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124A -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124A
KR20220058124A KR1020200143517A KR20200143517A KR20220058124A KR 20220058124 A KR20220058124 A KR 20220058124A KR 1020200143517 A KR1020200143517 A KR 1020200143517A KR 20200143517 A KR20200143517 A KR 20200143517A KR 20220058124 A KR20220058124 A KR 2022005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shaft
coupl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14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124A/ko
Priority to DE102021212118.7A priority patent/DE102021212118A1/de
Priority to US17/512,877 priority patent/US20220136564A1/en
Priority to CN202111276959.4A priority patent/CN114435464A/zh
Publication of KR2022005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ade of rubber or simi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ring centered on the axis, surrounding a portion of one coupling part and surrounded by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경방향으로 확장된 제1대경부와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축과 제2축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제1대경부에 대응되는 제2대경부와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축과 제2축 중 다른 한쪽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제1대경부와 제2대경부 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단부와 탄성 변형되는 탄성돌기부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본 실시예들은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동력 전달부재에 비하여 제1축으로부터 제2축으로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없이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이나 충격에 의한 진동과 노이즈를 흡수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돌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 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다. 이러한 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힘을 덜어주기 위해 보조 동력 기구로써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의 회전을 감지하여 랙 혹은 조향축에 설치되어 회전 운동을 도와주는 모터를 가동시켜 조향장치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서의 동력 전달부재는 어느 정도 내구가 진행되거나 오프로드와 같은 도로를 주행시 큰 충격이 조향축을 타고 역입력되어 접촉에 의한 노이즈와 마모 및 유격 증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내구 진행 후에는 동력 전달부재에 고온으로 인한 노화, 마모, 영구 압축 등으로 인해 래틀 노이즈와 소음 증대, 강성 저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동력 전달부재에 비하여 제1축으로부터 제2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없이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이나 충격에 의한 노이즈를 흡수하며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경방향으로 확장된 제1대경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축과 제2축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제1대경부에 대응되는 제2대경부가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축과 제2축 중 다른 한쪽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제1대경부와 제2대경부 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단부가 구비되어 있고 축방향의 끝단부에는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돌기부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동력 전달부재에 비하여 제1축으로부터 제2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없이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이나 충격에 의한 노이즈를 흡수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200)는, 경방향으로 확장된 제1대경부(211)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1결합홀(212)이 형성되어 제1축(201)과 제2축(203)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210), 제1대경부(211)에 대응되는 제2대경부(221)가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홀(222)이 형성되어 제1축(201)과 제2축(203) 중 다른 한쪽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20), 제1대경부(211)와 제2대경부(221) 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단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축방향의 끝단부에는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지지되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돌기부(235)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부재(230)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재(200)는 모터, 펌프 등의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축(201)과 동축상에 연결되어 동력원으로부터 제2축(203)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1축(201)으로는 모터축, 제2축(203)으로는 웜축으로 이루어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210)는 제1축(201)과 결합되고 제2결합부재(220)는 제2축(203)과 결합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 경우에 동력 전달부재(200)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축과 웜축을 연결하여 모터에서 발생된 보조 동력을 웜휠에 결합되어 있는 조향축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는 동력 연결 장치로 이용된다.
여기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향휠(101)부터 양측 바퀴(108)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100) 및 조향 계통(100)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 기구(120)를 포함한다.
조향계통(100)은 일측이 조향휠(101)에 연결되어 조향휠(101)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설 조인트(103)를 매개로 피니언축(104)에 연결되는 조향축(102)을 포함한다.
또한, 피니언축(104)은 랙-피니언 기구부(105)를 통해 랙바에 연결되고 랙바의 양단은 타이로드(106)와 너클암(107)을 통해 차량의 바퀴(108)에 연결된다. 랙-피니언 기구부(105)는 피니언축(104)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11)와 랙바의 외주면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112)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므로 운전자가 조향휠(101)을 조작하면 조향계통(100)에서 토크가 발생하고 토크에 의해서 랙-피니언 기구부(105)와 타이로드(106)를 통하여 바퀴(108)를 조향하게 된다.
보조 동력기구(120)는 운전자가 조향휠(101)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25), 토크 센서로 부터 전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123),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 및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조향축(102)에 전달하는 감속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재(200)는 제1축(201)과 제2축(203)을 동축상으로 연결하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가 제1축(201)과 제2축(203)에 각각 결합되며 이들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의 사이에는 중간부재(230)가 결합되어 있다.
모터축인 제1축(201)은 제1베어링(202)에 의해 제1하우징(207)에 지지되고 웜축인 제2축(203)은 제2베어링(204)으로 제2하우징(205)에 지지되며 동력 전달부재(200)를 매개로 제1축(201)과 제2축(203)이 결합된다.
제1결합부재(210)는 경방향으로 확장된 제1대경부(211)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제1축(201)과 결합되는 제1결합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된 제1대경부(211)의 사이에는 제1대경부(211)들의 외주면보다 경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부(2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1대경부(211)와 함몰부(216)가 교번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결합홀(212)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와 대응되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제1축(201)과 결합됨으로써 제1축(201)의 회전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제2결합부재(220)는 제1결합부재(210)의 제1대경부(211)에 대응되는 제2대경부(221)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홀(222)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와 대응되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제2축(203)과 결합됨으로써 제2축(203)의 회전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제1결합부재(210)는 중간부재(230)와 제2결합부재(220)가 삽입되는 실린더부(213)와 실린더부(213)의 내측 끝단부를 메우며 중심부에 제1결합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21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부재(230)에는 제1대경부(211)와 제2대경부(221) 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단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축방향의 끝단부에는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지지되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돌기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단부(231)의 경방향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단부(231a)가 구비되어 있어서, 중간부재(230)가 제1결합부재(210)에 결합될 때 돌출단부(231a)가 탄성 압축되며 제1대경부(211)의 내주면을 지지하게 되어 충격과 노이즈를 흡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단부(231)의 경방향 외주면에는 돌출단부(231a)의 원주방향 양측에서 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함몰되며 형성되는 외측홈부(231b)가 구비되어 있어서, 돌출단부(231a)가 경방향으로 탄성 압축되면서 원주방향의 양측으로 팽창되는 변형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210)와 중간부재(230)의 결합시 경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조립 오차나 제작 오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제1축(201)과 제2축(203)의 동축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부재(230)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인접되어 있는 삽입단부(231)의 사이에 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내측홈부(23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홈부(233)는 제1축(201)과 제2축(203)이 서로 맞물려 회전면서 동축상에서 벗어나는 충격 하중이 입력될 때 삽입단부(231)의 원주방향과 경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흡수함과 동시에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고온시 중간부재(230)의 열팽창이 원주방향의 내측홈부(233)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제1축(201)으로부터 제2축(203)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없이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이나 충격에 의한 노이즈를 흡수하게 되어 있다.
중간부재(230)는 제2결합부재(220)가 삽입되는 축방향 격벽(239)과 축방향 격벽(239)의 끝단부를 메우며 중심부에 관통홀(237)이 형성되어 있는 경방향 격벽(236)이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축방향 격벽(239)의 외주측에 전술한 삽입단부(231)와 돌출단부(231a), 외측홈부(231b), 내측홈부(233) 등이 형성되며 경방향 격벽(236)의 외주측에 탄성돌기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재(230)의 축방향 끝단부 즉, 경방향 격벽(236)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돌기부(235)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4개의 삽입단부(231) 각각에 1개씩의 탄성돌기부(235)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탄성돌기부(235)는 삽입단부(231) 각각의 축방향 끝단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어 조립시 탄성 압축되며 결합되어 축방향의 충격과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탄성돌기부(235)의 축방향 끝단부와 삽입단부(231)와 연결되는 부위와의 사이에 빈 공간(235d)이 구비되어 있어서 축방향의 충격 및 하중 흡수와 더불어 내구가 진행된 후 중간부재(230)의 마모나 영구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탄성돌기부(235)의 탄성 복원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돌기부(235)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부(231)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235a), 내측에 공간(235d)이 구비되도록 연결돌기(235a)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이격되며 분기되고 끝단부에 내측의 공간(235d)과 연통되는 개구부(235c)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탄성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돌기(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기(235a)는 지지돌기(235b)에 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삽입단부(231)와 지지돌기(235b)의 사이에서 지지돌기(235b)의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강성이 높게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기(235b)는 내측 공간(235d)보다 개구부(235c)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끝단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오므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235b)는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개구부(235c)가 위치되고 내부에 공간(235d)이 구비되는 원통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돌기(235a)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지지돌기(235b)가 조립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조립되어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게 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전달되면 연결돌기(235a)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돌기부(235)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부(231)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235a), 내측에 공간(235d)이 구비되도록 끝단부가 연결돌기(235a)의 단부에서 경방향의 어느 일측으로 벤딩되어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돌기(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235b)는 끝단부가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과 이격되도록 외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1축(201)과 제2축(203)의 회전시 지지돌기(235b)와 제1결합부재(210)와의 과도한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하고 마찰 노이즈를 줄이게 된다.
그리고, 연결돌기(235a)는 지지돌기(235b)와 연결되는 부위의 내측면 즉, 중간부재(230)의 관통홀(237)이 형성되어 있는 경방향 격벽(236)과 지지돌기(235b)가 둘러싸며 공간(235d)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내구가 진행된 후에도 지지돌기(235b)의 탄성 변형이 지속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돌기부(2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부(231)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235a), 내측에 공간(235d)이 구비되도록 끝단부가 연결돌기(235a)의 단부에서 경방향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제1결합부재(210)의 내측면(215a)에 탄성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돌기(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235b) 각각의 두께는 연결돌기(235a)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시 지지돌기(235b)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조립되어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게 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전달되면 연결돌기(235a)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축(201)과 제2축(203)이 맞물려 정상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지지돌기(235b)의 탄성 지지력으로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게 되고 노면의 요철과 같이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전달되면 연결돌기(235a)가 보다 큰 탄성 지지력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는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폴리 아세탈(POM), 폴리 아미드(PA),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이미드(PI), 폴리 부틸렌 테레프 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재(230)는 탄성력과 함께 내후성과 신축성 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의 동력 전달부재에 비하여 제1축으로부터 제2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없이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열이나 충격에 의한 노이즈를 흡수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동력 전달부재 201: 제1축
203: 제2축 210: 제1결합부재
211: 제1대경부 220: 제2결합부재
221: 제2대경부 230: 중간부재
231: 삽입단부 235: 탄성돌기부

Claims (18)

  1. 경방향으로 확장된 제1대경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제1축과 제2축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대경부에 대응되는 제2대경부가 배치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축과 제2축 중 다른 한쪽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상기 제1대경부와 제2대경부 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단부가 구비되어 있고 축방향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탄성 변형되는 탄성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부재;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홀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측 끝단부를 메우며 중심부에 상기 제1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전달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홀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의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부의 경방향 외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부의 경방향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단부의 원주방향 양측에서 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함몰되며 형성되는 외측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원주방향으로 인접되어 있는 삽입단부의 사이에는 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함몰되며 형성되는 내측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삽입단부 각각의 축방향 끝단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축방향의 끝단부와 상기 삽입단부와 연결되는 부위와의 사이에 빈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 각각은,
    상기 삽입단부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
    내측에 상기 공간이 구비되도록 상기 연결돌기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이격되며 분기되고 끝단부에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공간보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끝단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오므라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개구부가 위치되고 내부에 상기 공간이 구비되는 원통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 각각은,
    상기 삽입단부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
    내측에 상기 공간이 구비되도록 끝단부가 상기 연결돌기의 단부에서 경방향의 어느 일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끝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외측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지지돌기와 연결되는 부위의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 각각은,
    상기 삽입단부의 끝단면과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돌기;
    내측에 상기 공간이 구비되도록 끝단부가 상기 연결돌기의 단부에서 경방향의 양측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내측면에 탄성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각각의 두께는 상기 연결돌기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KR1020200143517A 2020-10-30 2020-10-30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KR2022005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17A KR20220058124A (ko) 2020-10-30 2020-10-30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DE102021212118.7A DE102021212118A1 (de) 2020-10-30 2021-10-27 Kraftübertragungseinrichtung einer lenkvorrichtung
US17/512,877 US20220136564A1 (en) 2020-10-30 2021-10-28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CN202111276959.4A CN114435464A (zh) 2020-10-30 2021-10-29 转向装置的动力传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17A KR20220058124A (ko) 2020-10-30 2020-10-30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124A true KR20220058124A (ko) 2022-05-09

Family

ID=8118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517A KR20220058124A (ko) 2020-10-30 2020-10-30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36564A1 (ko)
KR (1) KR20220058124A (ko)
CN (1) CN114435464A (ko)
DE (1) DE1020212121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48102A (fr) * 1932-12-27 1933-06-29 Simms Motor Units Ltd Perfectionnements aux accouplements d'arbres
US2250448A (en) * 1937-12-24 1941-07-29 Timken Roller Bearing Co Shaft coupling
DE9415460U1 (de) * 1994-09-23 1995-07-20 Siemens AG, 80333 München Getriebeantrieb, insbesondere Schneckengetriebe
KR101271324B1 (ko) * 2011-06-20 2013-06-0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09003617B (zh) 2013-01-21 2023-08-15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在不同回放设备之间优化响度和动态范围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12118A1 (de) 2022-05-05
CN114435464A (zh) 2022-05-06
US20220136564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190B2 (en)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11173950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JP4989707B2 (ja) 電動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減速機
KR102635273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EP3613651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KR1014057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86428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13156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569198B1 (ko)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US1153072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steering system
KR10130487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용 웜샤프트 댐퍼구조체
US11148712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12183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81827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220058124A (ko)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KR10126109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39325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 부재
KR10104363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661559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39566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24870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42143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76028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254278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220123833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감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