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066A -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066A
KR20220059066A KR1020200144228A KR20200144228A KR20220059066A KR 20220059066 A KR20220059066 A KR 20220059066A KR 1020200144228 A KR1020200144228 A KR 1020200144228A KR 20200144228 A KR20200144228 A KR 20200144228A KR 20220059066 A KR20220059066 A KR 2022005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late
alignment
ankl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4656B1 (en
Inventor
김재춘
윤혁중
Original Assignee
건강나눔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강나눔 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건강나눔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14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656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6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1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cylinder-like, i.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ankle pump device capable of providing excellent exercise effects by performing a pump exercise while making bent veins in the ankles spread with the tips of the toes strengthened in a state where both feet are gathered together without spreading outward. The automatic ankle pump device includes a base plate (100), a leg support (200), and an ankle pump member (300).

Description

자동 발목 펌프장치{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본 발명은 발목 펌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발이 삽입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을 모아주는 정렬부재 및 발끝을 세워주는 기립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리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다리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일으키는 발목 펌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kle pump device, comprising: a base plate seated on the ground; It consists of a mounting member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fee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 aligning member for collecting the feet inserted inside the mounting member, and a standing member for erecting the toes, and is dispos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lift the legs. And a leg support to maintain the state; It relates to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omprising: an ankle pump member disposed in front of the leg support on the base plate and causing a pumping action by pushing up blood in the blood in the calf side.

일반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이라 함은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에서 양다리를 번갈아 들었다가 떨어뜨리면서 아킬레스건으로부터 종아리부에 가까운 부위(이 하, 편의상 "발목"이라 칭한다)를 타격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발과 종아리 쪽의 흐름이 나빠진 피를 심장쪽으로 강제 이송시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In general, the ankle pump exercise refers to the process of striking the area close to the calf from the Achilles tend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kle" for convenience) from the Achilles tendon while alternately lifting and dropping both legs in a lying or sitting position. It refers to an exercise that can improve blood circulation in the body by forcibly transporting blood that has deteriorated in the calf to the heart.

도 1a)는 종래의 수동식 발목 펌프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2는 발목 펌프운동시 자세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Figure 1a)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the conventional manual ankle pump exercise,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posture during the ankle pump exercise.

종래에는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할 경우 소정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발목펌프기를 구비하여 운동자가 누운 자세 또는 앉은 자세에서 발목의 하부에 상기 원형 또는 반원형의 발목펌프기를 횡방향으로 놓은 상태에서 오른발과 왼발을 번갈아 들어올리면서 떨어뜨리는 과정을 실행함으로서, 상기 원형 또는 반원형의 발목펌프기에 오른발목과 왼발목이 번갈아 충돌되게 함에 따라서 발목 펌프운동을 수행하였다. In the prior art, when performing an ankle pump exercise, a circular or semi-circular ankle pum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is provided, and the circular or semi-circular ankle pump is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ankle in a supine or sitting position in the state of placing the ankle pum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kle pumping was performed by alternately raising and dropping the right and left feet, thereby causing the right and left ankles to collide alternately with the circular or semicircular ankle pump machin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목 펌프운동 방법은 다리를 들어올리기 힘든 노약자의 경우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며, 사용자가 다리근육을 사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린 후 이를 떨어뜨림으로서 많은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맥판이 망가져있는 정맥류를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거나 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운동시 타격에 의한 소음으로 인해 층간소음을 야기할 수 있어서 운동시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ankle pump exercise method is not helpful at all for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lifting the legs,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feels a lot of fatigue by lifting the legs using the leg muscles and then dropping them,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helpful or the effect was reduced for people suffering from varicose veins with a broken venous plate. In addition, the noise caused by the blows during exercise can cause inter-floor noise, so it has no choice but to be psychologically atrophied during exercise.

도 1b) 및 1c)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3811호의 "발목 펌프 건강기"로서, 베이스판의 후방에 수직대를 통해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어 발목이 올려지는 수평 원형봉과,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며 발꿈치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베이스판에 장착된 양 가이드축을 통해 상기 수평 원형봉의 전방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장착된 발 승강부와, 상기 베이스판과 발 승강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 승강부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로 구성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다리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을 들어올린 다음 떨어뜨려 자동 펌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1b) and 1c) are "ankle pump health devices"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023811 disclo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orizontal circular bar that extends and a foot elevating part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plate and mount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front of the horizontal round bar through both guide shafts mounted on the base plate so as to lift the heel, and the base plate and the foot elevating part It is installed in between and consists of a lifting operation unit that repeatedly raises and lowers the foot lifting unit, so that anyone, regardless of age or sex, can lift and drop the foot without using the leg muscles so that an automatic pumping movement can be made.

한편, 바람직한 발목 펌프운동자세는 다리를 들어 올릴때는 발끝을 바짝 당겨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들핏줄)이 펴지도록 하고, 다리를 떨어뜨릴 때는 힘을 빼고 떨어뜨림으로서 가자미근이 오므라들었다가 펴지면서 혈액순환의 촉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도 3b)와 같이 가자미근이 정맥을 감싸고 있는데, 힘을 빼고 있을 때는 정맥을 부풀어 오르게 하여 발 쪽에서 올라오는 피가 올라올 수 있도록 열어주고, 힘을 줄 때는 가자미근이 정맥을 눌러주면서 가자미근 아래의 정맥판은 닫히고 위의 판이 열리면서 심장으로 피가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sirable ankle pump exercise posture is to pull the toe tight when lifting the leg so that the bent veins of the ankle are stretched, and when dropping the leg, release the force and drop it, so that the soleus muscle contracts and stretches for blood circulation. can lead to the promotion of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oleus muscle surrounds the vein as shown in Fig. 3b), and when the force is released, the vein swells to open so that the blood coming from the foot can come up. This is because the venous valves close and the upper valves open, allowing blood to return to the heart.

그런데, 도 1b) 및 1c)의 발목 펌프 건강기를 포함하여 종래에 개시된 발목펌프장치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다리를 자동으로 들어 올렸다가 떨어뜨려주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이 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펌프운동시 지속적으로 두 발을 모은 다음 발끝을 세워주어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ly disclosed ankle pump devices, including the ankle pump health device of FIGS. 1b) and 1c), simply provi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lifting and dropping the user's leg, in order to straighten the bent vein of the ankle, There was an inconvenient and cumbersome problem in that you had to keep your feet together and then stand up on your toes during the pump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발목 펌프장치에 있어서,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발이 모인 다음 발끝이 세워지도록 하여 바른 자세에서 펌프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ankle pumping device, the feet are automatically gathered in a state in which the legs are raised, and then the toes are erected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performing the pump exercise in an upright post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that ca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발목 펌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발이 삽입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을 모아주는 정렬부재 및 발끝을 세워주는 기립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리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다리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일으키는 발목 펌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kle pumping device, comprising: a base plate seated on the ground; It consists of a mounting member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fee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 aligning member for collecting the feet inserted inside the mounting member, and a standing member for erecting the toes, and is dispos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lift the legs. And a leg support to maintain the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nkle pump member disposed in front of the leg support on the base plate and causing a pumping action by pushing up blood in the calf side veins (vei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는,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후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발바닥과 밀착되면서 발끝을 자연스럽게 세워주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수직판의 후면 중앙에 마련되며 정렬용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의 후방에서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기어박스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정렬용 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직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되 후면이 수직판을 관통하여 수직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정렬용 구동모터 구동시 정렬용 이송스크류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한 쌍의 이송판 및 상기 이송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전방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내주면이 발의 외측부분에 밀착된 상태에서 정렬용 구동모터 구동시 이송판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진 발을 내측으로 모아주는 정렬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립부재는, 상기 수직판의 후방에서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배치되되 수직판의 후면에 고정되는 볼너트에 일측이 나사결합되는 기립용 이송스크류가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방향회전 구동시 전후로 이동되는 기립용 구동모터와, 상기 기립용 구동모터의 양측에서 기립용 구동모터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되 전진시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발앞꿈치를 밀어주면서 발끝이 세워지도록 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mber includes a bottom plate on which the heel is seated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naturally standing up to the toes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the alignment member includes, A gearbox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to whic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transmitted, and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gearbox and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based on the gearbox A transfer screw for alignment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threads in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and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te, the rear surface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plate and disposed behind the vertical plate, the transfer for alignment A pair of transfer plates that are screwed with a screw and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transfer screw for alignment when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driven,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are vertic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vertical plat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he outside of the foot It includes an alignment plate that gathers the feet spread outwardly inward while mov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the transfer plate when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driven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 wherein the standing member is the gear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A moving screw for standing,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x and is screwed on one side to a ball nut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en driving forward and reverse, and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tool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a driving motor for standing on both sides of the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vertical plate when moving forward so that the toes stand up while pushing the hee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목펌프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이송블럭과, 회전축이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며 정,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블럭이 전후진되도록 하는 펌프용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블럭의 상부에서 종아리 아래쪽에 밀착되며 이송블럭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하는 펌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kle pump member includes a pump transfer screw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ase plate, a transfer block screwed with the pump transfer screw, and a rotating shaft for the pump transfer screw A driving motor for a pump connected to and moving the transfer block forward and backwar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driving, and the calf vein (vei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calf from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block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transfer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ump roller that pumps up the inner blo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자 형상의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자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펌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롤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a cradle having a "┗┛" shap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cradle. It is rotatably coupled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ump roller support to which the pump roller is rotatably coupled therein in the shape of a "┗┛"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rad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에는 상기 거치대와 힌지결합되는 회동축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축은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 저면의 전방 측에 편심된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펌프롤러 지지대 사이에는 상단이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 후방을 지지하여 완충작용에 의해 종아리의 높낮이에 따라 오르내리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의 피를 심장 쪽으로 밀어올리도록 할 수 있고, 굴곡진 종아리 부위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펌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roll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rotation shaft hinged with the holder,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to protrude at an eccentric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roller support, the base plate and Between the pump roller supports, the upper part supports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pump roller support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alf by buffering action, so that the blood in the calf vein (vein) can be pushed up toward the he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pump movement is made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pressure in the calf area.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이 정렬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모인 상태에서 기립부재에 의해 발끝을 세워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이 펴진 상태로 펌프 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우수한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excellent exercise effect as the feet inserted into the holding member are gathered together without being spread outward by the aligning member, and the toes are erected by the standing member and the pumping movement is made in a state where the bent veins of the ankle are stretched. can provide

특히, 본 발명은 정렬용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이송판을 따라 정렬판이 이동하면서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이 자동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으며, 기립용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되는 가압구를 통해 발앞꿈치가 밀리면서 발끝이 자동으로 세워지므로 사용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바른 자세로 펌프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feet inserted into the holding member automatically gather while the alignment plate moves along the transfer plate automatically moved by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and the pressing tool that is automatically protruded by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Because the toe is automatically erected as the heel is pushed through through the pump, regardless of the user's skill level,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can easily perform the pump exercise in the right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펌프용 구동모터를 통해 펌프롤러가 발목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 직선운동되면서 자동으로 정맥(들핏줄)을 밀어줌으로써 누운 자세에서 쉽고 편리하게 펌프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펌프롤러 지지대 및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완충작용에 의해 발목을 보호할 수 있고, 굴곡진 발목 부위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펌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sy and convenient pumping movement in a supine position by automatically pushing veins (pigments) whil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ump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through the pump drive motor, and the pump roller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ankle by the buffering action of the shock absorber,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pump exercise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pressure in the curved ankle region.

도 1a) 내지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목 펌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발목 펌프운동시 자세비교.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혈액순환의 원리 및 하지(下肢) 구조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발목 펌프장치의 예시도.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펌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1a) to 1c)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the ankle pump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mparison of posture during ankle pump exercis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of the principle of blood circulation and lower extremities structur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views of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ankle pump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For example, for convenience, when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as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발목 펌프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발목 펌프운동이라 함은 발목 바로 위쪽의 아래 종아리를 자극하여 발과 종아리 쪽의 흐름이 나빠진 피를 강제 이송시켜 신체의 혈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운동으로서, 특히 심장으로 들어가는 정맥의 피의 흐름을 돕기 위한 운동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kle pump exercise" refers to an exercise that stimulates the lower calf just above the ankle to forcibly transport blood that has deteriorated in the foot and calf side to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in the body. movement to help flow.

도 3a) 및 3b)는 발목 펌프운동의 이해를 위한 혈액순환의 원리 및 하지(下肢) 구조도로서, 종아리의 정맥을 감싸는 가자미근이 힘을 빼고 있을 때는 정맥을 부풀어 오르게 하여 발 쪽에서 올라오는 피가 올라올 수 있도록 열어주고, 힘을 줄 때는 정맥을 눌러주면서 가자미근 아래의 정맥판은 닫히고 위의 판이 열리면서 심장으로 피가 되돌아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도움도 가자미근을 움직여줄 때만 일어나는 것이어서, 다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거나 서 있는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직종의 사람들은 가자미근의 도움을 받지 못해 피가 다리에 고이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정맥판을 늘어나게 하여 피가 발 쪽으로 새어나가는 정맥류가 생기게 된다. 3a) and 3b) are the principle of blood circul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for understanding the ankle pumping movement. When the soleus muscle surrounding the veins of the calf is relieved, the veins swell and the blood from the feet rises. The veins below the soleus muscle close and the plate above opens, allowing blood to return to the heart while pressing the veins when applying force. However, this help only occurs when the soleus muscle is moved, so people in occupations who maintain a sitting or standing posture without moving their legs for a long time do not receive the help of the soleus muscle and blood pools in their legs. Varicose veins are created by stretching the veins and allowing blood to leak to the feet.

또한, 도 2과 같이 발목 펌프운동시 발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펌프장치가 정맥이 아닌 종아리뼈(비골)쪽을 자극하게 되므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발끝이 눕게 되는 경우에도 정맥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없으므로 운동 효과가 저하될 수 밖에 없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f the foot spreads outward during the ankle pump exercise, the pump device stimulates the calf bone (fibula) side, not the vein, so it is not helpful at all, and it can effectively stimulate the vein even when the toe is lying down. Therefore, the exercise effect is inevitably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목 펌프운동을 위한 발목 펌프장치에 있어서,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발을 모아준 다음 발끝을 세워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이 펴진 상태에서 후술할 발목 펌프부재를 통해 펌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를 개시한다. In the ankle pumping device for the above-described ankle pumping exercise, the pump movement is performed through an ankle pump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veins of the ankle are stretched by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feet while the legs are raised and then raising the toes. Disclosed is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exercise effect by making it possible.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발목 펌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5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후방에 배치되는 다리 지지대(200)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다리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는 발목 펌프부재(300)를 포함한다. 4 and 5 are schematic exemplary views showing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plate 100, a leg support 200 dispos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n ankle pump member 300 disposed in front of the leg suppo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 is included.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지지대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다리 지지대(200)는 거치부재(210)와, 정렬부재(220) 및 기립부재(230)를 포함한다. 6 to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leg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leg support 200 includes a mounting member 210, an alignment member 220, and a standing member 230 do.

먼저, 상기 거치부재(2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발이 삽입거치되어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211)및 상기 바닥판의 후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판(212)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대략 "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mounting member 21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bottom plate 211 on which the heel is seated and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foot is inserted and moun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leg is kept in a raised state. The formed vertical plate 212 is integrally formed,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approximately "
Figure pat00001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figure.

상기 바닥판(211)은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100)에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수직패널(202)과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발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거치되도록 한다. The bottom plate 211 is coupled to a vertical panel 202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installed to stan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100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o that the feet are moun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

상기 바닥판(211)은 발뒤꿈치 부분이 충분히 접촉되면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소정 간격을 두고 양 발을 거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The sole plate 21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heel portion can be stably seated while sufficiently in contact with the heel, and has a sufficient length so that both feet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수직판(212)은 바닥판(211)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바닥판에 발을 거치하면 발바닥과 밀착되면서 발끝이 자연스럽게 세워지도록 한다. The vertical plate 212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one edge of the bottom plate 211, so that when a user puts his or her feet on the bottom plat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so that the toes are naturally erected.

도 1b) 및 1c)의 펌프장치의 경우 다리를 자동으로 들어 올렸다가 떨어뜨려주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사용자의 연령이나 건강상태 등에 따라 발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발끝이 눕혀진 채로 운동을 하여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두 발을 모은 다음 발끝을 세워주어야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pump device of FIGS. 1b) and 1c), it only provid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lifting and dropping the legs, so depending on the age or health condition of the user, exercise with the toes lying down while the feet are spread outwar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that an effort must be made to keep both feet together and then to stand up toe in order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재(210)는 사용자가 다리를 들어올려 발을 올려두면 수직판에 의해 발이 강제로 세워지는 형태로서, 발끝이 눕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he user's feet are forcibly erected by the vertical plate when the user lifts the legs and puts the fee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es from lying down.

다음으로, 상기 정렬부재(220)는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을 중앙으로 모아 두 발이 세워지도록 양측 발을 정렬하는 부재이다. Next, the aligning member 220 is a member that aligns both feet so that the feet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are gathered in the center so that the two feet stand up.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판의 후면 중앙에는 동력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정렬용 구동모터(221) 및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박스(222)가 마련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종동축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정렬용 이송스크류(223)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6 , a driving motor 221 for alignment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power and a gearbox 222 to which power of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transmitted ar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A feed screw 223 for alignment is connected to the driven shaft of the gearbox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수직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후면이 수직판을 관통하며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223)와 나사결합되도록 일측에 볼너트(2241)가 마련되는 한 쌍의 이송판(224)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판의 전면에는 발의 외측부분에 밀착되는 정렬판(22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te, a pair of transfer plates 224 provided with a ball nut 2241 on one side so that the rear surface passes through the vertical plate and is screwed with the transfer screw 223 for alignment. It is provided, and the alignment plate 225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art of the foo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여기에서,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223)는 상기 기어박스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정렬용 구동모터(222) 구동시 양측의 이송판(224)이 동시에 일측(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타측(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멀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바닥판에 발을 안착시키면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221)가 작동되면 이송판(224)을 따라 정렬판(225)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벌어진 발을 내측으로 모아주면서 자연스럽게 발이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transfer screw 223 for alignment is thread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both sides based on the gearbox, so that when the alignment drive motor 222 is driven, the transfer plates 224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one side (inner side) ) as they move closer to each other, or move away from each other as they move to the other side (outside). For example, when the foot is seated on the bottom plate, it can naturally spread outward. When the driving motor 221 for alignment is operated, the alignment plate 225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the transfer plate 224 and moves to the outside. You can make your feet stand naturally by bringing your feet apart inward.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수직판(212)의 후면에는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226)이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22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이송판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227)가 마련되어 정렬용 구동모터에 의해 이송판(224) 및 정렬판(225)이 좌우로 이동할 때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212 , fixing brackets 226 to which an end of the alignment transfer screw is rotatably coupled are formed protruding from both ends, and A pair of guide bars 227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penetrating the transfer plate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ransfer plate 224 and the alignment plate 225 are shaken when the transfer plate 224 and the alignment plate 225 are moved left and right by the alignment driving motor. can prevent

또한, 상기 바닥판(211)의 중앙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보조정렬판(213)이 돌출형성되어, 바닥판 상의 공간을 수직으로 분할하면서 정렬판에 의해 중앙으로 모인 발의 내측 모서리와 밀착되면서 양측 발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alignment plate 21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211, and both sides while vertically dividing the space on the bottom plate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orners of the feet gathered in the center by the alignment plate Keep your feet upright.

다음으로, 상기 기립부재(230)는 상기 정렬부재(220)에 의해 세워진 발의 앞꿈치를 전방으로 밀어 발끝을 세워줌으로써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이 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Next, the standing member 230 is a member that straightens the bent veins of the ankle by pushing the forefoot of the foot erected by the alignment member 220 forward to stand up the toe.

도 6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판(212)의 후방에는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기립용 구동모터(231)가 배치되며, 수직판(212)의 후면에는 너트(2321)가 고정되고, 상기 기립용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 너트(2321)에 나사결합되는 기립용 이송스크류(232)가 연결된다. 6 and 8, a driving motor 231 for standing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earbox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212, and a nut 2321 is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212, A transfer screw 232 screwed to the nut 232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상기 기립용 구동모터(2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너트(2321)에 고정된 기립용 이송스크류(232)를 따라 기립용 구동모터가 전후로 이동된다. When the driving motor 231 for standing is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transport screw 232 for standing fixed to the nut 2321 .

또한, 상기 기립용 구동모터(232)의 양측에는 기립용 구동모터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가압구(233)가 결합된다.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driving motor 232 for standing are coupled to the pressing tool 233 that moves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상기 가압구(233)는 수직판(212)을 관통하여 수직판의 후방에 배치되되, 기립용 구동모(231)터 구동시 기립용 구동모터와 함께 전진하면서 수직판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발앞꿈치를 밀어주면서 발끝이 세워지도록 한다. The pressing tool 233 penetrates the vertical plate 212 and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vertical plate while advanc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when the driving motor 231 for standing is driven. Push the toes so that the toes stand up.

상기 가압구(233)는 발앞꿈치와 충분히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 예를 들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sing tool 233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for example, a cube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be in sufficient contact with the heel.

본 발명은 상기 기립부재(230)를 통해 발끝이 세워지면서 발목의 구부러진 정맥이 펴진 상태로 발목 펌프부재에 의해 펌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저히 우수한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markably excellent exercise effect by allowing the pumping movement to be performed by the ankle pump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veins of the ankle are stretched while the toes are erected through the standing member 230 .

도 10 내지 12는 상기 발목 펌프부재(3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발목 펌프부재(300)는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다리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일으키는 부재이다. 10 to 12 are schematic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the ankle pump member 300. The ankle pump member 3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eg support on the base plate, and the calf side vein (vein). It is a member that pushes up the inner blood and causes a pump action.

도 10 내지 12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한 쌍의 볼너트(3101)가 고정되며,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볼너트(3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길이의 펌프용 이송스크류(310)가 마련된다. 10 to 12, a pair of ball nut 3101 is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both ends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nut 3101, respectively. A transfer screw 310 for the pump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볼너트(3101)를 매개로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이송블럭(330)과, 상기 이송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재에 다리가 거치되면 발목에 밀착되는 펌프롤러(340)가 구비되며, 회전축이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310)와 연결되는 펌프용 구동모터(32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fer block 330 screwed with the transfer screw for the pump via a ball nut 3101, and a pump disposed on the transfer block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when the leg is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A roller 340 is provided, and a driving motor 320 for a pump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screw 310 for the pump is provided.

상기 펌프롤러(340)는 펌프용 구동모터(320)에 의해 이송블럭(330)과 함께 펌프용 이송스크류(3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되며, 발목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름운동하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일으키는 자동 펌프운동을 실시한다. The pump roller 340 is linearly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transfer screw 310 for the pump together with the transfer block 330 by the driving motor 320 for the pump, and while rolling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the calf Perform an automatic pumping movement that pushes up the blood in the field veins (veins) on the side and causes a pumping 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블럭과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311)이 펌프용 이송스크류의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펌프용 구동모터(320) 구동시 이송블럭(330) 및 펌프롤러(340)를 가이드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guide rods 311 connected to the transfer block are provid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screw for the pump, and the transfer block 330 and the pump roller 340 when the driving motor 320 for the pump is driven. ), it is possible to move stably in a straight line without shaking.

도 1a)와 같은 펌프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지만 부상위험이 높고, 균일한 압력과 횟수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운동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혼자서 활동이 불편한 환우와 노약자들에게는 운동자체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Although the pump device as shown in FIG. 1a)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e risk of injury is high, an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uniform pressure and frequency, so the exercise effect is significantly reduced. In particular, exercise itself is a burden for patients and the elderly who are inconvenient to do activities alone.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목 펌프부재(300)를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발목의 자동 펌프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의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환우들도 스스로 또는 최소한의 도움만으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an automatic pumping exercise of the ankle through the ankle pump member 300 described above. .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310)와 펌프용 구동모터(320)는 이송블럭(330) 및 펌프롤러(340)의 왕복 직선이동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무한궤도에 의한 왕복이동,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로드가 직선방향을 따라 로드가 인출/인입되는 실린더로 대체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transfer screw 310 and the pump drive motor 320 are components for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transfer block 330 and the pump roller 340, and are infinite. The rod may be replaced by a cylinder in which the rod is drawn out/retracted along a straight line by reciprocating movement by track,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블럭의 상면에는 사각 또는 직사각의 거치판(331)이 결합되고,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자 형상의 거치대(332)가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자 형상의 펌프롤러 지지대(333)가 결합된다. Next, a rectangular or rectangular mounting plate 33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aped holder 33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 a pump roller support 333 of a "┗┛" shape having a wider width than that of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또한,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333)의 저면에는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가 거치대로부터 전후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대와 힌지결합되는 회동축(3331)이 돌출형성된다. In addition, a rotation shaft 3331 hinged with the holder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pump roller support 333 so that the pump roller support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from the holder by a predetermined angle.

여기에서, 상기 회동축(3331)은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333) 저면의 전방 측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과 펌프롤러 지지대 사이에는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 후방을 지지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350)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Here, the rotation shaft 3331 is eccentric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of the pump roller support 333, an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pump roller support, a shock absorber supporting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pump roller support. , 350) is installed vertically.

상기 쇽업소버는 실린더(351)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52)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 후방을 지지하여 펌프운동시 완충작용을 통해 펌프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shock absorber is composed of a cylinder 351 and a piston 352 reciprocating within the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piston supports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roller support, so that the effect of the pump movement through the buffer action during the pump movement can increase

이와 함께, 상기 피스톤(352)의 상단에 고무, 가죽, 인조가죽, 연질의 PVC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완충캡(353)이 결합되어, 피스톤(352)과 펌프롤러 지지대(333)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마찰이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고, 마찰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a buffer cap 353 made of any one of rubber, leather, artificial leather, soft PVC or silicon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352 , and the piston 352 and the pump roller support 333 are combined. ) can prevent friction or scratches due to direct contact, and can prevent slipping by improving frictional force.

상기 펌프롤러(340)는 펌프롤러 지지대(333)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종아리 아래쪽에서 종아리를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심장 쪽으로 밀어 올려준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블럭(330)이 베이스판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펌프롤러가 종아리 아래쪽에서 종아리를 따라 움직이면서 정맥을 밀어 올려주는 펌프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pump roller 340 is rotatably coupled inside the pump roller support 333, and while rolling along the calf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lf, it pushes up the blood in the calf vein (vein) toward the heart. For example, when the transfer block 330 is moved from the rear of the base plate to the front, the pump roller moves along the calf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lf, thereby performing a pumping motion to push up the veins.

이때, 상기 펌프롤러(340)가 발목 윗쪽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블럭이 이동되면 펌프롤러 지지대(333)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상기 쇽업소버(350)가 펌프롤러 지지대를 감속시킨 후 밀착되면서 펌프롤러 지지대를 탄발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transfer block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pump roller 3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kle, the pump roller support 333 is inclined to the rear. It will elastically support the pump roller support.

본 발명은 이러한 탄성 가변구조를 통해 펌프롤러가 발목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쇽업소버의 완충작용에 의해 종아리의 높낮이에 따라 오르내리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의 피를 심장 쪽으로 밀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pump roller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ankle through this elastic variable structure, and it go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alf by the buffer action of the shock absorber. It can force the blood to pump up towards the heart.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 도면부호 201, 301은 각각 다리 지지대 및 발목 펌프부재를 구성하는 모터, 스크류, 쇽업소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다양한 형태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201 and 301 denote a case for protecting a motor, a screw, a shock absorber, etc. constituting the leg support and the ankle pump member,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shapes or materials.

100 : 베이스판
200 : 다리 지지대 201 : 케이스
202 : 수직패널
210 : 거치부재 211 : 바닥판
212 : 수직판 213 : 보조정렬판
220 : 정렬부재 221 : 정렬용 구동모터
222 : 기어박스 223 : 정렬용 이송스크류
224 : 이송판 2241 : 볼너트
225 : 정렬판 226 : 고정브라켓
227 : 가이드바
230 : 기립부재 231 : 기립용 구동모터
232 : 기립용 이송스크류 2321 : 너트
233 : 가압구
300 : 발목 펌프부재 301 : 케이스
310 : 펌프용 이송스크류 311 : 가이드봉
3101 : 볼너트
320 : 펌프용 구동모터
330 : 이송블럭 3301 : 볼너트
331 : 거치판
332 : 거치대
333 : 펌프롤러 지지대 3331 : 회동축
340 : 펌프롤러
350 : 쇽업소버 351 : 실린더
352 : 피스톤 353 : 완충캡
100: base plate
200: leg support 201: case
202: vertical panel
210: mounting member 211: bottom plate
212: vertical plate 213: auxiliary alignment plate
220: alignment member 221: drive motor for alignment
222: gearbox 223: transfer screw for alignment
224: transfer plate 2241: ball nut
225: alignment plate 226: fixing bracket
227: guide bar
230: standing member 231: driving motor for standing
232: transfer screw for standing 2321: nut
233: pressure ball
300: ankle pump member 301: case
310: transfer screw for pump 311: guide rod
3101: ball nut
320: drive motor for pump
330: transfer block 3301: ball nut
331: mounting plate
332: cradle
333: pump roller support 3331: rotation shaft
340: pump roller
350: shock absorber 351: cylinder
352: piston 353: buffer cap

Claims (5)

발목 펌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판(100)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발이 삽입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재(210)와, 상기 거치부재 내부에 삽입된 발을 모아주는 정렬부재(220) 및 발끝을 세워주는 기립부재(23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 후방에 배치되어 다리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다리 지지대(200)와;
상기 베이스판 위에서 다리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일으키는 발목 펌프부재(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
In the ankle pump device,
a base plate 100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It consists of a mounting member 210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fee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 aligning member 220 for collecting the feet inserted inside the mounting member, and a standing member 230 for erecting the toes, and the base plate a leg support 200 disposed on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 keep the leg lifted;
An ankle pump member 300 disposed in front of the leg support on the base plate and causing a pumping action by pushing up blood in the calf side of the field vein (vei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10)는,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바닥판(211) 및 상기 바닥판의 후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발바닥과 밀착되면서 발끝을 자연스럽게 세워주는 수직판(212)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재(220)는,
상기 수직판의 후면 중앙에 마련되며 정렬용 구동모터(221)의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박스(222)와, 상기 기어박스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의 후방에서 상기 정렬용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기어박스를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정렬용 이송스크류(223)와, 상기 수직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되 후면이 수직판을 관통하여 수직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정렬용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정렬용 구동모터 구동시 정렬용 이송스크류를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한 쌍의 이송판(224) 및 상기 이송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전방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내주면이 발의 외측부분에 밀착된 상태에서 정렬용 구동모터 구동시 이송판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진 발을 내측으로 모아주는 정렬판(225)을 포함하며,
상기 기립부재(230)는,
상기 수직판의 후방에서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배치되되 수직판의 후면에 고정되는 볼너트에 일측이 나사결합되는 기립용 이송스크류(232)가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방향회전 구동시 전후로 이동되는 기립용 구동모터(231)와, 상기 기립용 구동모터의 양측에서 기립용 구동모터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되 전진시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발앞꿈치를 밀어주면서 발끝이 세워지도록 하는 가압구(2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member 210,
It includes a bottom plate 211 on which the heel is seated, and a vertical plate 212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naturally stands up to the toe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The alignment member 220,
A gearbox 222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to whic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221 for alignment is transmitted, and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gearbox and rotated by the alignment driving motor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A transfer screw 223 for alignment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threads in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gearbox, and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rtical plate,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plate A pair of transfer plates 224 disposed at the rear of the and screw-coupled with the transfer screw for alignment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transfer screw for alignment when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driven and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the number It includes an alignment plate 225 that is vertic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direct plate and collects the feet spread outward to the inside while mov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the transfer plate when the driving motor for alignment is drive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art of the foot and
The standing member 230 is
A transfer screw 232 for standing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earbox at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one side of which is screwed to a ball nut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plat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when driving forward and backward A driving motor 231 for standing and a pressing tool 233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motor for standing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vertical plate when moving forward so that the toe is erected while pushing the heel )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펌프부재(300)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펌프용 이송스크류(310)와,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이송블럭(330)과, 회전축이 상기 펌프용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며 정,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블럭이 전후진되도록 하는 펌프용 구동모터(320)와, 상기 이송블럭의 상부에서 종아리 아래쪽에 밀착되며 이송블럭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 피를 밀어 올려 펌프작용을 하는 펌프롤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kle pump member 300,
A pump transfer screw 310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ase plate, a transfer block 330 screwed with the pump transfer screw, and a rotating shaft are connected to the pump transfer screw, A pump driving motor 320 for moving the transfer block forward and backward by reverse rotational driv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block to the lower part of the calf, and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transfer block, blood in the calf side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mp roller 340 to push up the pump a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거치판(331)과,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자 형상의 거치대(332)와,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자 형태로서 내부에 상기 펌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펌프롤러 지지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mounting plate 33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A cradle 332 in the shape of "┗┛"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along the width direction;
A pump roller support 333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s a wider width than the holder, in the form of a "┗┛", to which the pump roller is rotatably coupled therei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에는 상기 거치대와 힌지결합되는 회동축(3331)이 형성되되,
상기 회동축은 상기 펌프롤러 지지대 저면의 전방 측에 편심된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펌프롤러 지지대 사이에는 상단이 펌프롤러 지지대의 저면 후방을 지지하여 완충작용에 의해 종아리의 높낮이에 따라 오르내리면서 종아리 쪽의 들핏줄(정맥) 속의 피를 심장 쪽으로 밀어올리도록 할 수 있고, 굴곡진 종아리 부위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펌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350)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발목 펌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rotation shaft 3331 hingedly coupled to the hold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roller support,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to protrude at an eccentric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roller support,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pump roller support, the upper end supports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pump roller support so that the blood in the calf vein (vein) is pushed up toward the heart while go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alf by the buffer action. An automatic ankle pum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er (350)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pump movement is made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pressure in the curved calf region.
KR1020200144228A 2020-11-02 2020-11-02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KR1024846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28A KR102484656B1 (en) 2020-11-02 2020-11-02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28A KR102484656B1 (en) 2020-11-02 2020-11-02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66A true KR20220059066A (en) 2022-05-10
KR102484656B1 KR102484656B1 (en) 2023-01-04

Family

ID=8159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28A KR102484656B1 (en) 2020-11-02 2020-11-02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6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105B1 (en) 2022-06-16 2022-07-25 정병운 Massage apparatus having multifu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978Y1 (en) * 2001-06-22 2001-10-18 김범준 Leg massage apparatus
KR101571637B1 (en) * 2014-11-18 2015-11-24 정원장 Apparatus for practicing a ankle pumping
KR20180024460A (en) * 2016-08-30 2018-03-08 박길현 Sporting Equipment for Fe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978Y1 (en) * 2001-06-22 2001-10-18 김범준 Leg massage apparatus
KR101571637B1 (en) * 2014-11-18 2015-11-24 정원장 Apparatus for practicing a ankle pumping
KR20180024460A (en) * 2016-08-30 2018-03-08 박길현 Sporting Equipment for F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105B1 (en) 2022-06-16 2022-07-25 정병운 Massage apparatus having multif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656B1 (en)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464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assisting human walking motion for rehabilitation purposes
US20100248922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KR100661129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tretching
CN209865177U (en) Shank ligament stretcher for sports
KR102484656B1 (en)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CN210021008U (en) Recovered exerciser of stretching is bent to shank
CN115414223A (en) Lumbar vertebra neural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5132710U (e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neurology
KR102495892B1 (en)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based on biosignal
KR101717762B1 (en) Streching machine
CN108030640A (en) A kind of neurology department's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CN214968134U (en) L-shaped lower limb lifting pad
KR20230103080A (en)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CN214387838U (en) Traditional chinese medical science hot compress physiotherapy nursing device
CN211723884U (en) Ankle pump motion assistor with hands and feet moving in parallel
CN109394480B (en) Department of neurology is with paralysed limbs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KR200334080Y1 (en) Ankle pump healthy apparatus
KR20230169674A (en) Automatic ankle pump apparatus
CN215841452U (en) Prevention VTE trainer
CN219166994U (en) Rehabilitation stretching training device
CN216908532U (en) Exercise device that shank fracture nursing was used
CN219148360U (en) Ankle joint sprain patient walking brace
CN108888471A (en) A kind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CN113230121B (en) Endocrine is with massage conditioning device
CN219148353U (en) Orthopedics nur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