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077A -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077A
KR20220058077A KR1020200143398A KR20200143398A KR20220058077A KR 20220058077 A KR20220058077 A KR 20220058077A KR 1020200143398 A KR1020200143398 A KR 1020200143398A KR 20200143398 A KR20200143398 A KR 20200143398A KR 20220058077 A KR20220058077 A KR 2022005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vehicle
air duct
displa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077A/ko
Priority to US17/514,915 priority patent/US11850919B2/en
Publication of KR2022005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는 칵핏 내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며, 좌우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노브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노브의 좌우 이동에 따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 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AIR VENT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래형 칵핏(cockpit) 및 차량 인테리어 컨셉이 실내 공간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칵핏 전방에 대화면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됨에 따라 전장품 배치 공간이 부족해지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하여, 칵핏 내 에어벤트를 구성할 수 있는 영역이 축소 혹은 가려질 수 있는 상황이어서 구조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칵핏 내 대화면 디스플레이의 하단에 에어 덕트를 배치시키고,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노브의 좌우 이동에 따라 에어 덕트의 풍향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는 칵핏 내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며, 좌우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노브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노브의 좌우 이동에 따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 덕트를 포함한다.
에어 덕트는 차량 내 공조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에어 덕트의 토출구는 유입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덕트는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윙을 구비하고, 윙은 노브와 연동되어 좌우 조절될 수 있다.
에어 덕트는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좌, 우 풍향 구간을 구획하고, 좌 풍향 구간과 우 풍향 구간에 각각 배치된 윙은 노브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에어 덕트는 노브가 좌, 우 풍향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위치할 때, 노브가 위치한 해당 구간에 배치된 윙만 노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에어 덕트는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에 복수의 메쉬 홀을 갖는 메쉬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노브는 에어 덕트의 풍향을 조절할 시, 디스플레이와의 연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정지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차량 내 공조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차량 내부로 향하는 길이 방향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에어 덕트를 포함한다.
이때, 에어 덕트의 토출구는 에어 덕트의 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며, 에어 덕트의 유입구부터 에어 덕트의 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큰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노브는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에어 덕트의 토출구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기능 영역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위치 센서는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 제어 유닛(ECU)으로 전송할 수 있다.
노브와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잇는 와이어가 구비된다.
와이어는 노브가 가이드 레일상에서 이동 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 주변에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노브와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잇는 와이어가 구비되며, 에어 덕트의 상단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노브는 디스플레이와 UWB(Ultra-Wide Band) 방식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 덕트의 풍향 상태를 영상 정보로 표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클러스터 정보가 담긴 디스플레이의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노브의 좌우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이 폭 방향에 배치된 에어 덕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덕트는 중앙을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좌우로 경사진 복수의 윙을 구비할 수 있다.
에어 덕트의 윙은 노브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는 칵핏 전방에 대화면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된 구조에서도, 디스플레이와 연동된 슬라이딩 노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칵핏 공간의 자유도를 확보하고, 직관적 조작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하단에 구비된 에어 덕트 사이에 윙과 노브를 연동시켜, 에어 덕트 내에서 노브가 좌우 이동함에 따라 에어 덕트의 풍향도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을 나타낸 작동 관계도.
도 6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100)는 슬림화 된 칵핏 내 디자인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0)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100)는 노브(110)와 에어 덕트(120)를 포함한다.
노브(110)는 좌우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10)의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노브(110)는 디스플레이(10)의 하단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적 메커니즘을 갖는다.
노브(110)가 이동한 상태에서, 원하는 모드를 수행하려면 노브(110)를 회전시키거나 누르면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0)의 화면 배치나 각 기능별 위젯 설정은 사용자가 설정 모드에서 편하게 조작할 수도 있다.
이때, 노브(110)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 레일(130)이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130)은 디스플레이(10)에 표출되는 각 기능의 위젯과 연동되는 복수의 기능 영역을 구분한다.
가이드 레일(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위치 센서는 노브(110)가 가이드 레일(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시, 노브(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센싱 데이터를 차량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해당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 전송한다. ECU는 위치 센서로부터 전송받은 노브(110)의 센싱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그 결과 값을 통해 디스플레이(10)에 해당되는 기능의 위젯이 영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브(110)와 디스플레이(10)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잇는 와이어(140)가 구비된다.
와이어(140)는 노브(110)가 가이드 레일(130)상에서 이동 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130) 주변에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 덕트(120)의 상단에는 와이어(140)가 관통되는 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0)는 노브(110)가 기능 영역에 위치할 때마다 차량 운행 정보에 대한 각 기능별 영상을 전환하여 표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0)는 칵핏 내 설치된 대화면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0)가 센터페시아에 대화면으로 위치함에 따라, 주변 전장품의 배치 공간이 어려운 관계로, 차량 운행 정보에 대한 기능을 갖춘 기존의 물리적 버튼 대신에, 디스플레이(10)는 해당 기능을 위젯 영상으로 표출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10)는 위젯으로 표출된 해당 기능에 대한 메뉴의 깊이와 조작단계를 축소함으로써 직관성과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 덕트(120)의 풍향 상태를 영상 정보로 표출할 수도 있다.
에어 덕트(120)는 차량 내 공조 장치(2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121)와,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122)를 포함한다.
이때, 에어 덕트(120)의 토출구(122)는 유입구(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을 나타낸 작동 관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에어 덕트(120)는 복수의 윙(123)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윙(123)은 에어 덕트(12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윙(123)은 노브(110)와 연동되어 좌우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노브(110)를 조작할 시, 노브(11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윙(123)이 노브(110)와 함께 움직이며 차량 내 전체 방향으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한다.
노브(110)는 에어 덕트(120)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형상 자체가 토출구를 가리는 방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노브(110)의 위치 방향으로 토출구가 가려지는 만큼의 윙(123) 조절이 요구되며, 복수의 윙(123) 조절을 통해 풍량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에어 덕트(120)는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좌, 우 풍향 구간을 구획한다.
좌 풍향 구간과 우 풍향 구간에 각각 배치된 윙(123)은 노브(110)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에어 덕트(120)는 노브(110)가 좌, 우 풍향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위치할 때, 노브(110)가 위치한 해당 구간에 배치된 윙(123)만 노브(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도 있다.
노브(110)는 에어 덕트(120)의 풍향을 조절할 시, 디스플레이(10)와의 연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정지하는 설정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 덕트(120)는 폭 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경사진 복수의 윙(123)이 확산형 오픈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윙(123)은 노브(110)의 조작과는 상관없이 노브(11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복수의 윙(123)은 노브(110)와 연동되지 않고, 노브(110)의 이동과 상관없이 차량 내부로 진입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도 7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에서의 방위 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를 나타냈다. 전, 후 방향은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좌, 우는 폭 방향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공조 성능은 풍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풍량은 칵핏 내 에어 덕트(120) 및 토출구(122)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면적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7에서의 에어 덕트(120)는 윙이 적용되지 않은 오픈 구조를 가지며, 차량 내 공조 장치의 토출구(해당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유입구(121)가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된다. 차량 내부로 향하는 길이 방향 타측에는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이때, 에어 덕트(120)의 토출구(122)는 유입구(121)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에어 덕트(120)는 유입구(121)부터 토출구(122)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큰 경사 구조를 갖는다.
노브(110)가 에어 덕트(120)의 토출구(122)상에서 폭 방향으로 좌, 우 무빙이 되더라도 토출구(122)는 노브(110)의 위치와 상관없이 토출 단면적 유지가 가능하다.
도 8은 도 1에 표시된 A-A' 단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서의 에어 덕트(120)는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122)에 복수의 매쉬 홀(124a)을 갖는 메쉬 커버(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메쉬 커버(124)는 노브(110)가 좌우 이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단 및/또는 하단에 별도의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메쉬 커버(124)는 노브(110)의 좌우 이동과 상관없이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 공기를 균일하게 확산시켜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노브(110)는 디스플레이(10)와 UWB(Ultra-Wide Band) 방식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다.
UWB는 ToF 기술을 활용하여 통신 주체 사이의 신호 도달 시간이 빛의 속도를 곱함으로써 주체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기술이다.
UWB는 와이파이, 블루투스와는 다르게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낮은 전력으로 높은 전송 속도를 통해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UWB 기술을 이용한 측위는 20센티미터 내외의 낮은 오차율을 보이며, 장애물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와이파이 등의 다른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0)와 노브(110)가 UWB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ECU(30)에 의해 통합 제어가 가능하다.
예컨대, 노브(110)가 가이드 레일(130)를 따라 위치 이동을 하면, 노브(110)와 연동된 디스플레이(10)에는 노브(110)의 위치와 연동되는 각 기능별 위젯을 표출한다.
사용자가 표출된 위젯을 설정하면 해당 기능이 ECU(30)의 명령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 덕트(120)의 풍향 상태를 영상 정보로 표출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10)와 노브(110)의 엘시디(미도시, 노브 터치 부분)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이루어져, 터치 감도를 향상시켰다.
사용자가 노브(110) 그립을 위해 피 도체(신체, 전류가 흐르는 물체 포괄)를 기 설정된 근접 거리로 접근시킬 때, 엘시디나 디스플레이(10)가 이를 인식하여 시스템을 연동시킨다.
이때, 노브(110)의 하단에는 IR 센서(미도시)나, ToF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한다.
물론, IR 센서나 ToF 센서는 노브(110)의 하단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 화각에 방해받지 않는 위치라면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노브(110) 테두리의 그립부는 전도성 물질을 적용하여 내측 정전 터치 센서를 연결함으로써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노브(110) 테두리의 내측 둘레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타입의 터치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 20: 공조 장치
30: ECU 100: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10: 노브 120: 에어 덕트
121: 유입구 122: 토출구
123: 윙 124: 메쉬 커버
124a: 메쉬 홀

Claims (16)

  1. 칵핏(cockpit) 내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며,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의 좌우 이동에 따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차량 내 공조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윙을 구비하고,
    상기 윙은 상기 노브와 연동되어 좌우 조절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좌, 우 풍향 구간을 구획하고,
    상기 좌 풍향 구간과 우 풍향 구간에 각각 배치된 윙은 상기 노브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회동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노브가 상기 좌, 우 풍향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노브가 위치한 해당 구간에 배치된 윙만 상기 노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차량 내부로 향하는 토출구에 복수의 메쉬 홀을 갖는 메쉬 커버를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조절할 시, 상기 디스플레이와의 연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정지 설정이 가능한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8.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차량 내 공조 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차량 내부로 향하는 길이 방향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에어 덕트의 유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에어 덕트의 유입구부터 상기 에어 덕트의 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큰 경사 구조를 갖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에어 덕트의 토출구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기능 영역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노브의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 제어 유닛(ECU)으로 전송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잇는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노브가 상기 가이드 레일상에서 이동 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주변에서 절곡 형성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디스플레이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잇는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덕트의 상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UWB(Ultra-Wide Band)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 상태를 영상 정보로 표출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5.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클러스터 정보가 담긴 디스플레이의 각종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좌우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이 폭 방향에 배치된 에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덕트는
    중앙을 중심으로 폭 방향을 따라 좌우로 경사진 복수의 윙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의 윙은
    상기 노브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KR1020200143398A 2020-10-30 2020-10-30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KR2022005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98A KR20220058077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US17/514,915 US11850919B2 (en) 2020-10-30 2021-10-29 Air vent apparatu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98A KR20220058077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77A true KR20220058077A (ko) 2022-05-09

Family

ID=813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398A KR20220058077A (ko) 2020-10-30 2020-10-30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50919B2 (ko)
KR (1) KR20220058077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4605A1 (de) * 2001-03-23 2002-09-26 Behr Gmbh & Co Strömungsausla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innenraum-Belüftungssystem
DE10121909B4 (de) * 2001-05-03 2006-12-14 Saia-Burgess Ozd Kft. Belüf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11114051B4 (de) * 2011-09-22 2016-1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FR3028810B1 (fr) * 2014-11-20 2016-12-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use de sortie d’air pour systeme d’air conditionne de vehicule automobile
JP6385007B2 (ja) * 2015-11-30 2018-09-05 株式会社ニフコ 風向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4849A1 (en) 2022-05-05
US11850919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245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vor einer bedienung eines schalters zur elektro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teils eines fortbewegungsmittels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166895B1 (ko)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US7342485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ntrol means for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operating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US20150066245A1 (en)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installed on steering wheel
KR10179699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GB2423808A (en)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US10133357B2 (en)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KR10157564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085321A1 (en) Dial-type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70277323A1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2885142A1 (de) Bedien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hierzu
JP2018154223A (ja) ドアトリムユニット
KR2016003300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EP3358454A1 (de) Anwenderschnittstelle,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anwenderunterscheidung
CN111231860B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KR101886084B1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KR20220058077A (ko) 차량의 에어벤트 장치
US11485341B2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KR10166555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48257A (ko) 히든 스위치 장치
KR20220055229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13492776A (zh) 用于汽车内部的中央控制单元
KR2015005350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5003A (ko) 노브 위치 인식률을 개선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