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00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00A
KR20220051600A KR1020200135194A KR20200135194A KR20220051600A KR 20220051600 A KR20220051600 A KR 20220051600A KR 1020200135194 A KR1020200135194 A KR 1020200135194A KR 20200135194 A KR20200135194 A KR 20200135194A KR 20220051600 A KR20220051600 A KR 2022005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water tank
outlet
connection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호
정진욱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600A/en
Publication of KR2022005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a door (1)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dispenser device is provided on the cabinet or the door (1), and a water tank (30) supplies water stored therein to the dispenser. The door (1)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20). At least one surface of a connection hole (21) formed in the connector (20) and an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1) has a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tank (30) to the connector (20), the sensing protrusion (25) can generate a tightening sound while riding over the surface of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dispenser function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beverage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도어에는 음료나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조작하면 물탱크에 저장된 음료나 제빙기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Recently, refrigerators are becoming more multifunctional according to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the trend of luxur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t devices for user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have been released. For example, the refrigerator door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for supplying beverages or ice,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beverages stored in the water tank or ice from the ice maker can be taken out.

이러한 디스펜서에는 저장탱크가 포함되는데, 사용자는 저장탱크에 음료를 담아서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음료가 모두 취출되면 사용자는 저장탱크를 냉장고에서 분리한 후에, 저장탱크에 음료를 채워서 이를 다시 냉장고에 설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0056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835에는 이처럼 디스펜서 기능이 있는 냉장고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Such a dispenser includes a storage tank, and a user can put a drink in the storage tank and install it in the refrigerator. When all beverages are taken out, the user can separate the storage tank from the refrigerator, fill the storage tank with beverages, and install it in the refrigerator aga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080056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26835 disclose a technology related to a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그런데, 사용자는 저장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인식하기 어렵다. 저장탱크의 배출구가 냉장고에 구비된 삽입구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되어야 하는데, 삽입구는 저장탱크에 가려져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만약 저장탱크가 완전히 끼워지지 않으면 음료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거나, 음료가 주변으로 새어나갈 수도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storage tank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frigerator. The discharge port of the storage tank must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ince the insertion port is hidden by the storage tank and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If the storage tank is not fully inserted, the beverage may not be supplied smoothly or the beverage may leak to the surrounding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005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08005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83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12683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know that a water tank is completely mounted in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불완전하게 장착되면, 워터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is in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워터탱크의 무게를 이용하여 워터탱크의 장착은 쉽게 하면서도, 장착된 워터탱크를 분리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tank by using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and also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mounted water tank.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에는 디스펜서장치가 구비되고, 워터탱크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연결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상기 워터탱크의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감지돌기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대편 표면을 타고 넘으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therein,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n addition, a dispenser device is provided in the cabinet or the door, and the water tank may supply water stored therein to the dispenser. The door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has a sens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In this case,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the sensing protrusion may generate a locking sound while riding over the opposite surface.

그리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배출구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홀의 천장면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가 삽입될 때 워터탱크의 무게로 인해 워터탱크는 배출구가 들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기 쉽고, 상기 배출구의 표면은 연결구의 천장면과 마찰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의 표면은 감지돌기와의 간섭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When the water tank is insert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tends to be bi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lifted, and the surface of the outlet may be inserted while rubbing against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or. In this process, the surface of the outle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with the sensing protrusion.

또한, 상기 감지돌기는 가장 돌출된 상단을 향해 점점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돌기의 양쪽에는 각각 제1경사표면과 제2경사표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워터탱크의 장착/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may gradually narrow in width toward the most protruding upper end. Accordingly,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protrusion, respectively, an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mounting/dismounting of the water tank.

그리고, 상기 감지돌기와 이격된 위치에는 타격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는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감지턱을 타고 넘으면 상기 연결홀 또는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한쪽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터탱크의 장착 체결음이 더욱 커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iking portion may protru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protrusion. The striking unit may hit the surface of either one of the connection hole or the outlet when the sensing protrusion rides over the sensing jaw.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and fastening sound of the water tank may be further increased.

이때,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감지돌기의 양쪽 표면에는 제1경사표면과 제2경사표면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표면은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될 때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과 간섭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경사표면은 상기 제1경사표면과 연속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서 분리될 때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과 간섭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nsing protrus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a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It may interfere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제2경사표면은 상기 배출구의 표면에 구비된 감지턱의 가이드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가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nd,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sensing jaw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Accordingly, the water tank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mounted state.

또한, 상기 제1경사표면이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경사표면이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과 이루는 경사각 보다 크다. 따라서, 물이 채워져 무거운 워터탱크를 장착할 때는 중력을 통해서 제1경사표면을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반대로 워터탱크를 분리할 때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경사표면을 통해 역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ccordingly, when a heavy water tank filled with water is mounted, it can easily ride ov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rough gravity,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tank is detached, it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relatively gentle second inclined surface.

그리고, 상기 배출구에는 밸브조립체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밸브조립체에는 서로 연결되는 감지턱이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홀에 구비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감지턱을 타고 넘을 수 있다. A valve assembly is coupled to the outlet, and a sensing jaw connec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outlet and the valve assembly.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the sens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onnecting hole may ride over the sensing jaw.

또한, 상기 감지턱의 양쪽에는 각각 가이드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감지돌기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워터탱크의 장착/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guide surfa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etection jaw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guide surface may interfere with the detection protrusion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The guide surface may facilitate mounting/dismounting of the water tank.

이때, 상기 감지턱의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출구에 결합된 밸브조립체가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의해 동작되기 위한 행정거리 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를 완전히 장착해야만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자칫 워터탱크를 불완전하게 체결해서 디스펜서장치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ensing jaw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roke distance for the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outlet to be operated by the dispenser device. Therefore, only when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This may prevent the user from accidentally tightening the water tank incompletely, thereby preventing the dispenser device from malfunctioning.

그리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입구 가장자리 보다 상기 연결홀의 안쪽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삽입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바닥면의 끝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삽입경로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출구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진 초기에 바로 상기 감지돌기와 상기 감지턱이 서로 간섭될 수 있고, 간섭된 느낌을 통해서 사용자는 정확한 위치로 상기 배출구가 끼워진 것을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le rather than the inlet edg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sensing protrusion is inserted relative to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based on an insertion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It can be located ahead of the path. In this way,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sensing jaw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immediately when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e sense of interference.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워터탱크의 배출구가 냉장고의 연결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연결구에 있는 감지돌기가 배출구의 표면을 타고 넘게 된다. 감지돌기가 배출구의 표면을 타고 넘는 순간 발생하는 체결음을 통해서, 사용자는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탱크의 장착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of the refrigerator, the sensing protrusion in the connector rides over the surface of the outle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locking sound generated when the sensor protrusion crosses the surface of the outle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of the water tank is improved.

그리고, 워터탱크의 배출구가 냉장고의 연결구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배출구가 감지돌기에 걸려 워터탱크의 배출구 끝부분이 디스펜서장치에 연결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불완전하게 장착되면 워터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되고, 워터탱크로부터 물이 새어나오거나 불완전장착으로 인해 물공급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if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of the refrigerator, the outlet is caught on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end of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s not connected to the dispenser device. As such, when the water tank is incomplete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water leakage from the water tank or a decrease in the amount of water supply due to incomplete installation can be prevented.

특히, 본 발명에서 감지돌기가 워터탱크의 감지턱을 타고 넘는 거리는 워터탱크의 밸브조립체가 디스펜서장치에 의해 동작되기 위한 행정거리 보다 크다. 따라서 워터탱크를 완전히 장착해야만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칫 워터탱크를 불완전하게 체결해서 디스펜서장치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펜서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the sensing protrusion travels over the sensing jaw of the water tank is greater than the stroke distance for the valve assembly of the water tank to be operated by the dispenser device. Therefore,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only when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dispenser device due to the user inadvertently fastening the water tank,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dispenser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서 감지돌기의 양쪽에는 제1경사표면과 제2경사표면이 각각 형성되는데, 워터탱크가 냉장고에 장착될 때 간섭되는 제1경사표면의 경사각이 더 크다. 따라서, 물이 채워져 무거운 워터탱크를 장착할 때는 중력을 이용해서 제1경사표면을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 반대로 워터탱크를 분리할 때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경사표면을 통해 역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terfering first inclined surface is larger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Therefore, when installing a heavy water tank filled with water, it can easily ride ov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using gravity, and when removing the water tank, it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through a relatively gentle second inclined surface. .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refrigerator.

이때, 제1경사표면의 경사각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워터탱크의 표면이 감지돌기를 타고 넘는 장착감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고, 워터탱크가 자칫 연결구의 입구에 걸리는 불완전조립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large, the user can definitely feel the mounting feeling that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goes over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possibility of incomplete assembly of the water tank accidentally caught at the inlet of the connector can be further reduced.

그리고, 냉장고의 연결구에 구비되는 감지돌기는 연결구의 내면 중에서 천장면에서 돌출된다. 워터탱크가 삽입될 때 워터탱크의 무게로 인해 워터탱크는 배출구가 들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기 쉽기 때문에 배출구는 연결구의 천장면과 간섭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배출구의 표면은 연결구의 천장면과 마찰되면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구의 표면은 감지돌기와의 간섭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걸림감 및 장착감을 더욱 쉽게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of the refrigerator protrudes from the ceiling surfac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or. When the water tank is inserted, the discharge port tends to interfere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because the water tank tends to be bias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lift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outlet is inserted while rubbing against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in this process, the surface of the outlet is more likely to interfere with the sensing protrus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feel a sense of being caught and f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도어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워터탱크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워터탱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감지돌기 주변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연결구 주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연결구에 구비된 감지돌기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워터탱크가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o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doo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water tank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protrusion in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a connecto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constitu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9;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water tan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a connecto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에 착탈식 워터탱크(30)가 설치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워터탱크(30)는 냉장고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거나, 냉장고에 설치된 제빙장치에 물을 공급해서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물과 얼음이 모두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디스펜서장치의 일부로 볼 수도 있고, 또는 이와 독립된 부품으로 볼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removable water tank (30) is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The water tank 30 may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drink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a dispenser device, or water may be supplied to an ice maker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o make ice. Of course, the user may obtain both water and ice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Here, the water tank 30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dispenser device or as an independent part thereof.

도 1을 보면, 냉장고의 도어(1)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냉장고 도어(1)는 캐비넷(미도시)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어(1)의 회전을 위해서 상기 캐비넷에는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에는 도어(1)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structure of the door 1 of the refrigerator is shown. The refrigerator door 1 is coupled to a cabinet (not shown) and serves to selectively shield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 hinge is installed in the cabinet to rotate the door 1 , and the door 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nge.

상기 도어(1)는 상기 캐비넷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데, 대략 평판구조이다. 상기 도어(1)의 구조를 보면, 상기 도어프레임(2)이 도어(1)의 외곽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프레임(2)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에는 단열을 위해서 발포충진부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표현된 부분은 실제로는 안쪽에 마련된 도어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부재로 볼 수도 있다. The door 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plate structur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door 1 , the door frame 2 constitut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door 1 , and a foam filling part may be filled in the inside surrounded by the door frame 2 for thermal insulation. The door frame 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par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viewed as a cover member for enclosing the door frame provided on the inside.

도 1은 도어(1)의 안쪽면, 즉 냉장고의 저장실을 향하는 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의 안쪽면은 함몰된 형상으로, 수납공간(3)이 된다. 상기 수납공간(3)에는 바스켓(미도시)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도어(1)의 내면에도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3)은 상기 도어(1)의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프레임(4)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도면부호 G는 가스켓으로, 도어(1)와 캐비넷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1 shows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has a recessed shape and becomes a storage space 3 . A basket (not shown)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3 , so that a user can store food and the lik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 The storage space 3 may be surrounded by a door frame 4 constituting a side surface of the door 1 . Reference numeral G denotes a gasket, which may increas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door 1 and the cabinet.

상기 도어(1)의 상부에는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을 위해서 도어(1)의 상부에는 장착공간(11)이 마련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공간(11)은 도어(1)의 내면 중에서 상부를 차지하는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1)은 워터탱크(30)를 위에서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된 후에 위쪽으로 어느 정도 여유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A water tank 3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 , and a mounting space 11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1 for mounting the water tank 30 . As shown in FIG. 2 , the mounting space 11 is a space occupy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 . The mounting space 11 may have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upward after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mounted while moving the water tank 30 from top to bottom.

도 3과 도 4를 보면, 상기 워터탱크(30)는 대각선 방향인 화살표① 방향으로 상기 도어(1)의 장착공간(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1)의 중심에는 탱크장착부(10)가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10)는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워터탱크(30)에 구비된 배출구(33)가 끼워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면부호 33a는 배출홀로, 상기 배출홀(33a)은 상기 배출구(33)의 내부를 관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3 and 4 , the water tank 30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1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arrow ①. In the center of the mounting space 11 is a tank mounting portion (10). The tank mounting part 10 is a part where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and more precisely, it may be a part into which the outlet 33 provided in the water tank 30 is fitted. Reference numeral 33a denotes a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33a i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discharge port 33 .

상기 탱크장착부(10)의 중심에는 장착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구(20)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장착홀(12)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다시 중첩되게 끼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장착홀(12)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에는 별도의 연결브라켓(27)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브라켓(27)은 생략되거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A mounting hole 1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ank mounting part 10 , and a connector 20 to be described below is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12 . The connector 20 may be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12 , and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may be fitted to the connector 20 to overlap again. Of course, the connector 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unting hole 12 . A separate connection bracket 27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20 , and the connection bracket 27 may be omitted or configured as a filt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공간(11)의 측면에는 가이드홈(5)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5)은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상기 워터탱크(3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가이드(35)가 상기 가이드홈(5)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은 상기 장착공간(11)의 양쪽 측면에 대칭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홈(5)은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re is a guide groove 5 on the side of the mounting space 11 . The guide groove (5) is for assisting in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installation guide (3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30)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 (30) can be mounted. The guide groove 5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space 11, and the guide groove 5 may be omitted.

상기 장착홀(12)에는 연결구(20)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구(20)는 속이 비어 있는 관구조로, 일종의 어댑터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의 안쪽에는 빈 공간인 연결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21)의 안쪽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끼워진다. 상기 연결구(20)에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끼워지면, 상기 배출구(33)에 장착된 밸브조립체(50)가 디스펜서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도어프레임(2)의 안쪽에 구비된 연결구지지부(7)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프레임(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구지지부(7)의 반대편에 상기 연결구(20)가 결합될 수 있다. A connector 20 is fitted into the mounting hole 12 . The connector 20 has a hollow tube structure and may be viewed as a kind of adapter. A connection hole 21 , which is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hole 20 , and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s fitted inside the connection hole 21 . When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 , the valve assembly 50 mounted on the outlet 33 may be connected to a dispenser device (not shown). 5 and 6 show the connector support part 7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2, with the door frame 2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support part 7, the connector ( 20) can be combined.

이해를 돕기 위해서, 먼저 상기 워터탱크(30)의 개략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워터탱크(30)의 탱크바디(31)는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위쪽으로 개방된 저수공간(32)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장착공간(11)에 형상에 맞도록 좌우로 긴 형태인데, 이러한 형태는 장착공간(11)에 맞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For better understanding, first,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water tank 30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4 , the tank body 31 of the water tank 3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opened upwards. A space 32 is provided therein. The water tank 30 has a long form left and right to fit the shape of the mounting space 11 , and this shape can be deformed to fit the mounting space 11 .

상기 워터탱크(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펜서장치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에서 디스펜서장치로의 급수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하여 자유낙하 방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The water tank 30 is preferably located above the dispenser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30 to the dispenser device in a free-fall method by gravity without using a separate pump.

상기 탱크바디(31)의 양측면에는 장착가이드(35)가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35)는 상기 가이드홈(5) 형상에 맞게 돌출된 리브 형태인데, 양쪽에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가이드(35)는 상기 가이드홈(5)에 맞물릴 수 있도록 대각선 방향, 즉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장착공간(11)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re are mounting guides 35 on both sides of the tank body 31 . The mounting guide 35 is in the form of a rib protruding to fit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5 , and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The mounting guide 35 may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 ,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fit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 .

상기 워터탱크(30)의 저수공간(32)의 개방된 위쪽에는 탱크커버(36)가 결합된다. 상기 탱크커버(36)는 상기 탱크바디(31)의 상면을 덮어 상기 저수공간(3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탱크커버(36)에는 공급홀(37)이 관통되는데, 상기 공급홀(37)을 통해서 상기 저수공간(32)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36)에 차폐캡(39)이 결합되면, 상기 공급홀(37)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차폐캡(39)을 분리하고, 상기 공급홀(37)을 통해서 저수공간(32) 내부로 물을 채울 수 있다. A tank cover 36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space 32 of the water tank 30 . The tank cover 36 serve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31 to shield the water storage space 32 . At this time, a supply hole 37 passes through the tank cover 36 , and the water storage space 3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ly hole 37 . When the shielding cap 39 is coupled to the tank cover 36 , the supply hole 37 may be shielded. Accordingly, the user can separate the shielding cap 39 and fill the water storage space 32 with water through the supply hole 37 .

도 5 내지 도 7을 보면, 상기 워터탱크(30)에는 배출구(33)가 있다.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워터탱크(30)의 상기 저수공간(32) 바닥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저수공간(32)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탱크바디(31)의 바닥면(23b)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돌출된 방향과 길이는 냉장고의 내부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부호 F는 발포충진부가 채워지는 도어(1)의 내부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5 to 7 , the water tank 30 has an outlet 33 . The outlet 33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space 32 of the water tank 30 , and is a part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2 . The outlet 33 may protrude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23b of the tank body 31,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leng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F denotes the inner space of the door 1 in which the foam filling part is filled.

상기 배출구(33)는 수평(0도)에서 수직(90도) 사이의 경사를 가질 수 있지만, 45 ~ 90도 사이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출구(33)를 통해서 저수공간(32)의 물이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outlet 33 may have an inclination between horizontal (0 degrees) and vertical (90 degrees),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n inclination between 45 and 90 degrees. In this case,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2 can be naturally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outlet 33 .

상기 배출구(3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조립체(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조립체(50)는 디스펜서장치와 연동해서, 상기 배출구(33)가 특정 조건에서만 개방되도록 해준다. 즉 상기 배출구(33)가 항상 개방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디스펜서장치를 조작하면 상기 밸브조립체(50)가 상기 배출구(33)를 개방시켜서 저수공간(32)의 물이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A valve assembly 50 to be described below is assembled to the outlet 33 . The valve assembly 5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dispenser device to allow the outlet 33 to be opened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That is, the outlet 33 is not always open,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er device, the valve assembly 50 opens the outlet 33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2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there will be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는 제1나사산부(34)가 있다. 상기 제1나사산부(34)는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제2나사산부(52)와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나사산부(34)와 상기 제2나사산부(52)는 서로 나사체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배출구(33)의 끝부분에 상기 밸브조립체(50)가 나사체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screw thread portion 34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The first screw thread part 34 is for assembly with the second screw thread part 52 of the valve assembly 50, and the first screw thread part 34 and the second screw thread part 52 are screwed together. can be 5 to 7 show a state in which the valve assembly 50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outlet 33 .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는 제1감지턱(35)이 있다. 상기 제1감지턱(35)은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 즉 상기 연결구(20)의 연결홀(21)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감지턱(35)은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서 돌출된 감지돌기(25)와 간섭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감지턱(35)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first sensing jaw 35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The first sensing jaw 35 protrudes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that i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of the connector 20 , and the first sensing jaw 35 is It interferes with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nsing jaw 35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8을 보면, 상기 연결구(20)의 모습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0)의 중심에는 연결홀(21)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홀(21)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것으로, 상기 배출구(33)가 끼워지는 경로가 된다. 상기 연결홀(21)은 상기 배출구(33)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홀(2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물론, 상기 연결홀(21)은 다각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state of the connector 20 is illustrated in detail. A connection hole 21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or 20 . The connection hole 21 penet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serves as a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33 is fitted. The connection hole 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33 , an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circular. Of course, the connection hole 21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연결홀(21)의 입구 가장자리는 곡면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홀(21)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상의 삽입가이드(21a)가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삽입가이드(21a)를 통해서 배출구(33)의 끝 부분이 원활하게 상기 연결홀(21)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inlet edg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made of a curved surface. An insertion guide 21a having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let of the connection hole 21, and the end of the outlet 33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1 through the insertion guide 21a. Can be inserted inside.

상기 연결홀(21)의 내부에는 감지돌기(25)가 있다. 상기 감지돌기(25)는 앞서 설명한 상기 배출구(33)의 제1감지턱(35)과 간섭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이란, 상기 배출구(33)의 표면과 마주보게 되는 면으로, 상기 연결홀(21)의 내면도 상기 연결홀(21)을 구성하는 표면으로 볼 수도 있다. There is a sensing protrusion 25 inside the connection hole 21 . The sensing protrusion 25 interferes with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35 of the outlet 33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may also be viewed as a surface constituting the connection hole 21 .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내면 중에서, 천장면(23a)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연결홀(21)의 천장면(23a)에서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배출구(33)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구(20)의 천장면(23a)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Referring to FIG. 8 ,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from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connection hole 21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hole 21 . In other words,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connector 2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33 .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때 상기 워터탱크(3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배출구(33)가 들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기 쉽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과 간섭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있는 상기 제1감지턱(35)과, 아래에서 설명될 밸브조립체(50)의 제2감지턱(51')은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과 마찰되면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감지턱(35) 및 제2감지턱(51')은 상기 감지돌기(25)와의 간섭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he water tank 30 tends to be bi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33 is lifted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30, so the discharge port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 21) tends to interfere with the ceiling surface 23a. 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jaw 35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of the valve assembly 50 to be described below are connected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23a) and is inserted while rubbing, in this process,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interfere with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increase.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은 상기 바닥면(23b) 보다 길게 연장된다. 이러한 비대칭 구조를 통해서 상기 배출구(33)가 상기 연결홀(21)의 입구 부분에 보다 쉽게 끼워질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s shown in FIG. 10 ,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connection hole 21 extends longer than the bottom surface 23b. Through this asymmetric structure, the outlet 33 can be more easily fitted into the inlet portion of the connection hole 21 .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에만 구비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바닥면(23b)에도 구비되거나, 또는 바닥면(23b)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내주면을 둘러 다수개로 구성되거나, 상기 배출구(33)가 삽입되는 경로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only on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connection hole 21 , whereas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also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23b of the connection hole 21 . Or, it may be provided only on the bottom surface (23b). 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33 is inser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출구(33)의 끝부분이 상기 연결홀(21)의 입구 안쪽에 어느 정도 삽입된 후에 감지턱(35,51')이 상기 감지돌기(25)와 간섭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30)의 삽입초기에는 저항없이 상기 워터탱크(3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at a position inward from the entran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In this case, after the end of the outlet 33 is inserted to some extent inside the inlet of the connection hole 21, the sensing jaws 35 and 51' may interfere with the sensing protrusion 25, so that the user When the water tank 30 is initially inserted, the water tank 30 can be mounted without resistance.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상기 감지돌기(25)의 구조를 보면, 상기 감지돌기(25)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25)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상기 감지돌기(25)의 표면은 경사면이나 곡면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돌기(25)는 양쪽 표면에 이러한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갖는다. 여기서 양쪽 표면이란 상기 배출구(33)가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33)가 삽입되는 입구에 가까운 표면과, 상대적으로 먼 표면을 의미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Since the width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the surface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The sensing protrusion 25 has such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on both surfaces. Here, both surfaces refer to a surface close to the inlet into which the outlet 33 is inserted, and a surface relatively far from it, based o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33 is inserted.

상기 감지돌기(25)에는 제1경사표면(25a)과 제2경사표면(25b)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표면(25a)은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될 때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과 간섭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제1경사표면(25a)과 연속되고,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워터탱크(30)의 표면과 간섭되는 부분이다.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25b.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is a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20 .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when the water tank 3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0, it interferes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part

즉, 상기 제1경사표면(25a)과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감지돌기(25)가 위쪽으로 가장 높게 돌출된 상단을 기준으로, 그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표면(25a)과 제2경사표면(25b)은 서로 연속된 면이므로, 상기 제1경사표면(25a)은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제2감지턱(51')과 먼저 만나서 이를 타고 넘고,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2감지턱(51')을 타고 넘으면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배출구(33)의 제1감지턱(35)과 접촉될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from which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the highest. 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first meets the second sensing jaw 51 ′ of the valve assembly 50 . If it passes over it and the sensing protrusion 25 rides over the second sensing jaw 51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jaw 35 of the outlet 33 . .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감지돌기(25)는 L1의 높이를 갖는데, 이 높이는 상기 배출구(33)의 제1감지턱(35) 및 제2감지턱(51')과 간섭될 수 있는 높이가 된다. 상기 감지돌기(25)의 높이로 인해 상기 감지돌기(25)가 구비된 부분에서 상기 연결홀(21)의 직경은 다른 부분 보다 작아지게 되고, 그 직경은 상기 제1감지턱(35)이 형성된 상기 배출구(33)의 외경 및 상기 제2감지턱(51')이 형성된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직경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감지턱(35,51')과 상기 감지돌기(25)가 서로 간섭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0 , the sensing protrusion 25 has a height of L1, which is a height that can interfere with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of the outlet 33 . do. Due to the height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21 in the portion where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and the diameter is the same as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35 is formed.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let 33 and the diameter of the valve assembly 50 on which the second sensing jaw 51 ′ is formed are smaller. Accordingly, the sensing jaws 35 and 51 ′ and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도 12를 보면, 상기 제1경사표면(25a)과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각각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기 제1경사표면(25a)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K1이고, 상기 제2경사표면(25b)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K2가 된다. 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each have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ole 21 is used as a reference,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ole 21 is K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is the connecting hole.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with the inner surface of (21) becomes K2.

이때, 상기 제1경사표면(25a)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K1이 상기 제2경사표면(25b)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K2 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물이 채워져 무거운 상기 워터탱크(30)를 장착할 때는 중력을 이용해서 상기 감지턱(35,51')이 제1경사표면(25a)을 쉽게 타고 넘을 수 있고(도 11의 화살표④방향), 반대로 상기 워터탱크(30)를 분리할 때는 상기 감지턱(35,51')이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경사표면(25b)을 넘으면서 역시 쉽게 분리할 수 있다(도 11의 화살표⑤방향).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K1, and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K2. there is. In this case, when the water tank 30, which is filled with water and is heavy, is mounted, the sensing jaws 35 and 51' can easily ride ov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by using gravity (arrow ④ in FIG. 11). direc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water tank 30 is separated, the sensing jaws 35 and 51 ′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crossing the relatively gentl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rrow ⑤ in FIG. 11 ). ).

물론, 상기 제1경사표면(25a)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K1)도 상기 제2경사표면(25b)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K2)과 같이 완만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제1경사표면(25a)의 경사각(K1)이 완만해지면, 사용자가 워터탱크(30)를 장착할 때 장착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제1경사표면(25a)의 경사각(K1)은 제2경사표면(25b)의 경사각(K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the inclination angle K1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also the inclination angle K2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and You can also do it gently together.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K1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becomes gentl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feel a sense of fitting when the water tank 30 is installed. Therefore, the inclination angle K1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is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K2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다시 도 10을 보면, 상기 배출구(33)가 상기 연결홀(21)에 삽입되는 삽입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바닥면(23b)의 끝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삽입경로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출구(33)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진 초기에 바로 상기 감지돌기(25)와 상기 감지턱(35,51')이 서로 간섭될 수 있고, 간섭된 느낌을 통해서 사용자는 정확한 위치로 상기 배출구(33)가 끼워진 것을 인지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0 , based on the insertion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3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1 ,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greater than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23b of the connection hole 21 . It may be locat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insertion path. In this case, the sensing protrusion 25 and the sensing jaws 35 and 51 ′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immediately at the initial stage when the outlet 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user can move to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e sense of interferenc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outlet 33 is fitted.

한편, 도 7을 보면, 상기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되면,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배출구(33)의 표면과 접촉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구비된 상기 제1감지턱(35)의 제1가이드면(35a)에 상기 제2경사표면(25b)이 면접촉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2경사표면(25b)과 상기 제1가이드면(35a)이 서로 면접촉되면, 상기 배출구(33)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20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More precisel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35a of the first sensing jaw 35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Wh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the first guide surface 35a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way, the outlet 33 may be stably maintained in a fully inserted state.

상기 제1감지턱(35)의 제1가이드면(35a)은 경사면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면(35a)의 경사각은 상기 제2경사표면(25b)의 경사각(K2)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2경사표면(25b)과 상기 제1가이드면(35a)이 서로 면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guide surface 35a of the first sensing jaw 35 is an inclined surface, and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guide surface 35a is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K2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 Accordingl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the first guide surface 35a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는 타격부(29)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타격부(29)는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상기 감지돌기(25) 보다는 상기 연결홀(21)의 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기 타격부(29)는 상기 감지돌기(25)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29)는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1감지턱(35)을 타고 넘으면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을 타격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30)의 체결음이 더욱 커질 수 있다. Meanwhile, a striking part 29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The striking part 29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and is located closer to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hole 21 than the sensing protrusion 25 . The striking portion 29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protrusion 25 , and the striking unit 29 is disposed at the outlet 33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5 rides over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35 . ) can hit the surface. Through such a blow, the tightening sound of the water tank 30 may be further increased.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배출구(33)에는 밸브조립체(50)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33)와 상기 밸브조립체(50)에는 서로 연결되는 감지턱(35,5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턱(35,51')은 상기 배출구(33)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배출구(33)에 조립되는 상기 밸브조립체(50)의 표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33)에 구비된 제1감지턱(35)은 상기 밸브조립체(50)의 표면에 있는 제2감지턱(51')과 연결되어 하나의 감지턱(35,51')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홀(21)에 구비된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제1감지턱(35)과 제2감지턱(51') 전체를 타고 넘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a valve assembly 50 is coupled to the outlet 33 , and sensing jaws 35 and 51 ′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at the outlet 33 and the valve assembly 50 . . That is, the sensing jaws 35 and 51 ′ are not present only in the outlet 33 , but may extend to the surface of the valve assembly 50 assembled to the outlet 33 . The first detection jaw 35 provided in the outlet 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tection jaw 51 ′ on the surface of the valve assembly 50 to constitute one detection jaw 35 , 51 ′. can Accordingl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20 ,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le 21 is formed by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 can ride over the whole.

그리고, 상기 감지턱(35,51')의 양쪽에는 각각 가이드면(35a,51'a)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감지턱(35)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35a)이 있고, 상기 제2감지턱(51')에는 제2가이드면(5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때 상기 감지돌기(25)의 제1경사표면(25a)은 먼저 상기 제2가이드면(51'a)과 먼저 간섭되고,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2감지턱(51')까지 넘으면, 상기 제1감지턱(35)에 있는 제1가이드면(35a)이 상기 제2경사표면(25b)과 면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2감지턱(51')은 상기 밸브조립체(50)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guide surfaces 35a and 51'a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jaws 35 and 51'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respectively. More precisely, the first guide surface 35a is formed on the first sensing jaw 35 ,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51'a is formed on the second sensing jaw 51 ′. In this case,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first interferes with the second guide surface 51'a, and the sensing protrusion 25 When is over to the second sensing jaw 51', the first guide surface 35a of the first sensing jaw 35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Of course, unlike this, the second sensing jaw 51 ′ may be omitted from the valve assembly 50 .

이때, 도 7을 보면, 상기 감지턱(35,51')의 양단 사이의 거리(H1)는 상기 배출구(33)에 결합된 밸브조립체(50)가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의해 동작되기 위한 행정거리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감지턱(35)에서 상기 제2감지턱(51') 까지의 거리(H1)는 상기 밸브조립체(50)가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거리 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은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를 완전히 장착되어야만 상기 디스펜서장치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칫 상기 워터탱크(30)를 불완전하게 체결해서 디스펜서장치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7 , the distance H1 between both ends of the sensing jaws 35 and 51 ′ is greater than the stroke distance for the valve assembly 50 coupled to the outlet 33 to be operated by the dispenser devic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is, the distance H1 from the first sensing jaw 35 to the second sensing jaw 51' is greater than, or at least equal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valve assembly 50 is operated by the dispenser device. In this case, only when the water tank 30 is completely mounted,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ispenser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enser device from malfunctioning due to the user inadvertently fastening the water tank 30 incompletely.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는 상기 감지돌기(25)가 돌출되고,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25)는 상대편 표면인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감지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홈은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함몰된 것으로, 상기 감지돌기(25)의 끝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and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20 ,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the opposite surface.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ensing groove formed to be de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The sensing groove is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and is a portion into which the end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can be inserted.

또한,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는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을 향해 제1감지돌기(25)가 돌출되고,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는 상기 감지턱(35,51')이 아니라 상기 제1감지돌기(25)와 같이 짧은 제2감지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감지돌기(25)는 상기 제2감지돌기(25)를 타고 넘어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toward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and the sensing jaw ( 35 and 51 ′), but a short second sensing protrusion (not shown) like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while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20 ,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25 may ride over the second sensing protrusion 25 and be caught on the opposite side.

그리고, 상기 감지돌기(25)는 앞서 설명한 보와 같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서 단순히 돌출된 것이 아니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돌기(25)는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감지돌기(25)의 양쪽에 탄성슬릿이 형성되어서 상기 감지돌기(25)가 탄성변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25)는 눌리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연결구(20)에 장착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체결음을 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not simpl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as described above, but may have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For example,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or elastic slit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so that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is case,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ter tank 30,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essing direction, and when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connector 20, it is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nd a fastening sound is heard. may pay

앞선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 구비되었는데, 이와 달리, 상기 감지돌기(25)는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턱(35,51')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whereas the sensing protrusion 25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and the sensing protrusion 35 . , 51 ′)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다음으로, 상기 밸브조립체(5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조립체(50)는 상기 배출구(33)에 조립되고, 상기 배출구(33)로부터 상기 저수공간(32)의 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조립체(50)는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Next, the valve assembly 50 will be described. The valve assembly 50 is assembled to the outlet 33 , and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2 is selectively discharged from the outlet 33 . The valve assembly 50 may be screwed to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상기 밸브조립체(50)에는 밸브케이스(51)가 있다. 상기 밸브케이스(51)는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밸브케이스(51)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있다. 상기 플랜지의 내면에는 제2나사산부(52)가 있는데, 상기 제2나사산부(52)는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있는 제1나사산부(34)와 나사체결된다. The valve assembly 50 includes a valve case 51 . The valve case 51 forms the exterior of the valve assembly 50 , and there is a flang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case 51 .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has a second screw thread portion 52 , the second screw thread portion 52 is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portion 34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상기 밸브케이스(51)는 대략 원통형상이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밸브케이스(51)의 입구에 구비되는데, 상기 플랜지의 내면에 상기 제2나사산부(52)가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밸브케이스(51)의 다른 부분 보다 직경이 넓은 구조일 수 있다. The valve case 5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flange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valve case 51 ,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screw thread portion 52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The flange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arts of the valve case 51 .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는 앞서 설명한 제2감지턱(5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는 제2감지턱(51')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2감지턱(51')은 상기 제1감지턱(35)과 연속적으로 만들어져 하나의 감지턱(35,51')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감지턱(35)과 상기 제2감지턱(51')은 서로 연속된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jaw 51 ′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ange. That is, a second sensing jaw 51 ′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flange,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is continuously made with the first sensing jaw 35 to form one sensing jaw 35 , 51 . ')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may constitute a continuous outer surface.

상기 밸브케이스(51)의 내부에는 스프링(60)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밸브케이스(51)에 조립되는 밸브샤프트(70) 및 코크바디(7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밸브샤프트(70) 및 상기 코크바디(70)가 상기 밸브케이스(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조립체(50)가 상기 워터탱크(30)로부터 디스펜서장치 쪽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 A sp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valve case 51 , and the spring 6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shaft 70 and the cock body 70 assembled to the valve case 51 . The spring 60 moves the valve shaft 70 and the cock body 70 away from the valve case 51 so that the valve assembly 50 moves from the water tank 30 toward the dispenser device. Make sure no water is supplied.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구비된 레버를 사용자가 누르면, 링크부가 작동하여 상기 밸브샤프트(70)와 상기 코크바디(70)를 상기 배출구(33) 쪽으로 밀어넣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조립체(50)가 개방된다. 상기 밸브조립체(50)가 개방되면 상기 밸브샤프트(70)에 마련된 출수구(75)를 통해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user presses the lever provided in the dispenser device, the link unit operates to push the valve shaft 70 and the cock body 70 toward the outlet 33 , and accordingly, the valve Assembly 50 is opened. When the valve assembly 50 is opened,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75 provided in the valve shaft 70 .

참고로 도 5를 보면, 사용자가 레버를 누르는 방향이 화살표②로 표시되어 있고, 레버에 연동되어서 상기 밸브샤프트(70)와 상기 코크바디(70)가 상승하는 방향이 화살표③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컵으로 레버를 밀 수 있는데, 도 5에서 도면부호 8은 디스펜서장치의 장착공간(11)이 되고, 도 9는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기 위해 레버를 누르는 출수공간이 된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5 ,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lever is indicated by an arrow ②,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shaft 70 and the cock body 70 rise by interlocking with the lever is indicated by an arrow ③. For example, the user can push the lever with a cup. In FIG. 5 , reference numeral 8 denotes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ispenser device, and FIG. 9 shows the water outlet space where the user presses the lever to extract water.

다음으로,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냉장고의 도어(1)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에는 워터탱크(30)의 배출구(33) 및 상기 배출구(33)에 조립된 상기 밸브조립체(50)가 상기 연결구(20)에 조립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Next,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tank 30 is mounted on the door 1 of the refrigerator will be described.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33 of the water tank 30 and the valve assembly 50 assembled to the outlet 33 are assembled to the connector 20 .

사용자가 워터탱크(30)의 밸브조립체(50)가 상기 연결구(20)의 연결홀(21)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상기 워터탱크(30)를 도어(1)의 장착공간(11) 안쪽으로 비스듬히 밀어넣으면 상기 밸브조립체(50)부터 상기 연결홀(2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워터탱크(30)의 측면에 구비된 장착가이드(35)가 상기 가이드홈(5)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The user places the water tank 30 inside the mounting space 11 of the door 1 in a state where the valve assembly 50 of the water tank 30 faces the connection hole 21 of the connector 20 . When it is pushed obliquely,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21 from the valve assembly 50 . At this time, the water tank 30 may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guide 35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30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 .

상기 워터탱크(30)에는 물이 채워져 무거운 상태이므로, 상기 밸브조립체(50)의 끝부분이 일단 상기 연결홀(21)의 입구에 들어가면 사용자가 워터탱크(30)를 들고 있는 힘을 줄여도 워터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탱크(3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30)가 상기 탱크장착부(10)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water tank 30 is filled with water and is in a heavy state, once the end of the valve assembly 50 enters the inlet of the connection hole 21, even if the user reduces the force holding the water tank 30, the water tank (30) can be mounted. That is, the water tank 30 can be mounted on the tank mounting unit 10 by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30 .

이때, 상기 워터탱크(30)의 무게로 인해 상기 워터탱크(30)는 상기 배출구(33)가 들리는 방향으로 치우치기 쉬운데, 이에 따라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과 간섭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있는 상기 제1감지턱(35)과,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제2감지턱(51')은 상기 연결홀(21)의 천장면(23a)과 마찰되면서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감지턱(35) 및 제2감지턱(51')은 상기 감지돌기(25)와의 간섭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30, the water tank 30 tends to be bi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33 is lifted. Accordingly, the outlet 33 is locat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 23a) tends to interfere.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jaw 35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of the valve assembly 50 are connected to the ceiling surface 23a of the connection hole 21 . It is inserted while being rubbed against each other, and in this process,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the second sensing jaw 51 ′ interfere with the sensing protrusion 25 may increase.

도 12(a)에는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제2감지턱(51')이 상기 연결홀(21)에 있는 상기 감지돌기(25)에 닿아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감지돌기(25)가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제2감지턱(51')이 먼저 감지돌기(25)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30)가 도어(1)의 안쪽으로 더욱 삽입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2감지턱(51')을 타고 넘게 된다. FIG. 12( a )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ing jaw 51 ′ of the valve assembly 50 is in contact with the sensing protrusion 25 in the connection hole 21 . As can be seen, since the sensing protrusion 25 protrudes, the second sensing protrusion 51 ′ is caught by the sensing protrusion 25 first. In this state, when the water tank 3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door 1, the sensing protrusion 25 rides over the second sensing jaw 51' in the process.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2감지턱(51')과, 상기 제1감지턱(35)을 연속적으로 지나면 상기 감지돌기(25)의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배출구(33)의 제1감지턱(35)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5 successively passes the second sensing jaw 51 ′ and the first sensing jaw 35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becomes the outlet 33 . )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jaw 35 .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2(b).

이때,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1감지턱(35)을 타고 넘는 순간 체결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음은 상기 연결구(20)와 상기 배출구(33) 사이가 서로 멀어졌다가 다시 복원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20)와 상기 배출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탄성변형 후 복원되는 과정에서 체결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음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워터탱크(30)가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a locking sound is generated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5 passes over the first sensing jaw 35 . This fastening sound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 20 and the outlet 33 after moving away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 20 and the outlet 33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herefore, a fastening sound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after elastic de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know that the water tank 30 is completely installed through this fastening sound.

다시 말해, 상기 워터탱크(3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25)와 상기 감지턱(35,5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워터탱크(30)가 완전히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25)와 상기 감지턱(35,51') 사이의 간섭이 해제되면서 체결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간섭이 해제된다는 것은 상기 감지돌기(25)와 상기 감지턱(35,5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를 가압하는 상태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가압하는 힘의 일부가 줄어드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ter tank 30,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sensing protrusion 25 and the sensing jaws 35 and 51', and when the water tank 30 is fully mounted, the sensing A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 25 and the sensing jaws 35 and 51' is released, a locking sound is generated. Here, the cancellation of the interference includes both the state in which the sensing protrusion 25 and the sensing jaws 35 and 51 ′ press the opponen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completely disappears or a part of the pressing force is reduced.

그리고, 상기 제1경사표면(25a)과 제2경사표면(25b)은 서로 연속된 면이므로, 상기 제1경사표면(25a)은 상기 밸브조립체(50)의 제2감지턱(51')과 먼저 만나서 이를 타고 넘고,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2감지턱(51')을 타고 넘으면 상기 제2경사표면(25b)은 상기 배출구(33)의 제1감지턱(35)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에 구비된 상기 제1감지턱(35)의 제1가이드면(35a)에 상기 제2경사표면(25b)이 면접촉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2경사표면(25b)과 상기 제1가이드면(35a)이 서로 면접촉되면, 상기 배출구(33)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nd, sinc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re continuous surfaces,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jaw 51' of the valve assembly 50 and First, they meet and ride over it, and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5 rides over the second sensing jaw 51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ensing jaw 35 of the outlet 33 . can That i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35a of the first sensing jaw 35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Wh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the first guide surface 35a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way, the outlet 33 may be stably maintained in a fully inserted state.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구(20)에 구비된 상기 타격부(29)는 상기 감지돌기(25)가 상기 제1감지턱(35)을 타고 넘으면 상기 배출구(33)의 표면을 타격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30)의 체결음이 더욱 커질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triking part 29 provided in the connector 20 hits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5 rides over the first sensing jaw 35 and hits the surface of the outlet 33 , such a hit Through this, the tightening sound of the water tank 30 may be further increased.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감지돌기(25)의 상기 제1경사표면(25a)이 상기 연결홀(21)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K1은 급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물이 채워져 무거운 상기 워터탱크(30)를 장착할 때는 중력을 이용해서 상기 감지턱(35,51')이 제1경사표면(25a)을 쉽게 타고 넘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angle K1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of the sensing protrusion 2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21 is set quickly, but the heavy water tank 30 is filled with water. When mounted, the sensing jaws 35 and 51' can easily ride over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a by using gravity.

반대로, 상기 워터탱크(30)에 물을 채우기 위해 상기 워터탱크(30)를 분리할 때는, 상기 감지턱(35,51')이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경사표면(25b)을 넘으면서 역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water tank 30 is separated to fill the water tank 30 with water, the sensing jaws 35 and 51 ′ cross the relatively gentle second inclined surface 25b and are also easily separated. can do.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combination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도어 2: 도어프레임
5: 가이드홈 7: 연결구지지부
10: 탱크장착부 11: 장착공간
12: 장착홀 20: 연결구
21: 연결홀 21a: 삽입가이드
25: 감지돌기 25a: 제1경사표면
25b: 제2경사표면 29: 타격부
30: 워터탱크 31: 탱크바디
32: 저수공간 33: 배출구
35: 감지턱 35a: 제1가이드면
50: 밸브조립체 51: 밸브케이스
51': 제2감지턱 52: 제2나사산부
60: 스프링 70: 밸브샤프트
75: 출수구 80: 코크바디
F: 발포충진부 G: 가스켓
1: Door 2: Door frame
5: Guide groove 7: Connector support
10: tank mounting part 11: mounting space
12: mounting hole 20: connector
21: connection hole 21a: insertion guide
25: sensing protrusion 25a: first inclined surface
25b: second inclined surface 29: striking part
30: water tank 31: tank body
32: water storage space 33: outlet
35: sensing jaw 35a: first guide surface
50: valve assembly 51: valve case
51': second sensing jaw 52: second screw thread part
60: spring 70: valve shaft
75: outlet 80: cock body
F: foam filling part G: gasket

Claims (17)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물 또는 얼음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펜서장치;와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연결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공급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상기 워터탱크의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감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대편 표면과 간섭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와 상기 상대편 표면 사이의 간섭이 해제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formed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dispenser device provided in the cabinet or the door and capable of supplying water or ice; and
a water tank installed in a connector provided in the cabinet or the door and supplying water stored therein to the dispenser devic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tank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has a sens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and in the process of the discharge port being mounted to the connection port, the sensing projection is the opposite side The refrigerator interferes with the surface, and when the outlet is mounted on the connector,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opposite surface is cance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한쪽에는 감지돌기가 돌출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가 타고 넘는 상기 감지턱이 돌출되며,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감지턱에 걸리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ns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either on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utlet, and the sensing jaw over which the sensing protrusion rides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and the water When the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or, the sensing protrusion is caught on the sensing jaw to generate a locking s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배출구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연결홀의 천장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가장 돌출된 상단을 향해 점점 폭이 좁아지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rotrusion becomes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most protruding upper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와 이격된 위치에는 타격부가 돌출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감지턱을 타고 넘으면 상기 연결홀 또는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한쪽의 표면을 타격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riking portion protrudes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protrusion, and the striking unit strikes a surface of either the connection hole or the outlet when the sensing protrusion rides over the sensing ja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돌기의 양쪽 표면에는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될 때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과 간섭되는 제1경사표면;과
상기 제1경사표면과 연속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서 분리될 때 상기 워터탱크의 표면과 간섭되는 제2경사표면;이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roj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On both surfaces of the sensing protrusion,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interferes with a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continuous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nterfering with the surface of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제2경사표면은 상기 배출구의 표면에 구비된 감지턱의 가이드면에 면접촉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o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sensing jaw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outl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표면이 상기 연결홀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은 상기 제2경사표면이 상기 연결홀의 내면과 이루는 경사각 보다 큰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is greater than an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밸브조립체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밸브조립체에는 서로 연결되는 감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홀에 구비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감지턱을 타고 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assembly is coupled to the outlet, the outlet and the valve assembly are provided with a sensing jaw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ns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le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is the refrigerator that climbs over the threshol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턱의 양쪽에는 각각 가이드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감지돌기와 간섭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guide surfa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jaw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guide surface interferes with the sensing protrusion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or detached from the conn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턱의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출구에 결합된 밸브조립체가 상기 디스펜서장치에 의해 동작되기 위한 행정거리 보다 크거나 같은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ensing jaw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troke distance for the valve assembly coupled to the outlet to be operated by the dispens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감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는 상대편 표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감지홈에 삽입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utlet has a sens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other side, and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 the sens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sens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other side. refrigerator to 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제1감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감지돌기는 상대편 표면에 돌출된 제2감지돌기를 타고 넘어 걸리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utlet has a first sens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sens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other side while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Refrigerator hanging over the second sensor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제1감지돌기가 돌출되되, 상기 제1감지돌기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sensing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opposite sid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utle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sensing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과 상기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감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대편의 표면에 눌리면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utlet has a sens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sensing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other side, and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ing unit, Refrigerator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입구 가장자리 보다 상기 연결홀의 안쪽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삽입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연결홀의 바닥면의 끝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삽입경로의 전방에 위치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hole rather than the inlet edge of the connection hole, and based on an insertion path through which the outle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the sensing projection is larger than th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hole. Refrigerator position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insertion path.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구비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상기 워터탱크의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표면에는 상대편을 향해 감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워터탱크의 상기 배출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돌기는 상대편 표면과 간섭되며, 상기 워터탱크의 배출구가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돌기가 상기 상대편 표면을 타격하면서 체결음을 발생시키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formed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water tank mounted on the doo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door and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as a sens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sensing protrusion is detected while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s mounted to the connector. The protrusion interferes with the opposing surface, and when the outlet of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connector, the sensing protrusion strikes the opposing surface and generates a locking sound.











KR1020200135194A 2020-10-19 2020-10-19 Refrigerator KR202200516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194A KR20220051600A (en) 2020-10-19 2020-10-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194A KR20220051600A (en) 2020-10-19 2020-10-19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00A true KR20220051600A (en) 2022-04-26

Family

ID=8139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194A KR20220051600A (en) 2020-10-19 2020-10-19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60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56A (en)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6835A (en) 2017-05-18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56A (en)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26835A (en) 2017-05-18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en) Refrigerator
US7992257B2 (en) Mounting structure of a door-handle for refrigerator
US8434318B2 (en) Refrigerator
US9366471B2 (en) Appliance and a handle assembly for an appliance
EP2225510A1 (en) Refrigerator
KR200170259Y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ice discharge port of refrigerator
US20120024003A1 (en) Refrigerator
US20110067433A1 (en) Water tank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285845B1 (en) Refrigerator
EP3957936B1 (en) Refrigerator
KR20090106942A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220051600A (en) Refrigerator
KR102229980B1 (en) Refrigerator
US10473387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apparatus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US10563910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apparatus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US10571185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apparatus and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90080250A (en) Water supply unit of Refrigerator
KR101848926B1 (en) Refrigerator
KR20110072369A (en) Refrigerator
EP2641864B1 (en) Beverage dispensing valve, in particular for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EP3992557A1 (en) Refrigerator
KR101235195B1 (en) Refrigerator
KR101012381B1 (en) A door for an electric home appliance
KR102463874B1 (en) Refrigerator
US20240044570A1 (en)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