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065A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065A
KR20220058065A KR1020200143360A KR20200143360A KR20220058065A KR 20220058065 A KR20220058065 A KR 20220058065A KR 1020200143360 A KR1020200143360 A KR 1020200143360A KR 20200143360 A KR20200143360 A KR 20200143360A KR 20220058065 A KR20220058065 A KR 2022005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revention
locking
door
machine too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용확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065A/ko
Publication of KR2022005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B23Q11/0089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actuating operator protecting means, e.g. closing a cover element, producing an alarm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2Por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Y2900/60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와, 도어부와 함께 이동되는 제1잠금부와, 본체부의 폐쇄 시 제1잠금부와 체결되어 도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부 및 본체부와 도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제1잠금부의 이동 방향을 제2잠금부에 대한 체결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안전 잠금기능을 갖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든가 또는 반소재에 더욱 정밀한 가공을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공작기계라 한다. 이러한 공작기계 중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는 공작기계를 절삭공작기계라고 하고, 가공과정에서 칩이 발생하지 않는 비절삭 공작기계를 금속가공기계라고 한다. 절삭공작기계에는 선반(lathe), 밀링기,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드릴링기, 보링기, 연삭기, 기어가공기, 특수가공기 등이 있으며, 금속성형기계에는 기계식 프레스, 유압식 프레스, 절단절곡기, 단조기, 인발기 등이 있다.
공작기계에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절삭유와 칩 등이 비산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기계 본체를 둘러싸는 커버와, 커버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는 안전상의 이유로 공작물이 가공되는 도중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갖는 공작기계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작기계는 도어의 특성상 조립시 도어 개폐작동을 위한 단차 또는 도어레일에 축적되는 칩과 같은 이물질의 존재로 잠금 장치의 체결 방향을 맞추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잠금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680호(2014.06.17 공개, 발명의 명칭: 도어 안전 잠금 기능을 갖는 공작 기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작동을 잠금 수단의 체결 작동과 원활하게 연동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이동되는 제1잠금부; 상기 본체부의 폐쇄 시 상기 제1잠금부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한 체결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고정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제1잠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제1축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 및 상기 제1유동방지부와 상기 진입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정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입부는 상기 제1유동방지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제1유동방지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2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1유동방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축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2유동방지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정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2유동방지부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는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에 의해 본체부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는 가이드부에 의해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의 체결 방향을 정렬시킬 수 있어 잘못된 진입 방향으로 인한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는 제1유동방지부와 제2유동방지부에 의해 가이드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의 제1축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의 제2축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는 본체부(100), 도어부(200), 제1잠금부(300), 제2잠금부(400), 가이드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부(100)는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선반, 드릴링머신, 절삭기구 등 다양한 종류의 가공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00)는 일측이 개구됨에 따라 내부 공간이 외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공작물의 설치 또는 가공기구의 관리를 위해 작업자가 본체부(100)의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본체부(10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200)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에 개구된 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본체부(100)를 개폐시킨다. 도어부(200)는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100)를 개방시키고,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100)를 폐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어부(20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닫이 방식 등 이동 방향에 따라 본체부(10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잠금부(300)는 도어부(200)와 함께 이동되며, 도어부(200)가 본체부(100)를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후술하는 제2잠금부(400)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잠금부(300)는 도어부(200)에 직접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도어부(2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300)는 도어부(2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잠금부(300)는 가이드부(500)에 구비되는 이동프레임(522)에 고정됨에 따라 도어부(200)와 연결된다. 제1잠금부(300)의 단부는 제2잠금부(400)에 구비되는 잠금홈(42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잠금부(400)는 본체부(100)의 폐쇄 시, 제1잠금부(300)와 체결되어 도어부(2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잠금부(400)는 도어부(200)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본체부(100)를 폐쇄하는 경우, 제1잠금부(300)와 체결되어 제1잠금부(300)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제1잠금부(300)와 연결된 도어부(200)가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잠금부(4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제1잠금부(400)의 이동에 대한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잠금부(400)는 볼팅, 용접 등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1잠금부(300)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박스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잠금부(420)가 제1잠금부(300)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1잠금부(300)의 단부가 제2잠금부(4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함몰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잠금부(300)가 제2잠금부(400)에 올바르게 체결되는 방향인 체결 방향(A)은 제1잠금부(300)가 삽입홈(410)에 간섭 없이 삽입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잠금부(300)의 중심선이 삽입홈(410)의 중심선과 일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잠금부(400)의 내부에는 제1잠금부(300)의 단부와 체결되어 제1잠금부(3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후술하는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제1잠금부(300)와의 체결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본체부(100)와 도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을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500)는 본체부(100)에 대한 도어부(200)의 상대이동에 간섭되어 도어부(200)와 함께 이동되는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을 제2잠금부(400)에 대한 체결 방향(A), 즉 잠금홈(410)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500)는 도어부(200)의 슬라이드 경로 상에 쌓인 칩 또는 도어부(200) 자체의 단차 등에 의해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이 체결 방향(A)으로부터 틀어지더라도, 이를 다시 올바른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제1잠금부(300)가 제2잠금부(400)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00)는 고정가이드부(510), 이동가이드부(520)를 포함한다.
고정가이드부(51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이동가이드부(520)의 이동 경로를 마련한다. 고정가이드부(510)는 본체부(100)에 위치 고정됨에 따라 이동가이드부(520)의 이동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가이드부(510)는 고정프레임(511), 가이드레일(512)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511)은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술하는 가이드레일(512)을 지지한다. 고정프레임은(511)은 장공 형상의 관통홀 등에 의해 본체부(10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511)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0)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512)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레일(512)은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방향(A)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22)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5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511)에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되는 판 형상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520)는 도어부(200)에 설치되고, 도어부(200)의 이동 시 고정가이드부(520)를 따라 이동되며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을 체결 방향(A)으로 정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부(520)는 이동프레임(521), 가이드부재(522)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521)은 도어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술하는 가이드부재(522)를 지지한다. 이동프레임(521)은 장공 형상의 관통홀 등에 의해 도어부(20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5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300)가 볼팅,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521)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부(200)에 고정되어 가이드부재(522)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부재(522)는 이동프레임(521)으로부터 연장되고, 이동프레임(521)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가이드레일(512)로 삽입되거나 가이드레일(512)로부터 분리된다. 가이드부재(522)는 도어부(200)에 의한 본체부(100)의 폐쇄 시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이동되며 제1잠금부(300)의 이동을 안내, 보다 구체적으로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을 체결 방향(A)으로 정렬시킨다.
가이드레일(512)과 가이드부재(522)는 상대이동 시 이동 방향이 제1축(X) 또는 제2축(Y)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512)과 가이드부재(522)는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축(X)과 제2축(Y)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방향(A)과 평행한 직선이 수직하게 관통하는 평면상에서 서로 수직한 관계에 놓여있는 좌표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X)은 제2잠금부(40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 예시되며, 제2축(X)은 제2잠금부(400)의 높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으로 예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512)과 가이드부재(522)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512)은 진입부(512a), 제1유동방지부(512b), 제1정렬부(512c)를 포함한다.
진입부(512a)는 가이드레일(512)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재(522)가 최초로 진입되는 가이드레일(512)의 입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부(512a)는 일측 단부가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진입부(512a)는 가이드부재(522)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1유동방지부(512b)의 폭 또는 가이드부재(52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제1유동방지부(512b)는 가이드레일(512)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고, 진입부(512a)와 연통되며, 가이드부재(522)와 접촉되어 가이드부재(522)가 제1축(X)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부(512b)는 길이방향이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방향(A)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유동방지부(512b)는 폭 방향이 제1축(X)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유동방지부(512b)의 폭은 후술하는 삽입부(522a)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재(522)의 삽입 시 내측면이 삽입부(522a)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제1유동방지부(512b)는 일측 단부가 진입부(512a)의 타측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후술하는 제1정렬부(512c)를 통해 진입부(512a)와 연통된다.
제1정렬부(512c)는 제1유동방지부(512b)와 진입부(512a)의 사이에 구비되고, 가이드부재(522)가 진입부(512a)로부터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제1정렬부(512c)는 진입부(512a)와 제1유동방지부(512b)의 폭 차이로 인한 가이드부재(522)의 급격한 이동 또는 가로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정렬부(512c)는 진입부(512a)의 타측 단부로부터 제1유동방지부(512b)의 일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정렬부(512c)의 경사 각도는 진입부(512a)와 제1유동방지부(512b)의 폭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삽입부(522a)는 이동프레임(521)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축(Y)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의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부(522a)는 도어부(200)의 정상 작동 시, 중심선이 제1유동방지부(522a)의 중심선의 연장선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삽입부(522a)는 제1유동방지부(512b)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 시 외측면이 제1유동방지부(512b)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제1축(X)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제2유동방지부(522b)는 삽입부(522a)로부터 연장되고,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축(Y)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유동방지부(522b)는 삽입부(522a)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로부터 제2축(Y) 방향, 즉 제2잠금부(400)의 높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방지부(522b)는 삽입부(522a)의 외측면에서 삽입부(522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유동방지부(522b)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삽입부(522a)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2유동방지부(522b)는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512)의 상, 하면(도 2 기준)과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유동방지부(522b)는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로부터 제2축(Y)으로 이동되는 것을 양방향에서 방지할 수 있다.
제2정렬부(522c)는 삽입부(522a)와 제2유동방지부(522b)의 사이에 구비되고,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제2정렬부(522c)는 삽입부(522a)와 제2유동방지부(522b)의 폭 차이로 인한 가이드부재(522)의 제1유동방지부(512b)로의 급격한 이동 또는 가로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렬부(522c)는 제2유동방지부(522b)의 단부로부터 삽입부(522a)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테이퍼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정렬부(522c)의 경사 각도는 삽입부(522a)와 제2유동방지부(522b)의 폭 차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600)는 제2잠금부(400)와 연결되어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상태를 조절하며,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0)는 제2잠금부(400)에 설치되는 잠금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 신호에 의해 잠금수단을 제1잠금부(3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의 체결 시 스위치 작동되어 제1잠금부(300)와 제2잠금부(400)가 체결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의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공작물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어부(200)를 일측(도 7 기준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본체부(100)를 폐쇄시킨다.
이후, 가이드부(500)는 도어부(200)와 함께 이동되는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을 제2잠금부(400)에 대한 체결 방향(A)으로 정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부(200)의 이동 시, 도어부(200)에 결합된 이동프레임(521)은 도어부(200)와 함께 이동되며 가이드부재(522)를 이동시킨다. 이후 가이드부재(522)는 진입부(512a)를 통해 제1유동방지부(512b)로 진입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522)는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을 제2잠금부(400)에 대한 체결 방향(A)으로 정렬시킴과 동시에, 가이드레일(512) 상에서 제1축(X) 또는 제2축(Y)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의 제1축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물질, 단차 등으로 인해 도어부(200)의 이동 방향이 제1축(X)을 따라 좌측(도 10 기준)으로 소정 거리 평행 이동된 경우, 가이드부재(522)는 중심선이 제1유동방지부(512b)의 중심선과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로 진입부(512a)에 진입된다.
이후 삽입부(522a)의 외측면은 제1정렬부(512c)의 일측(도 10 기준 좌측)에 접촉된다.
가이드부재(522)가 계속하여 이동됨에 따라, 삽입부(522a)는 제1정렬부(512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며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된다.
이후, 이동프레임(521)은 도어부(200)의 이동 방향을 제1축(X)을 따라 우측(도 10 기준)으로 평행 이동시켜 제1유동방지부(512b)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다. 제1유동방지부(512b)의 길이 방향이 체결 방향(A)과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은 체결 방향(A)으로 정렬된다.
한편,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된 삽입부(522a)는 외측면이 제1유동방지부(512b)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가이드부재(522)가 제1축(X)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잠금부의 제2축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물질, 단차 등으로 인해 도어부(200)의 이동 방향이 제2축(Y)을 따라 상측(도 13 기준)으로 소정 거리 평행 이동된 경우, 가이드부재(522)는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된 상태로 진입부(512a)에 진입된다.
이후, 가이드레일(512)의 하방(도 13 기준)에 배치된 제2정렬부(522c)는 삽입부(522a)에 비해 큰 폭을 가짐에 따라,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되지 못하고 제1유동방지부(512b)의 단부 하방 모서리에 접촉된다.
제1유동방지부(512b)의 단부 하방 모서리에 접촉된 제2정렬부(522c)는 경사면에 의해 제1유동방지부(512b)의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삽입부(522a)를 제2축(Y)을 따라 하강시킨다.
이후, 삽입부(522a)는 제1유동방지부(512b)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유동방지부(5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제1유동방지부(512b)의 길이 방향이 체결 방향(A)과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제1잠금부(300)의 이동 방향은 체결 방향(A)으로 정렬된다.
한편, 제1유동방지부(512b)로 삽입된 삽입부(522a)는 제2유동방지부(522b)가 삽입부(522a)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삽입부(522a)가 제1유동방지부(512b)의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가이드부재(522)가 제2축(Y)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이동 방향이 체결 방향(A)으로 정렬된 제1잠금부(300)는 잠금홈(410)을 통해 제2잠금부(400)로 삽입된다. 제2잠금부(400)는 잠금수단에 의해 제1잠금부(300)와 체결되고, 이러한 체결력에 의해 제1잠금부(300)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도어부(200)가 타측(도 7 기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공작기계 100 : 본체부
200 : 도어부 300 : 제1잠금부
400 : 제2잠금부 410 : 잠금홈
500 : 가이드부 510 : 고정가이드부
511 : 고정프레임 512 : 가이드레일
512a : 진입부 512b : 제1유동방지부
512c : 제1정렬부 520 : 이동가이드부
521 : 이동프레임 522 : 가이드부재
522a : 삽입부 522b : 제2유동방지부
522c : 제2정렬부 600 : 제어부
A : 체결 방향 X : 제1축
Y : 제2축

Claims (9)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이동되는 제1잠금부;
    상기 본체부의 폐쇄 시 상기 제1잠금부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부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잠금부에 대한 체결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고정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제1잠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진입되는 진입부;
    상기 진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제1축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유동방지부; 및
    상기 제1유동방지부와 상기 진입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1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상기 제1유동방지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렬부는 상기 진입부로부터 상기 제1유동방지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2축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가 제2축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유동방지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2유동방지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1유동방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제2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렬부는 상기 제2유동방지부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KR1020200143360A 2020-10-30 2020-10-30 공작기계 KR20220058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60A KR20220058065A (ko) 2020-10-30 2020-10-30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60A KR20220058065A (ko) 2020-10-30 2020-10-30 공작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65A true KR20220058065A (ko) 2022-05-09

Family

ID=8158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360A KR20220058065A (ko) 2020-10-30 2020-10-30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80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7074B1 (en) Machine tool
US10442045B2 (en) Telescopic cov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telescopic cover
JP4725319B2 (ja) 扉の開閉構造及び当該扉の開閉構造を備えた工作機械
JP2010228045A (ja) 工作機械
JP2007268674A (ja) 並列2主軸旋盤のカバー構造
US20130199333A1 (en) Cover structure for machine tool
KR20220058065A (ko) 공작기계
US8307746B2 (en) Machine tool
CN108393739B (zh) 机床以及分隔装置
KR100649547B1 (ko)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314499B1 (ko) 공작 기계용 도어 조립체
JP2006255845A (ja) 工作機械
CN215788566U (zh) 一种多轴刀库联动防护门机构及其机床
KR200451295Y1 (ko) 자동선반의 도어
US20230182252A1 (en) Processing machine and slide mechanism
EP0990482A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working areas of machine tool
EP1197703A1 (en) Machine tool
KR200419366Y1 (ko) 공작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스플래쉬 가드 구조
KR20220127990A (ko) 공작기계의 탑 커버 장치
US5778952A (en) Adjustable run-on strip
JPH05138491A (ja) 工作機械のスライド扉装置
KR20190102876A (ko) 오토 도어 장치
JPH11300572A (ja) 工作機械の切粉飛散防止カバー
JPH11226842A (ja) 工作機械の切屑や切削剤の飛散防止装置
KR20190138148A (ko) 트랙 홈 가공용 트리머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