)이 형성되어 접착부(1132b)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프린팅부(1132c)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안착부(1133c)는 평면상에서 칩설치홈(1133b)이 위치한 부분에 접착방지홈(H)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판(1134)은 상기 접착방지홈(H)을 제외한 링안착부(1133c)에 접착제를 통하여 상기 상부아크릴판(1133)과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야간에 차량 또는 보행자를 감지할 경우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감지DB(2000)로 전송하고 상기 LED칩(C)을 구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1000)의 몸체부(1100), 승강부(1200), 구동부(1300), 충격 흡수부(1400)는 지면에 매설되는 볼라드 케이스(15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볼라드 케이스(1500)는,
    상부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상부 부재(1510);
    상기 상부 부재(1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구 형상의 볼(1530)이 형성되는 흡수 부재(1520);
    상기 흡수 부재(1510)의 하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판 형상의 하부 부재(1540); 및
    상기 흡수 부재(1520)와 하부 부재(1540)의 외면에 배치되는 측면 흡수 부재(1550);
    로 구성되는 방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구동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KR1020200145049A 2020-11-03 2020-11-03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KR20220059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049A KR20220059637A (ko) 2020-11-03 2020-11-03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049A KR20220059637A (ko) 2020-11-03 2020-11-03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37A true KR20220059637A (ko) 2022-05-10

Family

ID=8159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049A KR20220059637A (ko) 2020-11-03 2020-11-03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96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71B1 (ko) 2011-05-19 2013-01-25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KR102085740B1 (ko) 2019-05-02 2020-03-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태양광 발전식 볼라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171B1 (ko) 2011-05-19 2013-01-25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태양광 볼라드
KR102085740B1 (ko) 2019-05-02 2020-03-0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태양광 발전식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497B1 (ko) 태양광 발전 기능이 구비된 led 볼라드
KR101290344B1 (ko) 높이가 조절되는 볼라드
KR101119072B1 (ko) 이동식 임시가로등
KR200470131Y1 (ko) 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117891A (ko) 도로용 조명장치
KR2022005963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유도형 볼라드
CN104746926A (zh) 一种升降式电控承压防水型车位阻挡装置
KR102058668B1 (ko)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KR20100084767A (ko) 승강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101931563B1 (ko) 도로면 상에 설치되는 도로교통 안전표시 장치
KR101278294B1 (ko) 기능성 볼라드
CN205422146U (zh) 一种电力维修警示栏
CN202337957U (zh) 一种太阳能道钉
KR102023476B1 (ko)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20230067738A (ko) 태양광을 이용한 led화면 볼라드
KR101868816B1 (ko) 안전 유도형 태양광 경계석
KR200439497Y1 (ko) 태양전지 조명장치가 구비된 펜스 및 교각
KR102085700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 신호기
CN207597968U (zh) 一种弧面停车场地
CN212657646U (zh) 一种感应灯
CN107489077B (zh) 一种人车合一式分时立交桥
CN211232692U (zh) 一种防撞效果好的智慧路灯
CN214303063U (zh) 一种多功能交通指挥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