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581A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581A
KR20220057581A KR1020227011076A KR20227011076A KR20220057581A KR 20220057581 A KR20220057581 A KR 20220057581A KR 1020227011076 A KR1020227011076 A KR 1020227011076A KR 20227011076 A KR20227011076 A KR 20227011076A KR 20220057581 A KR20220057581 A KR 20220057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plug
contact carrier
connector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도블러
Original Assignee
노이트릭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트릭 아게 filed Critical 노이트릭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5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개구(2) 및 상기 플러그-인 개구(들)를 통해 접근될 수 있는 전기 접촉을 위해 하우징(1)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접촉 캐리어(3)를 구비하는 하우징(1)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2개의 동심 하우징 파트(5, 6)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개구(2) 반대편에 있는 단부에서 베이스(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 파트(5, 6) 사이에는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돌출부를 위한 환형 수용 영역으로서 환형 중간 공간(7)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 파트(6) 내에 접촉 서포트(3)를 위한 수용 영역(9)이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섀시 소켓 또는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라고도 하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기 플러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가 있는 하우징 및 삽입 개구(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전기 접촉을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촉 캐리어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 및 접촉 캐리어에 대해 요구되는 기계적 및 전기적 사양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매우 특정한 조합에서만 일치하는 하우징 변형 및 접촉 캐리어 변형의 조합이 셀 수 없이 많다. 동일한 표준의 플러그 커넥터라도 접촉 수 또는 접촉 배열이 다른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 완전히 다른 하우징을 사용해야 하므로 부품의 생산 및 보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각 부품이 요구 사항에 따라 최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청구 항들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2개의 동심으로 배열된 하우징 파트들,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 반대편의 단부에서 하우징 파트들을 연결하는 베이스,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연장부를 위한 환형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동심의 하우징 파트들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 및 내부 하우징 파트의 내부에서 접촉 캐리어를 위한 수용 공간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플러그 연결을 간단하게 설정하고 해제하는 데 특히 중요한 기계적 안정성을 가장 많이 담당하는 하우징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는 재료 선택도 포함된다. 그러나 접촉 캐리어는 전기 요구 사항에 완전히 맞춰질 수 있으며, 하우징에서만 전기 접촉 및 전기 절연 배열체의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하우징의 디자인은 접촉 캐리어의 전기적 요구 사항과 무관하므로, 특히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 파트 내부의 치수와 관련하여 항상 동일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많은 타입의 플러그에 적당한 표준 구성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캐리어는 삽입 파트로 설계되고, 가이드 구조는 내부 하우징 파트의 내벽과 접촉 캐리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과 접촉 캐리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하우징 내에 접촉 캐리어의 정확한 위치 지정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연결하고(plugging-in) 해제하는(unplugging) 동작 동안 연결 메커니즘의 위치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연결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메커니즘이 래칭 및/또는 스냅 연결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간단하고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동일하게 설계된 모든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동일한 하우징 내에서 접촉 캐리어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접촉 캐리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추가의 선택적 특징에 따라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또는 섀시 소켓으로서 그 구성을 제공하고, 외부 하우징 파트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장착 플랜지를 특징으로 하며, 이 장착 플랜지는 외부 하우징 파트의 삽입-측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플랜지의 전면을 덮고, 삽입 개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밀봉부가 이 디자인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선택 특징에 따르면, 장착 플랜지의 전면을 덮고, 전면을 향한 밀봉부도 가능한 전면 플레이트는 기저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전체 배열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삽입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잠금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잠금 해제 요소가 하우징의 리세스 및 가능하게는 하우징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에 있는 전면 플레이트를 통해 잠금 요소로부터 돌출하는 이 실시형태에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체로 형성된 돔은 밀봉 효과를 잘 유지하기 위해 밀봉 및 전방 플레이트를 갖는 실시형태의 밀봉부 상에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 돔은 잠금 해제 요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전방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돔은 전면에서 전면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돌출한다.
유리한 실시형태는 XLR 접촉을 위해 설계된 접촉 캐리어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는 데이터 플러그, 특히 RJ45 플러그용 접촉을 위해 설계된 접촉 캐리어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하기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은 각각 매우 단순화 되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빌트-인 플러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수직 중앙 평면에서 도 1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관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관통하는 도 4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수직 중앙 평면에서 도 6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관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먼저, 설명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 명칭이 제공되어 있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개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 명칭을 구비하는 동일한 파트에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부에서, 하부에서, 측면에서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은 직접 설명되고 묘사된 도면을 나타내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들 위치에 대한 설명도 유사하게 새로운 위치로 바뀌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플러그 연결부 암 부분(female part)으로서 및/또는 빌트-인 소켓으로서, 3개의 접촉을 갖는 XLR 표준의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유리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예로서 도 1 내지 도 5의 빌트-인 소켓은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2)를 갖는 하우징(1)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1)에는 접촉 삽입 개구(4)를 통해 접근 가능한 전기 접촉용 접촉 캐리어(3)가 존재한다. 접촉 캐리어(3)는 XLR 표준에 따른 플러그 연결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도시된 이 예에서는 3개의 접촉이 있다. 하우징(1)은 환형 갭(7)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동심으로 배열된 2개의 하우징 파트 즉 외부 하우징 파트(5)와 내부 하우징 파트(6)로 구성되며, 상기 환형 갭(7)은 상보적 케이블 커넥터의 소켓 형태의 플러그 돌출부를 위한 환형 삽입 개구를 형성한다. 환형 하부(8)는 삽입 개구(2) 반대편에 위치한 하우징(1)의 단부에서 두 개의 하우징 파트(5, 6)를 연결한다. 내부 하우징 파트(6) 내부의 원통형 체적은 접촉 캐리어(3)를 위한 수용 공간(9)을 형성한다.
여기서, 정사각형 윤곽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 장착 플랜지(10)가 하우징(1)의 전방 단부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장착 플랜지(10)는 하우징(1), 특히 외부 하우징 파트(5)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또한 장착 구멍(11)이 오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직사각형 윤곽과 같은 다른 윤곽도 발생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작은 장착 러그만이 단독의 원통형 하우징(1)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 및/또는 장착 플랜지(10)의 전면은 소켓이 설치 및 고정되는 벽에 대해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밀봉하는 밀봉부(13)에 의해 덮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13)는 장착 플랜지(10)와 중첩되는 판-형 부분(14)을 가지며, 또한 장착 구멍(11)의 위치에 관통 구멍(15)과 상보적인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를 관통 공급하기 위한 중앙 절개부(16)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스트립(17)은 판-형 부분(14)에서 시작하고, 스트립(17)의 단부에는 상보적 판-형 부분이 플러그 인 되어 있지 않을 때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타이트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통 구멍(16)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내부 하우징 파트(6)와 외부 하우징 파트(5) 사이의 환형 갭(7) 내로 삽입하기 위한 예컨대 포트-형 밀봉 플러그(18)가 제공된다.
밀봉부를 고정하고 전체 배열의 더 나은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장착 플랜지(10)의 전면 및 가능하게는 밀봉부(13), 특히 그 판-형 섹션(14)을 덮는 전면 플레이트(19)가 존재하며, 앞쪽을 향해 존재한다. 이 전면 플레이트(19)는 또한 장착 플랜지(10)의 장착 구멍(11)의 위치에 가능하기로는 밀봉부(13)의 관통 구멍(15) 위치에 자체 장착 구멍(20)을 가진다. 삽입 개구(21)로서 절개부 구멍도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또한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가 우발적으로 분리되어 플러그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잠금 메커니즘(22)을 갖는다. 이 잠금 메커니즘(22)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캐리어(3)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23)를 포함한다. 의도적으로 잠금을 해제하고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를 언플러그 하기 위해, 잠금 요소(23)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 해제 요소(24)가 잠금 메커니즘(22)에 통합되어 있다. 잠금 해제 요소(24)는 잠금 요소(23)에서 시작하여 하우징(1)의 리세스 및/또는 돌기(25)와 하우징(1) 및/또는 전면 플레이트(19)의 전면에 있는 전면 플레이트(19)의 중앙 관통 구멍(21)에 있는 반경방향 리세스(26)를 통해 돌출되며, 거기에서 사용자가 작동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다.
그렇게 할 때 밀봉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전면 플레이트(19)를 통해 돌출되는 잠금 해제 요소(24)의 섹션은 잠금 해제 요소(24)를 수용하기 위해 밀봉부(13), 특히 판-형 섹션(14)에 일체로 형성된 돔(27)에 의해 커버된다. 돔(27)은 전방으로 돌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전방 측을 넘어 전방 플레이트(19)를 통해 돌출한다.
도 1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캐리어(3)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파트로 설계되고, 가이드 구조는 내부 하우징 파트(6)의 내벽과 접촉 캐리어(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접촉 캐리어(3)를 하우징(1)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접촉 캐리어(3)와 하우징(1) 사이에 연결 메커니즘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필요한 경우 하우징(1)의 후방 에지를 삽입된 접촉 캐리어(3)의 외부 원주 에지 위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크림핑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은 연결 메커니즘이 래칭 및/또는 스냅 연결로 설계된 것으로 구성된다.
접촉 캐리어(3)는 원주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삽입 측 길이방향 섹션과 이에 연결되는 섹션 사이의 직경 증가에 의해 형성되는 숄더(31)를 갖는다. 보완적인 방식으로, 내부 하우징 파트(6)를 외부 하우징 파트(5)에 연결하는 숄더(32)는 대략 베이스(8)의 높이에서 하우징(1)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다. 하우징(1) 내로 삽입될 때, 이 숄더(32)에서 접촉 캐리어(3)의 숄더(31)가 멈춤으로써, 서로에 대한 2개의 구성요소의 원하는 위치가 보장된다.
특히 XLR 접촉 캐리어(3)에 존재하는 전면의 리세스(34)에는 잠금 메커니즘(22)용 베어링 영역이 연결되며, 삽입 개구(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캐치(28)에 의해 커버된다. 이 캐치(28)는 유리하게는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29)를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29)들 사이에서 특히 잠금 메커니즘(22)의 스프링이 가이드 되고 유지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또 다른 가능한 독립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다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동일한 부품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구성요소 명칭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데이터 플러그, 특히 RJ-45 플러그용 빌트-인 소켓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소켓의 이 버전의 접촉 캐리어(3)는 접촉 피드-스루(29) 및 후면 커버링(30)에 의해 하우징(1)의 후면에서 덮이고 보호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가능한 실시형태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실시형태의 변형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교시에 기인하는 변형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 및 도면은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도시되고 설명된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부터의 개별 특징 또는 특징 조합은 독립적인 본 발명의 솔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독립적인 발명 솔루션의 기초가 되는 대상은 설명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1 하우징(housing)
2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
3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
4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
5 외부 하우징 파트(outer housing part)
6 내부 하우징 파트(inner housing part)
7 환형 갭(annular gap)
8 베이스(base)
9 수용 공간(receiving space)
10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
11 장착 구멍(mounting bore)
12 ..
13 밀봉부(seal)
14 판-형 섹션(plate-shaped section)
15 관통 구멍(through hole)
16 중앙 절개부(central cutout)
17 스트립(strip)
18 밀봉 플러그(sealing plug)
19 전면 플레이트(front plate)
20 장착 구멍(mounting bore)
21 중앙 절개부(central cutout)
22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23 잠금 요소(locking element)
24 잠금 해제 요소(unlocking element)
25 돌기/리세스(protuberance/recess)
26 반경방향 리세스(radial recess)
27 돔(dome)
28 캐치(catch)
29 접촉 피드-스루(contact feed-through)
30 커버링(covering)
31 숄더(shoulder)
32 숄더(shoulder)
33 가이드(guide)
34 리세스(recess)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Claims (13)

  1.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2)가 있는 하우징(1)과 삽입 개구(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전기 접촉을 위해 하우징(1)에 배열된 접촉 캐리어(3)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하우징(1)은 동심으로 배열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2개의 하우징 파트(5, 6)를 구비하고, 베이스(8)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2) 반대편 단부 위에 하우징 파트(5, 6)를 연결하고, 동심의 하우징 파트(5, 6)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7)이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연장부를 위한 환형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동심의 하우징 파트(5, 6)가 중첩되는 높이에서 내부 하우징 파트(6) 내부에 접촉 캐리어(3)를 위한 수용 공간(9)이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 파트(5)와 중첩되는 내부 하우징 파트(6)의 길이 방향 섹션 내로 접촉 캐리어(3)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삽입 파트로 설계되고, 내부 하우징 파트(6)의 내벽과 접촉 캐리어(3) 사이에 가이드 구조물들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와 하우징(1) 사이의 연결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메커니즘이 래칭 및/또는 스냅 연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32)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 파트(5)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장착 플랜지(10)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장착 플랜지(10)는 바람직하기로는 외부 하우징 파트(5)의 삽입-측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장착 플랜지(10)의 전방 측을 커버하고, 삽입 개구(2)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16)을 구비하는 밀봉부(13)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장착 플랜지(10)의 전방 측을 커버하는 전방 플레이트(19)를 특징으로 하되, 밀봉부(13)가 전방 플레이트를 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접촉 캐리어(3)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 삽입된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잠금 메커니즘(22)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1) 및 가능하기로는 하우징(1)의 전방 측 상의 전방 플레이트(19) 및/또는 전방 플레이트(19) 내 리세스를 통해 잠금 요소(23)로부터 돌출하는 잠금 해제 요소(24)를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1. 제7항 또는 제8항 및 제10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요소(24)를 수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돔(27)을 구비하는 밀봉부(13)를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돔(27)은 전방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그 전방 측을 지나 전방 플레이트(19)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가 XLR 접촉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가 데이터 플러그 특히 RJ45 플러그를 위한 접촉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1020227011076A 2019-09-24 2020-09-21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220057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815/2019 2019-09-24
ATA50815/2019A AT523021B1 (de) 2019-09-24 2019-09-24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CT/EP2020/025424 WO2021058127A1 (de) 2019-09-24 2020-09-21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581A true KR20220057581A (ko) 2022-05-09

Family

ID=7261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076A KR20220057581A (ko) 2019-09-24 2020-09-21 전기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344865A1 (ko)
EP (1) EP4035229A1 (ko)
JP (1) JP7389897B2 (ko)
KR (1) KR20220057581A (ko)
CN (1) CN114450857A (ko)
AT (1) AT523021B1 (ko)
AU (1) AU2020356148A1 (ko)
BR (1) BR112022004625A2 (ko)
CA (1) CA3153981A1 (ko)
MX (1) MX2022003126A (ko)
WO (1) WO20210581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98774U (zh) * 2009-07-23 2010-06-02 宁波日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大小电流差异导体针的接插件
JP5707808B2 (ja) * 2010-09-21 2015-04-30 富士通株式会社 結合デバイス
CN204516967U (zh) * 2015-04-17 2015-07-29 宁波海曙区西尚电子有限公司 直通式双母座网络连接器插座
CN204615057U (zh) * 2015-04-17 2015-09-02 宁波海曙区西尚电子有限公司 防水卡侬插座
EP3252876B1 (de) * 2016-06-01 2019-05-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ktrischer stecker mit kodierfunktion
JP6769353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DE102017003149A1 (de) * 2017-03-31 2018-10-04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Dichtvorrichtung, Verfahren und Verwendung
CN207009841U (zh) * 2017-06-12 2018-02-13 西安丰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插针式射频同轴连接器
CN110031693A (zh) * 2018-01-12 2019-07-19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测试同轴连接器的无源互调的测试工装和方法
CN109273904A (zh) * 2018-10-17 2019-01-25 德尔特微波电子(南京)有限公司 一种旋拧式射频同轴连接器
AT522949B1 (de) 2019-09-24 2021-05-15 Neutrik Ag D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4865A1 (en) 2022-10-27
CA3153981A1 (en) 2021-04-01
CN114450857A (zh) 2022-05-06
BR112022004625A2 (pt) 2022-05-31
AT523021B1 (de) 2023-03-15
AU2020356148A1 (en) 2022-04-14
JP2022550318A (ja) 2022-12-01
AT523021A1 (de) 2021-04-15
WO2021058127A1 (de) 2021-04-01
JP7389897B2 (ja) 2023-11-30
MX2022003126A (es) 2022-04-06
EP4035229A1 (de)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EP0415489B1 (en) Mountable connector for cable assembly
JP6222751B2 (ja) ヘッダーアセンブリ
US7727022B2 (en) On harness PCB electrical center
TWI815129B (zh) 同軸連接器之浮動構造
CN111697375B (zh) 带盖体的连接器
JP2017126512A (ja) 中継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組立体
US20070087589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4617436A (zh) 容座形壳体、连接器、以及具有线缆支撑件的连接器布置
US200301761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JP2017045572A (ja) コネクタ
EP3844846B1 (en) Header connector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EP2953209B1 (en) Terminal attachment base, terminal, and audio apparatus
US20220302618A1 (en) Branch connector
US1045419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stic latch integrated into contact cavity
KR20220057581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WO2014126169A1 (ja) コネクタ
CN109149237B (zh) 连接器
US20090318020A1 (en) Adapter for a coaxial cable connector
US20240047924A1 (en) Bi-Directional Header For Multi-Direction Connector Mating
JP739338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