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523A -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523A
KR20220059523A KR1020227011443A KR20227011443A KR20220059523A KR 20220059523 A KR20220059523 A KR 20220059523A KR 1020227011443 A KR1020227011443 A KR 1020227011443A KR 20227011443 A KR20227011443 A KR 20227011443A KR 20220059523 A KR20220059523 A KR 2022005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openings
footwear
preform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니 융 호
구일레르모 라파엘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43D8/18Ornamentation by punching or perf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02Cutt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047Devices for lasting with adhesives or for gluing together insoles and upp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1/00Sewing machines incorporating devices serving purposes other than sewing, e.g. for blowing air, for gr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4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boring or jogg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을 위한 중창을 제조하는 방법이,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한정하는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의 내측 표면이,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중창은, 상방-연장 측벽들을 포함한다. 개구부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들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진다.

Description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개시가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9년 10월 4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910,517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수기(embroidery machine)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중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흔히, 많은 상이한 재료의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전형적으로, 발을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밑창 구조물을 포함한다. 운동화에서의 밑창 구조물들은 전형적으로, 완충, 동작 제어, 및/또는 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 제조업체들은, 고품질의 내구성 있는 신발류를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발명은, 신발류 물품을 위한 중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질적으로 도식적이며,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대신에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도구에 의해 절개되는 개구부들의 제1 패턴을 갖는 중창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창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중창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손들에 의해 종방향으로 구부러진, 도 1의 중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 선에서 취해진, 도 1의 신발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반전된 중창을 동반하는, 도 1의 개구부들 중의 하나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7은, 중창을 통해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개구부들을 갖는,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도구에 의해 절개되는 상이한 개구부들의 패턴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반전된 중창을 동반하는, 도 7의 개구부들 중의 하나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중창의 예비 성형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 선에서 취해진, 도 9의 예비 성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반전된 그리고 작업 설비 상에 배치된 예비 성형물을 동반하는, 도 9의 예비 성형물 내에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자수기 절개 도구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12는, 도 1, 도 7 및 도 18의 중창 내에 개구부들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절개 도구 및 스프링 하우징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절개 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15-15 선에서 취해진, 도 14의 절개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중창 예비 성형물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그리고 가열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조립 도면의 부분적 단면도이다.
도 17은 구두골로 성형된 갑피 및 갑피에 대해 열성형되고 있는 도 16의 중창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에 의해 절개되는, 개구부들의 제2 패턴을 갖는 대안적인 중창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19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신발류 물품을 위한 중창을 제조하는 방법에 그리고 중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방법 하에서, 자수기가, 절개 도구로 중창 내에 개구부들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절개 도구를 제어한다. 이러한 비전통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직물에 실로 자수를 놓는 것 대신 중창 내에 구멍들을 절개하기 위해) 자수기 및 절개 도구를 활용하는 것은, 부가적인 금형들 또는 절개 블레이드들에 투자하는 것 대신 기계를 단순히 다시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정확한 제조 및 개구부들의 패턴을 변경하는 것에 관한 용이함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은,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절개 도구가, 자수기의 니들 구동기(needle drive)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절개 도구는, 자수 펀치 니들일 수 있을 것이다. 단일 절개 도구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절개 도구가, 개구부들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자수기의 복수의 니들 구동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것은, 또한 개구부들의 패턴을 펀칭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들의 패턴은, 사용 도중에 중창에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중창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구두골로 성형된 갑피 둘레에 형성되고 그에 고정되는 경우에, 개구부들의 패턴은, 중창의 휨이 열성형 도중에 구두골로 성형된 갑피에 합치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개 도구는, 절개 도구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또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절개 도구는, 절개 도구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지는 단면에서 별 모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별 모양은, 사각 별(four-pointed star)일 수 있을 것이다.
일 양태에서,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르는 것과 같은 자수기의 제어는,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개구부들을 구성하도록, 절개 도구가 절개 도중에 중창 내로 연장되는 거리를 사용자가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창 내에 개구부들을 절개하는 단계는, 중창이 중창 예비 성형물일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방법은, 중창 내에 개구부들을 절개하는 단계 이후에, 중창 예비 성형물을 최종 형성 형상으로 열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 예비 성형물은, 평평한 내측 표면(예를 들어, 평평한 상측 표면) 및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예를 들어, 윤곽형성된 하측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 예비 성형물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평평한 내측 표면은, 작업 설비 상에 (예를 들어, 평평한 내측 표면이 아래로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절개 도구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개 도구의 연속적인 전진들 사이에서 절개 도구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중창 예비 성형물이 이동됨에 따라, 중창 예비 성형물을 통해 공통의 방향으로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으로부터 평평한 내측 표면을 향해 자수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중창의 내측 표면은, 열성형으로 인해 중창 최종 형성 형상으로 윤곽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들 중 적어도 일부가, 이때, 서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창 최종 형성 형상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질 수 있을 것이다. 평평한 내측 표면을 갖는 중창 예비 성형물을 구성하는 것은, 중창 예비 성형물이, 절개 작업 도중에 자체의 평평한 내측 표면에서 안착될 때, 니들 구동기 및 절개 도구에 대해 움직이거나 흔들릴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제조의 용이성을 증가시킨다.
일 양태에서, 열성형 단계 이전에, 방법은, 또한, 예비 성형물의 평평한 내측 표면 상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이어서 열성형 도중에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의 바닥에 그리고 신발류 갑피의 측벽들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은,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에 부착하는 단계 이전에, 갑피를 구두골로 성형하는 (예를 들어, 신발류 구두골 상에 갑피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태에서, 중창은,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중창이, 중창의 체적이 열성형으로 인해 감소하도록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개구부들은, 상기 열성형 이전보다 상기 열성형 이후에 더 넓어진다(예를 들어, 중창 예비 성형물의 체적이, 그의 최종 형성 형상에서의 중창의 체적보다 더 큼). 부가적으로,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 중창들은, 열성형 이후에 그들의 최종 형성 형상을 유지하며, 그리고 비교적 연질이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절개 도구는, 과도한 저항 없이 개구부들을 절개할 때 중창을 통해 전진할 수 있다.
절개 도구를 구동하기 위해 그리고 중창 내에 개구부들을 생성하기 위해 자수기를 사용함으로써, 핀들을 갖는 금형들이, 각각의 요구되는 중창 개구부 패턴을 위해 생성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자수기는, 단순히, 요구되는 개구부들 패턴을 생성하는 절개 도구 구동 패턴을 갖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제1 중창 내에 개구부들의 제1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조하는 방법은 추가로,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에 따라 절개 도구를 구동하도록 자수기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및 이어서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제2 패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중창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과 같은, 신발류 물품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한정하는 중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에 따른 설명된 중창의 최종 형성 형상에서, 중창의 내측 표면이 윤곽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창은, 중창의 둘레 에지로 연장되는 상방-연장 측벽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들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진다.
신발류 물품의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부들의 패턴의 개구부들은 각각, 개구부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구부들은 각각, 개구부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진 단면에서 별 모양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개구부들은,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은, 중창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사이의 중창의 두께가 중창의 중앙 구역 내부에서보다 둘레 에지에서 더 작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창은, 중창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예를 들어, 중창의 측벽들에서의) 둘레 에지로 두께가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갑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중창의 내측 표면은, 신발류 갑피에 부착될 수 있고, 신발류 갑피의 윤곽을 따를 수 있을 것이다. 중창의 측벽들은, 갑피의 측벽들 위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교시의 이상의 특징들 및 이점들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 도면과 연관되어 고려될 때 본 교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들에 대한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해진다.
도 1은, 갑피(14)에 고정되는 중창(12)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을 도시한다. 중창(12)은, 그의 최종 형성 형상이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12)을 통해 연장되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 논의되는 바와 같은 자수기(102)의 절개 도구(100)(양자 모두 도 12에 도시됨)에 의해 부여되는, 개구부들(30)의 제1 패턴(P1)을 구비한다. 신발류 물품(10)은,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뒤꿈치 영역(16)을 포함한다. 전족 영역(16)은, 일반적으로, 발의 중족골들 및 발가락들의 근위 지골들을 연결하는 중족지골 관절들(MPT 또는 MPJ 관절들로 지칭될 수 있음) 및 발가락들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중족 영역(18)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영역 및 발등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20)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뒤쪽 부분들에 대응한다.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은, 신발류 물품(10)의 정확한 영역들을 구분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대신에, 뒤따르는 논의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신발류 물품(10)의 일반적인 영역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신발류(10)는, 안쪽 측부(21)(도 1에 도시됨) 및 바깥쪽 측부(23)(도 5에 최상으로 도시됨)를 구비한다. 안쪽 측부(21) 및 바깥쪽 측부(23)는,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 각각을 통해 연장되며, 각각,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종방향 중간선의 반대편에 속한다. 안쪽 측부(21)는, 그에 따라, 바깥쪽 측부(23) 반대편으로 간주된다.
중창(12)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도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 지면 반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와 같은 탄성중합체 발포체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창(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또는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일 수 있으며, 그리고 열팽창된 그리고 성형된 EVA 발포체 펠릿들(pellets)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12)은, 일반적으로, 파일론(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EVA") 및/또는 폴리우레탄("PU") 기반 수지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적합한 재료들이, 본 개시의 이득을 감안할 때,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갑피(14)는, 가죽, 직물, 중합체, 면, 발포체, 합성물들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갑피(14)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 재료일 수 있으며, 그리고 편조 구조, 편물( 예를 들어, 날실) 구조, 또는 직조 구조의 것일 수 있을 것이다. 갑피(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목 개구부와 같은 갑피(14) 내의 개구부(24)를 통해 삽입되는 발을 수용하는, 발-수용 캐비티(22)를 한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갑피(14)는, 더 낮은 범위에서 스트로벨(strobel)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갑피(14)는 대신에, 바닥 부분을 구비하는 양말형 또는 부띠 구조이다. 안창(미도시)이, 발-수용 캐비티(22) 내에 안착될 수 있거나, 또는 안창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갑피(14)는, 인장 구성요소들의 사용에 의해, 및/또는 끈들, 스트랩들, 또는 다른 조임 메커니즘들에 의해, 발 주위에서 조여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12)은, 갑피(14)에 그를 고정하기 위해 중창(12)을 열성형한 이후의, 최종 형성 형상의 일체형(예를 들어, 1-부재의) 중창(12)으로서 도시된다. 중창(12)은, 중창 및 바닥창 양자 모두로서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또는 부가적인 바닥창 또는 바닥창 구성요소들이, 중창(12)의 바닥 표면(26)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26)은 또한, 지면 맞물림 표면이며, 그리고 중창은, 단일 밑창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갑피(14) 상에 중창(12)을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 개구부들(32)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특히 부가적인 바닥창이 중창(12)에 고정되지 않는 일부 실시예에서, 그러한 개구부들(32)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것보다 더 작은 크기의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중창(1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200)에 따라 제조되고, 따라서 중창은, 개구부들(30)의 제1 패턴(P1)을 한정하는 가운데, 개구부들(30)은 각각, 중창(1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개구부들(30)은, 완전히 중창(12)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들(30)은, 바닥 표면(26)으로부터 내측 표면(28)으로 중창(12)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표면(28)은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12)이 갑피(14)에 대해 열성형될 때, 개구부들(30) 중의 적어도 일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측벽(34A) 및 바깥쪽 측벽(34B)과 같은, 중창(12)의 측벽들(34A, 34B)을 통해 연장된다.
도 1의 중창(12)은 그의 최종 형성 형상으로 도시되는 가운데, 중창(12)의 내측 표면(28)은, 도 5에 최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갑피(14)의 윤곽을 따르도록 신발류 갑피(14)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중창(12)은, 신발류 갑피(14)의 바닥에 부착되며, 그리고 중창(12)의 안쪽 및 바깥쪽 측벽들(34A, 34B)은, 갑피(14)의 개별적인 안쪽 및 바깥쪽 측벽들(36A, 36B) 위로 연장되며 그리고 그에 부착된다. 도 2 및 도 3의 비교가, 개구부들(30)이 바닥 표면(26)에서보다 내측 표면(28)에서 더 작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개구부들(30) 중의 하나에 대해 이것을 예시한다. 바닥 표면(26)으로부터 내측 표면(28)으로의 개구부(30)의 좁아짐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길이(L)를 따르는 도구(100)의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인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개구부들(30)은, 대략적으로, (예를 들어, 개구부(30)의 종방향 축에 수직으로 취해진 평면에서의) 단면이 사각 별 모양이다. 그의 길이에 걸쳐 중창(12)을 이중으로 손들(37)에 의해 구부리고 있는 것이 도시되는, 도 4는, 개구부(30)의 종방향 원뿔 형상 및 횡방향 사각 별 모양이, 중창(12)의 가요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예시한다. 그의 길이(L)를 따르는 그리고 단면에 관한 도구(100)의 형상은, 도구 형상에 대한 단지 하나의 예이며, 그리고 다른 형상을 갖는 절개 도구들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중창(12)의 최종 형성 형상에서, 중창(12)의 내측 표면(28)은, 윤곽형성되고 오목하며, 그리고 중창(12)은, 중창(12)의 둘레 에지(38)로 연장되는 상방-연장 측벽들(34A, 34B)을 포함한다. 중창(12)이 이러한 방식으로 갑피(14)에 대해 열성형될 때, 개구부들(30) 중의 적어도 일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들(34A, 34B)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개구부들(30)의 종방향 축(40)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창 내에서 초기에 절개될 때, 개구부들(30)의 종방향 축(40)은, 대략적으로, 개구부들(30)을 절개하는 것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이 참조 부호 12A로 지시되는 예비 성형물일 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예비 성형물 형상의 중창은, 중창 예비 성형물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내측 표면(28)은, 상대적으로 평평하며, 그리고 (바닥 표면(26) 및 개별적인 측벽들(34A, 34B)의 외측 표면들(42A, 42B)을 포함하는)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외측 표면은, 상대적으로 윤곽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내측 표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절개 도중에 기울어짐, 흔들림,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위치의 이동 없이 절개 도구(100)에 의해 절개될 수 있을 때, 내측 표면은, "평평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서, 내측 표면은, 평평한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완벽하게 평평할 필요는 없다.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절개 도구(10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기(102)에 의해,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26, 42A, 42B)으로부터 평평한 내측 표면(28)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12A)을 통해 전진될 때, 안정성을 위해 자체의 평평한 내측 표면(28)에서 (예를 들어, 바닥 측이 위로) 자수기(102)의 작업 설비(104)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개구부들(30)의 종방향 축(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자수기(102)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 도구(100)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개 도구(100)의 연속적인 전진들 사이에서 절개 도구(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이 이동됨에 따라,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통해 공통의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설계는, 각 개구부(30)에 대해 절개 도구를 재배향시킬 임의의 필요성을 제거함에 의해 제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및/또는 도구(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업 설비(104) 및 그 위의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절개 도구(100)에 대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재배향시킬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12A)이 예비 성형물 상태일 때 내측 표면(28)이 실질적으로 평평한/평면형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공통의 절개 방향은,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106)의 방향으로와 같이, 평평한 내측 표면(28)에 직교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개구부들(30)은, 사각 별 모양(도 6에 최상으로 도시됨)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며, 그리고 각 개구부(30)는, 그의 종방향 축(40)을 따라 원뿔 형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개구부들(30)은, 내측 표면(28)에서보다 외측 표면(바닥 표면(26) 및 측벽 표면들(42A, 42B))에서 더 넓다. 개구부(30)의 이러한 특정 형상은, 단지 많은 가능한 형상들 중의 하나이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특정 절개 도구(100)의 형상으로부터 야기된다. 원뿔 형상으로 그리고 바닥에서 더 넓게, 뿐만 아니라 별 모양으로, 개구부들(30)을 구성함으로써, 중창(12)의 발포체 재료는, 직선형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개구부들이 중창 예비 성형물(12A) 내에 절개된 경우보다, 중창(12)의 동적 부하 도중에 각각의 개구부(30)에서 하방으로 그리고 외향으로 모두 더욱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창(12)의 강성 및/또는 완충 특성은, 절개된 개구부들(30)의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상이한 설계 목적을 충족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어, 중창(12)을 통해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절개된 개구부들이 더 단단한 중창(12)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전체적으로 중창(1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절개된 절단 개구부들(30)은, 증가된 완충을 갖는 더 부드러운 (예를 들어, 덜 단단한) 중창(12)을 제공함). 도 7 및 도 8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200)에 따라 그러나 생성되는 절개된 개구부들(30A)(그 중 일부가 도 7에서 부호로 지시됨)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12B)을 통해 연장되도록 자수기(102)에 의해 제어되는 절개 도구(100)에 의해 제조되는 중창(12B)을 갖는, 대안적인 신발류 물품(10A)을 도시한다. 절개된 개구부들(30A)은, 외측 표면(예를 들어, 바닥 표면(26) 및 측벽들(34A, 34B)의 표면들(36A, 36B))으로부터 내측 표면(28)으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신발류 물품(10A)은, 그 밖에는, 신발류 물품(10)과 동일하며, 그리고 중창(12B)은, 그 밖에는, 설명된 바와 같은 중창(12)과 동일하다. 개구부들(30A)을 절개할 때, 컨트롤러(108)는, 각각의 개별적인 개구부(30A)에서의 중창(12B)의 특정 두께보다 작은 중창(12B)을 통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절개 도구(10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도 9 및 도 10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 예비 성형물은, 참조 부호 12A로 지시되며, 그리고, 평평한 내측 표면(28)과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예를 들어, 바닥 표면(26) 및 측벽들(34A, 34B)의 표면들(36A, 36B)) 사이의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두께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중앙 구역(39) 내부에서보다 둘레 에지(38)에서 더 작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둘레 에지(38)는, 연속적이며 그리고 전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둘러싼다. 예를 들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중앙 구역(39)에서 제1 두께(T1) 그리고 중앙 구역(39)보다 둘레 에지(38)에 더 가까운 곳에서 제2 두께(T2)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 구역(39)으로부터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측벽들(34A, 34B)에서의 둘레 에지(38)로 두께가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최종 형성 형상의 중창(12) 또한, 측벽들(34A, 34B)에서보다 중앙 구역(39) 내에서 더 두껍다.
도 12는, 하나 이상의 니들 구동기(1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된 프로그램(110)을 갖는 컨트롤러(108)를 구비하는, 대표적인 자수기(102)를 도시한다. 컨트롤러(108)는, 하나 이상의 니들 구동기(1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버튼들(112)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14)과 같은 입력 장치들에 접속하는 작업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또는 무선 신호들을 통해,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절개 도구들(100)은, 도 12에서 가장 우측 니들 구동기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니들 구동기들 중의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 도구(100)는 또한, 펀치 니들로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의 다른 니들 구동기들(116)은, 하우징 니들들(118)로 도시되지만, 이들은, 제거되거나, 절개 작업 도중에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부가적인 절개 도구들(100)로 교체되어서, 복수의 절개 도구(100)가 중창 예비 성형물(12A) 내에 개구부들의 패턴을 부여하기 위해 동시에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개구부(30)는, 도시된 단일 니들 구동기(116) 및 단일 절개 도구(100)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도 11의 설비(104)는, 구동되는 그리고 반복적으로 종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아래로) 요동하는 절개 도구(들)(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이동시키기 위해, 자수기(102)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124)에 결합되고 그 위에 안착된다. 비록 다른 작업에서 자수기(102)가 스풀들(122) 상에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실(120)을 사용하여 니들 구동기들(116)을 통해 자수를 놓도록 작동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절개 작업 도중에 실은 사용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절개 도구(100)가 절개 도구(100)의 길이(L)를 따라 원뿔 형상이라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에서, 압축 가능한 스프링 가이드(140)가, 절개 도구(100)를 둘러싸고 방호한다. 스프링 가이드(140)는, 명료함을 위해 도 11에 도시되지 않지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절개 도중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외측 표면(26, 42A, 42B)에 대해 압축할 것이다. 도 15는, 절개 도구(100)가 절개 도구(100)의 길이(L)에 수직으로 취해지는 단면에서 별 모양을 갖는 것을 최상으로 도시한다. 별은, 도 6 및 도 8에 최상으로 도시되는 사각 개구부(30)를 생성하도록, 사각 별이다.
도 9에 지시된 바와 같이 중창 예비 성형물(12A) 내에 개구부들(30)을 절개한 이후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이어서, 그의 평평한 내측 표면(28)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다시 반전되며,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52) 상의 지지 작업 설비(150)의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공급원(155)으로부터의 접착제(154)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내측 표면(28) 상에 배치된다. 내측 표면(28)이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기 때문에, 접착제 층(154)은, 롤러(156)를 통해 도포하기에 상대적으로 쉽다.
접착제(154)의 도포에 뒤따라,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자체의 최종 형성 형상을 획득하며 그리고 갑피(14) 상에 배치되고 그에 고정되는 열성형 프로세스에 종속되도록, 도 16에서 컨베이어(152) 아래에 도시되는 화살표들의 방향으로 컨베이어(152) 상에서 계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성형 프로세스는,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열하는 것, (예를 들어, 진공 성형을 통해) 그의 최종 형성 형상으로 표면을 형성하는 것, 및 이어서 최종 형성 형상으로 유지하도록 최종 형성된 중창(12)을 냉각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연화시키기 위해 먼저 가열된다. 도 16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가열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내측 표면(28)에 열 에너지(162)를 인가하는, 복사 가열 요소(161) 또는 대류 가열 노즐들(미도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가열의 주된 목적은, 단지 갑피(14)에 대해 열성형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내측 표면(28)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연화시키는 것이다. 중창 예비 성형물(12A)이 너무 많이 가열되면, 이때 중창 예비 성형물은, 어떤 구조적 무결성을 상실할 수 있고, 및/또는 그의 속성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온도 구배가, 내측 표면(28)과 외측 표면(예를 들어, 바닥 표면(26)) 사이에 존재해야 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이 그 위에 안착되는 작업 설비(150)는, 중창 예비 성형물(12A)이 내측 표면(28)에서 가열되고 있는 동안에, 바닥 표면(26)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냉각시키기 위한 히트 싱크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태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중창은, 열성형 도중의 가열로 인해 체적이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개구부들(30)은, 열성형 이전보다 열성형 이후에 더 넓어진다(예를 들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체적이, 그의 최종 형성 형상에서의 중창(12)의 체적보다 더 큼). 도 16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재료가 열성형 프로세스 도중에 가열됨에 따라 확장되는 개구부들(30)과 같은 체적 변화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개구부들(30)은, (예를 들어, 도 16의 좌측의) 가열 이전의 중창 예비 성형물(12A)과 비교하여, 도 16의 우측에서의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도면에서 더 넓다).
일단 중창 예비 성형물(12A)이 열성형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연화되면, 중창 예비 성형물은 이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골로 성형된 (예를 들어, 신발류 구두골(159) 상에 배치된) 갑피(14)의 외측 표면(15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갑피(14)의 외측 표면(158)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내측 표면(28)에 인접하게 놓이면, 가열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진공 성형에 의해서와 같이, 갑피(14)와 접촉하도록 압박될 수 있으며, 이어서, 중창(12)으로서 그의 최종 형성 형상을 유지하도록 냉각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연화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양의 외부 압력(PP), 음의 외부 압력(NP), 순응 고정물(compliant fixturing),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의 임의의 것 또는 모두의 사용을 통해서와 같이, 갑피(14)와 접촉하도록 끌어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 진공 성형에서, 갑피(14) 및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단면도로 도시되는 순응형 중합체 시트(160) 하에서, 그들의 사전 규정된 배열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제 위치에 놓이면, 진공이, 갑피(14)와 접촉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시트(160)가 중창 예비 성형물(12A)에 대해 힘을 가하도록, 음의 압력(NP)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접착제(154)는, 갑피(14)의 바닥 표면(158)과 접촉하도록 끌어당겨질 수 있으며, 그리고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부분들이, 갑피(14)의 바닥 표면(158)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갑피(14)의 측벽들(36A, 36B)(예를 들어, 도 5) 뿐만 아니라 뒤꿈치 영역(20)에서 갑피(14)의 후방부 주변 및 전족 영역(16)에서 갑피(14)의 전방부 주변과 접촉하도록 굽혀지고 그에 부착된다.
일단 열성형되면, 중창(12)의 내측 표면(28)은, 그에 따라, 더 이상 실질적으로 평면형이 아닌 대신에,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해질 수 있을 것이다. 열성형 프로세스 그리고 특히 진공 성형에 의해 야기되는 구부러짐은, 복수의 개구부(30)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위치들로 개방되도록 부분적으로 벌어지는 것을 야기한다. 달리 기술하면, 개구부들(30)의 종방향 축들(40) 중의 적어도 일부가, 그의 최종 형성 형상에서의 중창(12) 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진다.
도 18은, 중창(12C)이, 제1 패턴(P1)과 상이하며 그리고 자수기(102)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100)에 의해 중창(12C) 내에 절개되는, 개구부들(30)의 제2 패턴(P2)을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모든 양태에 관해 신발류 물품(10) 및 중창(12)과 유사한 중창(12C)을 갖는, 신발류 물품(10C)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자수기(102)의 작업자는, 제2 패턴(P2)에 따라 절개 도구(100)를 구동하는, 자수기(102)의 컨트롤러(108)에 저장되는 제2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제2 패턴(P2)에서, 중창(12C)의 중족 영역(18)은, 대부분 개구부(30)를 갖지 않는다. 달리 기술하면, 개구부들(30)은, 전족 영역(16)에서 그리고 뒤꿈치 영역(20)에서 절개되지만, 중족 영역(18)에서는 절개되지 않는다. 개구부들(30)의 제2 패턴(P2)은, 대략적으로, 뒤꿈치 영역(20) 및 전족 영역(16)이 중족 영역(18)보다 더 큰 동적 하중으로 인해 착용 도중에 더 큰 압축력에 종속됨에 따라, 발 압력 맵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9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중창들 중의 임의의 것을 제공하기 위한,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방법(200)은, 신발류 물품(10) 및 중창 예비 성형물(12A)에 대해 설명되며, 그리고 중창 예비 성형물(12A)과 같은 중창 예비 성형물을 획득하는 단계(202)와 더불어 시작한다. 방법(200)의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200)을 수행하는 업체는, 또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성형하고, 그러한 경우에, 단계(202)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획득하는 것은, 중창 예비 성형물을 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경우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획득하는 그리고 방법(200)을 수행하는 업체가 아닌, 별개의 업체가,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성형한다.
단계(204)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평평한 내측 표면(28)이, 예를 들어 도 11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내측 표면(28)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 설비(104) 상에, 아래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단계(206)에서, 자수기(102)가, 컨트롤러(108) 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110)에 따라 자수기(102)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10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통해,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26, 42A, 42B)으로부터 내측 표면(28)으로,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도록 작동된다. 프로그램(110)은, 생성될 개구부들(30)을 제어하기 위해 절개 도구(100)가 절개 도중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 내로 연장되는 거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절개할 때, 절개 도구(100)는 전체적으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반면, 중창 예비 성형물(12B)을 절개할 때, 절개 도구(100)는 각 개구부(30)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B)의 두께보다 작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따라서 개구부들(30)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 예비 성형물(12B)을 통해 연장된다.
개구부들(30)을 절개한 이후에, 중창 예비 성형물(12A)의 평평한 내측 표면(28)은, 단계(208)에서 상방으로 (예를 들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접착제(154)가, 단계(210)에서 평평한 내측 표면(28) 상에 배치된다.
단계(212)에서, 갑피(14)가, 수용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200)을 수행하는 동일한 업체가, 갑피(14)를 구성한다(예를 들어, 갑피(14)를 형성하거나, 재봉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조함). 다른 실시예에서, 갑피(14)는, 미리 구성된 상태에서 단계(212)에서 수용되며, 그리고 단계(214)에서 구두골(159) 상에 배치되도록 준비된다.
단계(214)에서, 갑피(14)는, 구두골로 성형된다(예를 들어, 신발류 구두골(159) 상에 배치됨). 단계(216)에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가열되며, 그리고 단계(218)에서 갑피(1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가열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은 이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진공 성형에 의해서와 같이, 가열된 중창 예비 성형물(12A)을 갑피(14)와 접촉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220)에서 그의 최종 형성 형상으로 열성형될 수 있고, 여기서, 중창 예비 성형물은, 단계(220)의 하위-단계(221)에서 갑피(14)에 부착된다. 열성형된 중창(12)은, 단계(222)에서, 환경 내에서 수동적으로 또는 공기를 송풍함에 의해 또는 냉각기를 통해 통과시킴에 의해 능동적으로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방법(200)은, 단계(224) 이후에, 신발류 물품(10)의 중창(12)의 제조에 관련하여 완료된다. 후속 처리가, 중창(12)에, 만약에 있다면, 하나 이상의 바닥창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들(202-222)은, 신발류 물품(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다시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방법(200)은, 도 18의 개구부들(30)의 패턴(P2)을 갖는 신발류 물품(10C)과 같은, 제2 신발류 물품의 제2 중창 내에 개구부들의 제2 패턴을 절개하기 위해, 단계(226)에서 자수기 내의 상이한 저장된 프로그램(110)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자수기(102)는, 먼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패턴(P2)과 같은, 제1 패턴(P1)과 상이한 개구부들의 제2 패턴(P2)을 절개하도록 단계(224)에서 프로그래밍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방법(200)의 나머지를 수행하는 업체가 아닌, 상이한 업체가, 자수기(102)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거나, 또는 방법(200)을 수행하는 동일한 업체가, 단계(224)에서 자수기(102)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방법(200)은, 단지 개구부들의 제2 패턴(P2)을 절개하기 위해 자수기(102)를 작동하는 동일한 업체가 기계(102)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인, 단계(224)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업자는 단순히, 작업자 입력 장치들(예를 들어, 버튼들(112)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14))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저장된 프로그램에 접속하며, 그리고 방법(200)은, 예를 들어, 제2 중창 예비 성형물(12C) 내에 개구부들의 제2 패턴(P2)을 절개하는 단계(22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226)는, 제2 중창 예비 성형물(12C)을 사용하는 하위-단계들로서, 단계들(202 내지 222)을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제2 패턴은, 자수기 내의 상이한 절개 도구(예를 들어, 상이한 종방향 형상 또는 단면 형상을 갖는 절개 도구)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제1 패턴과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뒤따르는 항목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구성들 및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항목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중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자수기의 니들 구동기 내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항목 3.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절개 도구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인 것인, 방법.
항목 4.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절개 도구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지는 단면에서 별 모양인 것인, 방법.
항목 5.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방법.
항목 6.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방법.
항목 7.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기 절개 단계가 일어날 때, 예비 성형물이며, 그리고 방법은, 상기 절개 단계 이후에, 상기 예비 성형물을 중창 최종 형성 형상으로 열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은, 평평한 내측 표면 및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예비 성형물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이, 상기 중창 최종 형성 형상으로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창 최종 형성 형상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는 것인, 방법.
항목 9.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의 상기 평평한 내측 표면 상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성형 단계 도중에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의 바닥에 그리고 신발류 갑피의 측벽들에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10. 항목 9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에 접착하는 단계 이전에 신발류 갑피를 구두골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11.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절개 단계는, 상기 예비 성형물의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으로부터 평평한 내측 표면으로 절개 도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12. 항목 8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이며, 그리고 상기 중창의 체적이, 상기 열성형 단계로 인해 감소하며, 따라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열성형 단계 이전보다 상기 열성형 단계 이후에 더 넓어지는 것인, 방법.
항목 13.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의 패턴은 제1 패턴이며 그리고 상기 중창은 제1 중창이며, 그리고 제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에 따라 절개 도구를 구동하도록 자수기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및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상기 제2 패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을 절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항목 14. 신발류 물품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한정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이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중창은 상방-연장 측벽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들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6.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진 단면에서 별 모양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7.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8.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9.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사이의 상기 중창의 두께가, 상기 중창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둘레 에지로 좁아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0. 항목 14에 있어서, 신발류 갑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은, 상기 신발류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신발류 갑피의 윤곽을 따르고; 그리고 상기 중창의 측벽들은, 상기 신발류 갑피의 측벽들 위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보조하고 명료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뒤따르는 정의들은,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적용된다. 부가적으로, 참조되는 모든 참조문헌들은, 그들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신발류 물품", "제조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는, 기계 및 제조 양자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조립된, 착용 준비된, 신발류 물품들(예를 들어, 신발, 샌들, 부츠, 등) 뿐만 아니라, 착용 준비된 신발류 물품으로의 최종 조립 이전의 (중창, 바닥창, 갑피 구성요소 등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별개의 구성요소들은, "신발류 물품(들)"과 같이 단수형 또는 복수형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고 선택적으로 언급된다.
"부정관사", "정관사",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품목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도록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복수의 그러한 품목이, 문맥이 명시적으로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문맥의 관점에서 표현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첨부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 내의 (예를 들어, 양들 또는 조건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의 모든 수치적 값들은, 수치적 값 이전에 "약"이 실제로 나타나든 그렇지 않든, 용어 "약"에 의해 모든 경우에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진술된 수치적 값이 (값의 정확성에 대한 어떤 근사치; 값에 대략적으로 또는 합리적으로 가까운; 거의와 더불어) 어떤 약간의 부정확성을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약"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확성이 이러한 통상적 의미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이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은,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사용하는 통상적 방법들로부터 생길 수 있는 최소한의 변동들을 지시한다. 부가적으로, 범위에 대한 개시는, 범위 이내의 모든 값들 및 추가로 분할된 범위들을 구체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진술된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요소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작동들의 순서는, 가능한 경우 변경될 수 있으며, 그리고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또는"은, 연관되는 열거된 품목의 어느 하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의 임의의 것"은, 언급된 품목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언급된 품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의 임의의 것"은, 언급된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부되는 청구항들 중의 언급된 청구항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해, 방향성 형용사들이, 도시된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들은, "위", "아래", "상방", "하방",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들이,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 가운데,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용어 "종방향"은, 구성요소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구역과 뒤꿈치 구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용어 "전방" 또는 "앞쪽"은,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전족 구역을 향한 대략적인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용어 "후방" 또는 "뒤쪽"은, 반대 방향, 즉 전족 구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을 향한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의 경우에, 구성 요소가, 종방향 축 뿐만 아니라 그러한 축을 따르는 전방 및 후방 종방향에 의해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종방향 또는 종방향 축은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횡방향"은, 구성요소의 폭을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방향 축은 또한, 가로 방향 또는 축, 또는 내외 방향(mediolateral direction) 또는 축으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수직"은, 횡방향 및 종방향 양자 모두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밑창이 지표면 상에 평평하게 놓이는 경우, 수직 방향은, 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향성 형용사들 각각이 밑창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상방" 또는 "상향"은, 갑피의, 발등부, 체결 구역, 및/또는 목부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부를 향해 지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하방" 또는 "하향"은, 구성요소의 하부를 향해 지향하는, 상향 방향과 반대로 지향하는 수직 방향을 지칭하며, 그리고 대략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물의 하부를 향해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이 착용될 때 착용자의 발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에서의 부분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내측"은,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의 구성요소 또는 신발류 물품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 (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구성요소의 "외측" 또는 "외부"는, 조립된 신발에서의 신발의 내부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되는 (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지칭한다. 일부의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측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내부 사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외측과 조립된 신발류 물품 외부의 공간 사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용어들, "내측으로" 및 "내향으로"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한 방향을 지칭하며, 그리고 용어들 "외측으로" 및 "외향으로"는,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 또는 구성요소의 외부를 향한 방향을 지칭한다. 부가적으로, 용어 "근위측"은,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에 더 근접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따라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삽입될 때, 발을 향해 더 가까운, 방향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용어 "원위측"은,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놓이는, 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따라 발이 신발류 물품 내에 삽입될 때, 발로부터 더 떨어진,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들 근위측 및 원위측은, 상대적인 공간적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 반대의 용어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설명은, 제한하는 대신에 예시인 것으로 의도되며, 그리고 실시예들의 범위 이내에 놓이는 더 많은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이,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 어떤 다른 특징 또는 요소와 조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어떤 다른 특징 또는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을 고려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교시의 많은 양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모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교시와 관련되는 분야에 친숙한 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 놓이는 본 교시를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들을 인식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숙련자가,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균등한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되는 내용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표현되는 것으로 인식할,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전체 범위의 도시 및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리고 오로지 명시적으로 묘사된 것 및/또는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중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의 패턴을 절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자수기의 니들 구동기 내에 배치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절개 도구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도구는, 상기 절개 도구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지는 단면에서 별 모양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기 절개 단계가 일어날 때, 예비 성형물이며, 그리고
    방법은,
    상기 절개 단계 이후에, 상기 예비 성형물을 중창 최종 형성 형상으로 열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은, 평평한 내측 표면 및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예비 성형물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이, 상기 중창 최종 형성 형상으로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창 최종 형성 형상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의 상기 평평한 내측 표면 상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성형 단계 도중에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의 바닥에 그리고 신발류 갑피의 측벽들에 접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을 신발류 갑피에 접착하는 단계 이전에 신발류 갑피를 구두골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단계는, 상기 예비 성형물의 윤곽형성된 외측 표면으로부터 평평한 내측 표면으로 절개 도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발포된 열가소성 수지이며, 그리고 상기 중창의 체적이, 상기 열성형 단계로 인해 감소하며, 따라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열성형 단계 이전보다 상기 열성형 단계 이후에 더 넓어지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의 패턴은 제1 패턴이며 그리고 상기 중창은 제1 중창이며, 그리고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패턴과 상이한 제2 패턴에 따라 절개 도구를 구동하도록 자수기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및
    자수기에 의해 구동되는 절개 도구로 상기 제2 패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중창을 통해 개구부들을 절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신발류 물품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부들의 패턴을 한정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이 윤곽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중창은 상방-연장 측벽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들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개구부들의 종방향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길이를 따라 원뿔 형상인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길이에 수직으로 취해진 단면에서 별 모양인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중창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외측 표면으로 완전히 중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사이의 상기 중창의 두께가, 상기 중창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중창의 둘레 에지로 좁아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발류 갑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의 내측 표면은, 상기 신발류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신발류 갑피의 윤곽을 따르고; 그리고 상기 중창의 측벽들은, 상기 신발류 갑피의 측벽들 위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11443A 2019-10-04 2020-08-12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KR20220059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10517P 2019-10-04 2019-10-04
US62/910,517 2019-10-04
PCT/US2020/045941 WO2021066943A1 (en) 2019-10-04 2020-08-12 Footwear mid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th embroidery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523A true KR20220059523A (ko) 2022-05-10

Family

ID=7234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443A KR20220059523A (ko) 2019-10-04 2020-08-12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17423B2 (ko)
EP (1) EP4037519A1 (ko)
KR (1) KR20220059523A (ko)
CN (2) CN117297232A (ko)
WO (1) WO20210669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71A (en) * 1896-07-14 moweb
US1184059A (en) * 1913-12-04 1916-05-23 Simplex Shoe Machinery Company Work-piercing device for sewing leather and the like.
US2145698A (en) * 1934-11-12 1939-01-31 Routtenberg Zacharia Sewing machine attachment
US2276088A (en) * 1940-05-24 1942-03-10 Puritan Mfg Company Chain-stitch sewing machine with curved needle and direct operating mechanism
US2900933A (en) * 1956-01-13 1959-08-25 United Shoe Machinery Corp Shoe machines
US3077886A (en) * 1961-01-16 1963-02-19 Pirhonen Eino Shoe sole construction
US3948194A (en) * 1973-07-23 1976-04-06 Heinz Gunold Sewing machine accessory apparatus
US4185402A (en) * 1977-11-02 1980-01-29 Scholl, Inc. Deodorizing insole
US4513518A (en) * 1982-09-30 1985-04-30 Rogers Foam Corporation Shoe inner sole
US5885622A (en) * 1996-05-08 1999-03-23 Daley; Pete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thermoformable material in footwear
US6990755B2 (en) *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7178267B2 (en) * 2003-12-12 2007-02-20 Polyworks, Inc. Method for forming footwear structures using thermoforming
GB0407584D0 (en) * 2004-04-05 2004-05-05 Collinson Marc G Sock-like footwear with padded so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475497B2 (en) * 2005-01-18 2009-01-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US7958832B2 (en) * 2008-08-29 2011-06-14 Nike, Inc. Awl for making an awl feature in material for apparel
WO2010037039A1 (en) 2008-09-26 2010-04-01 Nike International Ltd. Unitary multi-use alignment fixture for shoe production
JP2010193951A (ja) * 2009-02-23 2010-09-09 Brother Ind Ltd 加工アタッチメント及びミシン
JP2013158491A (ja) * 2012-02-06 2013-08-19 Brother Ind Ltd カットデータ作成装置、カット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及びミシン
US8851000B2 (en) 2012-04-09 2014-10-07 Nike, Inc. Custom embroidery frame
CH706492A1 (de) * 2012-05-09 2013-11-15 Bernina In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anzen eines Flächengebildes mit einer Nähmaschine.
US20140048003A1 (en) 2012-08-17 2014-02-20 Nike, Inc. Stitching Machine
US11612209B2 (en) * 2012-12-19 2023-03-28 New Balance Athletics, Inc. Footwear with traction elements
JP2014195491A (ja) * 2013-03-29 2014-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切断針回転装置及びミシン
US9402439B2 (en) * 2013-09-18 2016-08-02 Nike, Inc. Auxetic structures and footwear with soles having auxetic structures
JP2017018151A (ja) * 2013-11-25 2017-01-26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穿孔ヘッドを備えた刺繍ミシン
WO2016144408A1 (en) * 2015-03-10 2016-09-15 Nike Innovate C.V. Midsole component and outer sole members with auxetic structure
CN108377645B (zh) * 2016-11-29 2019-08-13 东海工业缝纫机株式会社 穿孔装置以及具有该穿孔装置的刺绣缝纫机
WO2018195387A1 (en) * 2017-04-21 2018-10-2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with proprioceptiv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 structure
US11033073B2 (en) * 2017-07-13 2021-06-15 Under Armour, Inc. Embroidered foaming cords for midsoles
WO2019046432A1 (en) * 2017-08-31 2019-03-07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OF A FOOTWEAR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S
US10743608B2 (en) * 2017-12-28 2020-08-18 Under Armour, Inc. Fiber reinforced plate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WO2019232490A1 (en) 2018-05-31 2019-12-05 Nike Innovate C.V. Intermediate sole structure with siping
CN112335996A (zh) * 2019-08-06 2021-02-09 株式会社爱世克私 鞋、鞋的制造方法、鞋用鞋面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49916A (zh) 2022-05-06
US20230210215A1 (en) 2023-07-06
CN117297232A (zh) 2023-12-29
WO2021066943A1 (en) 2021-04-08
CN114449916B (zh) 2023-11-28
EP4037519A1 (en) 2022-08-10
US20210100320A1 (en) 2021-04-08
US11617423B2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096A1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0915B2 (e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044964B2 (en)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bladder
US839302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otwear having sipes
US11219270B2 (en) Dual-layered midsole
CN113163893B (zh) 用于鞋类物品的斯创贝尔以及制造方法
US11877622B2 (en)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last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13226101B (zh) 鞋类物品及制造鞋类物品的方法
US11219271B2 (en) Footwear strobel with bladder and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3402359A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n outer sole component with a co-molded flex modifier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said sole structure
KR20220059523A (ko) 신발류 중창 및 자수기로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