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87A -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187A
KR20220057187A KR1020200142193A KR20200142193A KR20220057187A KR 20220057187 A KR20220057187 A KR 20220057187A KR 1020200142193 A KR1020200142193 A KR 1020200142193A KR 20200142193 A KR20200142193 A KR 20200142193A KR 20220057187 A KR20220057187 A KR 20220057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ordinating
service
cloth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3114B1 (en
Inventor
이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타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타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타랩스
Priority to KR102020014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114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K9/62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a user's clothes, which provides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through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coordinat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the basis of basic information such as a user's clothes, preferred clothes style, and the like to provide realistic, practical, and professional coordina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coordination service with high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coordination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registering coordin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clothes information,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es information; a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using at least one of a coordinator and AI on the basis of the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on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o provid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when the user requests a coordination service; and a coordination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ing a sales service of coordination products included in th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Description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user cloth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coordinating service based on user clothes.

일반적으로 온라인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경우, 해당 쇼핑몰의 회원 가입부터 상품 선택, 사이즈, 색깔 선정 등 다양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특히 온라인의 경우 실제 의류를 착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문 코디가 아닌 이상 해당 제품이 배송되어 실제 착용한 후 생각했던 제품이 아니거나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헤어 스타일, 얼굴 유형, 체형, 화장품, 의류 및 액세서리와 관련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코디를 제안할 수 있는 코디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In general, when purchasing clothes online, various procedures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 in the shopping mall, product selection, size, and color selection are perform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nline, not only can you not wear actual clothes, but unless you are a professional coordinator, the product is delivered and often not what you thought it was or did not suit you after actually wearing i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ordination serv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can suggest coordination to the user by us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hair style, face type, body type, cosmetics, clothing, and accessori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디 서비스 시스템은 해당 의류에 대한 사진을 이용한 단순 조합을 통해 전문가로부터 코디를 받는 것일 뿐, 다양한 의류 카테고리 별 의류의 각 스타일 항목 별 스타일 특징정보를 기반으로 스타일 코디할 의류를 조합하지는 않기 때문에 의류 조합에 제한이나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ordination service system only receives coordination from an expert through a simple combination using photos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and combines the clothing to be styled based on the sty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style item of the clothing for each clothing category. Because they don't do it, there are bound to be restrictions or limitations in clothing combinations.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5631호(공개일자: 2020년08월11일)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5631 (published date: August 11, 2020) 등록특허공보 제10-2113739호(등록일자: 2020년05월15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13739 (Registration Date: May 15, 202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의류, 선호 의류 스타일 등의 기본적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 코디네이터와의 매칭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전문적인 코디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코디 서비스가 가능한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realistic, practical, and professional coordination by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coordinator and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basic information such as clothing owned by the user and preferred clothing style. We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s based on user clothes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provide coordination services with high user satisfa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보유의류정보, 신체정보 및 선호의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디 기본 정보를 등록하는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코디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코디네이터 및 인공지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코디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A user clothing-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own clothing information,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coordinat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when a user requests a coordinating service; and a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sales service of a coordinating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또한,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의류촬영이미지 또는 기 저장된 의류이미지를 첨부파일로 등록하는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포털 사이트의 브랜드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2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및 사용자료부터 의류정보를 입력 받고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보유의류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신장, 상의와 하의 사이즈, 체중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를 등록하는 신체정보 등록부;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스타일과 핏 종류를 선택하여 선호의류정보를 등록하는 선호의류정보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includes a first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for registering a photographed clothing image or a pre-stored clothing image captured by a user as an attachment, and a second clothing image registration function through a brand search on a portal site a holding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having at least one of a holding clothes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and a third holding clothes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of receiving clothes information from user data and registering clothes images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arch; a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height, upper and lower sizes, and weight; and a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configured to register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by selecting at least one clothing style and a fit type preferr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결제내역 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캡처 이미지의 텍스트 및 이미지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찾아 등록하는 제1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및 상기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을 통해 등록된 의류이미지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의류의 종류, 색상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류하고, 분류된 의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의류특성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의류 검색을 통해 가장 유사한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제2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is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t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and classifying at least one of the type, color, and texture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f the clothing image registered through the first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clothing, and identifying the identified clothing characteristic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that extracts and selectably provides clothing information that is most similar through a database and Internet clothing search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또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로 제공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코디 서비스 요청부;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에 따라 코디네이터로부터 코디 서비스 정보를 등록 받아 해당 코디네이터의 프로필 및 SNS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를 입력 받고,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의 보유의류정보와 매칭되며 신체정보와 선호의류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that request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o a previously registered coordinator; a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 coordinator according to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 unit and provides a profile and SNS information of the coordinator together to the user; and receiving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 unit, using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match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and to generat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와 상기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와 함께, 해당 코디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추천 정보, 코디네이터 인터뷰 정보, 브랜드 소개 정보, 연관 코디 상품 정보, 패션 지식 정보, 패션 뉴스 정보, 패션 매거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텍스트, 이미지 및 숏 비디오 형태로 제공하는 코디 및 패션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coordinat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coordinator interview information, and brand introduction together wit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oordinating and fashion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lated coordinating product information, fashion knowledge information, fashion news information, and fashion magazin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ext, images, and short videos.

또한,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다수의 코디네이터 정보가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정보 저장부;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를 다수의 코디네이터로 각각 제공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 및 코디네이터로부터 사용자 의류 코디에 이용될 사진, 영상, 링크 정보와, 의류 코디 디자인 제작을 위해 제공되는 디자인 드로잉 툴을 통해 제작된 이미지를 각각 코디 서비스 정보로 등록하기 위한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coordinator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ordinator information is previously registered; a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to a plurality of coordinators, respectively; and a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duction register for registering photos, images, and links from the coordinator to be used for user clothing coordination, and images produced through a design drawing tool provided for clothing coordination design production, respectively, as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can do.

또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코디네이터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코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 받고, 선택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상기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학습 데이터로 제공하여 코디 딥러닝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디 서비스 정보 채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lassifies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duction registration unit for each coordinator,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classified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selected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dopting unit that provides the learning data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o perform coordinating deep learning learning.

또한, 상기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이 제휴 브랜드인 경우 판매 정보를 직접 제공하여 판매 절차를 진행하거나, 제휴 브랜드가 아닌 경우 해당 브랜드의 판매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나 판매 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may provide sales information directly i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n affiliated brand to proceed with the sales process, or if the product is not an affiliated brand, the corresponding brand It provides link information on the sales page of

또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에서 코디네이터의 프로모션 코디 콘텐츠 제공 및 인공지능 기술의 딥러닝 학습을 위한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등록 받되, 사용자 안면의 정면과 측면이 각각 포함된 사진을 등록 받고, 안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 특징점을 추출하여 사용자 안면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SNS와 연동하여 해당 SNS에 등록된 콘텐츠 중 상기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안면 특징점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안면과 착용 의류가 포함된 콘텐츠를 추출하는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 상기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된 댓글 수, 팔로워 반응, 댓글 내용을 분석하여 스코어링하고, 스코어링 결과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 이상의 제1 사용자 콘텐츠와 기준점수 미만의 제2 사용자 콘텐츠를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 및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인공지능의 코디 딥러닝 학습을 위하여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로 제공하며, 제2 사용자 콘텐츠를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로 제공하는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ordinator's promotional coordination contents and deep learning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erein the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receives a user's face picture registered, a user f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hat receives a photo including the front and side of the face, respectively, extracts the user's facial feature points through a face recognition program, and registers the user's face information; a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contents including the user's face and worn clothes based on the facial feature points registered through the user's facial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mong content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SNS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SNS; The number of comments related to the user content extracted through the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is analyzed and scored, and the first user content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score and the second user content less than the reference score are selected as a scoring result, respectively user content selection unit; and providing the first user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user content selection unit to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ordinating deep learning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ing the second user content to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request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또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콘텐츠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유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공되는 사용자 콘텐츠와 유사 코디 서비스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코디 딥러닝 학습을 진행하는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simila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user content provided from the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and learning the provided user content and simila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promotional Cody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conducts Cody deep learning learning using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의류, 선호 의류 스타일 등의 기본적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 코디네이터와의 매칭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전문적인 코디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코디 서비스가 가능한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through matching with a professional coordinat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own clothing and preferred clothing style, more realistic, practical, and professional coordin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s based on user clothes that can provide coordination services with high user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식과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유의류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등록부와 선호의류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메인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n implementation form of a user clothes-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user clothes-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service execution screens of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main service execution screen of the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nd the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식과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유의류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정보 등록부와 선호의류정보 등록부의 서비스 메인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의 서비스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n implementation form of a user clothing-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user clothing-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1 are views show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the holding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It is a view showing the main service execution screen of the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nd the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nd 14 are diagrams showing the service execution screen of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 service execution screen of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과 코디네이터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 웹 사이트와, 해당 어플리케이션 및 웹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30)로 구현되며, 제휴 쇼핑몰 서버(40)와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100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user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lication and a web sit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10 and a coordinator terminal 20, and a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web site. It is implemented as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 for operation, and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affiliated shopping mall server 40 .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를 통해 운영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 받는 서비스 제공 대상자의 휴대통신단말을 의미하고, 코디네이터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를 통해 운영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대상자에게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코디네이터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코디네이터는 코디 업무를 업으로서 전문적으로 행하는 자뿐만 아니라, 패션 인플루언서, 일반적인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지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코디네이터로 명명한 것이다.The user terminal 10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service provider receiv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using an application and a web site operated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 , and the coordinator terminal 20 is a service providing server (30) may mean a terminal of a coordinator that provid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to a service provider using the application and website operated through (30), and the coordinator is not only a person who professionally performs coordinating work as a business, but also a fashion influencer It may include unspeakers and general users, and it is only named as a coordinator in terms of providing a coordinating service.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코디네이터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oordinator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examples of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network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network (WAN). It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n area network), and preferably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Internet is a TCP/IP protocol and several services existing in its upper layers, namely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 ( It refers to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and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EV-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 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typical web server in terms of hardware, and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in softwar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It may include program modules that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using web server programs that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on general server hardware. there i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100),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300) 및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ordin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000 based on user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00 ,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00 , and a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300 . and at least one of the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unit 400 .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100)는, 사용자의 보유의류정보, 신체정보 및 선호의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디 기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00 may register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own clothing information,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이를 위해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의류정보 등록부(110), 신체정보 등록부(120) 및 선호의류정보 등록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0 , the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20 , and the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 3 .

상기 보유의류정보 등록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의류촬영이미지를 첨부파일로 등록하는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포털 사이트의 브랜드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2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및 사용자료부터 의류정보를 입력 받고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0 registers a first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for registering a photographed clothing image taken by a user as an attachment, and a second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for registering a clothing image through a brand search on a portal site It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that receives clothing information from the function and user data and registers clothing image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arch.

이러한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의류뿐만 아니라 신발, 액세서리, 모자, 가방 등 패션과 관련된 모든 아이템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직접 착용 또는 촬영한 사진을 등록하는 기능에 관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 등록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등록하기', '브랜드로 검색하기', 'AI로 검색하기' 메뉴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This function of registering clothing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registering the photos worn or taken by the user directly through the application or website in relation to all fashion-related items such as shoes, accessories, hats, and bags as well as the clothes the user owns through the application or website. Regarding this, if you select the 'Register clothes' menu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8, 'Register directly', 'Search by brand', and 'Search by AI' menu buttons are provided can be

여기서, '직접 등록하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 9에 상의, 아우터, 바지, 가방, 신발, 모자 등의 카테고리 메뉴 버튼이 제공되고, 각 카테고리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보다 상세한 항목들이 제공되며, 해당 항목 중 등록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한 후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을 첨부하여 등록하거나,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바로 사진을 찍어서 등록할 수 있다(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Here, if the 'Register directly' menu button is selected, category menu buttons such as top, outerwear, pants, bag, shoes, and hat are provided in FIG. 9, and more detailed items are provided when each category menu button is selected, After selecting an item to be registered among the corresponding items, it is possible to register by attaching a photo fil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 or by taking a photo directly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to register it (first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

또한, 도 8에 도시된 '브랜드로 검색하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등록 다양한 브랜드 항목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에 해당되는 브랜드를 선택한 후, 해당 의류의 상세정보를 찾아 등록할 수 있다(제2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In addition, when the 'Search by brand' menu button shown in FIG. 8 is selected, various previously registered brand item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After selecting a brand corresponding to the clothes owned by the user, the You can find and register detailed information (2nd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제1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과 제2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and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상기 제1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결제내역 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시스템에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캡처 이미지의 텍스트 및 이미지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찾아 등록하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과 관련된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 정보를 찾아 보유의류정보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The first AI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is to upload a captured image of the user's online shopping mall payment history page to the system, and to find and register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based on the text an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f the uploaded captured image As a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mage and 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that the user has purchased, find the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data, and register it as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상기 제2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을 통해 등록된 의류이미지(직접 촬영한 이미지 또는/및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의류의 종류, 색상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류하고, 분류된 의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의류특성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의류 검색을 통해 가장 유사한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이미지 내 의류의 특성을 분류 및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유사하거나 동일한 의류이미지를 찾아 보유의류정보로서 등록시킬 수 있다.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the clothing image registered through the first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 to classify at least one of color and textu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ed clothing, and to extract and select the most similar clothing information through a pre-stored database and Internet clothing search based on the identified cloth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a func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in the imag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o find the most similar or identical clothing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and register it as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또한,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으로서, 도 8에 도시된 'AI로 검색하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 텍스트 검색' 메뉴 항목과 'AI 이미지 검색' 메뉴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AI 텍스트 검색' 메뉴 항목의 경우 해당 의류와 관련된 정보 중 브랜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예를 들어, 상의, 반팔, 블루, **마크, 오버핏 등)를 텍스트로 'and'와 'or' 연산자를 이용해 검색식을 작성하면, 해당 검색식에 가장 가까운 유사 의류 이미지를 찾아 제공할 수 있으며, 'AI 이미지 검색' 메뉴 항목의 경우 찾을 의류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드로잉 툴로 그리고, 그려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유사 의류 이미지를 찾아 제공할 수 있다(제3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In addition, as the third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when the 'Search by AI' menu button shown in FIG. 8 is selected, the 'AI text search' menu item and 'AI image search' menu item as shown in FIG. 11 are selected. can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AI text search' menu item, the remaining information (eg, top, short sleeve, blue, **mark, overfit, etc.) If you write a search expression using an operator, you can find and provide similar clothing images that are closest to the search expression. In the case of the 'AI Image Search' menu item, image information about the clothing design to be found is drawn with a drawing tool and based on the drawn image. to find and provide the closest similar clothing imag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한편, 보유의류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사용자 본인의 의류착용사진을 등록하게 되면, 코디네이터와 다른 사용자(이성)로부터 해당 의류착용사진을 기준으로 한 패션 스타일 별점을 부여하여 평가 받을 수 있고, 평가된 별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자신의 패션 스타일에 대한 등급을 부여 받은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own clothing picture is registered through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0, fashion style stars based on the clothing wearing picture are given and evaluated by the coordinator and other users (the opposite sex). After receiving a rating for the user's own fashion style based on the given star point,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started.

상기 신체정보 등록부(120)는, 사용자의 신장, 상의와 하의 사이즈, 체중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사이즈와 하의 사이즈를 각각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용자의 의류 사이즈를 등록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장과 체중, 팔 길이, 다리 길이, 앉은 키 등의 부가적인 신체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등록할 수도 있으며, 성별, 연령대 등의 기본적인 추가 정보도 등록할 수 있다.The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20 may register at least one of the user's height, upper and lower sizes, and weight of the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pants to register the user's clothing size, and although not shown, height and weight, arm length, leg length, sitting height, etc. It is also possible to register by additionally inputting additional body information, and basic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gender and age group can also be registered.

상기 선호의류정보 등록부(3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스타일과 핏 종류를 선택하여 선호의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주얼, 댄디, 스트릿, 스포츠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류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고, 슬림, 스탠다드, 세미오버, 오버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핏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The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00 may register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by selecting at least one clothing style and a fit type preferred by the us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at least one clothing style such as casual, dandy, street, sports, etc. may be selected, and at least one or more fitting types such as slim, standard, semi-over, and over may be selected.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는, 사용자의 코디 서비스 요청 시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코디네이터 및 인공지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00 provid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coordinat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00 when a user requests a coordinating service. can

이를 위해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20),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 코디 및 패션 콘텐츠 제공부(240), 코디 서비스 정보 채택부(250) 및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00 includes a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210 , a coordinating coordinat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 a coordinator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ashion content providing unit 240 ,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dopting unit 250 , and a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0 .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는,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100)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로 제공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 등록되어 있는 코디네이터로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을 하는 기준은, 코디 기본 정보에 포함된 선호 스타일, 선호 핏 등과 같이 다양한 카테고리에 특화된 또는 전문화된 코디네이터를 지정하여 해당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코디네이터마다 특화된 스타일이 분류되어 있으며, 이를 검증 받아 등록된 코디네이터 중 사용자의 코디에 적합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코디네이터를 지정하여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 요청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연령대와 성별만을 고려하여 특정 코디네이터들로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210 may provide the coordinator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00 to a previously registered coordinator to request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In this case, as a criterion for requesting coordinator service information from a pre-registered coordinator, the coordinator service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by designating a coordinator specialized or specialized in various categories such as preferred style and preferred fit included in the coordinator basic information. That is, a specialized style is classified for each coordinator, and a coordinator who will provid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suitable for a user's coordinating can be designated and requested from among coordinators registered after verification. However, the method for requesting a service is not limited in this way, and a corresponding service may be requested from specific coordinators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age and gender of the user.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20)는,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에 따라 코디네이터로부터 코디 서비스 정보를 등록 받아 해당 코디네이터의 프로필 및 SNS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may receiv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coordinator according to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 unit 210 and provide the coordinator's profile and SNS information to the user together.

이를 위해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 정보 저장부(221),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222) 및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 the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ordinator information storage unit 221 , a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222 , and a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duction registration unit 223 . may include

상기 코디네이터 정보 저장부(221)는, 코디네이터들로부터 SNS 링크정보, 프로필 정보 등을 입력 받아 코디네이터로 등록할 수 있고, 일부 인플루언서를 선정해 코디네이터로 영입 또는 선정하여 코디네이터로 등록할 수 있다. The coordinator information storage unit 221 may register as a coordinator by receiving SNS link information and profile information from the coordinators, and may select some influencers and recruit or select them as coordinators and register them as coordinators.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222)는,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를 다수의 코디네이터 또는 지정된 코디네이터로 각각 제공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222 may request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by providing the basic coordina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210 to a plurality of coordinators or designated coordinators, respectively.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223)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사용자 의류 코디에 이용될 사진, 영상, 링크 정보와, 의류 코디 디자인 제작을 위해 제공되는 디자인 드로잉 툴을 통해 제작된 이미지를 각각 코디 서비스 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The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duction registration unit 223 converts photos, images, and link information to be used for user clothing coordination from the coordinator, and images produced through a design drawing tool provided for clothing coordination design production, respectively, as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can register.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 계정을 통해 저장되어 있는 상의, 바지, 아우터, 가방, 신발, 모자 등 다양한 코디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코디기본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코디네이터의 코디 정보는 사진, 영상, 링크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by combining various coordination information such as tops, pants, outers, bags, shoes, and hats stored through the coordinator account,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can In this case,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of the coordinator may be stored in various forms such as photos, images, link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코디네이터가 사용자가 의뢰한 보유 의상에 맞는 코디 정보가 없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 툴을 이용하여 상의, 바지, 가방, 신발, 모자 등의 새로운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새로운 디자인은 인공지능 검색 또는 이미지 검색 등을 통해 관련된 브랜드나 판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맞춤 제작 서비스를 위해 본 시스템(1000)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ordinator does not have coordinating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clothes reques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4 , new designs such as tops, pants, bags, shoes, and hats can be created using the drawing tool, and thus new designs The design may provide related brand or sales inform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earch or image search,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sent system 1000 for a customized service.

상기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는,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를 입력 받고,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의 보유의류정보와 매칭되며 신체정보와 선호의류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receives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210, and matches with the cloth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using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어, 딥러닝 학습을 통해 각종 의류 디자인 별로 매칭되는 코디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입력 데이터로서 코디 기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추출해 그와 가장 잘 매칭되는 의류 정보를 출력 데이터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출력 데이터에는 코디 이미지 정보뿐만 아니라, 판매 정보, 해당 코디를 한 다른 사용자의 SNS 정보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matches each clothing design is stored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and when basic coordination information is input as input data, the input data is extracted and clothing information that best matches the clothing information is provided as output data can do. In this case, the output data may include not only the coordination image information, but also sales information, SNS information of other users who have performed the corresponding coordination, and the like.

상기 코디 및 패션 콘텐츠 제공부(240)는,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20)와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와 함께, 해당 코디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추천 정보, 코디네이터 인터뷰 정보, 브랜드 소개 정보, 연관 코디 상품 정보, 패션 지식 정보, 패션 뉴스 정보, 패션 매거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텍스트, 이미지 및 숏 비디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코디네이터 추천 정보는 인플루언서로서 인정 또는 등록되어 있는 코디네이터의 SNS 링크정보, 의류 착용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팔로워 기능을 제공하여 해당 코디네이터를 직접 팔로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ordinating and fashion content providing unit 240, along wit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recommends a coordinato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coordinator interview information, brand introduction information, related coordinating product information, fashion knowledge information, fashion news information, and fashion magazin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image, and short video. Here, the coordinat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NS link information of a coordinator recognized or registered as an influencer, clothing wear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provides a follower function so that the coordinator can be directly followed.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채택부(250)는,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223)를 통해 등록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코디네이터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코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 받고, 선택된 코디 서비스 정보를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의 학습 데이터로 제공하여 코디 딥러닝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명의 코디네이터로부터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 받지 않고, 다수의 코디네이터로부터 각각의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 이 중 원하는 코디 서비스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정보가 채택되며, 채택된 정보는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의 딥러닝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디 서비스 정보를 채택하는 경우, 해당 코디네이터에 대한 별점 또는 점수를 부가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평가 정보는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코디 서비스 정보를 채택함에 있어서 참고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dopting unit 250 classifies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duction registration unit 223 for each coordinator,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classified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selects the selected coordinator. The servi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s learning data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to enable coordinating deep learning learning.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receiv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one coordinator and receiv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coordinators, the user selects desired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mong the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adopted,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is It may be utilized as input data for deep learning lear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 When a user adopt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evalua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a star or score for the coordinator,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s reference information for other users to adopt thei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

상기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60)는, 후술하는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44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콘텐츠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유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공되는 해당 사용자 콘텐츠와 유사 코디 서비스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코디 딥러닝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44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콘텐츠는 SNS 상에서 팔로워들에게 반응이 좋은 인플루언서 코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거나, 이와 유사한 코디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들 모두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코디 딥러닝 학습을 위해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The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0 provides simila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user content provided from the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4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user Using the contents and similar Cody service information as learning data,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Cody deep learning learning. More specifically, the user content provided from the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440 includes influencer coordinating information that is responsive to followers on SNS, which is provided directly to the user or similar coordinating inform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r both may be provided, and thi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AI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for Coordination deep learning learning.

상기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300)는,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코디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300)는,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이 제휴 브랜드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 정보를 본 시스템(1000) 내에서 직접 제공하여 판매 절차를 진행하거나, 제휴 브랜드가 아닌 경우 해당 브랜드의 판매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나 판매 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다.The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300 may provide a sales service of a coordinating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0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n affiliate brand, the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300 transmits sales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0 as shown in FIG. 15 . ) to proceed with the sales process, or if it is not an affiliate brand, link information on the sales page of the brand is provided, but it can be linked to the sales page.

상기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400)는,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에서 코디네이터의 프로모션 코디 콘텐츠 제공 및 인공지능 기술의 딥러닝 학습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may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coordinator's promotional coordinating content provision and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00 .

이를 위해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410),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420),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430) 및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6 , the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400 includes a user f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10 , a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420 , a user content selection unit 430 , and a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440).

상기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4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 사진을 등록 받되, 사용자 안면의 정면과 측면이 각각 포함된 사진을 등록 받고, 안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 특징점을 추출하여 사용자 안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The user's face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10 receives, as shown in FIG. 16, a picture of the user's face is registered, receives a picture including the front and side of the user's face, respectively, and receives the user's facial feature points through a face recognition program It can be extracted and registered user facial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420)는, 사용자의 SNS와 연동하여 해당 SNS에 등록된 콘텐츠 중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410)를 통해 등록된 안면 특징점을 기반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과 착용 의류가 포함된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420 is, as shown in FIG. 16, based on the facial feature points registered through the user facial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410 among the contents registered in the SNS in conjunction with the user's SNS, the user's face and Contents including clothes to be worn may be extracted.

상기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430)는,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420)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된 댓글 수, 팔로워 반응, 댓글 내용을 분석하여 스코어링하고, 스코어링 결과 미리 설정된 기준점수 이상의 사용자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댓글 수, 팔로워 반응, 댓글 내용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각각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항목들에 대하여 점수화한 후, 총 합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제1 사용자 콘텐츠의 경우, 다른 사용자의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서 활용되며, 기준 점수 미만인 제2 사용자 콘텐츠의 경우 새로운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디 기본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The user content selection unit 430 analyzes and scores the number of comments related to the user content extracted through the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420, the follower response, and the content of the comments, and as a result of scoring, selects user cont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core. can At this time, different weights can be applied to the number of comments, follower responses, and comment content, respectively. After scoring these items, in the case of first user content whose total su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core, other users It is used as learning data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second user content less than the reference score, it may be used as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for providing new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상기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440)는,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430)를 통해 선택된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인공지능의 코디 딥러닝 학습을 위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00)의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230)로 제공하며, 제2 사용자 콘텐츠를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코디 서비스 요청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promotional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request unit 440 is configured to use the first user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user content selection unit 430 to learn coordinating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provided to the providing unit 230 , and the second user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210 in order to request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이상에서는 코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인터넷 쇼핑몰로서 다양한 의류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의류를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는 기본적인 커머스 기능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system for providing a coordinating recommendation service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as a basic Internet shopping mall, various clothing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 basic commerce function for selling and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clothing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user clothes-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0: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
110: 보유의류정보 등록부
120: 신체정보 등록부
130: 선호의류정보 등록부
200: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210: 코디 서비스 요청부
220: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221: 코디네이터 정보 저장부
222: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
223: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작 등록부
230: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240: 코디 및 패션 콘텐츠 제공부
250: 코디 서비스 정보 채택부
260: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300: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
400: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제공부
410: 사용자 안면 정보 등록부
420: 사용자 콘텐츠 추출부
430: 사용자 콘텐츠 선택부
440: 프로모션 코디 서비스 정보 요청부
10: 사용자 단말
20: 코디네이터 단말
30 서비스 제공 서버
40: 제휴 쇼핑몰 서버
1000: User clothing-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0: Cody Basic Information Register
110: Registered clothing information
120: body information register
130: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er
200: Cody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210: Cody Service Request Department
220: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221: coordinator information storage unit
222: Coordinator Coordinator Service Information Request Department
223: Coordinator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Creation Register
230: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unit
240: Coordination and fashion content provider
250: Cody Service Information Adoption Department
260: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300: Cody product service provider
400: Promotional coordination service provider
410: user facial information register
420: user content extraction unit
430: user content selection unit
440: Promotion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Request Department
10: user terminal
20: coordinator terminal
30 service providing server
40: affiliate shopping mall server

Claims (6)

사용자의 보유의류정보, 신체정보 및 선호의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디 기본 정보를 등록하는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코디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코디네이터 및 인공지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코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코디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own clothing information,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a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coordinat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when a user requests a coordinating service; and
and a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sales service of a coordinating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의류촬영이미지 또는 기 저장된 의류이미지를 첨부파일로 등록하는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포털 사이트의 브랜드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2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사용자료부터 의류정보를 입력 받고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을 통해 의류이미지를 등록하는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보유의류정보 등록부;
사용자의 신장, 상의와 하의 사이즈, 체중 중 적어도 하나의 신체정보를 등록하는 신체정보 등록부; 및
사용자가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류스타일과 핏 종류를 선택하여 선호의류정보를 등록하는 선호의류정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irst 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to register photographed clothing images taken by users or pre-stored clothing images as attachments, second retention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to register clothing images through brand search on portal sites, from user data a holding clothes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having at least one of a third holding clothes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for receiving clothes information and registering clothes image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arch;
a body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height, upper and lower sizes, and weight; and
A user clothes-bas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by selecting at least one clothing style and a fit type preferred by the us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결제내역 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캡처 이미지의 텍스트 및 이미지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찾아 등록하는 제1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및
상기 제1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을 통해 등록된 의류이미지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해당 의류의 종류, 색상 및 질감 중 적어도 하나를 분류하고, 분류된 의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의류특성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의류 검색을 통해 가장 유사한 의류정보를 추출하여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는 제2 인공지능 보유의류정보 등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rd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for uploading a captured image of the user's online shopping mall payment history page, and searching for and registering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user based on the text an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f the uploaded captured image; and
Classify at least one of the type, color, and texture of the clothing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the clothing image registered through the first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clothing, and identify the cloth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use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owned clothing information registration function that extracts and selectably provides the most similar clothing information through a database and Internet clothing search stored in advance based on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코디 기본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코디 기본 정보를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로 제공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코디 서비스 요청부;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에 따라 코디네이터로부터 코디 서비스 정보를 등록 받아 해당 코디네이터의 프로필 및 SNS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코디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제공된 코디 기본 정보를 입력 받고,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코디 기본 정보의 보유의류정보와 매칭되며 신체정보와 선호의류정보에 따른 코디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for providing coordinator basic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to a previously registered coordinator and request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a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 coordinator according to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 unit and provides a profile and SNS information of the coordinator together to the user; and
The user receives the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ordinating service requesting unit, and uses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match the possessed cloth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basic information, and generates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body information and preferred clothing information.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use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d to the us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코디네이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와 상기 인공지능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와 함께, 해당 코디 서비스 정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추천 정보, 코디네이터 인터뷰 정보, 브랜드 소개 정보, 연관 코디 상품 정보, 패션 지식 정보, 패션 뉴스 정보, 패션 매거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텍스트, 이미지 및 숏 비디오 형태로 제공하는 코디 및 패션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long wit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or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ordinat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coordinator interview information, brand introduction information, related coordination product information, fashion knowledge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use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ordinating and fashion conten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ashion news information, and fashion magazin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ext, image, and short video.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 상품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코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코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이 제휴 브랜드인 경우 판매 정보를 직접 제공하여 판매 절차를 진행하거나, 제휴 브랜드가 아닌 경우 해당 브랜드의 판매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제공하나 판매 페이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의류 기반의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ordinating product service providing unit,
If the product included in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ordinating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n affiliate brand, the sales information is directly provided to proceed with the sales process, or if the product is not an affiliate brand, link information to the sales page of the brand is provided. Coordin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user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o a sales page.
KR1020200142193A 2020-10-29 2020-10-29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KR102453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93A KR102453114B1 (en) 2020-10-29 2020-10-29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93A KR102453114B1 (en) 2020-10-29 2020-10-29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87A true KR20220057187A (en) 2022-05-09
KR102453114B1 KR102453114B1 (en) 2022-10-12

Family

ID=8158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193A KR102453114B1 (en) 2020-10-29 2020-10-29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11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532A (en) * 2009-08-07 2009-09-09 이창근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WO2017126707A1 (en) * 2016-01-23 2017-07-27 鍵和田 芳光 Merchandise purchase assist system
KR101764361B1 (en) * 2016-02-29 2017-08-02 (주)브랜디 Method of providing shopping mall service based s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113739B1 (en) 2020-03-04 2020-05-20 케이퍼스트랩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ation of fashion coordination based on personal clothing
KR20200095631A (en)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Style Coordination by using User's Clothes
KR20200095632A (en) *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Complex Typed Style Coordin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532A (en) * 2009-08-07 2009-09-09 이창근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WO2017126707A1 (en) * 2016-01-23 2017-07-27 鍵和田 芳光 Merchandise purchase assist system
KR101764361B1 (en) * 2016-02-29 2017-08-02 (주)브랜디 Method of providing shopping mall service based s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00095631A (en)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Style Coordination by using User's Clothes
KR20200095632A (en) * 2019-01-31 2020-08-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Complex Typed Style Coordination
KR102113739B1 (en) 2020-03-04 2020-05-20 케이퍼스트랩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ation of fashion coordination based on personal cl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114B1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61B1 (en) Method for providing clothing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i
US10242396B2 (en)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for affiliated colors
US1096407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US10963939B1 (en) Computer vision based style profiles
KR20190029567A (en) Method for recommending a product using style feature
US11132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style mapping
US10290028B2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managing advertisements and a method thereof
WO2015122195A1 (en) Impression analysis device, game device, health management device, advertising support device, impression analysis system, impression analysis method,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200046924A (en) The Automatic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Fashion Coordination
CN107729380A (en) Clothing matching method, terminal, terminal
US201500581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for Items of Fashion and other Items of Creation
KR20200066970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ustomized outfit coordination, product recommend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user's fashion item possession and preference
KR102295459B1 (en) A method of providing a fashion item recommendation service to a user using a date
US200902819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clothing item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KR20190140597A (en) Social network-based smart wardrobe and costume recommendation method
KR101397951B1 (en) System for operating beauty information portal site
KR20200052573A (en) Method for providing curation based daily coordination serivce using social media and log activity
KR2021001728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lor of cosmetic product by sharing information with influencer
KR20180133121A (en) Fashion item recommendation server and fashion item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8596646B (en) Garment matching recommendation method integrating face attribute analysis
KR102453114B1 (en) System for providing coordination service based on clothing of user
JP2019057255A (en) Customer ornament matching system
JP2021093077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KR1024072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based on two-way communication
KR102310565B1 (en)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