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68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168A
KR20220057168A KR1020200142132A KR20200142132A KR20220057168A KR 20220057168 A KR20220057168 A KR 20220057168A KR 1020200142132 A KR1020200142132 A KR 1020200142132A KR 20200142132 A KR20200142132 A KR 20200142132A KR 20220057168 A KR20220057168 A KR 20220057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ensing block
sensing
refrigerat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168A/en
Priority to EP21204748.4A priority patent/EP3992557A1/en
Publication of KR2022005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30) mounted to a refrigerator door; and a detection device (50) configured to detect the mounting of the water tank (30). The detection device (50) may be mounted to the door, rotate or linearly move by interfering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in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and be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if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Accordingly, a user may easily perceive whether the water tank (30) is completely mounted to the refrigerator through a fastening sound or a fastening feel generat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detection device (50) is restored after being pressed.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water tank to be more easily mount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워터탱크가 장착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water tank capable of supplying stored wate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도어에는 음료나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조작하면 물탱크에 저장된 음료나 제빙기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Recently, refrigerators are becoming more multifunctional according to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the trend of luxur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t devices for user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have been released. For example, the refrigerator door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for supplying beverages or ice,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beverages stored in the water tank or ice from the ice maker can be taken out.

이러한 디스펜서에는 저장탱크가 포함되는데, 사용자는 저장탱크에 음료를 담아서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음료가 모두 취출되면 사용자는 저장탱크를 냉장고에서 분리한 후에, 저장탱크에 음료를 채워서 이를 다시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0056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835에는 이처럼 디스펜서 기능이 있는 냉장고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Such a dispenser includes a storage tank, and a user can put a drink in the storage tank and install it in the refrigerator. When all beverages are taken out, the user can separate the storage tank from the refrigerator, fill the storage tank with beverages, and install it in the refrigerator aga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80056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26835 disclose a technology related to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그런데, 사용자는 저장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인식하기 어렵다. 저장탱크의 배출구가 냉장고에 구비된 삽입구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되어야 하는데, 삽입구는 저장탱크에 가려져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저장탱크가 완전히 끼워지지 않으면 음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거나, 음료가 주변으로 새어나갈 수도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storage tank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frigerator. The discharge port of the storage tank must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ince the insertion port is hidden by the storage tank and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If the storage tank is not fully inserted, the beverage may not be supplied smoothly or the beverage may leak to the surrounding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005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08005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83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12683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know that a water tank is completely mounted in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착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mounted in the refrigerator, and at the same time, to know through the installation s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워터탱크의 무게를 이용하여 워터탱크의 장착은 쉽게 하면서도, 장착된 워터탱크를 분리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tank by using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and also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mounted water tank.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워터탱크와, 워터탱크의 장착을 감지시키는 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에 간섭되어 회전되거나 직선이동하며,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이처럼 감지장치가 눌렸다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체결음 또는 체결감을 통해서 사용자는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tank mounted on a refrigerator door, and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tank. The sens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rotates or moves linearly while interfering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it can be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tightening sound or feeling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sensing device after being pressed.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는 타격음을 발생시켜 워터탱크의 장착여부를 알릴 수 있다. And, the sensing device may hit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mber.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may generate a hitting sound to notify whether the water tank is installed.

또한,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블록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블록의 표면에 노출되면, 사용자는 감지블록의 노출상태를 관찰하여 워터탱크의 장착여부를 알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device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may be exposed forward. When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detection block in this way, the user can observe the exposure state of the detection block to know whether the water tank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블록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감지블록이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감지블록은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블록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으므로, 워터탱크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의 사용 중에 상기 워터탱크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block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is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when the sensing block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e sensing block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Since the sensing block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member,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thus reducing vibration noise generated in the water tank during use of the refrigerator.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공간에는 감지블록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감지블록은 상기 워터탱크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 내부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 또는 직선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공간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감지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블록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감지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a housing part having an operating space formed therein forms a skeleton, and a sensing block may be assembled in the working space. The detection block may rotate or move linearly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working space by interference with the water tank. 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an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detection block, respectivel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detection bloc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tection block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를 향하는 상기 감지블록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을 에워싸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블록의 표면이 상기 워터탱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facing the water tank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may stably support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감지장치의 상기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탱크의 장착경로를 따라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가이드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장착방향을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clined guide surfa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forming the working space of the sensing device along the mounting path of the water tank. Such an inclined guide surface may naturally guid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상기 감지블록의 배면에는 스토핑면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블록이 상기 하우징부의 작동공간 안쪽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핑면은 상기 작동공간의 내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블록의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고, 감지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stopp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and when the sensing block is rotated into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unit, the stopping surface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the load on a part of the detection block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detection block.

또한, 상기 감지블록에는 상기 작동공간의 반대편을 향해 노출되어 상기 워터탱크에 의해 눌리는 작동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면에는 지지면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모서리부를 에워쌀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block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ng surface expos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ing space and pressed by the water tank. A support surface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urface, and the support surface may surround a corner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상기 작동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면이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타격면이 연장되고, 상기 타격면은 상기 감지블록이 원위치될 때 상기 하우징부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And, a striking surface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surface extends from the operating surface, and the striking surface may strike th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when the sensing block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감지블록의 내부로 함몰된 구조를 만들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 중 적어도 두 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은 워터탱크의 두 면을 에워싸면서 지지해줄 수 있다. Also, the support surface may have a structure recessed into the sensing block, and the support surface may extend along at least two of the surfaces of the water tank. Therefore, the support surface can support while surrounding the two surfaces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상기 작동면은 상기 감지블록의 전방으로 가장 돌출된 표면이 되고, 상기 작동면은 평면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블록의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면은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는 탱크장착부의 표면과 연속된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지돌기가 원위치 상태인지 여부를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다. And, the working surface may be the most protruding surface to the front of the sensing block, and the working surface may have a flat shape. At this time, when the sensing block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e working surface may form an outer surfac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tank mounting part o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whether the sensing protrusion is in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감지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공간을 향해 개방되는 울림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울림공간은 체결음을 증폭시켜줄 수 있다. In addition, a ringing space that is opened toward the work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sensing block. This resonant space can amplify the tightening sound.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냉장고에 설치된 감지장치는 워터탱크에 의해 눌렸다가 복귀하게 된다. 복귀한 감지장치의 표면은 냉장고의 표면 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감지장치의 돌출상태를 보고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탱크의 장착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While the water tank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he sensing devic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is pressed by the water tank and then returned. The surface of the returned sensing device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by looking at the protruding state of the sensing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water tank is improved.

특히, 감지장치의 감지블록이 눌렸다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생성하는 체결음과 체결감을 통해서도 사용자는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워터탱크의 장착여부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워터탱크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even through the tightening sound and the tightening feeling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ressing and returning the sensing block of the sensing device. In this way,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water tank is installed in various ways, and thus the water tan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orrectly assembled.

그리고, 워터탱크를 장착할 때는 물이 채워져 무거운 워터탱크의 중력을 이용해서 감지블록을 쉽게 동작시킬 수 있고, 워터탱크를 탈거할 때는 감지블록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지지면이 워터탱크의 탈거를 안내해줄 수 있다. 이처럼 워터탱크의 탈착이 모두 용이하므로 냉장고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is installed, the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detection block can be easily operated using the gravity of the heavy water tank. can guide you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tank is easily detachabl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refrigerator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감지블록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울림공간이 하우징부 안쪽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서, 감지블록이 워터탱크를 타격할 때 발생하는 장착음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터탱크의 장착여부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ns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ing space, which is a kind of empty space,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mounting sound generated when the sensing block hits the water tank can be amplified.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water tank is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블록의 작동면은 탱크장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면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지블록의 작동면이 돌출된 상태를 확인하여 워터탱크가 완전히 장착되었는지 식별할 수도 있다. And, the working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er surfac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ank mounting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identify whether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mounted by checking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protrudes.

또한, 본 발명의 감지블록이 워터탱크에 의해 눌려 회전하면, 감지블록의 배면은 스토핑면이 되어 하우징부의 안쪽에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감지블록의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고, 감지블록이 워터탱크에 눌려 강하게 회전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being pressed by the water tank,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becomes a stopping surface and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detection block and to prevent the detection block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being strongly rotated by being pressed by the water tank.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에는 경사가이드면이 있어서, 그 자체가 워터탱크의 장착방향을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지장치를 통해 보다 쉽게 워터탱크를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part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lined guide surface, it can naturally guid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tank itself. Therefore, the user can install the water tank more easily through the sens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냉장고의 도어 등에 소정의 공간만 차지하고 전방에서 장착될 수 있으므로 설치편의성이 높고, 워터탱크에는 감지장치와의 상대동작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워터탱크는 설계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pies only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can be mounted from the front, installation convenience is high. Can be applied without change.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장치에 있는 감지블록은 장착이 완료된 워터탱크를 눌러서 워터탱크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감지블록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으므로, 워터탱크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의 사용 중에 상기 워터탱크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nd, the sensing block in th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tank from vibrating by pressing the installed water tank. Since the sensing block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member, it is possible to pressurize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thus reducing vibration noise generated in the water tank during use of th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도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워터탱크와 감지장치가 도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워터탱크가 도어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감지장치에서 감지블록이 회전되기 전/후의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감지장치에서 감지블록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감지장치에서 감지블록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감지장치에서 감지블록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워터탱크가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과정을 각각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o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and a detection device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a doo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ank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door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sensing block is rotated in the sens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using par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using par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ing block in the sens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ing block in a sens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ing block in a sensing devic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ater tan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frigerator doo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에 착탈식 워터탱크(30)가 설치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워터탱크(30)는 냉장고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스펜서장치(7)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거나, 냉장고에 설치된 제빙장치에 물을 공급해서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디스펜서장치(7)를 통해 물과 얼음이 모두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디스펜서장치(7)의 일부로 볼 수도 있고, 또는 이와 독립된 부품으로 볼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removable water tank (30) is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The water tank 30 can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it can supply drinking water to the user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7 or supply water to an ice mak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o make ice. may be Of course, the user may obtain both water and ice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7 . Here, the water tank 30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dispenser device 7 or as an independent part thereof.

도 1을 보면, 냉장고의 도어(1)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 도어(1)는 캐비넷(미도시)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1)의 회전을 위해서 상기 캐비넷에는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는 도어(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structure of the door 1 of the refrigerator is shown. The refrigerator door 1 is coupled to a cabinet (not shown) and serves to selectively shield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 hinge is installed in the cabinet to rotate the door 1 , and the door 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상기 도어(1)는 상기 캐비넷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데, 대략 평판구조이다. 상기 도어(1)의 구조를 보면, 상기 도어프레임(2)이 도어(1)의 외곽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프레임(2)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에는 단열을 위해서 발포충진부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표현된 부분은 실제로는 안쪽에 마련된 도어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로 볼 수도 있다. The door 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plate structur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door 1 , the door frame 2 constitut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1 , and a foam filling part may be filled in the inside surrounded by the door frame 2 for thermal insulation. The door frame 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par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viewed as a cover member for enclosing the door frame provided on the inside.

도 1은 도어(1)의 안쪽면, 즉 냉장고의 저장실을 향하는 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의 안쪽면은 함몰된 형상으로, 수납공간(3)이 된다. 상기 수납공간(3)에는 바스켓(미도시)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도어(1)의 내면에도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3)은 상기 도어(1)의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프레임(4)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도면부호 G는 가스켓으로, 도어(1)와 캐비넷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1 shows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has a recessed shape and becomes a storage space 3 . A basket (not shown)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3 , so that a user can store food and the lik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 The storage space 3 may be surrounded by a door frame 4 constituting a side surface of the door 1 . Reference numeral G denotes a gasket, which may increas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door 1 and the cabinet.

상기 도어(1)의 상부에는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을 위해서 도어(1)의 상부에는 장착공간(11)이 마련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공간(11)은 도어(1)의 내면 중에서 상부를 차지하는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1)은 워터탱크(30)를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된 후에 위쪽으로 어느 정도 여유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A water tank 3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 , and a mounting space 1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 for mounting the water tank 30 . As shown in FIG. 1 , the mounting space 11 is a space occupy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 The mounting space 11 may have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upward after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mounted while moving the water tank 30 from top to bottom.

도 3 내지 도 5를 보면, 상기 워터탱크(30)는 위에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도어(1)의 장착공간(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1)의 중심에는 탱크장착부(10)가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10)는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워터탱크(30)에 구비된 배출구(33)가 끼워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3 to 5 , the water tank 30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1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above.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space 11 is a tank mounting portion (10). The tank mounting part 10 is a part where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and more precisely, it may be a part into which the outlet 33 provided in the water tank 30 is fitted.

상기 탱크장착부(10)의 양쪽에는 장착홀(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은 상기 도어(1)의 장착공간(11)의 상부에 함몰된 공간이다. 상기 장착홀(12)의 안쪽 공간은 발포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Mounting holes 12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nk mounting unit 10 , and a sensing device 5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s 12 . The mounting hole is a space reces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1 . An inner space of the mounting hole 12 may be filled with a foam insulation material.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장치(50)를 구성하는 하우징부(60)는 상기 장착홀(12)의 안쪽에 수납되는데, 도어(1)의 내부에 발포단열재를 충진하기 전에 미리 상기 하우징부(60)를 상기 장착홀(12)에 조립해줄 수도 있고, 또는 발포단열재를 먼저 충진한 후에 상기 장착홀(12)에 하우징부(60)를 조립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part 60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5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12 , and before filling the inside of the door 1 with the foam insulation material, the housing part 60 ) may be assembled in the mounting hole 12 , or the housing unit 60 may be assembled in the mounting hole 12 after filling the foam insulation first.

상기 탱크장착부(10)의 중심부에는 연결구(20)가 조립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탱크장착부(10)의 중심부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다시 중첩되게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장착홀(12)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에는 별도의 연결브라켓(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브라켓은 생략되거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A connector 20 is assembled at the center of the tank mounting part 10 . The connector 20 may be fitted in the center of the tank mounting part 10 , and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may be fitted to the connector 20 to overlap again. Of course, the connector 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hole 12 . A separate connection bracke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20 , and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omitted or configured as a filter.

상기 연결구(20)는 속이 비어 있는 관구조로, 일종의 어댑터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의 안쪽에는 빈 공간인 연결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21)의 안쪽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끼워지면, 상기 배출구(33)에 장착된 밸브조립체(100)가 디스펜서장치(7)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or 20 has a hollow tube structure and may be viewed as a kind of adapter. A connection hole 21 , which is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hole 20 , and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s fitted inside the connection hole 21 . When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 , the valve assembly 100 mounted on the outlet 33 may be connected to the dispenser device 7 .

도 3을 보면, 상기 장착공간(11)의 측면에는 가이드홈(5)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5)은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워터탱크(3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가이드(35)가 상기 가이드홈(5)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은 상기 장착공간(11)의 양쪽 측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홈(5)은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re is a guide groove 5 on the side of the mounting space 11 . The guide groove (5) is for assisting in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installation guide (3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30)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 (30) can be mounted. The guide groove 5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space 11, and the guide groove 5 may be omitted.

도 4를 보면, 상기 도어(1)의 전면 쪽에는 디스펜서장치(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장치(7)는 상기 워터탱크(3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장치(7)의 레버(90)를 누르면, 상기 레버(90)는 밸브조립체(100)를 가압하고, 밸브조립체(100)가 열리면서 상기 워터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dispenser device 7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1 . The dispenser device 7 is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 to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the lever 90 of the dispenser device 7, the lever 90 presses the valve assembly 10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 is discharged as the valve assembly 100 is opened. can be supplied.

상기 워터탱크(30)의 개략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워터탱크(30)의 탱크바디(31)는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위쪽으로 개방된 저수공간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장착공간(11)에 형상에 맞도록 좌우로 긴 형태인데, 이러한 형태는 장착공간(11)에 맞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First,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water tank 3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 , the tank body 31 of the water tank 3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an upwardly open water storage space is provided therein. . The water tank 30 has a long form left and right to fit the shape of the mounting space 11 , and this shape can be deformed to fit the mounting space 11 .

상기 워터탱크(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펜서장치(7)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에서 디스펜서장치(7)로의 급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 방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 4에는 상기 디스펜서장치(7)와, 상기 디스펜서장치(7)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90)가 도시되어 있다. The water tank 30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dispenser device 7 to be described below.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30 to the dispenser device 7 in a free-fall manner by gravity without using a separate pump. For reference, FIG. 4 shows the dispenser device 7 and a lever 90 for operating the dispenser device 7 .

상기 탱크바디(31)에는 배출구(3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탱크바디(31)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출구(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워터탱크(30)의 저수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디스펜서장치(100) 또는 제빙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33)에는 밸브조립체(100)가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밸브조립체(100)는 상기 디스펜서장치(7)의 레버(90)에 연동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The tank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33 . As shown in FIG. 4 , the tank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33 in a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The outlet 3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water tank 30 to supply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to the dispenser device 100 or the ice maker. At this time, the valve assembly 100 may be assembled to the outlet 33 , and the valve assembly 100 may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lever 90 of the dispenser device 7 .

이렇게 상기 배출구(33)가 상기 워터탱크(30)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의 연결홀(21)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연결홀(21)의 연장각도에 맞게 경사각을 가지면서 구비되므로, 상기 배출구(33)가 상기 연결홀(21)에 끼워지면 자연스럽게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방향이 안내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since the outlet 33 extends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water tank 30 , the outlet 33 determin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1 of the connector 20 . It can also serve as a guide. That is, since the discharge port 33 is provided with an inclination angle to match the extension angle of the connection hole 21 , when the discharge port 3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1 , the water tank 30 is naturally mounted. The direction can be guided.

상기 탱크바디(31)의 양측면에는 장착가이드(35)가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35)는 상기 가이드홈(5) 형상에 맞게 돌출된 리브 형태인데, 양쪽에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35)는 상기 가이드홈(5)에 맞물릴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 즉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장착공간(11)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re are mounting guides 35 on both sides of the tank body 31 . The mounting guide 35 is in the form of a rib protruding to fit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5 , and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 mounting guide 35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 ,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fit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 .

상기 워터탱크(30)의 저수공간의 개방된 위쪽에는 탱크커버(36)가 결합된다. 상기 탱크커버(36)는 상기 탱크바디(31)의 상면을 덮어 상기 저수공간(3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탱크커버(36)에는 공급홀이 관통되는데, 상기 공급홀을 통해서 상기 저수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36)에 차폐캡(39)이 결합되면, 상기 공급홀이 차폐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차폐캡(39)에 의해서 상기 공급홀이 가려져 있다. 사용자는 상기 차폐캡(39)을 분리하고, 상기 공급홀을 통해서 저수공간 내부로 물을 채울 수 있다. A tank cover 36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water tank 30 . The tank cover 36 serve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31 to shield the water storage space 32 . At this time, a supply hole is penetrated through the tank cover 36 , and the water storage sp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ly hole. When the shielding cap 39 is coupled to the tank cover 36, the supply hole may be shielded. In the drawing, the supply hole is covered by the shielding cap 39 . A user can separate the shielding cap 39 and fill the water storage space with water through the supply hole.

다음으로 감지장치(50)를 살펴보면, 상기 감지장치(50)는 상기 워터탱크(30)를 도어(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동작하고, 그 동작을 통해 체결음과 체결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장치(50)는 상기 도어의 장착공간(11)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때 워터탱크(30)의 표면과 간섭되면서 동작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sensing device 50, the sensing device 50 operates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tank 30 to the door 1, and serves to provide a fastening sound and a fastening feeling through the operation. . Since the detection device 50 is installed with at least a part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it can operate while interfering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here is.

상기 감지장치(50)에서 실제로 동작되는 부분은 감지블록(70)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블록(70)은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감지블록(70)이 원상태에서 회전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면 워터탱크(30)가 완전히 장착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원상태'란 감지블록(7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상기 감지블록(70)이 원위치이자 초기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상기 감지블록(70)은 회전운동이 아니라 직선운동할 수도 있다. The part that is actually operated in the sensing device 50 is the sensing block 70,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block 70 may rotate. When the detection block 70 is rotated from its original state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tank 30 is fully installed. At this time, the 'original state' means that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nsing block 70, so that the sensing block 70 is in its original position and in its initial state. Alternatively, the sensing block 70 may move in a straight line rather than in a rotational motion.

구체적으로 보면,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감지장치(50)는 상기 대부분이 상기 장착홀(12)의 안쪽에 있고,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이 대부분일 수 있다. 상기 작동면(77)은 상기 장착공간(11)의 전방을 향해 노출되어 있고, 특히 돌출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에 눌릴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워터탱크(30)가 완전히 장착되어, 상기 워터탱크(30)의 상면 모서리부(36a)와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most of the sensing device 50 is inside the mounting hole 12 , and most of the exposed portion is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sensing block 70 . there is. The working surface 77 is ex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mounting space 11 , and since it is in a particularly protruding position, it can be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 For reference,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completely mount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corner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

상기 감지장치(50)의 골격은 하우징부(60)가 만들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60)는 상기 도어(1)의 장착홀(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60)의 내부에는 작동공간(62)이 형성되어서, 상기 감지블록(70)이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다. 상기 작동공간(62)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70)은 전방에서 상기 작동공간(62)에 조립될 수 있다. The frame of the sensing device 50 may be made by the housing unit 60 . The housing part 60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12 of the door 1 . An operating space 62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unit 6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nsing block 70 can operate. The working space 62 is open to the front, so that the sensing block 70 can be assembled in the working space 62 from the front.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하우징부(60)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작동공간(62)에 설치된 감지블록(70)만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80)가 압축될 수 있고,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해서 상기 감지블록(70)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6 and 7 , the housing unit 60 is fixed, and only the sensing block 70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62 can rotate. In this process, the elastic member 8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pressed, and the sensing block 7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using the stored elastic energy.

도 8과 도 9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부(6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하우징부(60)의 하우징몸체(61)는 대략 육면체이고, 대부분이 상기 장착홀(12)의 안쪽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60)의 상기 작동공간(62)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작동공간(62)은 상방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part 60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the housing body 61 of the housing part 60 is approximately hexahedral, and most of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12 . there is. The working space 62 of the housing part 60 may be opened forward, and the working space 62 may also be opened upward.

상기 하우징부(60)의 작동공간(62)에는 회전홈(63)이 있다. 상기 회전홈(63)은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이 함몰되거나 관통되어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회전홈(6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블록(70)의 회전돌기(75)가 끼워지고, 이렇게 되면 상기 감지블록(70)은 상기 회전돌기(7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홈(63)은 상기 작동공간(62)의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A rotating groove 63 is provided in the working space 62 of the housing part 60 . The rotation groove 63 is made by being depressed or penetra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 The rotating protrusion 75 of the sensing block 70 to be described below is fitted into the rotating groove 63, and in this case, the sensing block 70 can be rotated using the rotating protrusion 75 as a rotating shaft. The rotation groove 63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working space 62 .

상기 하우징부(60)의 작동공간(62)에는 지지수단(64)이 있다. 상기 지지수단(64)은 상기 감지블록(70) 또는 탄성부재(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상대동작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수단(64)에는 감지블록(70)이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탄성부재(80)의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In the working space 62 of the housing part 60 , there is a support means 64 . The support means 64 is for relative oper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sensing block 70 and the elastic member 80 . In this embodiment, the detection block 70 is selectively contacted to the support means 64 , 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fixed.

상기 지지수단(64)에는 지지턱(64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64a)은 회전된 상기 감지블록(70)의 일부가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작동공간(62)에서 돌출되고, 그 표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턱(64a)에는 회전된 감지블록(70)의 하부 중 일부가 면접촉될 수 있다. The support means 64 may include a support jaw 64a. The supporting jaw 64a may b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rotated sensing block 70 , and may protrude from the working space 62 as shown in FIG. 8 , and its surface may be inclined.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ed sensing block 70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jaw 64a.

상기 지지턱(64a)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고정부(64b)가 있다. 상기 제1고정부(64b)은 상기 작동공간(62)의 바닥부에 함몰된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64b)은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4b)에는 탄성부재(80)의 제1고정단(8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고정부(64b)은 함몰된 구조이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1고정부(64b)는 상기 작동공간(62)에서 돌출된 구조일 수도 있다. A first fixing part 64b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pport jaw 64a. The first fixing part 64b is recessed in the bottom of the working space 62 , and the first fixing part 64b may extend in one direction. The first fixing end 83 of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64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ixing part 64b has a recessed structure. Alternatively, the first fixing part 64b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working space 62 .

도 9을 보면,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는 파지돌기(65)가 돌출되는데, 상기 파지돌기(65)는 하우징부(60)의 조립 또는 리워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돌기(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holding protrusion 65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 and the holding protrusion 65 is for facilitating assembly or rework of the housing unit 60 . The gripping protrusion 65 may be omitted.

상기 하우징부(60)의 전면에는 플랜지부(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66)는 상기 하우징부(60)를 구성하는 하우징몸체(61)의 나머지 부분 보다 폭이 큰 부분으로, 상기 플랜지부(66)의 외곽부(66a')는 상기 장착홀(12)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플랜지부(66)는 상기 외곽부(66a')부터 상기 장착홀(12)의 바깥쪽에 배치되지만, 상기 하우징부(6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장착홀(12)의 안쪽에 수납된다고 볼 수 있다. A flange part 6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part 60 . The flange portion 66 is a portion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rest of the housing body 61 constituting the housing portion 60 , and the outer portion 66a ′ of the flange portion 66 is formed in the mounting hole 12 . ) can be caught on the edge of More precisely, the flange portion 66 is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hole 12 from the outer portion 66a ′, bu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60 i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hole 12 . can be considered to be stored.

상기 플랜지부(66)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66)의 전면 중에서 상부에는 경사가이드면(66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평면(66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면(66a)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작동공간(62)의 깊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부평면(66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66 may have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at different angles. An inclined guide surface 66a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66 , and a lower flat surface 66b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may extend downward in a direction to decrease the depth of the working space 62 toward the bottom, and the lower plane 66b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경사가이드면(66a)은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경로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은 상기 하우징부(6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경사가이드면(66a)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is formed along the mounting path of the water tank 30 .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tank 30 ,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may be inserted obliquely downward along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housing part 60 .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은 상기 경사가이드면(66a) 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상기 워터탱크(30)에 의해 상기 작동면(77)이 눌릴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면(66a)의 경사각이나 전체 길이는 상기 도어(1)의 장착공간(11)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sensing block 70 to be described below protrudes outward than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the operating surface 77 can be naturally pressed by the water tank 30. there is. The inclination angle or the total length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1 .

상기 장착홈(67)의 후방에는 접촉면(6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67a)은 상기 장착홈(67)의 후방이자,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62)의 상단 내면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면(67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감지블록(70)의 타격면(77a)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블록(70)의 회전상태에서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격면(77a)이 상기 접촉면(67a)을 타격하면서 체결음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면(67a)은 상기 타격면(77a)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A contact surface 67a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mounting groove 67 . The contact surface 67a is the rear of the mounting groove 67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space 62 . A striking surface 77a of the sensing block 7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67a.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from the rotational state of the sensing block 70, the striking surface 77a may make a locking sound while striking the contact surface 67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surface 67a is flat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triking surface 77a.

도 6를 보면, 상기 접촉면(67a)의 후방에는 장착홈(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67)은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로, 여기에는 상기 장착홀(12)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장착홈(67)은 상기 하우징부(60)의 좌우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 mounting groove 67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tact surface 67a. The mounting groove 67 has a structure recessed downward, and an edge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12 may be fitted therein. The mounting groove 67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unit 60 .

다음으로, 상기 감지블록(70)을 살펴보면, 상기 감지블록(70)은 상기 워터탱크(30)에 의해 눌렸다가 탄성부재(8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때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블록(70)은 상기 회전돌기(75)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지만, 상기 작동공간(62) 내외부로 입출되는 방식으로 직선운동할 수도 있다. Next, looking at the detection block 70 , when the detection block 70 is pressed by the water tank 3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member 80 ,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 can hit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block 70 rotates around the rotating protrusion 75 , but may also linearly move in a manner of entering and exiting the working space 62 inside and outside the working space 62 .

도 10 내지 도 12을 보면, 상기 감지블록(70)의 외관은 블록몸체(7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71)는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보면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71)의 배면은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10 to 12 , the exterior of the sensing block 70 may be formed by a block body 71 . The block body 71 may have a width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working space 62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protrudes forward than the lower part when viewed as a whole.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body 71 may extend in an inclined direction.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와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블록몸체(71)의 내부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빈 공간은 전방으로 노출되진 않고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Looking in detail, as shown in FIGS. 6 and 12 ,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71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empty space. This empty space is not exposed forward but is open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 has been

그리고, 이러한 상기 블록몸체(71) 내부의 빈 공간에는 다수개의 구획판(73)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73)들은 상기 빈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개의 울림공간(73a)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구획판(73)들은 상기 블록몸체(7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구조이다. 상기 구획판(73)의 길이는 상기 블록몸체(71)의 형상에 따르게 되는데,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블록몸체(71)의 경사진 형태로 인해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구획판(73)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73 may be provided in the empty space inside the block body 71 . The partition plates 73 may partition the empty space to create a plurality of sounding spaces 73a. The partition plates 73 are plate-shaped structure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block body 71 . The length of the partition plate 73 depends on the shape of the block body 71. As shown in FIG. 6, the length of the partition plate 73 toward the bottom due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block body 71. can be lengthy

상기 구획판(73)에 의해 구획되어 만들어지는 다수개의 울림공간(73a)들은 빈 공간으로, 상기 감지블록(70)이 하우징부(60)와 부딪힐 때 생성되는 체결음을 증폭시켜줄 수 있다. 즉, 상기 울림공간(73a)으로 인해 상기 감지블록(70)이 전체적으로 울림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울림공간(73a)은 상기 감지블록(70)의 후방으로 개방되므로 증폭된 체결음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esonant spaces 73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73 are empty spaces, and can amplify a locking sound generated when the sensing block 70 collides with the housing unit 60 . That is, the sensing block 70 can become an overall sounding chamber due to the sounding space 73a. Since the sounding space 73a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sensing block 70, the amplified fastening sound can be radiated to the outside.

상기 구획판(73)에는 제2고정부(7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73b)는 상기 탄성부재(80)의 제2고정단(85)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73b)는 상기 구획판(73)에서 함몰된 구조가 될 수 있는데, 이렇게 함몰된 부분에 상기 제2고정단(85)이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80)의 제1고정단(83)은 상기 하우징부(60)의 제1고정부(64b)에 고정되고, 제2고정단(85)은 상기 제2고정부(73b)에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 second fixing part 73b may be formed on the partition plate 73 . The second fixing part 73b is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end 85 of the elastic member 80 . The second fixing part 73b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recessed from the partition plate 73 , and the second fixing end 85 is fitted into the recessed part. The first fixing end 83 of the elastic member 8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64b of the housing part 60, and the second fixing end 85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3b. By being fix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상기 제2고정부(73b)는 상기 다수개의 구획판(73)들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상기 구획판(73)들에는 각각 제2고정부(73b)들이 서로 연속된 경로를 따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부재(80)의 제2고정단(85)은 상기 다수개의 제2고정부(73b)들을 지나면서 이들에 끼워질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73b may be continuously formed on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73 .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73 may have second fixing parts 73b recessed along a continuous path.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fixing end 85 of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fitted thereto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73b.

상기 감지블록(70)의 하부에는 회전돌기(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75)는 상기 하우징부(60)의 회전홈(63)에 끼워질 수 있게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75)가 상기 회전홈(63)에 끼워지면, 상기 감지블록(70)은 상기 작동공간(62) 안에서 회전될 수 있다. A rotating protrusion 75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nsing block 70 . The rotating protrusion 75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to be fitted into the rotating groove 63 of the housing unit 60 . When the rotating protrusion 75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groove 63 , the sensing block 70 may be rotated in the working space 62 .

도 10를 보면, 상기 감지블록(70)의 전면에는 작동면(7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면(77)은 상기 작동공간(62)의 반대편을 향한 부분으로, 상기 워터탱크(30)에 의해 눌리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작동면(77)은 평면이 될 수 있고, 상기 감지블록(70)이 원상태에 있을 때 전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부분이기도 하다. Referring to FIG. 10 , an operating surface 77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70 . The working surface 77 is a part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ing space 62 , and is a part pressed by the water tank 30 . The working surface 77 may be flat, and it is also the portion that most protrudes forward when the sensing block 70 is in its original state.

상기 작동면(77)은 상기 회전돌기(75)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감지블록(70)의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면(77)은 주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이란, 상기 워터탱크(30)와 상기 감지장치(50)가 장착되는 탱크장착부(10)의 표면, 보다 정확하게는 장착공간(11)의 내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면(77)의 돌출된 위치를 보고 상기 워터탱크(30)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를 보면, 상기 작동면(77)이 상기 장착공간(10)의 상부를 통해서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The working surface 77 is present at a position that protrudes forward than the rotation protrusion 75, and when the sensing block 7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the operating surface 77 may protrude more than the periphery. Here, the periphery can be seen to mean the surface of the tank mounting part 10 on which the water tank 30 and the sensing device 50 are mounted, or more precisely,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 . Accordingly, the user may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water tank 30 is properly mounted by looking at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surface 77 . Referring to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ng surface 77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10 .

만약 상기 작동면(77)이 상기 탱크장착부(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아니라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라면 워터탱크(30)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작동면(77)의 색상을 식별력 높은 색상으로 선택하면, 이러한 식별력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If the operating surface 77 is in a state inside, not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ank mounting part 10, it can be expected that the water tank 30 is not properly mounted. If the color of the working surface 77 is selected as a color with high discrimination power, this discrimination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작동면(77)에는 타격면(77a)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격면(77a)은 상기 작동면(77)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감지블록(70)의 원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타격면(77a)은 상기 작동면(77) 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A striking surface 77a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urface 77 . The striking surface 77a is located above the operating surface 77 , and when the sensing block 70 is in its original state, the striking surface 77a is located behind the operation surface 77 .

상기 타격면(77a)은 상기 하우징부(60)의 접촉면(67a)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타격면(77a)이 상기 접촉면(67a)에 접촉되면, 상기 감지블록(70)이 더 이상 작동공간(62)의 바깥쪽(도 6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타격면(77a)은 일종의 스토퍼로 볼 수도 있다. The striking surface 77a may contact the contact surface 67a of the housing part 60 . When the striking surface 77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67a, the detection block 70 is no longer able to rotate outside the working space 62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6), so that the The striking surface 77a may be viewed as a kind of stopper.

상기 타격면(77a)은 상기 접촉면(67a)에 대응하는 평면이 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타격면(77a)이 상기 접촉면(67a)과 접촉되는 순간, 타격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타격음이 일종의 체결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격면(77a)과 상기 접촉면(67a)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타격부(K1)로 볼 수 있다. The striking surface 77a may be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67a,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triking surface 77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67a, a striking sound is generated, and this striking sound may be a kind of fastening sound. Accordingly, a portion in which the striking surface 77a and the contact surface 67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viewed as the striking portion K1.

상기 타격면(77a)에서 이어지는 상기 감지블록(70)의 상단 배면에는 스토핑면(77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면(77a')은 상기 감지블록(70)의 배면에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핑면(77a')은 상기 감지블록(70)이 회전했을 때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 닿게 되는 부분이다. A stopping surface 77a ′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70 that extends from the striking surface 77a. The stopping surface 77a ′ may be configured as a flat surface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tection block 70 , and the stopping surface 77a ′ is the working space 62 when the detection block 70 rotates. The part that touches the inner part of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핑면(77a')은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 면접촉하므로, 상기 감지블록(70)이 상기 하우징부(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감지블록(70)의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상기 워터탱크(30)의 무게로 인해 상기 감지블록(70)이 강하게 회전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스토핑면(77a')이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 면접촉하면서 감지블록(70) 또는 하우징부(60)의 파손을 방지해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since the stopping surface 77a ′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 the sensing block 7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unit 60 , and the It prevents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detection block 70 . In particular, the detection block 70 may be strongly rotat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30. At this time, the stopping surface 77a'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while the detection block ( 70) or the housing unit 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상기 타격면(77a)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작동면(77)에서 연결되는 지지면(77b)이 있다.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감지블록(70)의 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되면, 상기 워터탱크(30)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에워싸는 부분이 된다. 상기 지지면(77b)은 작동면(77)을 기준으로 상기 타격면(77a)의 반대편에 구비되는데, 다시 말해 상기 작동면(77) 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triking surface (77a) has a support surface (77b) connected to the operation surface (77). The support surface 77b form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70 .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he support surface 77b becomes a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edge of the water tank 30 . The support surface 77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riking surface 77a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urface 77 , that is, it may be located below the operation surface 77 .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감지블록(70)의 내부로 함몰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면(77b)이 형성되는 상기 감지블록(70)의 부분은 상기 작동면(77) 보다 후방, 즉 작동공간(62)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 중 적어도 두 면을 따라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The support surface 77b may have a structure recessed into the sensing block 70 . As shown in FIG. 10 , the portion of the sensing block 70 on which the support surface 77b is formed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space 62 rearward than the operation surface 77 .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surface 77b extends along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water tank 30 .

이렇게 상기 지지면(77b)에 의해 함몰된 감지블록(70)의 안쪽 부분에는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를 에워싸는 형태가 되므로, 워터탱크(30)가 상기 탱크장착부(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the corner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sensing block 70 recessed by the support surface 77b. Therefore, since the support surface 77b has a shape surrounding the corner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the water tank 30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in the tank mounting portion 10. there is.

반대로, 상기 워터탱크(30)가 분리될 때는, 상기 지지면(77b)을 따라 쉽게 분리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면(77b)은 곡면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versely, when the water tank 30 is separated, it can be induced to be easily separated along the support surface 77b.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surface 77b is preferably made in a curved shape.

한편, 상기 지지면(77b)은 상기 감지블록(70)의 원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를 타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지지면(77b)이 두 번째 타격부(K2)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지지면(77b)은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를 타격하지 않고,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surface 77b may strike the edge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when the sensing block 70 rotates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is case, the support surface 77b may be the second striking portion K2. Of course, the support surface 77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hitting the edge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

도 11을 보면, 상기 감지블록(70)의 배면에는 일부가 함몰되어서 조립홈(78')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78')에는 체결보스(78)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보스(78)는 상기 회전돌기(75)가 돌출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n assembly groove 78 ′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70 by being partially depressed. In addition, a fastening boss 78 may protrude from the assembly groove 78 ′, and the fastening boss 78 may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rotrusion 75 .

상기 체결보스(78)는 일종의 외팔보 구조가 된다. 상기 체결보스(78)의 말단에는 조립단차부(78a)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부재(80)의 조립을 쉽게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0)의 몸통부(81)는 이처럼 상기 조립홈(78')에서 상기 감지블록(70)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보스(78)에 끼워질 수 있다. The fastening boss 78 becomes a kind of cantilever structure. The assembly step portion 78a is thinly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astening boss 78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elastic member 80 . The body 81 of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boss 78 protruding from the assembly groove 78 ′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nsing block 70 .

상기 감지블록(70)에는 고정홈부(7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부(79)는 상기 탄성부재(80)의 제2고정단(85)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단(85)의 시작부가 상기 고정홈부(79)에 끼워지고, 상기 제2고정단(85)에서 더 연장된 부분은 상기 제2고정부(73b)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홈부(79)는 상기 감지블록(70)의 상기 조립홈(78')에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A fixing groove 79 may be provided in the sensing block 70 . The fixing groove 79 may be fitted with the second fixing end 85 of the elastic member 80 . A start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end 85 may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79 , and a portion extending further from the second fixing end 85 may be fitted into the second fixing portion 73b. The fixing groove 79 may be formed in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assembly groove 78 ′ of the sensing block 70 .

도 6를 참조하여 탄성부재(80)를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작동공간(62)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부(60)와 상기 감지블록(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감지블록(70)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감지블록(7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the elastic member 80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62 , and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housing unit 60 and the sensing block 70 . can be connected The elastic member 80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detection block 7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tection block 7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탄성부재(80)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의 몸통부(81)는 상기 감지블록(70)의 체결보스(78)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81)에서 연장되는 제1고정단(83)과 제2고정단(85)은 각각 상기 하우징부(60)의 제1고정부(64b)와 상기 감지블록(70)의 제2고정부(73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단(85)은 상기 제1고정단(83)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단(85)은 상기 감지블록(7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고정부(73b)를 각각 지나면서 여러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composed of a torsion spring. The body portion 81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boss 78 of the sensing block 70 .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end 83 and the second fixing end 85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81 are the first fixing part 64b of the housing part 60 and the sensing block 70 , respectively. It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73b). The second fixing end 85 may extend relatively longer than the first fixing end 83 . The second fixing end 85 may be stably fixed at various positions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73b formed in the sensing block 70 ,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제2고정단(85)은 상기 감지블록(70)을 상기 작동공간(62)의 바깥쪽(도 6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상기 감지블록(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80)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품이 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second fixed end 85 provides an elastic force for rotating the sensing block 70 to the outside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6 ) of the working space 62 to the sensing block 70 . can Alternatively,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an elastic part of various types, such as a coil spring or a plate spring.

앞서 설명한 실시례에서는 감지장치(50)에 하우징부(60)가 별도로 구비되었으나, 상기 하우징부(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60)가 생략되면, 상기 감지블록(70)과 상기 탄성부재(80)가 상기 장착홀(12)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지블록(70)이 감지장치(50) 자체라고 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housing unit 60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5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using unit 60 may be omitted. If the housing part 60 is omitted, the sensing block 70 and the elastic member 80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mounting hole 12 . In this case, the sensing block 70 may be referred to as the sensing device 50 itself.

또한, 상기 감지장치(50)가 도어(1)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감지장치(50)와 워터탱크(30)는 모두 냉장고의 캐비넷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detection device 50 is mounted on the door 1 is exemplified, both the detection device 50 and the water tank 30 may be installed on the cabinet side of the refrigerato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워터탱크(30)가 상기 탱크장착부(10)에 장착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Next, a process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ill be described. 13 to 15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o the tank mounting unit 10 .

먼저 사용자가 워터탱크(30)를 도어(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장착공간(11)으로 가까이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워터탱크(30)의 한쪽 표면이 상기 장착공간(11)의 탱크장착부(10)를 향하게 된다. First, in order for a user to mount the water tank 30 on the door 1, the user must first move closer to the mounting space 11. 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is the tank of the mounting space 11. It faces the mounting portion (10).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와, 상기 배출구(33)에 연결된 밸브조립체(100)는 상기 연결구(20)의 연결홀(21) 입구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방향은 상기 밸브조립체(100)와 연결홀(21)이 서로 조립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valve assembly 100 connected to the outlet 33 may be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connection hole 21 of the connector 20 . Accordingly,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tank 30 may be gu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assembly 100 and the connection hole 21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3 .

한편, 상기 감지장치(50)의 상기 감지블록(70)은 세워진 상태, 즉 원상태에 있다. 이것은 상기 탄성부재(80)가 상기 감지블록(70)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은 상기 장착공간(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표면을 구성하고 있고, 동시에 상기 하우징부(6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block 70 of the sensing device 50 is in an erected state, that is, in an original state. This is because the elastic member 8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nsing block 70 .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sensing block 70 constitutes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 , and at the same time protrudes from the housing unit 60 and waits.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장착공간(11)의 안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이 상기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과 닿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은 상기 하우징부(60)의 플랜지부(66)를 구성하는 경사가이드면(66a)에도 닿게 된다. When the water tank 30 moves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space 11 ,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sensing block 70 .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constituting the flange portion 66 of the housing portion 60 .

이 상태로 사용자가 워터탱크(30)를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은 상기 경사가이드면(66a)을 따라 대각선 방향(도 13의 화살표1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워터탱크(30)의 상기 밸브조립체(100)와 연결홀(21)이 서로 조립되는 방향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water tank 30 inward,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may naturally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arrow 1 direction in FIG. 13 ) along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 This is becau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assembly 100 and the connection hole 21 of the water tank 3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is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이와 동시에, 상기 워터탱크(30)가 경사가이드면(66a)의 안내로 장착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터탱크(30)를 안쪽 방향으로만 밀어 넣으면 되므로, 워터탱크(30)의 장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water tank 30 may move along the installation path of the guide path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66a. Therefore, since the user only needs to push the water tank 30 inward, the water tank 30 can be easily installed.

이렇게 상기 워터탱크(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은 상기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을 밀게 되고, 상기 감지블록(70)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블록(70)은 회전돌기(75)를 회전축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공간(62)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와 밸브조립체(100)는 상기 연결홀(21)의 안쪽으로 더욱 깊게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ater tank 30 ,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pushes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detection block 70 , and the detection block 70 may rotate. That is, the sensing block 70 rotates clockwise with the rotating protrusion 75 as a rotation axis, and enters the working space 62 . Then,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valve assembly 100 are inserted more deeply into the connection hole 21 .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4 .

이 과정에서, 비록 상기 탄성부재(80)의 탄성력을 극복해야 하지만, 상기 워터탱크(30)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므로, 워터탱크(30)의 무게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쉽게 상기 감지블록(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is process, alth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must be overcome, the water tank 30 is filled with water, so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sensing block 70 by using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30 . can be rotated

한편, 상기 감지블록(70)의 스토핑면(77a')은 상기 감지블록(70)이 회전했을 때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 닿게 된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핑면(77a')은 상기 작동공간(62)의 내면에 면접촉하므로, 상기 감지블록(70)이 상기 하우징부(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감지블록(70)의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준다. On the other hand, the stopping surface 77a' of the detection block 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when the detection block 70 rotates. 14 , since the stopping surface 77a ′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62 , the sensing block 7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unit 60 , and the It prevents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detection block 70 .

이어서, 상기 워터탱크(30)가 더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장착공간(11)에 내면에 닿으면서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가 상기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에서 지지면(77b)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작동면(77)을 밀던 상태가 해제된다. Subsequently, when the water tank 30 is inserted further inside, the water tank 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At the same time, the corner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moves from the operation surface 77 of the detection block 70 toward the support surface 77b, and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urface 77 is pushed is released. .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감지블록(70)은 세워지는 방향, 즉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블록(70)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감지블록(70)의 타격면(77a)이 상기 하우징부(60)의 접촉면(67a)을 타격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타격면(77a)이 접촉면(67a)을 타격하면서 체결음을 낼 수 있다. According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the sensing block 70 is returned to its standing direction, that is, to its original state. At this time, the sensing block 70 may be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 while the striking surface 77a of the sensing block 70 may strike the contact surface 67a of the housing unit 60 . In this way, the striking surface 77a may make a fastening sound while striking the contact surface 67a.

사용자는 상기 감지블록(70)을 통해서 워터탱크(30)의 장착여부를 여러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i) 먼저 원상태로 회전하는 감지블록(70)이 하우징부(60)와 접촉하면서 발생시키는 체결음(타격음)과, (ii) 감지블록(70)이 회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할 때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한 체결감과, (iii) 상기 감지블록(70)의 작동면(77)이 다시 전방을 향하게 되고 장착공간(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작동면(77)의 돌출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워터탱크(30)의 장착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water tank 30 is install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detection block 70 . (i) first, a locking sound (strike sound) generated when the detecting block 70 rotating in its original stat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unit 60, and (ii)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etecting block 7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while rotating (iii) the operating surface 77 of the sensing block 70 faces forward again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e protruding state of the operating surface 77 by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water tank 30 is installed.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감지블록(70)의 지지면(77b)은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를 에워싼 상태가 되고, 상기 감지블록(70)은 모서리부(36a)의 두 면을 모두 감싸면서 상기 워터탱크(30)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5 . The support surface 77b of the detection block 70 surrounds the edge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detection block 70 surrounds both surfaces of the edge portion 36a.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stably mounted.

즉, 상기 감지블록(70)은 탄성부재(80)의 탄성력으로 어느 정도 원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므로, 상기 지지면(77b)이 상기 워터탱크(30)의 모서리부(36a)를 눌러서 워터탱크(30)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냉장고의 사용 중에 상기 워터탱크(30)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etection block 70 tends to maintain its original state to some extent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0 , the support surface 77b presses the edge portion 36a of the water tank 30 to generate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nk 30 from vibrating. Accordingly, vibration noise generated from the water tank 30 while the refrigerator is in us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지지면(77b)은 곡면형상이므로, 상기 워터탱크(30)를 분리할 때는 워터탱크(30)가 곡면을 따라 쉽게 분리될 수 있게 해준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surface 77b has a curved shape, when the water tank 30 is separated, the water tank 30 can be easily separated along the curved surfac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combination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도어 2: 도어프레임
3: 수납공간 5: 가이드홈
10: 탱크장착부 11: 장착공간
12: 장착홀 20: 연결구
30: 워터탱크 31: 탱크바디
50: 감지장치 60: 하우징부
62: 작동공간 63: 회전홈
66: 플랜지부 66a: 경사가이드면
70: 감지블록 71: 블록몸체
73: 구획판 73a: 울림공간
75: 회전돌기 77: 작동면
80: 탄성부재 81: 몸통부
83: 제1고정단 85: 제2고정단
1: Door 2: Door frame
3: Storage space 5: Guide groove
10: tank mounting part 11: mounting space
12: mounting hole 20: connector
30: water tank 31: tank body
50: detection device 60: housing unit
62: working space 63: rotating groove
66: flange portion 66a: inclined guide surface
70: detection block 71: block body
73: partition plate 73a: echo space
75: rotation projection 77: working surface
80: elastic member 81: body portion
83: first fixed end 85: second fixed end

Claims (20)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워터탱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에 간섭되어 회전되거나 직선이동하며,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formed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water tank mounted on the door; and
a sensing device installed on the door, rotating or moving linearly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ile the water tank is installed,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Refrig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주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ensing devic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block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protrudes more forward than its surrounding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감지장치의 표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을 타격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strikes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the sensing devic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블록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감지블록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감지블록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에 밀착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block constituting the sensing device is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when the sensing bloc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device is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d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워터탱크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 내부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회전 또는 직선이동하는 감지블록;과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되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감지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블록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감지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device is
a housing part installed on the door and having an operating space therein;
A sensing block that rotates or moves linearly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working space by interference with the water tank; and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the elastic member installed in the working space, both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unit and the sensing block, respectivel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ensing bloc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block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된 제1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감지블록의 제2고정부에 고정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torsion spring,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working space,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of the sensing block. becoming a refrigera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를 향하는 상기 감지블록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을 에워싸는 형상인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facing the water tank has a shape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은 상기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nsing block is rotatably hing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의 배면에는 조립홈이 함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립홈에서 상기 감지블록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보스에 끼워지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ssembly groove is recess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detection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is fitted into a fastening boss that protrudes from the assembly gro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of a rotation axis of the detection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의 전면에는 상기 워터탱크의 장착경로를 따라 경사가이드면이 구비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guide surface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unit forming an operating space of the sensing device along a mounting path of the water ta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의 배면에는 스토핑면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블록이 상기 하우징부의 작동공간 안쪽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핑면은 상기 작동공간의 내면에 면접촉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topping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ing block, and when the sensing block is rotated inside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unit, the stopping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에는
상기 전방을 향해 노출되어 상기 워터탱크에 의해 눌리는 작동면;
상기 작동면에 연결되고, 장착된 상기 워터탱크의 모서리부를 에워싸는 지지면;과
상기 작동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면이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감지블록이 원위치될 때 상기 하우징부의 표면을 타격하는 타격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tection block
an operating surface exposed toward the front and pressed by the water tank;
a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the operating surface an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mounted water tank;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a strik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operating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and striking th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when the sensing block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감지블록의 내부로 함몰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 중 적어도 두 면을 따라 연장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upport surface forms a structure recessed into the sensing block, and the support surface extends along at least two of the surfaces of the water tank.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이 원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면은 상기 감지블록의 전방으로 가장 돌출된 표면이 되고, 상기 작동면은 평면형상인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when the sensing block is in its original position, the working surface becomes the most protruding surface in the front of the sensing block, and the working surface has a flat shap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도어에 장착되면, 상기 작동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상면 보다 위쪽에 구비되고, 곡면형상의 상기 지지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상면 모서리부를 에워싸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door, the operating surface is provided above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curved support surface surrounds a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울림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echo space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work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sensing block.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울림공간에는 상기 울림공간을 가로지르는 구획판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울림공간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reverberation spac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crossing the reverberation space, and the partition plate partitions the reverberation space into a plurality of spaces.
청구항 18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구획판들에는 각각 제2고정부들이 서로 연속된 경로를 따라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들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has second fixing parts recessed along a continuous path,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s.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 워터탱크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워터탱크에 의해 눌려 회전되거나 직선이동하며, 상기 워터탱크가 장착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표면 보다 더 돌출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formed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t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rotates or moves linearly by being pressed by the water tank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tank on the do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a sensing device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surface.
KR1020200142132A 2020-10-29 2020-10-29 Refrigerator KR20220057168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32A KR20220057168A (en) 2020-10-29 2020-10-29 Refrigerator
EP21204748.4A EP3992557A1 (en) 2020-10-29 2021-10-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32A KR20220057168A (en) 2020-10-29 2020-10-29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68A true KR20220057168A (en) 2022-05-09

Family

ID=7841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132A KR20220057168A (en) 2020-10-29 2020-10-29 Refrigera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992557A1 (en)
KR (1) KR2022005716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56A (en)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6835A (en) 2017-05-18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928A (en) * 1999-01-28 2000-08-08 Sanyo Electric Co Ltd Icemaker for refrigerator with deep freezer and water supply device
WO2011159116A2 (en) * 2010-06-16 2011-12-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2645029B1 (en) * 2012-03-30 2019-03-20 Whirlpool EMEA S.p.A Refrigerating appliance, in particular for household use, comprising a device for distributing a beverage
WO2018003170A1 (en) * 2016-07-01 2018-01-04 シャープ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and door structure
CN107036380A (en) * 2017-04-17 2017-08-1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water storage case assembly and refrigerator
KR102227731B1 (en) 2019-06-11 2021-03-16 주식회사 디엔비소프트 Animal products distribu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lock ch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56A (en)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6835A (en) 2017-05-18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2557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en) Refrigerator
US10859307B2 (en) Refrigerator
AU2010278017B2 (en) Refrigerator
KR102334631B1 (en) Refrigerator
US8302423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844072B1 (en) Refirgerator
EP3008268B1 (en) Fixing device
CN111426124A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080038631A (en) Damping structure of door for refrigerator
KR20100050190A (en) Refrigerator
KR20100046921A (en) Refrigerator
WO2009061092A2 (en) Container of refrigerator
KR20220057168A (en) Refrigerator
US20240142161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10272A (en)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20040095538A (en) Refrigerator
KR20200036455A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ssembly
KR20130138942A (en) Refrigerator
KR101781213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KR20220022225A (en) Refrigerator
KR20220051600A (en) Refrigerator
US20240044570A1 (en) Refrigerator
KR101235195B1 (en) Refrigerator
KR102645872B1 (en) Refrigerator
CN218846632U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