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834A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834A
KR20150043834A KR20130122755A KR20130122755A KR20150043834A KR 20150043834 A KR20150043834 A KR 20150043834A KR 20130122755 A KR20130122755 A KR 20130122755A KR 20130122755 A KR20130122755 A KR 20130122755A KR 20150043834 A KR20150043834 A KR 2015004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electronic device
frame
spectacle fram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현
서경혜
장유준
백송이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834A/ko
Publication of KR2015004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4Viewing or reading apparatus having collapsible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6Viewing or reading apparatus with moving picture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외부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적아도 하나의 글라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글라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테의 현 상태에 따라서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의 현 상태에 따라서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몸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컴퓨팅 시스템(wearable computing system)에 대한 연구와 관심 그리고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글라스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휴대 전화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안경테의 현 상태에 따라서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적아도 하나의 글라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글라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접혀진 제1 위치와, 상기 몸체 방향에서 이격된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에, 상기 글라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일면방향으로 위치하는 제3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타면방향으로 위치하는 제4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안경테와 상기 글라스는 각각 한 쌍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안경테중 제1 안경테는 상기 제3 위치에 있고 상기 한 쌍의 안경테 중 제2 안경테는 상기 제4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안경테에 대응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안경테에 대응된 제2 글라스의 표시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방향에 대응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그룹을 형성하되, 상기 전자디바이스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감지 단계; 안경태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제2 감지 단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안경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접혀진 제1 위치와, 상기 몸체 방향에서 이격된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에, 상기 글라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안경테의 현 상태에 따라서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고, 도 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글라스(130), 마이크(150), 음향 출력부(160), 터치 센서(170), 메모리(180), 무선 통신부(190) 및 전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외부영상을 촬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 1카메라(110)는 필요시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눈의 영상을 촬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0)는 필요시 상하좌우로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사용자의 시각을 넘어서는 범위의 외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시각의 범위를 A라고 할때, 제1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범위는 A+a 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10)를 통해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360도 범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측방, 후방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개수의 제1 카메라(110)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각 위치에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카메라(110)는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카메라 보다 큰 각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각 카메라를 적용할 경우, 적은 개수의 제1 카메라(110)로도 사용자 주위의 외부영상을 폭넓게 획득할 수 있다.
글라스(130)는 일반적인 안경과 같이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글라스(130)를 통해 주위를 관찰할 수 있다. 글라스(130)는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 마련되거나, 좌안과 우안 중 하나의 눈에 대응되도록 1개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30)에는 정보 제공을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이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41)은 좌안 및/또는 우안에 대응되도록 두 개 또는 한 개 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제1 카메라(110) 및/또는 제2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시선을 주는 전방 객체에 대한 정보 획득 동작을 수행하고, 획득된 정보를 글라스(130)에 마련된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카메라(12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눈의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인식되는 사용자의 아이 제스처(eye gesture)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및/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50)에 의하여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0)는 이어폰 잭(미도시)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 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터치 센서(170)는 특정 부위에 대한 터치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70)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70)를 통한 입력 데이터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18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를 임시 및/또는 항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9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9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선 통신부(190)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관련 모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95)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위, 바라보는 높이, 회전 유무, 전진 또는 후진 유무 등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센싱부(195)는 자세감지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값을 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부(20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몸체(141, Body)와 안경테(161, Frame)로 구분될 수 있다.
몸체(141)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몸체(141)에는 카메라(110, 120)와, 글라스(130)와,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과, 제어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은, 글라스(130) 각각 또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a, 131b)가 글라스(130)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경테(161)는, 몸체(141)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안경테(161)는 힌지(17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힌지(171)를 중심으로 안경테(161)가 시계방향 내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2 안경테(161a, 161b) 중 적어도 하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몸체(141) 내측 방향으로 접히거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몸체(141)의 외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도 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U)의 얼굴에 착용되면, 몸체(141)는 사용자(U)의 코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1,2 안경테(161a, 161b)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U)는, 글라스(130) 및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130)를 통해 바라보는 외부 사물에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증강현실(Augment Reality)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상태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는 상태 또는 파지되지 않고 놓여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 120)로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 가속도 센서의 감지 내용 등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안경테(161)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안경테(161)는, 다양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테(161)는 펼쳐져 있는 상태 또는 적어도 하나가 접혀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안경테(161) 중 적어도 하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펼쳐 있거나 접혀 있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몸체(141)에 대한 안경테(161)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41)와 안경테(161)의 연결부위인 힌지(171)에는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안경테(161)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글라스(130)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글라스(130)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글라스(130)의 표시변경은, 몸체(141)에 대한 안경테(161)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테(161)가 접혀있고 일정 기간 이상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가 없으면 글라스(13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모드로 변경하여 베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경테(161) 중 일부가 접혀 있는 경우라면, 접혀지지 않은 쪽의 글라스(130)만 활성화 할 수 있다. 안경테(161)가 접혀진 방향에 따라서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글라스(130)의 표시를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그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안경테(161)의 상태에 따라서 글래스(130)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161)는 펼쳐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즉, 제1,2 안경테(161a, 161b)가 모두 몸체(141)에 대해 약 90도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안경테(161a, 161b)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글래스(130)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글래스(13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161) 중 하나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경테(161a)가 몸체(141)의 방향으로 접혀있는 상태에 있고, 제2 안경테(161b)는 몸체(141)에 대해 약 90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안경테(161a)가 접혀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40)는 제1 안경테(161a)에 대응된 글래스(13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경테(161a) 쪽의 제1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131a)을 비활성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경테(161b)가 접혀진 상태가 되면, 제어부(140)는 그에 대응된 제2 안경테(161b)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안경테(161a, 161b)가 모두 접혀진 상태에 있으면, 제어부(140)는 글래스(130) 전체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즉, 안경테(161)가 모두 접혀지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더 이상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테(161)가 모두 접혀진 순간 또는 안경테(161)가 접혀지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순간부터 글래스(13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면 디스플레이 영역(131)을 통한 영상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40)는, 안경테(167)의 접혀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다바이스(100)의 안경테(161)는 일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경테(161) 중 일부가 접혀지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경테(161a)가 접혀지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원거리의 물체를 관찰하고 싶은 기능을 수행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의 안경테(161)만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여 오페라를 감상하는 상황과 같은 경우와 같이, 약간 멀리 있는 오브젝트를 바라보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40)는 전방의 물체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안경테(16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는 반대 방향으로 안경테(161)를 회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경테(16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너 모드(Owner mode)에서 게스트 모드(Guest mode)로 변경될 수 있다. 게스트 모드가 되면, 전자 디바이스(100)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게스트 모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보기에 편리하도록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너 모드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 게스트 모드에서는 다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너 모드와 게스트 모드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너의 개인정보 등은 게스트 모드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안경테((161)를 이용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H) 등을 이용하여 제1 안경테(161a)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경테(161a)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안경테(161a)는, 힌지(도 2의 17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안경테(161a)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제1 글래스(131a)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안경테(161b)를 조작할 수 있다. 제2 안경테(161b)에 대한 조작은, 특정 기능의 실행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경테(161a)에 대한 조작으로 메뉴 중 하나가 제2 글래스(131b)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안경테(161b)에 대한 조작을 통하여 제2 글래스(131b)에 표시된 메뉴가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경테(161b)에 대한 조작을 통해 특정 메뉴인, 음악 연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안경케(161a, 161b)에 대한 조작을 통해서 특정 글래스에 특정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안경테(161a)는 글래스(131)의 일면 방향으로, 제2 안경테(161b)는 글래스(131)의 타면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글래스(131)의 일면 방향은 제1 사용자(U1)가 위치한 방향, 글래스(131)의 타면 방향은 제2 사용자(U2)가 위치한 방향일 수 있다.
제1,2 안경테(161a, 161b)의 방향에 따라 그에 대응된 글래스(131)에 대응된 콘텐츠(C)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글래스(131a)에는 제1 안경테(161a)의 조작 방향에 대응되고, 제2 글래스(131b)에는 제2 안경테(161b)의 조작 방향에 대응되도록 콘텐츠(C)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1 안경테(161a) 방향의 제1 사용자(U1)가 시청하기 편리하도록 제1 글래스(131a)의 제1 콘텐츠(131a)의 방향을 조절하고, 제2 안경테(161b) 방향의 제2 사용자(U2)가 시청하기 편리하도록 제2 글래스(131b)의 제2 콘텐츠(131b)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글래스(131)의 표시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13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특성상 제1 글래스(131a)와 제2 글래스(131b)에 표시되는 영상이 서로 달라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글래스(131a)에는 자막이 표시되고, 제2 글래스(131b)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시선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 12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주시하고 있는가 여부 및/또는 어느 방향에서 주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U)의 주시여부 및/또는 방향에 기초하여, 글래스(131)의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테(161)의 방향에서 바라보고 있는 경우와 안경테(161)의 반대방향에서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따라 제1,2 글래스(131a, 131b)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방향 및/또는 종류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안경테(161)를 사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경테(161b)를 키보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안경테(161b)를 특정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2 안경테(161b)에 대한 조작은, 힌지(도 2의 171) 등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제2 글래스(131b)에는 자판(SA)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안경테(161b)에 대한 조작으로 자판(SA) 중 특정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문자는 제2 글래스(131b)에 입력문자(IF)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경테(161a)를 사용하여 필기 형식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안경테(161a)를 파지하고 원하는 문자의 필기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안경테(161a)의 이동에 대응된 문자입력을 받아 제1 글래스(131a)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디바이스가 상호간 페어링(pari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주위에는 제1 내지 4 다른 디바이스(100a 내지 100d)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와 제1 내지 4 다른 디바이스(100a 내지 100d)는 거리, 위치, 상호간 등록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링크 내지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간의 조건에 따라 제1 내지 3 그룹(G1, G2, G3)으로 그룹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제1 내지 6 다른 디바이스(100a 내지 100f)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지향방향에 기초하여 페어링 내지 링크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지향하는 방향의 범위 내에 속하는 제1,2 다른 디바이스(100a, 100b)가 선택적으로 페어링 내지 링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지향방향이 변경되면 페어링 내지 링크되는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a)는, 특정한 제스쳐 동작에 대응하여 상호간 링크 내지 페어링될 수 있다. 동일한 시점 내지 특정 시점에서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특정한 제스쳐 동작을 수행하면, 상호간에 페어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손가락(F1) 등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스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와 실질적으로 동시 또는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a)에 대해서 다른 사용자가 손가락(F2) 등으로 동일한 제스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제스쳐가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a)를 상호간 링크 내지 페어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자 디바이스 140 :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적아도 하나의 글라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글라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접혀진 제1 위치와, 상기 몸체 방향에서 이격된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에, 상기 글라스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일면방향으로 위치하는 제3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타면방향으로 위치하는 제4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와 상기 글라스는 각각 한 쌍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안경테중 제1 안경테는 상기 제3 위치에 있고 상기 한 쌍의 안경테 중 제2 안경테는 상기 제4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안경테에 대응된 제1 글라스와 상기 제2 안경테에 대응된 제2 글라스의 표시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방향에 대응한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그룹을 형성하되, 상기 전자디바이스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전자 디바이스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제1 감지 단계;
    안경태의 현 상태를 감지하는 제2 감지 단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안경테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글라스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접혀진 제1 위치와, 상기 몸체 방향에서 이격된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에 대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라스의 상태와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경테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에, 상기 글라스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130122755A 2013-10-15 2013-10-1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3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755A KR20150043834A (ko) 2013-10-15 2013-10-1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755A KR20150043834A (ko) 2013-10-15 2013-10-1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34A true KR20150043834A (ko) 2015-04-23

Family

ID=5303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755A KR20150043834A (ko) 2013-10-15 2013-10-15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17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2215984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17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733952B2 (en) 2020-10-30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system including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WO2022215984A1 (ko) * 2021-04-07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665B1 (ko)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288807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egmenting image
KR102039427B1 (ko) 스마트 글라스
JP6940702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連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0647865A (zh) 人脸姿态的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9500867B2 (en) Head-tracking based selection technique for head mounted displays (HMD)
US20120075177A1 (en) Lapel microphone micro-display system incorporating mobile information access
KR20150037254A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레이어 제어 방법
US20160132189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image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same
KR201300811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2278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10359839B2 (en) Performing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behaviour
KR102110208B1 (ko) 안경형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839128B (zh) 拍照行为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134632A1 (zh) 作品处理方法及装置
US9313391B1 (en) Camera interfac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210383673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8848405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995868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31577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KR20150043834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N115904079A (zh) 显示设备调整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2007505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211843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70945A1 (ja)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