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259Y1 -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259Y1
KR200219259Y1 KR2019980024170U KR19980024170U KR200219259Y1 KR 200219259 Y1 KR200219259 Y1 KR 200219259Y1 KR 2019980024170 U KR2019980024170 U KR 2019980024170U KR 19980024170 U KR19980024170 U KR 19980024170U KR 200219259 Y1 KR200219259 Y1 KR 200219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ommunication
air
gas boiler
boil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586U (ko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4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25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259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된 가스의 배출 및 연소 공기를 유입하는 연통과,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되게 하여 시공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연통(210)의 급기관(230) 저면에 원통형상의 끼움부(240)를 형성하되, 중단부 둘레면에 내측을 향해 원형을 이루면서 접히는 내측 절곡부(242)와, 외측을 향해 접히는 외측 절곡부(243)를 연속 되게 형성하는 한편, 외측 절곡부(243)의 단부에 급기구(6)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협지부(244)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급기구(6)의 끼움 깊이가 결정되어 급기구(6)를 항시 정위치에 결합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통(210) 또는 급기구(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본 고안은 가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된 가스의 배출 및 연소 공기를 유입하는 연통과,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되게 하여 시공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보일러는 액화 석유 가스(LPG), 액화 천연가스(LNG) 또는 도시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토록 하는 것으로, 점화 및 연소와, 난방 및 온수의 행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점화 및 연소는 도 1 도시와 같이 급기팬(1)을 구동하면, 가스 밸브(2)를 통해 버너(3)에 가스가 분사되고, 점화 트랜스(4)의 점화 플러그에 의해 버너(3)에 점화가 이루어지는데, 연소되는 열은 열 교환기(7)를 거치면서 흡수되고, 배기 가스는 배기구(5)와 연통을 통해 대기로 방출되며, 이때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연통과 급기구(6)를 통해 유입된다.
그리고 난방은 순환 펌프(8)에 의해 난방수가 각 방에 공급되는 것으로, 그 순환 경로는 열 교환기(8) - 팽창 탱크(9) - 순환 펌프(8) - 난방수주배관 - 분배기 - 난방분지관 - 분배기 - 난방환수배관 - 열 교환기(7)로 순환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직수가 온수 열 교환기(10)에서 공급되는 난방수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오버 플로우 호스를, 20은 가스 보일러 본체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종래 가스 보일러는 도 2a 도시와 같이 본체(20) 상부의 배기구(5)와 급기구(6)가 연통(21)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연통(21)은 끝단부가 설치벽(25)의 설치 구멍(26)을 통해 실외에 위치하게 되며, 홀더(27)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게 설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급기구(6)는 도 2b 도시와 같이 연통(21)의 하부 정점면에 형성되는 버링부(22a)에 상단부가 삽입되어 스포트 용접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경우, 급기구(6)의 삽입 깊이를 시공자가 감각으로 결정하여야 함으로써, 너무 깊게 삽입되거나 또는 너무 낮게 삽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너무 깊게 삽입되면, 급기관(23)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여 급기관(23)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작게 흐름으로써, 연소성이 저하되는 한편, 너무 낮게 삽입되면, 스포트 용접시 급기구(6)의 상단부에 걸쳐서 용접 부위가 형성됨으로써, 결속력이 저하되는 한편, 초기 점화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용접 부위가 떨어져 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설명 부호 22는 연소된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되게 하는 배기관을, 24는 엘보우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소된 가스의 배출 및 연소 공기를 유입하는 연통과,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되게 하여 시공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에는 배기관이, 내부에는 급기관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은 가스 보일러 본체의 배기구에 엘보우가 개재되어 결합되며, 상기 급기관은 상기 본체의 급기구에 스포트 용접되어 결합되는 연통에 있어서, 상기 연통의 급기관 저면에 원통형상의 끼움부를 형성하되, 중단부 둘레면에 내측을 향해 원형을 이루면서 접히는 내측 절곡부와, 외측을 향해 접히는 외측 절곡부를 연속 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측 절곡부의 단부에 상기 급기구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협지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 보일러의 내구 구조도,
도 2a는 종래 가스 보일러의 설치 상태도,
도 2b는 종래 연통과 급기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통에 급기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A″부 상세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급기팬 2 ... 가스 밸브
3 ... 버너 4 ... 점화 트랜스
5 ... 배기구 6 ... 급기구
7 ... 열 교환기 8 ... 순환 펌프
9 ... 팽창 탱크 10 ... 온수 열 교환기
20 ... 본체 21,210 ... 연통
22,220 ... 배기관 22a,241 ... 버링부
23,230 ... 급기관 240 ... 끼움부
242 ... 내측 절곡부 243 ... 외측 절곡부
244 ... 협지부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a 및 도 3b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급기구(6)와 연통(210)의 고정 장치는 상기 급기구(6)가 삽입되는 상기 연통(210)의 저면에 끼움부(240)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부(240)는 원통체로 상기 수평을 이루게 되는 연통(210)의 급기관(230)하부 정점면에 수직으로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버링부(241)와, 이 버링부(241)와, 이 버링부(241)의 단부에 연속하여 내측을 향해 원형을 이루면서 접히게 되는 내측 굴곡부(242)와, 이 내측 굴곡부(242)의 단부에 연속하여 다시 원통형을 이루게 되는 협지부(244)로 형성된다.
상기 버링부(241)와, 내측 굴곡부(242)와, 외측 굴곡부(243) 및 협지부(244)는 서로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급기구(6)가 상기 협지부(244)의 내부면에 삽입되며, 상단부가 상기 내측 굴곡부(242)의 저면에 걸림 되어 삽입이 멈추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급기구(6)의 상단부를 연통(210)의 끼움부(240)에 삽입하면, 상기 끼움부(240)의 협지부(244) 내주면에 상기 급기구(6)가 긴밀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내측 굴곡부(242)의 저면에 의해 삽입이 멈추게 되고, 이어서 상기 협지부(244)에 클램프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상기 외측 절곡부(243)의 저면에 걸림 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통(210)의 급기관(230)에 결합되는 급기구(6)의 삽입 깊이는 내측 굴곡부(242)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시공자가 편리하게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급기관(230)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게 되어 연소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굴곡부(243)에 의해 클램프의 체결력이 향상되어 연통(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0은 급기관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통의 급기관에 내측 절곡부와 외측 절곡부가 연속되는 끼움부를 형성함으로써, 급기구의 끼움 깊이가 결정되어 급기구를 항시 정위치에 결합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통 또는 급기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외부에는 배기관(220)이, 내부에는 급기관(230)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220)은 가스 보일러 본체(20)의 배기구(5)에 엘보우(24)가 개재되어 결합되며, 상기 급기관(230)은 상기 본체(20)의 급기구(6)에 스포트 용접되어 결합되는 연통(210)에 있어서,
    상기 연통(210)의 급기관(230) 저면에 원통형상의 끼움부(240)를 형성하되, 중단부 둘레면에 내측을 향해 원형을 이루면서 접히는 내측 절곡부(242)와, 외측을 향해 접히는 외측 절곡부(243)를 연속 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외측 절곡부(243)의 단부에 상기 급기구(6)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협지부(244)를 형성하여서 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6)의 상단부는 상기 내측 절곡부(242)의 저면에 걸림 되어 삽입이 멈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절곡부(242)와, 외측 절곡부(243)는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KR2019980024170U 1998-12-04 1998-12-04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KR200219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170U KR200219259Y1 (ko) 1998-12-04 1998-12-04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170U KR200219259Y1 (ko) 1998-12-04 1998-12-04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86U KR20000011586U (ko) 2000-07-05
KR200219259Y1 true KR200219259Y1 (ko) 2001-04-02

Family

ID=6950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170U KR200219259Y1 (ko) 1998-12-04 1998-12-04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2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0064B2 (ja) * 2001-05-08 2006-11-01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室の短絡空気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86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82B1 (ko) 온도 저감식 스케일 방지 구조를 갖는 저탕식 열교환기
KR200219259Y1 (ko) 가스 보일러 본체의 급기구와 연통의 고정 장치
KR100689145B1 (ko) 보일러의 열교환장치
KR200195776Y1 (ko) 보일러의 폐열회수 난방장치
KR200166209Y1 (ko) 보일러의 잔열 재사용장치
KR910008501Y1 (ko) 공탄 보일러
JP2023166247A (ja) 給湯器
KR200202902Y1 (ko) 보일러의 연통부 연결구조
JP2023166246A (ja) 給湯器
KR920008472Y1 (ko) 연소기용 급배기관
KR900001956Y1 (ko) 석유 및 가스연소기용 온수 보일러
KR20000001715U (ko) 가스 보일러용 연통의 설치 구조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KR20000010226U (ko) 가스 보일러의 과열방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설치용 니플
KR200249388Y1 (ko) 수중 보일러
KR0135691Y1 (ko) 직열을 받는 저소음 보일러
KR200225862Y1 (ko) 콘덴싱보일러의배기후드
KR19980062743U (ko)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이음 구조
KR20220059075A (ko) 빗물 배출 기능을 갖는 보일러
GB2220052A (en) Water heater for caravans
KR100570287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263555Y1 (ko) 이중관 보일러
KR20000013884U (ko) 가스 보일러의 보충수 밸브 장치
KR900008386Y1 (ko) 부탄가스용 순간 온수기
SU1643887A1 (ru) Газов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