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213B1 -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 Google Patents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213B1
KR101781213B1 KR1020100073792A KR20100073792A KR101781213B1 KR 101781213 B1 KR101781213 B1 KR 101781213B1 KR 1020100073792 A KR1020100073792 A KR 1020100073792A KR 20100073792 A KR20100073792 A KR 20100073792A KR 101781213 B1 KR101781213 B1 KR 10178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an
cool air
shiel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1717A (en
Inventor
조연우
김양규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213B1/en
Publication of KR2012001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3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cold storage material disposed in closed wall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음료 또는 주류를 단시간에 신속하게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장착 가능하고, 냉각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for quickly cooling a beverage or a mainstream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The cooling device can b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or a freezer, and the cooling time is shortened.

Description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apparatus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또는 음료를 냉각시키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oling a food or beverag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상온 상태에 있는 음료 또는 맥주와 같은 주류를 단시간에 급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였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방식의 냉각 장치 및 냉장고가 제안되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nsumer demand for a cooling device for quickly cooling a mainstream such as a beverage or a beer in a room temperature stat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various forms and various types of cooling devices and refrigerators have been proposed to satisfy this demand.

본 발명은 음료수를 포함하는 음식물을 단시간에 신속하게 냉각 장치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고, 종래의 냉장고와 같은 보관 장치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that can quickly and quickly satisfy food consumers including beverages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내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일단이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 운동을 유발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지지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연결 지점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역원추 운동을 하도록,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유동 가이드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는, 내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고, 표면에 냉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일단이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 운동을 유발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지지하고, 내측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용기 지지부; 상기 용기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유동 가이드; 및 상기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을 차폐하고, 내측에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 쪽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ling device including: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container therein;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stirring the container;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cause stirring motion of the container; A fan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o allow cool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A container support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low guid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therein, wherein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is spaced from a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gui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and a cool air inflow hole i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stirring the container;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cause stirring motion of the container; A fan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o allow cool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A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and having a communicating hole formed therein; A flow guid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therein; And a shielding memb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wherein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base plate for shield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having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 bas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guide sleeves for guiding cool air toward the flow guid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석션팬이 적용됨으로써, 단위 시간당 흐르는 공기 유량이 증가하며, 그 결과 음료 용기와 냉기 간 열교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이 더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application of the suction fan to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ir flow rate per unit time, and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cool air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둘째, 냉각 장치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가 원추 운동을 함으로써 음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져서, 냉기와의 열교환히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Secondly, the beverage container housed in the cooling device performs cone motion, and the beverage is well mixed, thereby facilitating the heat exchange with the cool air quickly.

셋째, 냉각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유속이 빠르고 음료 용기와 수직하게 충돌하므로, 단위 시간당 열교환량이 증가하여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Third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rate of cool air supplied to the cooling part is fast and collides with the beverage container vertically, there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mount per unit time and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넷째, 냉동실 도어에 구비된 홈바에 장착 가능함으로써, 급속 냉각을 위하여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를 열 필요가 없으므로, 도어 개방으로 인한 고내 부하 증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door can be mounted on the home bar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here is no need to ope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for rapid cooling, thereby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internal load due to the door o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동실 도어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동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있어서, 동력 발생부와 냉각부의 동력 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용기 지지부와 차폐 부재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유동 가이드의 전면 사시도.
도 9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냉각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교반 과정을 보여주는 시시도.
도 13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냉각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급속 냉각이 수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유동 가이드 내부에 수용된 용기 지지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in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the shielding member of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low guide constituting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guide.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device cut along II of Figure 4;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1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stirring process of a cooling unit constituting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chematically shows the position of the cooling section 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ontainer support accommodated in the flow guide of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apid cooling is per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동실 도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가 구비된 냉동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reezing chamber door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eezing chamber door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는 냉동실 도어(12)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cooling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가 구비된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 공간(111)이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2); 및 상기 도어(12)에 구비되는 홈바(14)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a refrigerator (10)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storage space (111) therein; A door (12)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home bar 14 provided on the door 12.

상기 저장 공간(111)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 공간(111)이 냉동실이고, 상기 도어(12)가 냉동실 도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storage space 111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compartment 111 is a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door 12 is a freezing compartment door.

한편, 상기 도어(12)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12)의 작동 상태 또는 상기 냉각 장치(2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1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3)의 하측에 상기 홈바(14)가 제공될 수 있다. A control panel (not shown)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2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oling device 20 and an input button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 13 may be provided. The home bar 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anel 13.

상세히, 상기 홈바(14)는, 상기 도어(12)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 테두리에 둘러지는 홈바 프레임(141)과; 상기 홈바 프레임(141)의 후측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12)의 배면에 장착되는 홈바 케이스(142); 및 상기 도어(1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 도어(143)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home bar (14) includes a home bar frame (141) surrounding the inner edg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door (12); A home bar case 142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12 corresponding to a rear side of the home bar frame 141; And a home bar door 143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door 12 to selectively shield the opening.

또한, 상기 홈바 케이스(142) 내부에 상기 냉각 장치(2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 장치(20)의 일부가 회동 가능하며, 상기 홈바 도어(143)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각 장치(20)에 음료 용기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2)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 바스켓(15)이 장착될 수 있다. Also, the cooling device 20 can be mounted inside the home bar case 142. 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cooling device 20 is rotatable, and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tored in the cooling device 20 or can be taken out while the home bar door 143 is opened. At least one or more door baskets (15)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

또한, 상기 홈바 케이스(142)의 배면 일부는 커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12)를 열고, 상기 홈바 케이스(142)의 커버를 개방한 다음 상기 냉각 장치(20)를 상기 홈바 케이스(14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 장치(20)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공급된 냉기의 일부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 장치(20)로 공급된 냉기는 다시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저장 공간(111) 내부의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 장치(20)에 수용된 음료 용기를 급속 냉각하고, 급속 냉각에 사용된 냉기는 다시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배출되는 유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홈바 케이스(142)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 장치(20)와 상기 저장 공간(111)이 유동적으로 연통(fluidly communicating)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home bar case 142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Therefore, the door 12 can be opened, the cover of the home bar case 142 can be opened, and then the cooling device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me bar case 142. Here, the cool air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20 is a part of the cool air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111. The cool air supplied to the cooling device 20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space 111 again. That is,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ooling device 20 is rapidly cooled using the cool air in the storage space 111, and the cool air used for the rapid cooling is again discharged to the storage space 111 . Accordingly, an opening is formed in the home bar case 142 so that the cooling device 20 and the storage space 111 fluid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 장치(2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oling devic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는, 음료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급속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부(21)와; 상기 냉각부(21)의 교반 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발생부(22); 상기 동력 발생부(22)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냉각부(21)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8); 및 상기 냉각부(21)로 흡입된 냉기가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 가이드(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 가이드(27)를 제외한 상기 냉각 장치(20)의 일부분은 상기 홈바 케이스(14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3 and 4, the cooling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ling unit 21 for rapid cooling in a state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A power generating unit (22) for providing power necessary for stirring motion of the cooling unit (21);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28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22 to the cooling portion 21; And a discharge guide 27 for guiding the cool air sucked into the cooling unit 21 to be discharged into the storage space 111. [ Here, a part of the cooling device 20 except for the discharge guide 27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me bar case 142.

상세히, 상기 동력 발생부(22)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221)와; 상기 구동 모터(221)가 안착되는 모터 브라켓(222)과; 상기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를 저감하는 감속 기어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브라켓(222)은 상기 구동 모터(221)가 상기 냉각부(21)와 독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모터 브라켓(222)은 상기 홈바 케이스(142) 또는 상기 냉각 장치(20)를 별도로 수용하는 케이스(미도시)의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power generating unit 22 includes a drive motor 221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motor bracket 222 on which the drive motor 221 is mounted; And a reduction gear portion 223 for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221. [ The motor bracket 222 allows the driving motor 221 to be fixed independently of the cooling unit 21. That is, the motor bracket 222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case (not shown) that accommodates the home bar case 142 or the cooling device 20 separately.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28)는 상기 감속 기어부(223)와 상기 냉각부(21)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냉각부(21)의 상면이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부(28)와 상기 냉각부(21)의 연결 지점은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21)의 상면은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형태를 띤다. 이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28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and the cooling portion 21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21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 Here,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28 and the cooling portion 21 is eccentric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cooling portion 21 is not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but revolves around the center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냉각부(21)의 하측에는 상기 저장 공간(111) 내부의 냉기가 상기 냉각부(21)로 흡입되도록 냉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29)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29)는 상기 배출 가이드(27)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가이드(27)의 바닥부에는 배출 그릴(272)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부(21)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an assembly 29 for forcibly flowing the cool air is installed below the cooling unit 21 so that the cool air inside the storage space 111 is sucked into the cooling unit 21. The fan assembly 29 may be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guide 27. A discharge grill 27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guide 27 so that the cool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unit 21 can be returned to the storage space 111.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는, 상기 냉각부(21)와, 동력 발생부(22)와, 동력 전달부(28) 및 상기 배출 가이드(27)를 포함한다.5, the cool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oling unit 21, the power generating unit 22, the power transmitting unit 28, and the discharge guide 27 .

상세히, 상기 냉각부(21)는, 음료 용기가 수직하게 수용되는 컨테이너(23)와; 상기 컨테이너(23)의 저면에 장착되는 용기 지지부(25)와; 상기 컨테이너(23)와 용기 지지부(25)를 연결하는 냉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 부재(24); 및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하측에 연결되어 냉기 흐름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26)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cooling section 21 includes a container 23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vertically received; A container supporting part 25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3; A shielding member (24) for selectively shielding a cool air flow passage connecting the container (23) and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And a flow guide (26)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art (25) and guiding the cool air flow downward.

또한, 상기 컨테이너(23)는, 전면 일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231)와; 상기 케이스(231)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232); 및 상기 커버(232)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단열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 도어(143)를 열었을 때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232)의 배면에 상기 단열 부재(233)가 장착된다. 물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상기 케이스(231)의 전면에도 단열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Further, the container 23 includes a cylindrical case 231 having a part of its front surface opened; A cover 232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23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the case 231; And a heat insulating member 233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232. 1, the cover 232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when the home bar door 143 is open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cold air, the cover 232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cover 232 Is mounted. Of course, a heat insulat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231 except for the opening.

또한, 상기 냉각부(21)는, 상기 유동 가이드(26)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111) 내부의 냉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unit 21 may further include a fan assembly 29 installed in the flow guide 26 to suck cool air inside the storage space 111.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29)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291)과, 상기 팬(291)을 구동하는 팬 모터(29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팬(291)은 상기 유동 가이드(26)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팬 모터(292)는 상기 배출 가이드(27)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fan assembly 29 includes a fan 291 for sucking air and a fan motor 292 for driving the fan 291. The fan 291 may be located inside the flow guide 26 and the fan motor 292 may be located in a space defined by the discharge guide 27.

더욱 상세히, 상기 팬(291)은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공급되는 냉기를 강한 흡인력으로 흡입하는 석션팬(suction fan)일 수 있다. 석션팬이 사용될 경우, 상기 케이스(23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강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31)의 저면으로 고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231)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열교환하게 된다. 공기를 빨아들이는 석션팬이 사용되는 경우가 공기를 불어내는 블로어(blower)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공기의 유속이 현저히 빨라진다. 이는, 석션팬을 사용할 때, 팬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간 압력차가 단시간에 더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흐르는 공기 유량이 증가하며, 그 결과 음료 용기와 냉기 간 열교환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 효율이 더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an 291 may be a suction fan for sucking cold air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111 with strong suction force. When a suction fan is used, the air flowing into the case 231 moves at a high speed to the bottom of the case 231 by a strong suction force. During the movement, heat exchange occurs whil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ase 231. When a suction fan that sucks air is used, the flow rate of air is significantly faster than when a blower blowing air is used. This is because, when the suction fan is us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rea and the rear area of the fan is larger in a short time. Since the flow rate of the air is increased, the air flow rate per unit time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cool air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석션팬이 사용됨으로써, 팬에 의하여 흡입되는 냉기가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와 열교환하기 전에 1차적으로 상기 케이스(231) 내부에 수용된 음료 용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냉기와 음료 용기 간 열교환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만일, 블로어를 사용할 경우, 블로어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블로어를 구동하는 팬모터를 통과한 뒤에 상기 음료 용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즉, 흡입되는 냉기가 팬모터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열을 흡수한 뒤에 상기 음료 용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석션팬을 사용하는 경우가 블로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Also, by using the suction fan, the cool air sucked by the fan is heat-exchang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housed in the case 231 primarily before the heat exchange with the motor that drives the fa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exchange capacity between the cold air and the beverage container relatively increases,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improved. If the blower is used,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is heat-exchang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after passing through the fan motor that drives the blower. That is, the cool air that is sucked passes through the fan motor to heat-exchange the beverage container after primarily absorbing hea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suction fan improve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blower.

또한, 상기 팬(291)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그리고, 석션팬이 블로어에 비하여 유동 저항이 적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를 밀어내는 블로어의 경우, 공기의 이동 경로상에 폭이 좁은 틈새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상기 틈새나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하고 퍼지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석션팬의 경우, 팬의 입구부에서 공기를 빨아들여서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틈새나 장애물의 앞쪽에 있는 공기는 틈새 후방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틈새를 쉽게 관통하고, 상기 장애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 조건에서 블로어에 비하여 석션팬을 사용할 때가 공기 유동 저항이 적고 유량이 많은 장점이 있다. 상기 팬(291)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fan 291 may be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radial direction.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fan generates less flow resistance than the blow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lower that pushes out air, if there is a narrow gap or an obstacle on the movement path of the air,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the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gap or the obstacle and is spread or backwar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uction fan, air is drawn in at the inlet of the fan to generate a pressure difference. Therefore, the air in front of the clearance or the obstacle can easily pass through the clearanc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rear of the clearance, and can easily pass through the obstacl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uction fan is used in comparison with a blower under the same condition, so that the air flow resistance is small and the flow rate is large. The structure of the fan 29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외주면에는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256)가 둘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내측에는 가스켓(266)이 안착되어, 상기 컨테이너(23)가 역원추 운동(inverted cone movement)을 할 때 공차 구간(clearance range)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실링 부재(256)도 상기 컨테이너(23)의 운동 과정에서 공차 구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일부 수행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sealing member 256 for preventing leakage of cold air may be surroun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A gasket 266 is seated inside the flow guide 26 to provide a clearance range when the container 23 performs an inverted cone movement. Of course, the sealing member 256 partially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tolerance period in the movement process of the container 23. Th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배출 가이드(27)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커버(271)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271)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61)가 결합될 수 있다. A guide cover 27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27 and the flow guide 261 may be coupled to the guide cover 27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있어서, 동력 발생부와 냉각부의 동력 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cooling unit in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컨테이너(23)는 케이스(231)와 커버(232)에 의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실린더 형태의 저장 챔버를 형성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6, before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s described, the container 23 is formed by a case 231 and a cover 232 to form a storage chamber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ylinder in which the interior is empty. same.

상세히, 상기 커버(232)는 상기 케이스(231)로부터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커버(232)의 하단부는 힌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31)에 연결된다. In detail, the cover 232 is rotatably connected forward from the case 231.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over 232 is connected to the case 231 by a hinge structure.

또한, 상기 커버(232)의 상부면에는 로킹 부재(30)가 제공되고, 상기 케이스(231)의 상면에는 걸림 돌기(233)가 제공되어, 상기 커버(232)가 상기 케이스(231)에 밀착된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A locking member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32 and a locking protrusion 23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31 so that the cover 2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se 231 Do not accidentally rotate in the state that

상세히, 상기 로킹 부재(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쉬바(31) 및 상기 푸쉬바(31)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크(32)로 이루어지는 래치 부재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커버(232)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축(33)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32)의 단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233)에 걸리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3)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상기 푸쉬바(31)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ocking member 30 includes a latch member consisting of a push bar 3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hook 3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push bar 31 so as to be pushed by a user, ; And a hinge shaft (33)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latch member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232). The end of the hook 32 protrudes downward and is hooked to the locking projection 233. The hinge shaft 3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torsion spring.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ush bar 31 is removed, the hinge shaft 33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로킹 부재(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버(232)가 상기 케이스(23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부재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후크(32)는 상기 걸림 돌기(233)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커버(232)가 상기 케이스(23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31)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상기 래치 부재가 회동하고, 상기 후크(32)는 상기 걸림 돌기(233)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쉬바(3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커버(232)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커버(232)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231)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다. 즉, 음료 용기를 상기 컨테이너(23) 내부에 수납하거나 컨테이너(23)로부터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cover 2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231 and no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member, the hook 32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member 30, (233). That is, the cover 232 is retained in the case 231.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ar 31 downward, the latch member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33, and the hook 32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233. [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cover 232 forward while pushing the push bar 31, the cover 232 rotates forward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31 is opened. That is,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tored in the container 23 or can be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23.

한편, 상기 컨테이너(23)의 상면 중앙부에는 보스(234)가 돌출되고, 상기 보스(234)에 상기 동력 전달부(28)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A boss 234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3 and a por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28 is inserted into the boss 234.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부(28)는,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암(281)과, 상기 암(28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바(282)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바(282)는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연장바(282)를 지나는 수직선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바(282)는 상기 컨테이너(23)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보스(234)에 삽입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8 includes an arm 281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gear unit 223 and an extension bar 282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arm 281. The extension bar 282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In other words,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bar 28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The extension bar 282 is inserted into the boss 23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3.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보스(234)는 상기 암(281)의 회전 중심, 다시 말하면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원운동하게 된다. The boss 234 is circularly mov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center of the arm 281, that is,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용기 지지부와 차폐 부재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the shielding member of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를 구성하는 컨테이너(23)의 바닥에는 상기 용기 지지부(25)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23 constituting the cool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상기 용기 지지부(25)는 상기 컨테이너(23)의 개구된 바닥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23) 내부로 투입되는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In detail,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shields the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3 and supports the beverage container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23.

더욱 상세히, 상기 용기 지지부(25)는, 상기 컨테이너(23)의 바닥면을 차폐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5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저면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리브(25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면에 돌출되어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안착대(25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1)에는 냉기가 통과하기 위한 연통홀(252)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252)은 상기 차폐 부재(2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includes a base plate 251 for shiel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3; A guide sleeve 254 extending in the shape of a cylind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251; And a container mounting base 25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51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A communication hole 252 through which cool air passes is formed in the base plate 251 and the communication hole 252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24.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의 하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단(252a)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의 외주면에는 리브(252b)가 돌출되어 띠 형상으로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절곡단(252a)과 상기 리브(252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실링 부재(256)가 끼워진다. 상기 실링 부재(256)의 외경은 상기 리브(252b) 및 절곡단(252a)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측면부가 상기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댐퍼 하우징(261:도 8 참조)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254 includes a bent end 252a that is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rib 252b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sleeve 254 and is surrounded by a strip. The sealing member 256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bent end 252a and the rib 252b.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256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b 252b and the bent end 252a so that the side portion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261 .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1)에 형성된 연통홀(25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기 차폐 부재(2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1),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통홀(252)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폐 플랩(242)과; 상기 케이스(231)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폐 플랩(242)을 가압하는 차폐 링크(2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 플랩(242)의 힌지축에는 탄성 부재가 끼워져서, 상기 차폐 링크(241)가 상기 차폐 플랩(242)을 가압하지 않을 때는, 상기 연통홀(252)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링크(241)는 상기 용기 안착대(253)보다 높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상기 용기 안착대(253)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차폐 플랩(242)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 링크(241)와 차폐 플랩(242)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hielding member 24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s 252 formed in the base plate 25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plate 251, specifically, at the edges of the communication holes 252 A shielding flap 242 connected thereto; And a shielding link 241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31 to press the shielding flap 242. When the shielding link 241 does not press the shielding flap 242, an elastic member is fitted in the hinge shaft of the shielding flap 242 so as to maintain the state of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252 can do. The shielding link 241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container seat 253 so that the shielding flap 242 is pressed downward in the course of seating the beverage container on the container seat 253. The operation of the shielding link 241 and the shielding flap 24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유동 가이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FIG.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low guide constituting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guid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26)는,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가이드 슬리브(254) 및 상기 가스켓(266)이 수용되는 댐퍼 하우징(261)과;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확관부(262); 및 상기 확관부(262)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팬 하우징(263)을 포함할 수 있다. 8 and 9, the flow guide 26 includes a damper housing 261 in which the guide sleeve 254 of the vessel support portion 25 and the gasket 266 are accommodated; An expansion portion 262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damper housing 261; And a cylindrical fan housing 26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xpanded portion 26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231)가 두 개의 원통형 부재가 결합된 형태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부재들에 의하여 각각 형성되는 공간에 두 개의 음료 용기가 수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각각의 원통형 부재들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가이드 슬리브(254) 및 상기 댐퍼 하우징(261)에서 합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 하우징(261)을 통과하면서 다시 두 개의 유로를 따라 냉기가 나뉘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확관부(262)는 상기 댐퍼 하우징(26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262)의 하단에는 두 개의 팬 하우징(263)이 형성되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231 is show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cylindrical members are combined. In addition, two beverage containers are accommod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cylindrical members. Cooling air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cylindrical members is combined in the guide sleeve 254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and the damper housing 261. The cool air is divided along the two flow paths while passing through the damper housing 261. Accordingly, the expansion portion 26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amper housing 261, and two fan housings 263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portion 262.

또한, 각각의 팬 하우징(263)에는 팬 어셈블리(29)가 각각 장착된다. Further, a fan assembly 29 is mounted to each fan housing 263.

상세히, 상기 팬 하우징(263)에 장착되어 냉기를 흡입하는 상기 팬 어셈블리(29)는 상기 팬(291)과 팬 모터(292)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In detail, the fan assembly 29 mounted on the fan housing 263 and sucking cool air includes the fan 291 and the fan motor 292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팬(291)은 원심팬의 한 종류이되, 기존의 일반적인 원심팬과 그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팬(291)은 원판 형태의 백 플레이트(291a)와, 상기 백 플레이트(291a)의 상면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91b) 및 상기 블레이드(291b)의 상단에 놓이는 석션 가이드(suction guide)(291c)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91b)는 상기 백 플레이트(291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백플레이트(291a)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는 형태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석션 가이드(291c)는 기존의 벨마우스(bell mouth)와 오리피스(orifice)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팬(291) 내부로 공기의 흡입을 부드럽게 가이드할 뿐 아니라, 상기 블레이드(291b)의 표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an 29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centrifugal fan, and differs in structure from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fan. In detail, the fan 291 includes a disk-shaped back plate 291a, a blade 291b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291a, and a suction guide (not shown)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blade 291b 291c. The blade 291b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late 291a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extends in a round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ack plate 291a. Further, the suction guide 291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s of a bell mouth and an orifice are performed in combination. That is, the air guide smoothly guides the air into the fan 291 through the flow guide, and blocks the reverse flow of the air radially discharged along the surface of the blade 291b.

구체적으로, 상기 석션 가이드(291c)는, 원형의 바닥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석션 가이드(291c)의 종단면은, 바닥부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다가 어느 지점에서 횡단면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로 라운드지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석션 가이드(291c)의 외주면이 부드럽게 라운드지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작용하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석션 가이드(291c)의 바닥부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통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석션 가이드(291c)의 입구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역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벨마우스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suction guide 291c protrudes forward from the bottom of the circular shape, and protrudes in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other words,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suction guide 291c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cross-sectional diameter is kept constant at a certain point. In this wa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guide 291c is smoothly rounded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acting on the sucked air,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orifice. At the same time, a bell mouth function that minimizes the reverse flow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of the suction guide 291c can be performed by forming a tubular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suction guide 291c .

또한, 상기 팬 모터(292)의 외주면에는 흡열 부재(293)가 둘러져서, 상기 팬 모터(292)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흡열 부재(293)에 축적되도록 할 수 있다. A heat absorbing member 293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motor 292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an motor 292 can be accumulated in the heat absorbing member 293.

상세히, 상기 흡열 부재(293)는 열을 흡수하여 상 변화(phase change)일으키는 물질(PCM: Phase Changing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급속 냉각 과정에서 상기 팬모터(292)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상기 흡열 부재(293)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각 장치(20)를 통과한 냉기가 되돌아가는 증발실 또는 냉동실의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속 냉각이 종료된 이후에, 냉동실 냉각 모드가 수행되거나,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열이 상기 흡열 부재(293)로부터 방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ail, the heat absorbing member 293 may include a phase changing material (PCM) that absorbs heat to cause a phase change. That is, the heat released from the fan motor 292 in the rapid cooling process is stored in the heat absorbing member 293, thereby increasing the load of the evaporator chamber or the freezer chamber in which the cool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device 20 returns . Then, after the rapid cooling is completed, the freezing room cooling mode may be performed or the heat may be released from the heat absorbing member 293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여기서,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댐퍼 하우징(261)과 확관부(262)가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이 두 개의 원통형 챔버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의 원통형 실린더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 하우징(261)과 확관부(262)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나아가 상기 팬 하우징(263)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챔버의 형태에 따라 상기 댐퍼 하우징(261) 및 확관부(262)의 형태와, 상기 팬 하우징(263)의 개수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reason why the damper housing 261 and the expansion portion 262 of the flow guide 26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s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is composed of two cylindrical chamber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a single cylindrical cylinder is provided, the damper housing 261 and the expansion portion 26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only one fan housing 263 may be formed. That is, the shape of the damper housing 261 and the expansion portion 262 and the number of the fan housings 263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amber.

또한,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가스켓(266)이 안착되기 위한 가스켓 안착부(264)가 소정의 폭을 가지고 둘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263)의 상면에는 냉기 흡입을 위한 흡입공(2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263)의 내부에는 상기 팬(291)이 수용되고, 상기 팬 모터(292)는 상기 배출 가이드(27)에 의하여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265)을 통하여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팬(291)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후 상기 팬(291)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팬(291)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팬 하우징(263)의 내주면에 부딪힌 다음, 흐름 방향이 상기 배출 가이드(27) 쪽으로 하향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팬(291)은 반드시 원심팬일 필요는 없으며 축류팬(axial flow fan)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가이드(27) 쪽으로 흐르는 냉기는 상기 팬 모터(292)를 냉각시킨 다음 증발실 또는 냉동실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 가이드(27)에 의하여 냉기가 냉동실로 되돌아가는 구조이다. A gasket seating part 264 for seating the gasket 266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amper housing 261 with a predetermined width. A suction hole 265 for sucking cold ai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263. The fan 291 is accommodated in the fan housing 263 and the fan motor 292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ischarge guide 27. The coo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265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291 and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291. The cool air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291 is struck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housing 263, and then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guide 27. Here, the fan 291 is not necessarily a centrifugal fan, but may be an axial flow fan. The cool air flowing toward the discharge guide 27 cools the fan motor 292, and then returns to the evaporator chamber or the freezer chamber. In this embodiment, the cool air is returned to the freezing chamber by the discharge guide 27.

도 10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냉각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device taken along line I-I in Fig. 4, an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20)를 구성하는 컨테이너(23), 구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23)를 구성하는 케이스(231)의 측면부에는 다수의 냉기 유입홀(235)이 형성된다. 10 and 11, a container 23 constituting the cool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side surface of a case 231 constituting the container 23, A hole 235 is formed.

상세히, 급속 냉각이 요구되는 음료 용기는 직립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231)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입홀(235)은 상기 케이스(231)의 측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유입홀(235)이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231)의 측면부는, 상기 저장 공간(111)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케이스(231)의 종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231)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분할하였을 때, 후반부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231)의 측면부에 상기 냉기 유입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저장 공간(111)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케이스(231)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Specifically, the beverage container requiring rapid cooling is accommodated in the case 231 in an upright state.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231.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ase 231 in whic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formed is a surface facing the storage space 111. In other words, when the case 231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long a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case 231,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case 231, Can be formed. This is to allow cool air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111 to flow into the case 231.

또한, 상기 냉기 유입홀(235)이 상기 케이스(231)의 측면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냉기 유입홀(235)을 통하여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케이스(231)에 수용된 음료 용기의 표면에 거의 수직하게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29)는 석션팬 어셈블리이고, 상기 냉기 유입홀(235)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기 냉기 유입홀(235)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231)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고속 및 고압 상태로 상기 음료 용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유입홀(235)을 통하여 흡입되는 냉기와 음료 용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ase 231, the cool air sucked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strikes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housed in the case 231 substantially vertically . Since the fan assembly 29 is a suction fan assembly and the diameter of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small, the cool air flowing into the case 231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is discharged to a high-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truck.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cool air sucked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and the beverage container is improved.

상세히, 상기 냉기 유입홀(235)을 통하여 흡입되는 냉기가 상기 음료 용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흐른다면, 흡입되는 냉기의 일부는 상기 음료 용기와 열교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되는 공기가 음료 용기에 수직하게 부딪히는 경우, 열교환하지 않는 냉기의 양은 아주 적기 때문에, 냉기가 음료 용기와 평행하게 흐르는 경우에 비하여 열교환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Particularly, when the cool air sucked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flows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a part of the cool air sucked may not be heat-exchang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However, when the sucked air vertically collides with the beverage container, the amount of cool air that does not heat-exchange is very small, so that the amount of heat exchange is relatively larger than when cool air flows in parallel with the beverage container.

한편, 상기 케이스(231) 내부 후측에는 음료 용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음료 거치대(23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료 거치대(236)는 상기 음료 용기가 상기 케이스(23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231)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기 유입홀(235)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기가 고속/고압으로 음료 용기에 부딪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를 상기 케이스(231) 내부에 수납할 때 상기 케이스(231)의 내주면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도 있다. Meanwhile, a drink holder 236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inside of the case 231. The beverage receptacle 236 allows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received in the case 231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31. In other words, the cool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235 has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for hitting the beverage container at high speed / high pressure. 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 the case 231,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from hit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31.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폐 링크(241)는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용기 안착대(235)보다 더 높게 위하도록 하여, 음료 용기를 수납할 때 음료 용기의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 링크(241)는 상기 케이스(231)의 내주면에 돌출된 링크 연결단(23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link 24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ontainer rest 235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pivoted downward by the self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can do. The shielding link 2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link connecting end 236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31.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266)이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댐퍼 하우징(261) 바닥에 놓이고, 그 위에 상기 용기 지지부(25)를 구성하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상기 실링 부재(256)의 외주면은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gasket 266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damper housing 261 of the flow guide 26 and the guide sleeve 254 constituting the container support 25 is seated thereon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256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sleeve 254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261.

한편, 음료 용기를 상기 케이스(231)에 수납하면, 상기 차폐 링크(241)가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 링크(241)가 회동하면서 상기 차폐 플랩(242)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차폐 플랩(242)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동하여,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베이스 플레이트(251)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252)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252)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31) 내부로 유입된 냉기가 상기 팬 어셈블리(29) 쪽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음료 용기를 상기 케이스(231)로부터 꺼내면 상기 차폐 링크(241)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폐 플랩(242)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연통홀(252)을 차폐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 the case 231, the shielding link 241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n, the shielding link 241 rotates to press the shielding flap 242. Then, the shielding flap 242 rotates in a vertical state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communication hole 252 formed in the base plate 251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is opened. By opening the communication hole 252, the cool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31 can flow toward the fan assembly 29. Of cours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aken out of the case 231, the shielding link 2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hielding flap 24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shield the communication hole 252.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의 횡단면은 상기 댐퍼 하우징(261)이 횡단면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교반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가 상기 댐퍼 하우징(26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266)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 소재 또는 펠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교반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54)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공차 구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차 구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내주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단면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내주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댐퍼 하우징(261)의 내경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는, 교반 과정에서 상기 가이스 슬리브(254)가 상기 댐퍼 하우징(26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guide sleeve 254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damper housing 261, so that the guide sleeve 254 may not interfere with the damper housing 261 during the stirring process. The gasket 266 is made of a soft material or a felt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guide sleeve 254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in a stirring process. That is, a tolerance period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such a tolerance interval,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26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261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damper housing 261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upper end. This is one method for preventing the guide sleeve 254 from interfering with the damper housing 261 during the stirring proces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교반 과정을 보여주는 시시도이고, 도 13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상기 냉각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급속 냉각이 수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유동 가이드 내부에 수용된 용기 지지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 of the cooling unit 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apid cooling is performed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container support accommodated in a flow guide of a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발생부(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냉각부(21)는 역원추 운동을 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2 to 14,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unit 21 performs inverse cone motion according to driving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22. FIG.

상세히,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X1)은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선(X1)은 상기 컨테이너(23)의 회전 중심, 정확히는 공전 중심이 된다.In detail, the vertical line X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guide 26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The vertical line X1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ntainer 23, precisely the center of revolution.

또한, 상기 감속 기어부(223)의 회전축에 상기 동력 전달부(28)의 암(28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암(281)의 타단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상기 연장바(282)에 상기 컨테이너(23)의 보스(234)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23)를 통과하는 종축(X2)은 상기 컨테이너(23)의 중심이 되는 수직선(X1)으로부터 소정 각도(θ)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One end of the arm 281 of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28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gear portion 223 and the extension bar 282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arm 281, The boss 234 of the container 23 is connected. The longitudinal axis X2 passing through the container 23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from the vertical line X1 which is the center of the container 23.

실제로, 도 10과 도 11은 상기 연장바(282)가 상기 보스(234)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 즉 상기 컨테이너(23)가 수평면에 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의 단면이다. 일단, 상기 연장바(282)가 상기 보스(234)에 끼워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지지부(25)는 상기 유동 가이드(26)의 댐퍼 하우징(261) 내부에서 소정 각도(θ)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지지부(25)가 기울어지는 쪽의 가스켓(266) 일부분은, 상기 용기 지지부(25)가 누르는 압력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가 된다.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in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bar 282 is not fitted in the boss 234, that is, the container 23 is upright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14, when the extension bar 282 is fitted in the boss 234, the container support 25 is inserted into the damper housing 261 of the flow guide 26 at a predetermined angle &thetas; ) To be inclined. A portion of the gasket 266 on the side where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is tilted is in a state of being compressed by the pressure that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25 presses.

한편, 상기 구동 모터(2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감속 기어부(223)를 통하여 회전력이 상기 동력 전달부(28)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28)의 암(281)이 회전하면, 상기 컨테이너(23)와 용기 지지부(25)를 포함하는 냉각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역원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21)가 역원추 운동을 할 때, 상기 댐퍼 하우징(261) 바닥에 안착된 상기 가스켓(266)은, 상기 용기 지지부(25)의 회전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현상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상기 컨테이너(23)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는 원운동함으로써 음료가 용기 내부에서 혼합되면서 냉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e motor 221,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8 through the reduction gear unit 223. When the arm 281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8 rotates, the cooling unit 21 including the container 23 and the container supporting unit 25 performs inverse cone motion as shown in FIG. The gasket 266 seated on the bottom of the damper housing 261 is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art 25 when the cooling part 21 performs reverse cone motion The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home position is repeated. Thu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23 that houses the beverage container is kept substantially fixed,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circularly moved so that the beverage is mixed in the container and exchanges heat with the cool air.

나아가, 상기 구동 모터(221)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에 따라 음료가 불규칙하게 섞이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음료 용기 표면에 부딪히는 냉기와의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s the drive motor 221 repeatedly performs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the beverage is irregularly mixed to form a turbulent flow, and the heat exchange with the cool air striking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performed quick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부(21)가 역원추 운동을 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각 장치가 180도 뒤집어진 상태로 홈바 케이스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각부(21)가 원추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23)의 전면을 개폐하는 상기 커버(232)의 회동 축은 항상 상기 컨테이너(23)의 하측에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232)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oling unit 21 performs the inverse cone motion, but the opposite structure is also possible. In other words, by allowing the cooling device to be mounted on the home bar case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device is turned upside down by 180 degrees, the cooling unit 21 can perform conical motion. Of course, for convenience of use, the pivot axis of the cover 232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iner 23 is alway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2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232 rotates forward It is natural that it should be designed as a structure.

또한, 상기 냉각 장치(20)는 반드시 홈바 케이스(142)에 수용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각 장치(20)의 냉각부(21)를 덮는 전용 케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전용 케이스가 상기 도어(12)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용 케이스가 장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12)의 일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조 도어가 상기 도어(1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Further, the cooling device 20 is not necessarily housed in the home bar case 142. In other words, a special case for covering the cooling part 21 of the cooling device 20 is provided, and the special case can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 [ A part of the door 12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special case is mounted may be opened and an auxiliary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2. [


Claims (23)

내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일단이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 운동을 유발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지지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연결 지점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컨테이너가 역원추 운동을 하도록,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유동 가이드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A container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stirring the container;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cause stirring motion of the container;
A fan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o allow cool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A container support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And
And a flow guid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therein,
Wherein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is spaced apart from a rotational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Wherei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guide so that the container performs inverse conical mo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팬과,
상기 석션팬을 구동하는 팬 모터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n assembly includes: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And a fan motor for driving the suction fa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모터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흡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 부재는 상기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상변화물질(Phase Changing material)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eat absorbing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n motor,
Wherein the heat absorbing member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motor and includes a phase changing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연통홀과,
상기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communicating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a shielding memb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을 차폐하고, 내측에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 쪽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A base plate that shield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has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 guide sleev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guide cool air toward the flow gu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aling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sleeve.
제 5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플랩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통홀을 가압하는 차폐 링크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ielding member
A shielding flap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late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hielding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o press the communication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링크의 상단은 적어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높게 위치되어, 투입되는 음료 용기에 의하여 하측으로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차폐 링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차폐 플랩이 가압되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end of the shielding link is positioned higher than at least the base plate, and is pushed downward by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pivoted,
And the shielding flap is pushed and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hielding lin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w guide
A damper housing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guide sleeve is received,
And a fan housing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damper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하단부와 댐퍼 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각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ee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amper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팬은 상기 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ction fan is housed inside the fan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표면에는 직경이 작은 다수 개의 냉기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하는 음료 거치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cold air inflow holes having a small diameter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side the container such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 a state separated from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는 청구항 1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do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selectively shielding the storage spa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각 장치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he auxiliary door enabling access to the cool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냉기가 상기 컨테이너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기 유입홀이 형성된 상기 컨테이너의 표면은 상기 저장 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surface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cool air inflow hole is formed is exposed to the storage space such that cool air inside the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contain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연결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저장 공간의 냉기가 상기 냉기 유입홀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로 흡입되도록 하는 석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an assembly includes a fan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he fan
And a suction fan for sucking cool air in the storage space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e cool air inflow ho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되돌아가도록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discharge guide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o guide ai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back to the storage spa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은 냉동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orage space is a freezer compartmen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상기 커버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over rotatably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cover is formed to be accessible to the cover by opening the auxiliary door.
내부에 음료 용기가 수납되고, 표면에 냉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일단이 상기 동력 발생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교반 운동을 유발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컨테이너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컨테이너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음료 용기를 지지하고, 내측에 연통홀이 형성되는 용기 지지부;
상기 용기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팬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유동 가이드; 및
상기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을 차폐하고, 내측에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 쪽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A container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and a cool air inflow hole is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for stirring the container;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o cause stirring motion of the container;
A fan assembly mounted on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to allow cool air to flow into the container;
A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 support the beverage container and having a communicating hole formed therein;
A flow guid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fan assembly therein; And
And a shielding memb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communication hole,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A base plate that shields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has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 guide sleeve exten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guiding cool air toward the flow guide.
KR1020100073792A 2010-07-30 2010-07-30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KR101781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92A KR101781213B1 (en) 2010-07-30 2010-07-30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92A KR101781213B1 (en) 2010-07-30 2010-07-30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17A KR20120011717A (en) 2012-02-08
KR101781213B1 true KR101781213B1 (en) 2017-09-25

Family

ID=4583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792A KR101781213B1 (en) 2010-07-30 2010-07-30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2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705B1 (en) * 2014-01-10 202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ling apparatus
KR101706961B1 (en) * 2014-11-18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54B2 (en) * 1997-09-02 2001-03-26 株式会社メガハウス Moving to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54B2 (en) * 1997-09-02 2001-03-26 株式会社メガハウス Moving to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17A (en)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869B2 (en) Refrigerator
US20230243563A1 (en) Refrigerator
US9739516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US20120011884A1 (en) Refrigerator and cooling apparatus
KR101781213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KR20130001942A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KR101787744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EP3006872B1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oling device
KR101916462B1 (en) Refrigerator
KR101702131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101902583B1 (en) Refrigerator
KR101737118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US20230266046A1 (en) Refrigerator
KR101678224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101781224B1 (en) Cooling apparatus
KR102012472B1 (en) Cooling apparatus
KR20130138903A (en) Refrigerator
KR101989621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102438601B1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20120009685A (en)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102051897B1 (en) Cooling apparatus
KR20240051634A (en) Refrigerator
KR102115617B1 (en) Coo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