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194A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194A
KR20220058194A KR1020200143693A KR20200143693A KR20220058194A KR 20220058194 A KR20220058194 A KR 20220058194A KR 1020200143693 A KR1020200143693 A KR 1020200143693A KR 20200143693 A KR20200143693 A KR 20200143693A KR 20220058194 A KR20220058194 A KR 20220058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earable electronic
display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민
김승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194A/ko
Priority to PCT/KR2021/011467 priority patent/WO2022092517A1/ko
Priority to US17/434,933 priority patent/US11733952B2/en
Publication of KR2022005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부분, 제2 하우징 부분, 및 제3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글라스, 상기 글라스의 표시 영역에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1 센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추적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하는 제2 카메라, 및 외부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 method controlling the display, and a system includ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as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표시 영역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 전자 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전자 장치가 수신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표시 영역에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고려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안경(augmented reality glasses, AR glasses)인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에서 글라스의 표시 영역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방향(예: 사용자가 착용시 바라보는 방향)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 착용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충전 및 보관을 위한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케이스에 수납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벗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경우에도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에 수납된 경우에도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부분, 제2 하우징 부분, 및 제3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글라스, 상기 글라스의 표시 영역에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1 센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추적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하는 제2 카메라, 및 외부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미 착용된 상태인 경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 제3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하우징,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글라스, 상기 표시 영역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제1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배치된 렌즈 모듈,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회로,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테(또는 하우징) 접힘 여부,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경우에도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케이스의 수납부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수용될 때 글라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렌즈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케이스에 수납된 경우에도 렌즈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와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수납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의 렌즈 모듈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기반하여 설명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지능형 안경(smart glass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증강 현실 안경(augmented reality glasses, AR glasses)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장치,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장치, 및/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 장치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안경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 부분(210), 제2 하우징 부분(220) 및 제3 하우징 부분(230)을 포함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210)과 제3 하우징 부분(23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템플(temple)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210)과 제3 하우징 부분(2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분(210)과 제3 하우징 부분(230) 사이에 제2 하우징 부분(2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22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림(rim)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60), 글라스(211, 212), 표시 영역(221, 212), 제1 카메라(311, 312), 제2 카메라(321, 322), 제3 카메라(330), 입력 광학 부재(341, 342), 발광부(351, 352), 및 PCB(361, 3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마이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150), 스피커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장치(155),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189), 및 힌지(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하나의 예시이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형태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지털 미러 표시 장치(digital mirror device, DMD), 실리콘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ight emitting diode, micro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디스플레이(160)가 액정 표시 장치, 디지털 미러 표시 장치 또는 실리콘 액정 표시 장치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표시 영역(221, 222)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별도의 광원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양호한 품질의 가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로 구현된다면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전자 장치(101)가 경량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면에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라스(211, 21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전면(front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211, 212)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 눈 앞에 위치할 수 있다. 글라스(211, 212)는 사용자의 눈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211, 212)를 통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외부를 시인할 수 있다. 글라스(211, 21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글라스(211, 212)는 글라스 플레이트, 플라스틱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라스(211, 212)는 제1 글라스(211) 및 제2 글라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라스(211)는 사용자의 우안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글라스(212)는 사용자의 좌안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표시 영역(221, 222)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221, 222)은 글라스(211, 212)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221, 222)은 제1 표시 영역(221) 및 제2 표시 영역(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221)은 제1 글라스(211)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222)은 제2 글라스(212)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241, 242)는 제1 하우징 부분(210)과 제2 하우징 부분(220), 및 제2 하우징 부분(220)과 제3 하우징 부분(230)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카메라(311, 312)는 사용자의 신체 및/또는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사용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을 추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사용자의 손을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3DoF, 6DoF 카메라일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GS(global shutter) 카메라일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신체 추적 및/또는 공간 인식을 위해서 스테레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규격 및/또는 성능을 갖는 카메라가 2개 필요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빠른 손동작과 손가락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을 검출하고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서, RS(rolling shutter) 카메라와 같이, 화면 끌림이 없는 GS 카메라일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6DoF를 위한 공간 인식을 수행하고 깊이(depth) 촬영을 통한 슬램(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사용자 제스처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321, 322)는 카메라는 눈동자를 검출하고 추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ET(eye tracking)용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전자 장치(101)에 투영되는 가상 영상의 중심이 전자 장치(101)의 착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GS 카메라일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가 GS 카메라인 경우 눈동자(pupil)를 검출하고 빠른 눈동자 움직임을 화면 끌림 없이 추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좌안 및 우안 용으로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스테레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능 및 규격을 갖는 2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카메라(330)는 외부의 객체(예: 인물, 사물, 및/또는 배경)을 촬영할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HR(high resolution) 또는 PV(photo video)와 같은 고 해상도의 카메라일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자동 초점(auto focus, AF) 기능 및/또는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과 같은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 위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색상 관련 성능이 높은 카메라일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GS 카메라 또는 RS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광학 부재(341, 342)는 광 도파로(waveguide)로 광을 유도할 수 있다. 입력 광학 부재(341, 342)의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51, 352)는 제2 하우징 부분(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제2 하우징 부분(22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힌지(241, 242)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351, 352)는 제2 하우징 부분(220)의 중앙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부(351, 352)는 제1 카메라(311, 312)로 촬영 시 주변 밝기를 보충할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어두운 환경이나 여러 광원의 혼입 및 반사 빛 때문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 검출이 용이하지 않을 때 주변 밝기를 보충할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제2 카메라(321, 322)로 동공을 촬영할 때 눈맞춤(eye gaze)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IR LE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51, 352)는 제2 하우징 부분(220)에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PCB(361, 362)는 제1 하우징 부분(210) 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PCB(361, 362)는 F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PCB(361, 362)는 FPCB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내부의 모듈들(예: 제1 카메라(311, 312), 제2 카메라(321), 제3 카메라(330), 디스플레이(16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PCB(361, 362)는 제1 PCB(361) 및 제2 PCB(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361) 및 제2 PCB(36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CB(361) 및 제2 PCB(362) 사이에 인터포저(interposer)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PCB(361) 및 제2 PCB(362)는 서로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방향(D1)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할 때 글라스(211, 212)의 내부 면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방향(D2)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할 때 글라스(211, 212)의 외부 면이 바깥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D2)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방향(D3)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할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부(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제3 카메라(330)가 위치하는 영역)가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D3)은 지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방향(D4)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할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하부(예: 상부의 반대 영역)가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방향(D4)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00), 글라스(211, 212), 디스플레이(160),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통신 회로(37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1 하우징 부분(210)), 제2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2 하우징 부분(220)), 및 제3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3 하우징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글라스(211, 212)는 제2 하우징 부분(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글라스(211, 212)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가 외부를 시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글라스(211, 212)에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글라스(211, 212) 내부에 형성된 표시 영역(221, 222)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76)은 제1 센서(341), 제2 센서(342), 및 제3 센서(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센서(34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센서(34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서(34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센서(341)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센서(341)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센서(34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으로 정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은 랜드스케이프 오리엔테이션(landscape orientation) 방향과 평행한 지면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은 지면을 기준으로 제1 상태로 놓인 경우 및/또는 제2 상태로 놓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부는 제3 방향(예: 도 2의 제3 방향(D3))을 향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비교하여 상하로 뒤집어진 방향으로 놓인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부는 제4 방향(예: 도 2의 제4 방향(D4))을 향할 수 있다. 제2 센서(34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1 상태로 놓인 경우 제3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센서(34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2 상태로 놓인 경우 제4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센서(342)는 제3 신호 또는 제4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342)는 9축 센서, XYZ축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센서(343)는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이 접히는 경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이 제1 글라스(211) 및/또는 제2 글라스(212)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는 방향에서 글라스(211, 212)를 바라볼 의도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3 센서(343)는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이 접힌 경우 제5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센서(343)는 제1 하우징 부분(210) 및 제3 하우징 부분(230)이 펼쳐진 경우 제6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센서(343)는 제5 신호 또는 제6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센서(343)는 홀(Hall)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80)은 제1 카메라(311, 312), 제2 카메라(321, 322), 및 제3 카메라(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카메라(311, 312)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추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는 GS 카메라 및/또는 RS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321, 322)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ET용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카메라(330)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HR 카메라 및/또는 PV 카메라일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인물, 사물, 및/또는 배경과 같은 외부의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HR 카메라 및/또는 PV 카메라일 수 있다. 제3 카메라(330)는 GS 카메라 또는 RS 카메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센서(341)와 같이 또는 제1 센서(341) 대신 제2 카메라(321, 32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에서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한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 322)에서 사용자의 눈동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정면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 센서 모듈(176), 및 카메라 모듈(180)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 접힘 여부,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160)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들은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160)의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출력 여부, 표시하는 화면의 상하 및/또는 좌우 반전 여부, 화면의 밝기, 및/또는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회로(37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104)) 및/또는 서버(예: 도 1의 서버(108))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회로(37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전달 받은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및/또는 서버(108)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370)는 다른 전자 장치(102, 104) 및/또는 서버(108)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광학 구조를 나타낸 도면(4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글라스(211)(예: 도 2의 글라스(211, 212))의 내부에는 제1 광 도파로(410)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는 디스플레이(160)에서 생성한 광을 사용자 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 표면에는 나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나노 패턴은 다각형 또는 곡면 형상의 격자 구조(grating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에서 출력된 광은 입력 광학 부재(340)(예: 도 2의 입력 광학 부재(341, 342))를 통해 제1 광 도파로(410)의 한쪽 끝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광 도파로(410) 내부에서 전파된 광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는 자유 폼(Free-form) 형태의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절 요소(예: DOE(Diffractive Optical Element),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또는 반사 요소(예: 반사 거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는 입사된 광을 회절 요소 또는 반사 요소를 통해 사용자의 눈(451, 452)으로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절 요소는 입력 광학 부재(340) 및 출력 광학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요소는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TI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60)로부터 방출된 광은 입력 광학 부재(340)를 통해 제1 광 도파로(410)로 유도될 수 있다. 제1 광 도파로(410) 내부를 이동하는 광은 출력 광학 부재(440)를 통해 사용자의 눈(451, 452)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에 위치에서 글라스(211)를 바라볼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예: 도 2의 D1)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451)은 제1 광(L1)을 시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예: 도 2의 D2)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452)은 제3 광(L3)을 시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451, 452)으로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으로 방출되는 광(L1, L3)이 입사함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을 시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예: 도 2의 제2 하우징 부분(2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예: 도 2의 발광부(351, 3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351, 352)는 적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IR LED일 수 있다. 발광부(351, 35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351, 352)에서 방출된 광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451)에서 반사되어 글라스(211)의 일 영역에 위치하는 제2 광 도파로(420)로 입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광 도파로(420) 내부에서 전파된 광은 빔 스플릿터(beam splitter)(430)를 통해 나뉘어질 수 있다. 빔 스플릿터(430)를 통해 나뉘어진 광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카메라(321)(예: 도 2의 제2 카메라(321, 322))로 유도될 수 있다. 제2 카메라(321)는 ET 센서(421), ET 광학(optic) 부재(423), 및 렌즈(425)를 이용하여 제2 카메라(321)로 유도된 제2 광(L2)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광학 부재(440)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451)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A1)일 수 있다. 출력 광학 부재(440)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452) 사이의 거리는 제2 거리(A2)일 수 있다. 제1 거리(A1) 및 제2 거리(A2)는 안구 완화(eye relief)일 수 있다. 안구 완화는 사용자의 눈(451, 452)이 전체 시야 각(field of view, FOV)을 획득할 수 있는 출력 광학 부재(440)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사용자의 눈(451, 452)이 출력 광학 부재(440)로부터 안구 완화보다 멀리 있는 경우, 사용자의 눈(451, 452)의 시야 각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거리(A1) 및/또는 제2 거리(A2)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영역인 아이 박스(eye box) 영역이 가려질 수 있다. 아이 박스 영역은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 전체가 사용자의 눈(451, 452)에 들어오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광(L1)은 제1 방향(D1)으로 출력되는 제1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화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인 내부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451)으로 향할 수 있다. 제3 광(L3)은 제2 방향(D2)으로 출력되는 제2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화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인 외부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의 눈(452)으로 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5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표시 영역(221, 222)을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221, 222)은 투명한 글라스(211, 212)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제1 방향(D1)에서 보았을 때(510) 표시 영역(221, 22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방향(D1)으로 제1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제2 방향(D2)에서 보았을 때(520) 표시 영역(221, 22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으로 제2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가상 현실 글라스(AR Glass)인 경우, 광학부(Waveguide)의 특성 상 가상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화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방향인 제1 방향(D1)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인 방향으로 제2 방향(D2)으로 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 제1 방향(D1)에서는 디스플레이(160)가 원래 표시하려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표시 영역(221, 222)을 보는 경우 좌우로 반전된 화면을 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표시 영역(221, 222)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출력 방향, 반전 여부, 형태, 크기, 및/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10에서, 제1 센서(예: 도 3의 제1 센서(34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34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341)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341)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또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341)와 같이, 또는 제1 센서(341) 대신 제2 카메라(예: 도 3의 제2 카메라(321, 32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20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미 착용된 상태인 경우 제2 센서(예: 도 3의 제2 센서(342))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1 상태로 놓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342)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부는 제3 방향(예: 도 2의 제3 방향(D3))을 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2 상태로 놓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342)로부터 제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비교하여 상하로 뒤집어진 방향으로 놓인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부는 제4 방향(예: 도 2의 제4 방향(D3))을 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342)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류에 기반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1 상태로 놓였는지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2 상태로 놓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30에서, 제3 센서(예: 도 3의 제3 센서(343))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이 접힌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343)로부터 제5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분(210) 및 제3 하우징 부분(230)이 펼쳐진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343)로부터 제6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3 센서(343)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종류에 기반하여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이 접혔는지 또는 제1 하우징 부분(210) 및 제3 하우징 부분(230)이 펼쳐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40에서, 제1 카메라(예: 도 3의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예: 도 3의 제2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650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 접힘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 접힘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관련된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의 출력 방향, 반전 여부, 형태, 크기, 및/또는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700)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증강 현실 글라스(AR Glass)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701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및/또는 노트북(Notebook)과 같은 호스트 장치(Host Device)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서 지원하는 종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센서(예: 도 3의 제1 센서(341))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동작 702 - YES) 동작 703으로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경우(동작 702 - NO) 동작 704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3에서, 화면을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있는 방향인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으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으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4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경우 제2 센서(예: 도 3의 제2 센서(342))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출력하는 화면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놓인 제1 상태인 경우 출력하는 화면의 상하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비교하여 상하로 뒤집힌 방향으로 놓인 제2 상태인 경우 출력하는 화면의 상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을 감지한 동작 704를 수행하면서 제2 상태인 경우 출력하는 화면의 상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120)는 동작 704를 진행한 이후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708 또는 동작 710을 수행하면서 제2 상태인 경우 출력하는 화면의 상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5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예: 도 2의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가 접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접힌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서 화면을 확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펼쳐진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또는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서 화면을 확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접힌 경우(동작 705 - YES) 동작 7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펼쳐진 경우(동작 705 - NO) 동작 709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6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접힌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예: 도 3의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예: 도 3의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어느 쪽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7에서, 화면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화면 출력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8에서,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테가 접힌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설정한 후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할 때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할 때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사용자가 확인하는 경우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면이 좌우로 뒤바뀔 수 있다.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할 때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내부에서 확인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시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화면 설정 변경 없이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경 형태가 아닌 헤드 마운티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경우에는 테가 접히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HMD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HMD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경우 동작 705를 생략하고, 동작 704, 706, 707, 및 708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HMD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화면을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09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에 위치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311, 312) 및/또는 제3 카메라(예: 도 3의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에 위치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에 위치한 경우(동작 709 - YES) 동작 707로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D2)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동작 709 - NO) 동작 7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10에서, 화면을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및/또는 외부 중 어떤 위치에 있는지 확인을 할 수 없는 경우 화면을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각각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 중 어느 쪽 방향에서도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10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화면을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으로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동작 710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화면을 표시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708 또는 동작 710을 수행함에 있어, 제1 카메라(311, 312) 내지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 또는 지정된 각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면을 표시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8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예: 도 3의 제2 센서(342))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서(342)는 IMU 센서 및/또는 자기(Magnetic)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예: 도 3의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예: 도 3의 제3 카메라(33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가 출력하는 화면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랜드스케이프 오리엔테이션(landscape orientation) 방향과 평행한 지면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지면을 기준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2 상태(820)로 놓인 경우 화면을 상하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1 상태로 놓인 경우(810) 디스플레이(160)가 원래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 영역(221, 222)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제2 상태로 놓인 경우 디스플레이(160)가 원래 화면을 좌우 및 상하로 반전시킨 반전 화면을 표시 영역(221, 222)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60)가 출력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여진 방향과 관계 없이 용이하게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9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눈(91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211)를 제1 시야각(field of view, FOV)(θ1)으로 시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910)과 글라스(911)와 제1 거리(A1)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3 거리(A3)만큼 이격되도록 허상 위치(930)가 존재할 수 있다. 제3 거리(A3)는 글라스(211)의 곡률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거리(A3)는 약 1M 이상 약 2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눈(92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211)와 제2 거리(A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눈(92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211)를 제2 시야각(θ2)으로 시인할 수 있다. 제2 시야각(θ2)은 제1 시야각(θ1)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허상 위치(930)에서 볼 수 있는 허상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보다 허상 위치(930)에서 허상을 볼 수 있는 범위가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예: 사용자 시선의 위치) 사이의 거리인 제2 거리(A2)가 변화하는 경우 안구 완화 위치가 변화하고 디스플레이(160)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영역인 아이 박스 영역이 변화할 수 있다. 아이 박스 영역은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 전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10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화면은 사용자가 착용했을 경우에 대응하도록 아이 박스 영역(예: 도 4의 제1 거리(A1))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10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떨어져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떨어져서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 가상의 화면을 보여주는 아이 박스 영역이 감소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아이 박스 영역이 감소하는 경우 화면의 일부 영역이 확대(줌-인, zoom-in)되면서 시인될 수 있다.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부 영역이 확대되면서 시인되는 경우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11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11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상태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비스듬한 위치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위치에서 화면을 확인하는 경우 아이 박스 영역이 표시 영역(221, 222)의 한쪽 코너로 치우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일부 영역이 확대되면서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 박스 영역이 치우친 코너 부분에 확대된 화면이 시인될 수 있다. 아이 박스 영역이 치우친 코너 부분에 확대된 화면이 시인되는 경우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컨텐츠 중 아이 박스 영역이 치우친 코너의 반대쪽 코너에 있는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210) 사이의 거리와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12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12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인 제2 방향(D2)에 위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21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제2 방향(D2)에 위치한 사용자(12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3 카메라(33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의 사용자(1210)의 거리인 제4 거리(A4)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카메라(311, 312)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양 쪽 끝으로부터의 사용자(1210)의 거리인 제5 거리(A5) 및 제6 거리(A6)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측정한 제4 거리(A4), 제5 거리(A5), 및 제6 거리(A6)를 이용하여 사용자(1210)가 글라스(211, 212)의 표시 영역(221, 222)을 보는 거리인 제7 거리(A7) 및 제8 거리(A8)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깊이(Depth) 카메라 및 제스처(Gesture) 카메라를 사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21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측정한 제4 거리(A4), 제5 거리(A5), 및 제6 거리(A6)를 이용하여 사용자(1210)가 글라스(211, 212)의 표시 영역(221, 222)을 보는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210)가 글라스(211, 212)의 표시 영역(221, 222)을 보는 각도에 기반하여 사용자(12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1210)의 위치는 사용자(1210)의 얼굴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기준으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중 어느 쪽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사용자(1210)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1210)가 글라스(211, 212)의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어느 방향에서 응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13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화면의 출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표 1과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표시 영역(221, 222)의 크기와 비교하여 화면의 출력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 표시 영역(221, 222)의 크기와 비교한 화면의 출력 영역의 크기
20cm 90%
40cm 80%
60cm 70%
80cm 6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출력 영역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의 거리에 따라 화면을 보여줄 수 있는 아이 박스 영역의 크기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변화된 아이 박스 영역에 대응하도록 화면의 출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아이 박스 영역이 감소하고 화면이 확대되어 시인되는 경우 화면의 출력 영역을 아이 박스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가 표시 영역(221, 222)의 가장자리에서 잘리는 화면을 시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가 온전한 화면을 확인하도록 화면의 출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의 아이 박스 영역이 감소하고 화면이 확대되어 시인되는 현상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이 확대되어 시인되면서 컨텐츠가 표시 영역(221, 222)의 가장자리에서 잘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1310)가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화면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표 2과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의 화면의 밝기와 비교한 화면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 사용자(1310)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한 경우의 화면의 밝기와 비교한 화면의 밝기
20cm 110%
40cm 120%
60cm 130%
80cm 14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변경된 밝기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사용자(131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1310)에게 보이는 화면의 밝기가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가 감지하는 밝기의 감소를 고려하여 화면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310)가 보는 화면의 밝기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가 온전한 밝기의 화면을 확인하도록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사용자(1310)의 위치에 기반하여 화면의 출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사용자(1310)의 위치에서 화면을 보았을 때 화면이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보이도록 화면의 출력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사용자(1310)의 위치에 기반하여 화면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사용자(1310)의 위치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2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의 정면에서 벗어날수록 화면의 밝기를 밝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310)가 비스듬한 각도에서 화면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14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예: 도 3의 제1 센서(341))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사용자가 미 착용한 경우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는 메시지(예: Hello. How are you?)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 확인된 경우, 내부 방향인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인 제2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각각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표시 영역(221, 222) 중 제1 표시 영역(221)의 화면은 제1 방향(D1)으로 출력하고, 제2 표시 영역(222)의 화면은 제2 방향(D2)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 중 현재 위치한 방향에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제1 표시 영역(221) 및 제2 표시 영역(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은, 도 7의 동작 710에서 화면을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각각 표시하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케이스(1510)를 포함하는 시스템(1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에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510)는 덮개(1511), 수납부(1520), 및 충전 회로(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에 수용되는 경우, 충전 단자(미도시) 또는 통신 회로(예: 도 3의 통신 회로(370))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에 수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에 수용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180))을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1511)는 케이스(15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1511)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덮개(1511)는 수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외부의 이물질 및/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1510)의 덮개(1511)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케이스(1510)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5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수용할 수 있다. 수납부(152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회로(1530)는 수납부(920)에 수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 회로(1530)는 수납부(15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회로(15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189))로 전력을 제공하거나, 무선 충전 코일(미도시)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케이스(1510)를 포함하는 시스템(1500)을 나타낸 블록도(16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회로(1610)(예: 도 3의 통신 회로(370))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의 수납부(1520)에 수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의 충전 회로(153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제2 통신 회로(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회로(1620)는 제1 통신 회로(1610)와 다양한 신호들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회로(1620)는 제1 통신 회로(1610)로부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통신 회로(1620)는 제1 통신 회로(1610)로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 케이스(1510)의 배터리 잔량 및/또는 케이스(1510)가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 중인지 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제어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충전 회로(1530) 및 제2 통신 회로(16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30)는 충전 회로(1530)을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의 수납부(1520)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납부(1520)에 위치하는 경우, 제2 통신 회로(1620)을 활성화 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표시하는 화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납된 케이스(1510)를 나타낸 도면(17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렌즈 모듈(171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케이스(1510)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수납부(1520)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 내부에 위치하고 덮개(1511)를 닫는 경우 케이스(1510)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가릴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이 케이스(1510)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 내부에 위치하고 케이스(1510)가 닫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0)은 덮개(1511)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덮개(1511)는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덮개(1511)가 열린 경우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덮개(1511)가 닫힌 경우 렌즈 모듈(1710)을 통해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에는 덮개(1511)가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 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의 수납부(1520)에 위치하고 덮개(1511)가 닫히는 경우,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2 통신 회로(1620))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 표시하는 화면에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케이스(15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한 화면을 렌즈 모듈(17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의 수납부(1520)에 위치하고 덮개(1511)가 열린 경우,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2 통신 회로(1620))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로부터의 화면 표시 요청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케이스(15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18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6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211)의 표시 영역(221)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810)는 케이스(1510)의 렌즈 모듈(1710)을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211)를 시인할 수 있다. 사용자(1810)의 시야에 의해 허상 위치(1820)에 화면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0)은 외부 방향인 제2 방향(D2)에서 보았을 때 아이 박스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허상 위치(1820)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대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이 고정된 확대율을 갖는 경우, 렌즈 모듈(1710)은 허상 위치(1820)에 표시되는 화면의 물리적인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확대할 수 있는 볼록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0)은 아이 박스 영역에 형성되는 화면을 먼 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1810)로부터 허상 위치(1820)를 향하는 굴절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을 통해 표시 영역(221)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확대하는 경우에도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시인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1710)을 통하여 케이스(1510) 외부에서 화면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0)의 굴절률은 허상 위치(1820)에 위치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굴절률이 변경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710)은 액체 렌즈와 같은 굴절률이 변경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져 아이 박스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221)에서 표시하는 화면이 시인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0)의 굴절률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케이스(1510)에 구비되는 카메라(예: 도 21의 카메라(2121, 2122))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1510)의 렌즈 모듈(1711, 1712)(예: 도 17 및/또는 도 18의 렌즈 모듈(1710))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모듈(1711, 1712)은 수납부(1520)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용되는 경우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710)은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720)은 수납부(1520)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용되는 경우 표시 영역(예: 도 3의 표시 영역(221, 22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711, 1712)(예: 도 17 및/또는 도 18의 렌즈 모듈(1710))을 포함하는 케이스(1510)를 나타낸 도면(20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렌즈 모듈(1710)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차폐 부재(2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711, 1712)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글라스(예: 도 2의 글라스(211, 212))와 대응하도록 복수 개(예: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부재(2010)는 렌즈 모듈(1711, 1712)의 내부 면에 배치되는 불투명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부재(2010)는 도 20과 같이 렌즈 모듈(1711, 1712)을 포함하도록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21과 같이 렌즈 모듈(1711, 1712)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부재(2010)는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렌즈 모듈(1711, 1712)의 내부 면을 가릴 수 있다. 차폐 부재(2010)가 렌즈 모듈(1710)의 내부 면을 가리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면을 가릴 수 있다. 차폐 부재(2010)는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렌즈 모듈(1711, 1712)의 내부 면으로부터 떨어져 렌즈 모듈(1711, 1712)이 배치된 면을 제외한 케이스(1510)의 내부 면에 위치하도록 접힐 수 있다. 차폐 부재가 렌즈 모듈(1711, 1712)이 배치된 면을 제외한 케이스(1510)의 내부 면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경우 사용자는 렌즈 모듈(1711, 1712)을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장치(101))가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2 통신 회로(1620))는 제1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1 통신 회로(1610))로부터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활성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케이스(1510)의 제어부(예: 도 16의 제어부(1630))는 제2 통신 회로(1620)가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 부재(2010)는 활성화 신호에 기반하여 렌즈 모듈(1711, 1712)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제2 통신 회로(1620)가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폐 부재(2010)가 렌즈 모듈(1711, 1712)을 개방하도록 차폐 부재(20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제2 통신 회로(1620)가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차폐 부재(2010)가 렌즈 모듈(1711, 1712)을 덮도록 차폐 부재(2010)를 제어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차폐 부재(2010)가 렌즈 모듈(1711, 1712)을 개방하는 경우 렌즈 모듈(1711, 1712)을 통해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차폐 부재(2010)가 렌즈 모듈(1711, 1712)을 덮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9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케이스(1510)의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711, 1712) 및 카메라(2121, 2122)를 포함하는 케이스(1510)를 나타낸 도면(21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1510)는 카메라(2121, 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21, 2122)는 케이스(1510)의 외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121, 2122)는 제2 방향(D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121, 2122)는 제2 방향(D2)에 배치된 객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121, 2122)는 사용자가 제2 방향(D2)에 있는 경우 케이스(1510)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2121, 2122)는 케이스(1510)의 제어부(예: 도 16의 제어부(1630))에 케이스(1510)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케이스(1510)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2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2 통신 회로(1620))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케이스(1510)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예: 도 2의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컨텐츠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는 케이스(1510) 및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아이 박스 영역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컨텐츠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은 케이스(1510)의 렌즈 모듈(1711, 1712)에 의하여 확대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렌즈 모듈(1711, 1712)에 의하여 표시 영역(221, 222)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컨텐츠가 확대되는 비율을 고려하여 화면의 컨텐츠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제1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1 하우징 부분(210)), 제2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1 하우징 부분(220)), 및 제3 하우징 부분(예: 도 2의 제3 하우징 부분(230))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00)),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20)에 의해 둘러싸인 글라스(예: 도 2의 글라스(211, 212)), 상기 글라스(211, 212)의 표시 영역(예: 도 2의 표시 영역(221, 222))에 내부 방향(예: 도 2의 제1 방향(D1)) 및 외부 방향(예: 도 2의 제2 방향(D2))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60)),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1 센서(예: 도 3의 제1 센서(341)),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제2 센서(예: 도 3의 제2 센서(342)),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센서(예: 도 3의 제3 센서(34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예: 도 3의 센서 모듈(176)),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추적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예: 도 3의 제1 카메라(311, 312)),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하는 제2 카메라(예: 도 3의 제2 카메라(321, 322)), 및 외부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예: 도 3의 제3 카메라(33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예: 도 3의 카메라 모듈(180)), 및 상기 디스플레이(160), 상기 센서 모듈(176), 및 상기 카메라 모듈(180)과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3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방향(D1)인 제1 방향(D1)을 기반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D2)인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할 때 상기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랜드스케이프 오리엔테이션(landscape orientation) 방향과 평행한 지면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인 제1 상태와 비교하여 상하로 뒤집어진 제2 상태로 놓인 경우 상기 화면을 상하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의 아이 박스(eye box) 영역 및 상기 아이 박스 영역을 제외한 시야 사각 영역을 산출하고, 상기 아이 박스 영역으로 상기 출력 영역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글라스(211, 212)는 제1 글라스(예: 도 2의 제1 글라스(211)) 및 제2 글라스 예: 도 2의 제1 글라스(21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 확인된 경우, 상기 화면 중 상기 제1 글라스(211)에 표시하는 제1 화면을 상기 제1 방향(D1)을 기반으로 표시하고, 상기 화면 중 상기 제2 글라스(212)에 표시하는 제2 화면을 상기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60)가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센서(34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10),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미 착용된 상태인 경우 제2 센서(342)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20), 제3 센서(343)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30), 제1 카메라(311, 312) 및 제2 카메라(321, 322)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40),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예: 도 6의 동작 6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동작 65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서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 방향(D1)인 제1 방향(D1)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03),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 방향인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동작 640)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동작 650)은,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230)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동작 630)은, 상기 제1 하우징 부분(210) 및 상기 제3 하우징 부분(230)이 펼쳐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기 제2 방향(D2)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0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기 제2 방향(D2)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동작 709)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D2)에 위치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는 동작(동작 7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기 제2 방향(D2)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동작 709)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상기 제2 방향(D2)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동작 708),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을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을 기반으로 각각 표시하는 동작(예: 도 7의 동작 7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및 케이스(예: 도 15의 케이스(1510))를 포함하는 시스템(예: 도 15의 시스템(1500))의,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200), 표시 영역(221, 222)을 포함하는 글라스(211, 212), 상기 표시 영역(221, 222)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0), 카메라 모듈(180), 제1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1 통신 회로(16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510)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수용하는 수납부(예: 도 15의 수납부(1520)), 상기 케이스(1510)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배치된 렌즈 모듈(예: 도 17의 렌즈 모듈(1710)), 상기 제1 통신 회로(161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회로(예: 도 16의 제2 통신 회로(1620)),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예: 도 15의 충전 회로(153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1710)은 상기 수납부(1520)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1510)는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덮개(예: 도 15의 덮개(15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1710)은 상기 덮개(1511)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모듈(1710)은 상기 수납부(1520)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221, 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모듈(1710)은 상기 디스플레이(160)에서 상기 글라스(211, 212)의 외부 방향(D2)을 향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1510)는 상기 렌즈 모듈(1710)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차폐 부재(예: 도 20의 차폐 부재(2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 부재(2010)는 상기 제2 통신 회로(1620)가 상기 제1 통신 회로(161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160)가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수신하는 활성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렌즈 모듈(1710)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분, 제2 하우징 부분, 및 제3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글라스;
    상기 글라스의 표시 영역에 내부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1 센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을 추적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하는 제2 카메라, 및 외부를 촬영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 방향인 제1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부 방향인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할 때 상기 화면을 좌우로 반전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고; 및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의 아이 박스(eye box) 영역 및 상기 아이 박스 영역을 제외한 시야 사각 영역을 산출하고; 및
    상기 아이 박스 영역으로 상기 출력 영역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컨텐츠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는 제1 글라스 및 제2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미 확인된 경우, 상기 화면 중 상기 제1 글라스에 표시하는 제1 화면을 상기 제1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고; 및
    상기 화면 중 상기 제2 글라스에 표시하는 제2 화면을 상기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미 착용된 상태인 경우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
    제3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놓인 방향,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 방향인 제1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미 착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화면을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부 방향인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또는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의 접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하우징 부분 및 상기 제3 하우징 부분이 펼쳐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한 경우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의 출력 영역 및/또는 밝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변경된 출력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기 제2 방향을 기반으로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면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기반으로 각각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하우징;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글라스;
    상기 표시 영역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제1 통신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수납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배치된 렌즈 모듈;
    상기 제1 통신 회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회로; 및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화면을 보여주는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덮개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수납부에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글라스의 외부 방향을 향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확대시키는 시스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렌즈 모듈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2 통신 회로가 상기 제1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수신하는 활성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렌즈 모듈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하는 시스템.
KR1020200143693A 2020-10-30 2020-10-30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20058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3A KR20220058194A (ko) 2020-10-30 2020-10-30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PCT/KR2021/011467 WO2022092517A1 (ko) 2020-10-30 2021-08-26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7/434,933 US11733952B2 (en) 2020-10-30 2021-08-26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system includ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693A KR20220058194A (ko) 2020-10-30 2020-10-30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94A true KR20220058194A (ko) 2022-05-09

Family

ID=8138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693A KR20220058194A (ko) 2020-10-30 2020-10-30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33952B2 (ko)
KR (1) KR20220058194A (ko)
WO (1) WO2022092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20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거리 센서 활성화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835B2 (en) * 2020-11-16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080A (ko) 2009-10-22 201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과 입체안경 및 그 구동방법
EP2940985A4 (en) 2012-12-26 2016-08-17 Sony Corp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191867B1 (ko) * 2013-07-10 202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 포맷을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3834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9958681B2 (en) 2013-10-28 2018-05-0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48576A (ko) *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611B1 (ko) 2014-10-22 2017-03-08 윤영기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안경과 이를 이용한 공간 터치 입력 및 보정 방법
US10213105B2 (en) * 2014-12-11 2019-02-26 AdHawk Microsystems Eye-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170115742A1 (en) * 2015-08-01 2017-04-27 Zhou Tian Xing Wearable augmented reality eyegla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obile phone and mobile computing via virtual touch screen gesture control and neuron command
KR102574490B1 (ko) * 2015-10-12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머리 장착형 전자 장치
US11982809B2 (en) 2018-09-17 2024-05-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ner display and externally accessible input-output device
US11042034B2 (en) 2018-12-27 2021-06-22 Facebook Technologies, Llc Head mounted display calibration using portable docking station with calibration targ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20A1 (ko) * 2022-07-06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거리 센서 활성화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0559A1 (en) 2022-11-03
WO2022092517A1 (ko) 2022-05-05
US11733952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21597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iniature camera
US1173395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system includ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US1192825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tracking eye
US2022028718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2302592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tracking user gaze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KR20230088100A (ko) 가상 입력 장치를 이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220123911A (ko)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10328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path thereof
US20240151987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863945B2 (en) Augmented reality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US1176248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86791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module
US20240046530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EP4202531A1 (en) Augmented reality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US2023016344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ariable ground
KR20240036432A (ko)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31824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KR2023015185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17548A (ko) 시선 추적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068431A (ko) 증강 현실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40062857A (ko)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26074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30030883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220072066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30121516A (ko) 객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