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075A -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075A
KR20220059075A KR1020200144250A KR20200144250A KR20220059075A KR 20220059075 A KR20220059075 A KR 20220059075A KR 1020200144250 A KR1020200144250 A KR 1020200144250A KR 20200144250 A KR20200144250 A KR 20200144250A KR 20220059075 A KR20220059075 A KR 2022005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air supply
tub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785B1 (ko
Inventor
장기현
정은찬
지윤택
이성희
박주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20014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7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4Balanced-flue arrangements, i.e. devices which combine air inlet to combustion unit with smok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14Drai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or purifying combustion fumes; Treatment of fumes or ashes
    • F23J2900/13004Water draining devices associated with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관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있도록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급기관의 하부에 배출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드레인부 쪽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급기관의 물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Boiler with Water Discharge Function}
본 발명은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있도록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연료를 가스로 하고 열매체를 물로 하여 난방에 사용하고, 온수겸용 보일러의 경우 난방순환수를 삼방밸브를 통해 보일러 내부에서 순환시키고 간접 열교환 형태로 급수를 가열하여 온수도 사용 가능하게 한 연소기이다. 가스보일러는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공장 등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어,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응축수 생성여부에 따라 일반보일러 및 콘덴싱보일러로 구분할 수 있고, 온수공급방식에 따라 순간식보일러 및 저탕식보일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보일러의 기본 구조를 보면, 하우징 내부에 연소장치와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연소장치는 연료 즉, 가스에 의한 화염이 적정한 길이를 갖는 자유화염의 형태로 연소되는 공간이며, 이후에 연소장치에서 나오는 연소가스는 열교환기에서 열매체와 열교환을 한 후에 연통 및 급배기관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보일러에 연결되는 급배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급배기관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급기관(10)과, 급기관(10)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배기관(30)을 포함한다.
배기관(30)의 일단부는 보일러의 연통(40)과 연결되고 배기관(30)의 타단부는 급기관(10)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배기관(30)의 타단부 외주연에 다수의 배기홀(31)이 형성되어 연통(40)을 통하여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배기홀(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급기관(10)의 일단부는 보일러의 공기공급관(13)으로 연결되고 급기관(10)의 타단부는 배기관(30)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실외로 노출된다. 급기관(10)의 타단부 외주연에 다수의 급기홀(11)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급기홀(11)을 통하여 보일러의 버너와 연결되는 공기공급관(13)으로 공급된다.
한편, 급기관(10)의 타단부가 실외로 노출되다 보니,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이 급기홀(11)을 통하여 급기관(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급기관(10)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급기관(10)을 타고 보일러 내부의 버너 등으로 유입되어, 버너 부식, 열교환 효율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야기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542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급기부와 배기부를 구비하고 하측에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급기부에서 급기되는 공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연소되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열매체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갖는 보일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급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급기홀이 형성되는 급기관; 상기 급기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타단부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배기관; 및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일단부 하측에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를 지나 상기 드레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에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하단을 폐쇄시키는 뚜껑부와, 상기 외부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단부는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외부관의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뚜껑부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내부관과, 일단부는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일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부관의 일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관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연결관과, 일단부는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타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부관의 타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관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연결관과, 일단부는 상기 외부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내부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내부관으로 공급되는 응축수 및 상기 내부연결관에서 상기 내부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내부관과 상기 뚜껑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기 외부연결관으로 이동된 후 상기 노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연결관의 하단은 상기 외부연결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연결관에 연결되는 토출안내관과, 상기 토출안내관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의 상방에 독립된 화실이 구비되는 하우징; 일측은 상기 화실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관과 연결되는 배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장치에서 상기 화실 내부로 분사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연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연관을 가열시킨 후 상기 배기수용부로 이동되고, 상기 배기수용부의 하부는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기수용부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내부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기홀은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기홀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의 개방된 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출구의 중앙에 위치되되 상기 배기관의 일단부 방향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주연과 상기 출구의 내주연을 상호 연결시키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에 복수 개의 보조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는 상기 배기홀을 통하여 배기되고, 상기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다른 일부는 상기 중앙부를 따라 경사지도록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보조홀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급기관의 하부에 배출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드레인부 쪽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급기관의 물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부는 내부관 및 외부관을 포함하므로,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노출관까지 차오르게 되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하여 내부관 및 외부관에 차오른 물이 노출관을 따라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관의 하부는 평상시 물이 차 있게 되어, 노출관을 통하여 역류하는 가스 등이 배출관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연결관의 하단은 외부연결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므로, 평상시 내부연결관이 물에 의하여 막혀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급기관을 통하여 급기되는 공기는 내부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어, 급기관을 통하여 급기되는 공기가 연소장치로 용이하게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는 배기홀 뿐만 아니라 보조홀을 통하여 배기되므로,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가 배기홀 및 보조홀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중앙부를 따라 경사지도록 슬라이딩된 후 보조홀로 경사지게 배출되므로, 보조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배기관의 출구 주변에 머무르지 않아, 보조홀을 통하여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배기관으로 다시 역류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보일러에 연결되는 급배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급배기부재에 구비되는 폐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폐쇄부를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배출관이 드레인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드레인관에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1000)는 케이싱(100), 연소장치(200), 열교환기(300), 급배기부재(400) 및 배출관(500)을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대략 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00)의 상측에 급기부(110)와 배기부(120)가 각각 형성되고, 케이싱(100)의 하측에 드레인부(130)가 형성된다.
연소장치(200)는 케이싱(10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스 등의 연료와 급기부(110)를 통하여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적절하게 혼합되도록 한 후 이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생성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연소장치(200)가 화염을 생성하면 연소장치(200)에는 화염으로 인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생성된다.
열교환기(300)는 연소장치(200)가 생성한 연소가스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가 상호 열교환되도록 구성된다. 열교환기(300)는 하우징(310), 연관(320) 및 배기수용부(33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케이싱(100) 내부 중앙에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310a)가 형성되고, 공간부(310a)의 상방에 독립된 화실(3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소장치(200)는 화실(312)로 연소가스를 공급한다.
연관(32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관(320)의 일측은 화실(312)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간부(310a)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배기수용부(330)에 연결된다. 연관(320)은 화실(312)로 전달되는 연소가스가 이동되는 통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으로 공급되는 열매체가 연관(320)과 맞닿게 되면서 온수로 열교환된다.
배기수용부(330)는 하우징(3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연관(3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연소장치(200)에서 화실(312) 내부로 분사하는 연소가스는 연관(320) 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연관(320)을 가열시킨 후 배기수용부(330)로 이동된다. 그리고 연관(320)과의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는 배기수용부(330)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를 위하여 배기수용부(330)의 측방에는 배기연결관(424)이 장착되고, 배기연결관(424)은 배기수용부(330)의 측방과 배기부(120)를 상호 연결시킨다. 배기부(120)에는 후술하는 배기관(420)이 연결되어 배기수용부(330)에 수용된 연소가스가 배기연결관(424) 및 배기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연소가스가 배기수용부(330)에 수용된 후 배기연결관(424)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배기수용부(330)에 응측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응측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기수용부(330)의 하부에는 드레인부(130)가 구비된다. 드레인부(130)는 후술하기로 한다.
급배기부재(400)는 급기관(410), 배기관(420) 및 폐쇄부(430)를 포함한다. 급기관(4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급기부(1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급기홀(412)이 형성된다. 급기관(410)의 일단부에 급기연결관(414)이 연결되어 급기관(410)의 일단부는 급기부(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소장치(200)가 작동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급기홀(412)을 통하여 급기관(410)으로 급기된다. 배기관(420)은 급기관(410)의 내부를 따라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급기관(410)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배기부(12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급기관(410)의 타단부를 지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급기관(4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배기관(420)의 타단부에 배기홀(422)이 형성되어, 배기부(120)로 이동되는 연소가스가 배기관(420)을 따라 이동된 후 배기홀(422)로 배기된다. 폐쇄부(430)는 배기홀(422)을 통하여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배기관(420)으로 다시 역류하지 않도록 배기관(420)의 개방된 타단부를 폐쇄시킨다.
배출관(500)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급배기부재에 구비되는 폐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폐쇄부를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기홀(422)은 배기관(420)의 타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된다. 그리고 폐쇄부(430)는 배기관(42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배기홀(422)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배기관(420)의 타단부의 개방된 출구를 폐쇄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폐쇄부(430)는, 출구의 중앙에 위치되되 배기관(420)의 일단부 방향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는 중앙부(432)와, 중앙부(432)의 외주연과 출구의 내주연을 상호 연결시키는 테두리부(434)를 포함한다. 그리고 테두리부(434)에 복수 개의 보조홀(436)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기관(420)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는 배기홀(422)을 통하여 배기되고, 배기관(420)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다른 일부는 중앙부(432)를 따라 경사지도록 슬라이딩 된 후 보조홀(436)로 경사지게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기관(420)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는 배기홀(422) 뿐만 아니라 보조홀(436)을 통하여 배기되므로, 배기관(420)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가 배기홀(422) 및 보조홀(436)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홀(436)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중앙부(432)를 따라 경사지도록 슬라이딩된 후 보조홀(436)로 경사지게 배출되므로, 보조홀(436)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배기관(420)의 출구 주변에 머무르지 않아, 보조홀(436)을 통하여 배기되는 연소가스가 배기관(420)으로 다시 역류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배출관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배출관이 드레인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드레인관에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배출관(500)은 플랙시블한 관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 일단부는 급기관(410)의 일단부 하측에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부는 케이싱(100) 내부를 지나 드레인부(130)로 연장된다. 그리고 급기관(410)에 위치되는 물은 배출관(500)을 통하여 드레인부(130)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급기관(410)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하여 급기관(410)에 생성되는 물 등은 급기관(410)에 연결된 배출관(500)을 타고 드레인부(130) 방향으로 이동된 후 드레인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급기관(410)의 하부에 배출관(500)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급기관(410)으로 유입되는 물을 드레인부(130) 쪽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급기관(410)의 물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드레인부(130)는 열교환기(3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열교환기(30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드레인시키고, 배출관(500)으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드레인부(130)는 외부관(132), 뚜껑부(136), 내부관(134), 내부연결관(134a), 외부연결관(132a) 및 노출관(138)을 포함한다.
외부관(132)은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배기수용부(330)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케이싱(100)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뚜껑부(136)는 외부관(132)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시킨다. 내부관(134)은 외부관(132)의 내부를 따라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외부관(13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외부관(132)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내부관(134)의 상단부는 배기수용부(330)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내부관(134)의 하단부는 뚜껑부(136)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세부적으로는 배기수용부(330)의 하단에 드레인연결부(332)가 돌출 형성되고, 드레인연결부(332)에 연결안내부(131)가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관(132)의 상단 외주연이 연결안내부(131)에 결합되고, 내부관(134)의 상단이 외부관(132)의 상단 내주연과 결합된다.
내부연결관(134a)은 일단부는 내부관(134)의 길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일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외부관(132)의 일측방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내부연결관(134a)의 타단부는 외부관(13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외부연결관(132a)은 일단부는 내부관(134)의 길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타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외부관(132)의 타측방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외부연결관(132a)의 타단부는 외부관(13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내부관(134)의 일측방과 연결되는 내부연결관(134a)의 하단은 내부관(134)의 타측방과 연결되는 외부연결관(132a)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즉, 내부연결관(134a)과 외부연결관(132a)은 내부관(134)에 연결되는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위치된다. 노출관(138)은 일단부는 외부연결관(132a)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싱(10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관(134)의 상단부는 열교환기(300)의 하단과 연결되고, 배출관(500)의 타단부는 내부연결관(134a)과 연결된다.
그리고 열교환기(300)의 하부에 생성되는 응축수는 내부관(134)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배출관(500)을 따라 드레인부(130) 방향으로 안내되는 물은 내부연결관(134a)을 지나 내부관(134)으로 이동된다. 이때, 내부관(134)으로 이동된 물은 내부관(134)과 뚜껑부(136)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연결관(132a)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내부관(134)으로 이동되는 응축수 또는 빗물 등의 물에 의하여 내부관(134) 및 외부관(132)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며, 내부관(134) 및 외부관(132)의 수위가 노출관(138)까지 차오르게 되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하여 내부관(134) 및 외부관(132)에 차오른 물이 노출관(138)을 따라 하방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관(134)의 하부는 예를 들면 좌변기의 사이펀관과 같이 평상시 물이 차 있게 되어, 노출관(138)을 통하여 역류하는 가스 등이 배출관(500)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연결관(134a)의 하단은 외부연결관(132a)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므로, 평상시 내부연결관(134a)이 물에 의하여 막혀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급기관(410)을 통하여 급기되는 공기는 내부관(13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어, 급기관(410)을 통하여 급기되는 공기가 연소장치(200)로 용이하게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100: 케이싱 110: 급기부
120: 배기부 130: 드레인부
131: 연결안내부 132: 외부관
132a: 외부연결관 134: 내부관
134a: 내부연결관 136: 뚜껑부
138: 노출관 200: 연소장치
300: 열교환기 310: 하우징
310a: 공간부 312: 화실
320: 연관 330: 배기수용부
332: 드레인연결부 400: 급배기부재
410: 급기관 412: 급기홀
414: 급기연결관 420: 배기관
422: 배기홀 424: 배기연결관
430: 폐쇄부 432: 중앙부
434: 테두리부 436: 보조홀
500: 배출관

Claims (5)

  1. 상측에 급기부와 배기부를 구비하고 하측에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급기부에서 급기되는 공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연소되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열매체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갖는 보일러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급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급기홀이 형성되는 급기관;
    상기 급기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타단부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배기관; 및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급기관의 일단부 하측에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를 지나 상기 드레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에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관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드레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하단을 폐쇄시키는 뚜껑부와, 상기 외부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단부는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외부관의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뚜껑부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내부관과, 일단부는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일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부관의 일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관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연결관과, 일단부는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타측방에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부관의 타측방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관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연결관과, 일단부는 상기 외부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관의 상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내부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내부관으로 공급되는 응축수 및 상기 내부연결관에서 상기 내부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내부관과 상기 뚜껑부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기 외부연결관으로 이동된 후 상기 노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관의 하단은 상기 외부연결관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의 상방에 독립된 화실이 구비되는 하우징;
    일측은 상기 화실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연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관과 연결되는 배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장치에서 상기 화실 내부로 분사하는 연소가스는 상기 연관 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연관을 가열시킨 후 상기 배기수용부로 이동되고,
    상기 배기수용부의 하부는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기수용부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내부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은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기홀보다 더 멀리 위치되는 상기 배기관의 타단부의 개방된 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출구의 중앙에 위치되되 상기 배기관의 일단부 방향으로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주연과 상기 출구의 내주연을 상호 연결시키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에 복수 개의 보조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는 상기 배기홀을 통하여 배기되고,
    상기 배기관을 따라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다른 일부는 상기 중앙부를 따라 경사지도록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보조홀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20200144250A 2020-11-02 2020-11-02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250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50A KR102501785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50A KR102501785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75A true KR20220059075A (ko) 2022-05-10
KR102501785B1 KR102501785B1 (ko) 2023-02-21

Family

ID=8159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50A KR102501785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7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997B1 (ko) * 1998-10-22 2000-12-15 김철병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동결 방지장치
KR20130029582A (ko) * 2011-09-15 2013-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
KR20130125427A (ko)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신성금속 보일러용 급배기관의 연통 접속구조
KR101667396B1 (ko) * 2015-10-26 2016-10-18 김경진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통
KR101781020B1 (ko) * 2016-05-10 2017-10-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회수용 사이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997B1 (ko) * 1998-10-22 2000-12-15 김철병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동결 방지장치
KR20130029582A (ko) * 2011-09-15 2013-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 차단형 보일러의 이중 배기연도
KR20130125427A (ko)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신성금속 보일러용 급배기관의 연통 접속구조
KR101667396B1 (ko) * 2015-10-26 2016-10-18 김경진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연통
KR101781020B1 (ko) * 2016-05-10 2017-10-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응축수 회수용 사이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785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CN101313181B (zh) 用于房屋采暖和热水的锅炉的套管式换热器
RU2007145651A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с двойным теплообменом, состоящий из различных частей
KR101757982B1 (ko) 온도 저감식 스케일 방지 구조를 갖는 저탕식 열교환기
KR101287693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KR20220059075A (ko)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0857001B1 (ko) 콘덴싱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KR101024076B1 (ko) 다단 연소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 가스 버너 장치
KR200330676Y1 (ko) 폐열 회수식 입형 보일러
KR102021123B1 (ko) 하이브리드 응축형 노통 연관식 보일러
KR200176948Y1 (ko) 가스보일러용 응축수받이의 배기가스 차단장치
KR100511658B1 (ko) 수직형 화목보일러
KR101115775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중화기 일체형 시스턴
KR200226811Y1 (ko) 가정용 보일러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KR200199632Y1 (ko) 주택난방용벽난로
KR20020013274A (ko) 사이클론 배기 장치를 갖는 콘덴싱 가스 난방기
KR100526423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온수보일러
JP6114142B2 (ja) 潜熱熱交換器
JP2000018729A (ja)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KR100512297B1 (ko) 수관식 증기 및 급탕 보일러
KR200188264Y1 (ko) 대류 조절형 심야전기 온수기
KR200219259Y1 (ko)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KR200263135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WO2002042693A1 (en)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