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021A -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021A
KR20220058021A KR1020200143262A KR20200143262A KR20220058021A KR 20220058021 A KR20220058021 A KR 20220058021A KR 1020200143262 A KR1020200143262 A KR 1020200143262A KR 20200143262 A KR20200143262 A KR 20200143262A KR 20220058021 A KR20220058021 A KR 2022005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zardous
emergency response
exposure
chemic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063B1 (ko
Inventor
이종필
Original Assignee
솔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9/00Devices, e.g. installations, for rendering harmless or for keeping off harmful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6Detoxification by using acid or alkaline re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02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pH sensitive, e.g. quinhydron, antimony or hydrogen electr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에서 실험자의 부주의 또는 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의 신체접촉이 발생한 경우 빠른 시간 내 환부를 씻어낸 뒤 중화시키고 피해최소화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도록, 장치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중화수와 중화약품을 순차적으로 신체에 분사하고, 사용된 중화수로 인해 신체에서 묻어나온 유해화학물질을 분석하여 특정 후 알맞은 중화약품을 신체에 분사하여 사고로 인해 신체에 접촉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빠른 대응이 가능하고, 이후 병원 및 긴급의료진에게 사고정보 제공을 위한 유해화학물질 샘플 및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Emergency Response Method for Hazardous Substance Exposure}
본 발명은 유해물질에 접촉 또는 피폭된 경우 응급 대응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해당 유해물질을 파악하여 중화하거나, 유해물질의 정보를 병원 등에 제공할 수 있는 응급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세면 및 목욕 등을 할 수 있도록 세척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의무화 되어있다. 사용자가 유해화학물질 취급 중 실수 또는 사고에 의해 유해화학물질이 신체에 접촉되는 경우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실 및 연구실에 배치된 세척시설을 통해 빠른 시간 내 환부에서 유해화학물질 씻어내고 이를 중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후 병원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접촉된 환부를 치료하여 환부의 확장을 방지해야한다. 그런데, 실험실 및 연구실 등에 보관중인 유해화학물질은 종류가 수십 수백종류가 넘는 다량인 경우가 많고, 수소이온농도(Ph), 독성 및 기타유해성분 등에 따라 응급조치에 사용되는 중화제가 다양하여 사고발생 시 응급처치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고 상황 속 사용자 및 주변인들의 패닉에 따라 누출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또는 접촉자의 최초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어 추후 병원에 도착하더라도 알맞은 치료를 제공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53021 A(2009.05.2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해화학물질 누설사고 발생 시 접촉자의 환부에서 신속하게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고, 제거된 유해화학물질에 알맞은 중화제를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구조인력 및 병원 등에서 연속적으로 치료를 제공하도록 사고 상황자료를 제공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실험실 및 연구실 등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에서 실험자의 부주의 또는 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의 신체접촉이 발생한 경우 빠른 시간 내 환부를 씻어낸 뒤 중화시키고 피해최소화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을 이용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감지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중화수를 분사하는 중화수분사단계; 상기 중화수에 묻어나온 유해화학물질을 분석 후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중화약품을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중화약품분사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로 상기 중화약품분사단계에 사용될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중화약품 선택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생성단계는 특정된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수소이온농도(Ph)정보, 유독성분정보 및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고, 상기 중화약품 선택단계에 사용되는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사용된 상기 중화수 및 상기 중화약품의 폐액을 수집하는 폐액수집단계; 및 상기 폐액 중 소정량을 용기에 담아 샘플로 만드는 샘플제작단계; 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상기 샘플을 제공하는 사고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통신부가 병원 및 긴급의료진이 소지한 단말기로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사고정보송신단계;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촬영부가 상기 사용자가 유해화학물질과 접촉된 환부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환부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사고정보송신단계에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실험실 등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 누설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과 신체가 접촉된 경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을 통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어 사고피해 확산 방지 및 사용자의 환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에 사용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S1000)의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은 사용자가 진입 가능한 내부공간(110)을 포함하는 몸체(100), 몸체(100) 상의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어 내부공간(110)에 공급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200), 분사부(200)에서 분사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300) 및 몸체(100)에 진입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상에는 표현되어있지 않지만, 분사부(200)로 중화수 또는 중화약품을 공급하는 액체공급부, 배출부(300)로 배출된 폐액에서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기 위해 폐액을 수집하는 수집부,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는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성인이 출입할 수 있는 내부공간(110)을 포함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된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내부공간(110)에서 세척 또는 중화에 사용된 폐액의 외부누출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여닫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을 개방적으로 배치한 다른 실시예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200)는 몸체(100)의 적어도 한 영역에 배치되어 공급된 액체를 내부공간(100)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부공간(110)으로 진입한 사용자에게 상기 분사부(200)로 공급된 중화수 및 중화약품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잔존한 유해화학물질을 세척 또는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분사부(200)는 내부공간(110)상에 복수 개 배치되어 동시에 사용자 방향을 향해 분사될 수 있는 일실시예 및 상기 분사부(200)가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신체 중 국소위치에 중화수 및 중화약품을 분사하도록 내부공간(110)의 소정영역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300)는 분사부(200)에서 분사된 액체 및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 또는 중화 후 배출되는 폐액을 몸체(10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수집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300)는 내부공간(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내부공간(110)상에서 머물 수 있는 바닥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몸체(100) 즉, 내부공간(110)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진입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분사부(200)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은 비상상황에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상기 센서부(400)에서 사용자를 감지함에 따라 분사부(200)에서 중화수 및 중화약품을 순차적으로 분사하고,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의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시동되도록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집부(5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출부(300)에 의해 수집된 폐액을 안전하게 관리 및 폐액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을 분석하여 분사부(200)로 공급되는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출부(300)는 배수구(310) 및 배수관(3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310)는 내부공간(1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밟고 서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이용하며 분사부(200)에서 배출되어 사용된 폐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며 내부공간(110)의 외부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관(320)은 배수구(310)를 통해 배출되는 폐액을 수집부(5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320)에 펌프와 같은 유동장치 또는 유량계 등을 배치하여 배출되는 폐액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집부(500)는 저장부(510), 분석부(520) 및 샘플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1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접촉자 응급 대응장치(1000)의 관리자에 의해 안전하게 배출되기 전 까지 배출부(300)로 배출된 대부분의 폐액을 수집,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510)는 몸체(100)의 외부와 연결되어 내부 폐액이 배출되거나 몸체(100)의 외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탈착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부(520)는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폐액 중 일부를 공급받아 폐액 내부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의 상태 및 종류를 분석 후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분석부(52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수소이온농도(ph), 유독성, 기타 및 화학특성 등을 분석하는 분석 장비 등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샘플부(530)는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폐액 중 소량을 샘플로 제작하여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의 사용자 환부에 접촉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 및 상태를 빠르게 긴급의료진 및 병원에 전달하도록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의 사용을 마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샘플을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샘플부(530)는 폐액을 담는 용기를 보관하는 구성 및 상기 용기에 폐액을 담는 주입기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상기 액체공급부(600)는 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체공급부(600)는 중화수 공급부(610) 및 중화약품 공급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중화수 공급부(610)는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최초 진입 후 센서부(400)의 감지에 따라 분사부(200)가 중화수를 내부공간(110)에 분사하기 위해 중화수를 분사부(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중화수 공급부(610)는 중화수를 저장하는 구성 및 중화수를 분사부(200)로 유동시키는 구성 등을 포함한다.
상기 중화약품 공급부(620)는 배출부(300)를 통해 수집된 폐액 중 유해화학물질이 분석부(520)에서 특정된 경우 중화약품을 분사부(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중화약품 공급부(620)는 중화약품을 저장하는 구성 및 중화약품을 분사부(200)로 유동시키는 구성 등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중화약품 공급부(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 개의 중화약품을 구비하여 분석부(520)에서 유해화학물질이 특정된 경우 사용자 환부 중화에 효과적인 중화약품을 선택적으로 분사부(200)로 공급하여 내부공간(110)에 분사한다. 다만 내부공간(110) 상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분석부(520)에서 유해화학물질 특정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저장된 중화약품 중 기 설정된 중화약품을 분사부(200)로 공급하는 일실시예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중화약품 공급부(620)로 공급되는 중화약품은 분석부(520)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의 수소이온농도(Ph)정보, 유독성분정보 및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배치된 복수의 중화약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고 상황 중 패닉상태인 사용자의 별다른 조치 없이도 자동적으로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사용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환부최소화 및 사고피해 최소화가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700)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동안 분석부(520)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 분사부(200)를 통해 분사된 중화약품 정보 등을 종합하여 긴급의료진 및 병원에 배치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로 응급처지를 수행한 뒤 긴급의료진 및 병원에서 사후 치료를 받는 경우 의료진들의 의사결정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발생되어 사용자의 환부 최소화로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촬영부(800)는 내부공간(110)의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어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 사용자의 환부 상태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부공간(110)의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촬영하는 실시예 및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블랙박스 역할로 촬영하는 실시예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촬영부(800)에서 촬영된 사진 및 영상물은 통신부(700)를 통해 긴급의료진 및 병원에 배치된 단말기로 전달되고, 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사용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에게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S1000)은 사용자감지단계(S100), 중화수분사단계(S200),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 중화약품판단단계(S400) 및 중화약품분사단계(S500)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감지단계(S100)는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를 장치 내부에 배치된 감지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화수분사단계(S200)는 사용자에게 중화수를 분사하여 사용자 신체에 접촉된 유해화학물질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화수분사단계(S200)는 사용자감지단계(S100)에서 감지센서로 사용자를 감지 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는 중화수분사단계(S200)에서 분사된 중화수로 사용자 신체에 접촉된 유해화학물질을 세척 후 배출되는 폐액에서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도록 폐액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화약품분사단계(S400)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를 수행한 뒤 특정된 유해화학물질을 중화하는 중화약품을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는 중화수분사단계(S200)에서 분사된 중화수가 사용자 신체를 세척 후 생성되는 폐액을 수집하여 사용자가 접촉한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도록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는 폐액의 수소이온농도(ph), 유독성분 유무 및 화학적 고려사항 등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분석 후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게 된다. 여기서 화학적 고려사항이란 중화약품 및 유해화학약품 반응 시 신체에 손상이 갈 수 있는 발화반응, 염소 등의 독극물이 발생되는 화학물 간의 혼합반응 등을 그 예시로 한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S310a, S310b, S310c)는 도면에 도시된 고려사항 이외에도 여러 고려사항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화약품선택단계(S320)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환부를 중화하기 위한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단계로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 이후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중화에 적합한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 때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화약품이 배치되어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에 따라 중화약품이 선택된다. 이후 중화약품 분사단계(S400)에 상기 중화약품 선택단계(S320)에서 선택된 중화약품을 사용자에게 분사하여 환부를 중화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S1000)은 폐액수집단계(S500), 사고정보제공단계(S600), 사고정보송신단계(S700) 및 환부촬영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일실시예를 가진다.
상기 폐액수집단계(S500)는 중화수분사단계(S200)에서 분사된 중화수로 사용자 신체를 세척 후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폐액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더불어 상기 폐액수집단계(S500)는 샘플제작단계(S510)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제작단계(S510)는 중화수분사단계(S200)에서 분사된 중화수와 유해화학물질이 혼합된 폐액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상기 폐액수집단계(S500) 중 수집된 폐액의 일부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를 위해 배분되고, 나머지 중 일부는 샘플제작단계(S510)를 위해 배분된다. 이후 남은 폐액은 안전한 배출을 위해 별도의 폐액저장공간에 배치되어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샘플제작단계(S510)는 사고를 당한 사용자가 추후 치료를 위해 방문하는 병원 또는 구조를 위한 긴급의료진에게 유해화학물질정보를 샘플로 전달하여 사고 후 치료단계에서 유해화학물질 특정이 늦어 치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사고 후 패닉상태에 있는 사용자에게 기억을 요구하지 않고, 정보를 병원 및 긴급의료진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샘플제작단계(S510)에 사용되는 폐액과 별개로 중화약품분사단계(S400)에서 사용된 중화약품과 혼합된 유해화학물질의 폐액은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 및 샘플제작단계(S510)에 사용되지 않기에 상기 폐액저장공간에 수집되는 것으로 유해화학물질의 안전한 배출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고정보제공단계(S600)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샘플제작단계(S510)에서 제작된 샘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고정보송신단계(S700)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S300)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병원 및 긴급의료진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상태 정도를 유추하여 병원 및 긴급의료진이 치료를 미리 준비할 수 있고, 빠른 대응으로 사고를 당한 사용자의 환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환부촬영단계(S800)는 사용자감지단계(S100)부터 사용자를 촬영하여 기록하는 단계로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S1000) 수행 중 사용자를 촬영하여 기록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도 4에는 사용자감지단계(S100)이후 수행되지만 각 단계에서 상기 환부촬영단계(S800)가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직접 환부를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환부촬영단계(S80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사진정보는 사고정보송신단계(S700)를 통해 병원 및 긴급의료진이 소지한 단말기로 송신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을 도 3(c)의 설명에 이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부(400)가 사용자(10)를 식별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수 공급부(510)에서 중화수(30)를 분사부(200)로 공급하여 내부공간(110)에 분사한다. 따라서 사용자(10)가 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과 접촉된 부위가 중화수(30)에 의해 세척된다. 이후 배출부(30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함유한 중화수(30)가 폐액으로 배출되고, 수집부(500)의 저장부(510), 분석부(520) 및 샘플부(530)로 폐액이 전달된다. 이후 분석부(520)에서 폐액 내 잔존하는 유해화학물질을 검출 및 특정하여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전달하고,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저장된 중화약품 중 특정된 유해화학물질과 알맞은 중화약품을 분사부(200)로 공급하여 내부공간(110)에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10)는 중화약품(40)에 의해 환부가 중화되고, 사용된 중화약품 및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하는 폐액은 배출부(530)로 배출되어 저장부(510)로 이동한다. 이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과정 이후에 사용자(10)의 환부를 세척하며 유해화학물질을 함유한 중화수(30)를 포함하는 폐액 중 일부가 샘플부(530) 샘플(50)로 만들어지고,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중화약품 공급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와 함께 사용자(10)에게 제공된다. 더불어 통신부(700)를 통해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및 중화약품 공급 정보를 긴급의료진 및 병원이 소지한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10)가 긴급의료진 및 병원방문 시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누설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환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도 5(a)는 사용자(10)가 실험실 등의 환경에서 유해화학물질 용기(20) 유해화학물질(21)이 누설되는 사고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긴급히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에 진입하게 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400)가 사용자(10)의 진입을 식별하여 본 발명의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1000)의 프로토콜 및 분사부(200)의 최초작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도 5(c)에 도시된 센서부(400)가 사용자(10)를 식별 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수 공급부(510)에서 중화수(30)를 분사부(200)로 공급하여 내부공간(110)에 분사한다. 따라서 사용자(10)가 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질과 접촉된 부위가 중화수(30)에 의해 세척된다. 이후 배출부(30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함유한 중화수(30)가 폐액으로 배출되고, 수집부(500)의 저장부(510), 분석부(520) 및 샘플부(530)로 폐액이 전달된다. 이후 분석부(520)에서 폐액 내 잔존하는 유해화학물질을 검출 및 특정하여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전달하고, 중화약품 공급부(620)에 저장된 중화약품 중 특정된 유해화학물질과 알맞은 중화약품을 분사부(200)로 공급하여 내부공간(110)에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10)는 중화약품(40)에 의해 환부가 중화되고, 사용된 중화약품 및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하는 폐액은 배출부(530)로 배출되어 저장부(510)로 이동한다. 이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과정 이후에 사용자(10)의 환부를 세척하며 유해화학물질을 함유한 중화수(30)를 포함하는 폐액 중 일부가 샘플부(530) 샘플(50)로 만들어지고,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중화약품 공급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와 함께 사용자(10)에게 제공된다. 더불어 통신부(700)를 통해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및 중화약품 공급 정보를 긴급의료진 및 병원이 소지한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10)가 긴급의료진 및 병원방문 시 빠른 시간 내에 치료를 받을 수 있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누설사고로 인한 사용자의 환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
100 : 몸체 110 : 내부공간
200 : 분사부 300 : 배출부
310 : 배수구 320 : 배수관
400 : 센서부 500 : 수집부
510 : 저장부 520 : 분석부
530 : 샘플부 600 : 액체공급부
610 : 중화수 공급부 620 : 중화약품 공급부
700 : 통신부 800 : 촬영부
10 : 사용자 20 : 유해화학약품
21 : 누설된 유해화학약품 30 : 중화수
40 : 중화약품 50 : 샘플
60 : 병원

Claims (6)

  1.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감지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자감지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중화수를 분사하는 중화수분사단계;
    상기 중화수에 묻어나온 유해화학물질을 분석 후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는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중화약품을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분사하는 중화약품분사단계;
    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는
    상기 유해화학물질 판단단계에서 특정된 유해화학물질 정보를 생성하는 유해화학물질 분석단계;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로 상기 중화약품분사단계에 사용될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중화약품 선택단계;
    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생성단계는
    특정된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수소이온농도(Ph)정보, 유독성분정보 및 특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을 특정하고, 상기 중화약품 선택단계에 사용되는 중화약품을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사용된 상기 중화수 및 상기 중화약품의 폐액을 수집하는 폐액수집단계; 및
    상기 폐액 중 소정량을 용기에 담아 샘플로 만드는 샘플제작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상기 샘플을 제공하는 사고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통신부가 병원 및 긴급의료진이 소지한 단말기로 상기 유해화학물질 정보 및 사고정보를 전송하는 사고정보송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은
    상기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에 배치된 촬영부가 상기 사용자가 유해화학물질과 접촉된 환부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환부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사고정보송신단계에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
KR1020200143262A 2020-10-30 2020-10-30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KR10249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62A KR102495063B1 (ko) 2020-10-30 2020-10-30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62A KR102495063B1 (ko) 2020-10-30 2020-10-30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21A true KR20220058021A (ko) 2022-05-09
KR102495063B1 KR102495063B1 (ko) 2023-02-06

Family

ID=8158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62A KR102495063B1 (ko) 2020-10-30 2020-10-30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21A (ko)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조립식 오염 제거 챔버 구조물
KR101297693B1 (ko) *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101421109B1 (ko) * 2014-01-08 2014-07-22 대한민국 유해물질 제독방법 및 유해물질 제독장치
KR2017000449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정원랜드 방제액 분사 장치
KR20170139354A (ko) * 2016-06-09 2017-12-19 황진 이동형 무인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21A (ko) 2007-11-22 2009-05-27 최호경 조립식 오염 제거 챔버 구조물
KR101297693B1 (ko) * 2012-06-13 2013-08-21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방역형 축사
KR101421109B1 (ko) * 2014-01-08 2014-07-22 대한민국 유해물질 제독방법 및 유해물질 제독장치
KR20170004491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정원랜드 방제액 분사 장치
KR20170139354A (ko) * 2016-06-09 2017-12-19 황진 이동형 무인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063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9648A1 (en) Hazardous contaminant collection kit and rapid testing
US20230204464A1 (en) Hazardous contaminant collection kit and rapid testing
CN111278987B (zh) 以高拾取和脱落效率收集有害污染物的采样系统和技术
KR20220058021A (ko)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방법
KR102495062B1 (ko) 유해물질 피폭 응급 대응 시스템
US201301858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and Monitoring Portable Toilets
Creely et al. A novel method of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protective gloves—results from a pilot study
KR10213621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20190053879A (ko)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83174B1 (ko) 스마트 소변 검사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소변 검사 시스템
CN107945842A (zh) 一种异地就医的监控方法和装置
Mannis et al. Efficacy of common decontamination methods for cleaning contaminated wounds
Gersel What is the Myth of the Given?
CN115761902B (zh) 基于人体骨骼关节点识别的入口消毒识别方法
JP3938297B2 (ja) Nbc災害用除染設備
KR102434133B1 (ko) 건강 체크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양변기
KR20200079701A (ko)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CN215502997U (zh) 鼻腔检测冲洗装置
AU2018337027B2 (en) Hazardous contaminant collection kit and rapid testing
CN117880323A (zh) 核洗消控制方法及核洗消方舱
CN113359547B (zh) 淋浴设备的工作状态的调整方法及装置
JP2023170216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Roul et al. Skin Decontamination 2020 Update
US20200075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the Presence of a Communicable Condition
Gaonkar et al. Technology in a fight against COVID-1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