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369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369A
KR20110072369A KR1020090129258A KR20090129258A KR20110072369A KR 20110072369 A KR20110072369 A KR 20110072369A KR 1020090129258 A KR1020090129258 A KR 1020090129258A KR 20090129258 A KR20090129258 A KR 20090129258A KR 20110072369 A KR20110072369 A KR 2011007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door
wate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39442B1 (en
Inventor
윤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442B1/en
Publication of KR2011007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since water supply tank is attached and detached with simple control by the fastening part. CONSTITUTION: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a door(12); and a water tank(32). The main body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The doo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The water tank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door and is located in one spo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tank is formed into container having sectional area lager than sectional are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tank has a water inlet port(323) and a water outlet port(324). The water inlet port is formed in the one-sid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other side end part. The water outlet port is formed higer than the water inlet por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food in a low temperature state by low temperature air.

최근에는 냉장실이 상측에 제공되고 냉동실이 하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경우, 얼음을 만드는 제빙 장치와, 음료수를 취출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 구조가 도어에 제공되기도 한다. 종래의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경우, 제빙 장치와 워터 디스펜서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워터 탱크가 냉장실 도어에 장착된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의 배면 하측에 워터 탱크 수용홈이 형성되고, 워터 탱크는 급수 호스가 다수회 말아진 형태로 제공된다. Recently, the demand f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 freezer compart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is increasing. In the case of such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an ice making device for making ice and a water dispenser structure for taking out the drink may be provided in the doo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a water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for supplying to an ice making device and a water dispenser is mounted to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hen, a water tank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water tank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water supply hose is rolled up several times.

이러한 종래의 워터 탱크 구조의 경우, 급수 호스가 말아진 형태의 워터 탱크는 자체 부피가 큰 반면, 저장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워터 탱크 수용 홈 내부에 급수 호스를 말아 넣어야 하기 때문에 냉장고 제조 과정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water tank structure, the water tank in which the water hose is rolled up is large in volume, while the amount of water stored is relatively small. 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hose must be rolled into the water tank accommodating groov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refrigerator decreases due to a long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frigerator.

뿐만 아니라, 제빙용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빙용 급수 호스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이 결빙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In addition, when the supply of the ice making water is stop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remaining inside the ice making water hose freez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한정된 공간 내부에 최대한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급수 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disadvantag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tank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a maximum amount of water in a limited space.

또한, 급수 탱크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급수 탱크 저장 공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급수 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tank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ounted in a water supply tank storage space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water supply tank.

또한, 급수가 중단된 이후 급수 호스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이 급수 탱크로 환원되도록 하여, 호스 내 결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 탱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tank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hose after the water supply is stopped to the water supply tank, thereby preventing freezing in the h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탱크는 상기 급수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워터 탱크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 유로가 연결되는 입수 포트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 포트는 상기 입수 포트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water tank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provided at a point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wherein the water tank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and the water tank is disposed at one end portion. And an inlet por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n inlet port to which the wate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wherein the outlet port is formed above the inlet port.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 탱크는,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이 개구되는 탱크 바디와, 상기 탱커 바디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탱크 커버를 포함한다.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aspect, the body; A do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water tank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provided at a point of a water supply flow path, wherein the water tank includes a tank body having an empty inside and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tank cover shielding an opening of the tanker body. Inclu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급수 탱크가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급수 탱크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since the water supply tank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olume of the water supply tank is reduced.

둘째, 급수 탱크가 말아진 호스 형태가 아니라 통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저장되는 물의 양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water supply tank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instead of a rolled hose,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셋째, 급수 탱크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에 의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급수 탱크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water supply tank with a simpl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d productivity.

넷째, 급수 탱크가 급수 호스보다 큰 단면적의 통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는 탱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중단 후 급수 호스 내에 남아 있던 잔수가 급수 탱크로 되돌아갈 수 있으므로, 호스 내 결빙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도 있다. Fourth, since the water supply tank has a tubular shape with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water supply hose,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tank in the state where water supply is stopped. Therefore, since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hose after the water supply stops can be returned to the water supply tank,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freezing phenomenon in the hose is rem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냉장실(111)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main body 11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111 and a freezing chamber formed therein, and a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1.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상세히, 상기 냉동실은 단일의 공간으로 상기 냉장실(1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품에 따라서 별도의 분할 부재에 의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내부에는 수납 박스가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냉동실에는 드로어가 제공되며, 상기 드로어는, 상기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안착되는 수납 박스 및 상기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부재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form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as a single space, an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separate partition members according to products. In addition, a storage box may be accommod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in a forward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freezer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drawer, the drawer, a doo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ront open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a door frame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door, a storage box seated on the door frame and And a rail member for allowing the door to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냉동실은 별도의 분할 부재에 의하여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냉동실이 상하 방향으로 분할되고, 각 공간이 도어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 부재에 의하여 분할되는 냉동실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절환실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절환실 도어(13)와 냉동실 도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separate partition member. In the drawing,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space is shown to be shielded by a door. In addition, any one of the freezer compartment spaces divided by the division member may be used as a switching chamber. Then,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include a switching room door 13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14.

한편, 상기 냉장실(111)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 및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의 전면 개구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냉장실 도 어(12)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12)는 본체(11)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shelves and baskets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The front open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12, as shown.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in body 11.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는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실(2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20)의 외측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 바스켓(15)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의 측면부, 상세히는 상기 냉장실(111)의 내측면에 접하는 측면부에 냉기 유입구(123)와 냉기 토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를 닫았을 때 상기 냉기 유입구(123)와 냉기 토출구(124)가 접촉되는 지점의 냉장실(111) 측면에도 냉기 유입구 및 냉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1)의 측면 내부에는 증발실(미도시)을 연결하는 냉기 공급 덕트와 냉기 귀환 덕트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ing chamber 20 for making ice, and one or more door baskets 15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20. . In addition, a cold air inlet 123 and a cold air outlet 124 may be formed at a side port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20, in detail, at a side portion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is closed, a cold air inlet and a cold air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at the point where the cold air inlet 123 and the cold air outlet 124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a cold air supply duct and a cold air return duct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to connect an evaporation chamber (not shown).

또한, 상기 제빙실(20)의 하측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 바스켓(15)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하단부 배면 영역에는 소정 크기의 물저장 유닛(30)이 제공된다.In addition, one or more door baskets 15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20. In addition, a water storage unit 3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at a lower rear surface area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 특히 상기 제빙실(20)이 형성되는 쪽의 냉장실 도어(12) 전면에는 음용수 취출 및 얼음 인출을 위한 디스펜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후면으로부터 급수 호스(41)가 연장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와 본체(11)를 연결하는 힌지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 내부로 연장되는 급수 호스(41)는 상기 물저장 유닛(30)을 거쳐 상기 제빙실(20) 내부에 제공되는 아이스 메이커(미도시)와 상기 디스펜서에 형성되는 물 취출구로 각각 나뉘어 연장된다. 상기와 같은 급수 유로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dispenser (not shown) for drinking water extraction and ice extrac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particularly o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on the side where the ice making chamber 20 is formed.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extends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 through a hinge connect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 and the main body 11.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ing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is formed in the ice maker (not shown) and the dispenser provided inside the ice making chamber 20 via the water storage unit 30. It is divided into each outlet and extends. The water supply flow path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12)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 판재의 아웃 케이스(121)와,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22) 및 상기 아웃 케이스(121)와 도어 라이너(122)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121 of a metal plate forming a front exterior and a door liner 122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1. And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121 and the door liner 122.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측면부, 상세히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를 닫았을 때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해당하는 측면부에는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1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러(16)는,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측면에 밀착된다. 반면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90도 회동하여 반대쪽 냉장실 도어와의 경계 부분을 차폐하여 냉기가 냉장실 도어들 간의 경계 부분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detail, the side of the door liner 122, in detail, when the pair of refrigerating chamber doors close to th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filler 16 for preventing cold air leakage may be mounted. The filler 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door liner 122 as show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 is op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is closed, it rotates 90 degrees to shield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opposit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hereby preventing cold air from leaking into the boundary portion gap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 유닛(30)은, 냉장실 도어(12)의 배면 하단부에 위치하며, 워터 탱크(후술함)와 밸브(후술함)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쉴드(31)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water storage unit 30 is located i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covering the water tank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valve (to be described later)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 shield 31.

상세히, 상기 쉴드(31)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쉴드(31)의 상단에는 걸림 돌기(311)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 유닛(30)의 직상방에서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바스켓(15)의 하단에는 걸림 리브(151)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11)는 상기 걸림 리브(15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 리브(151)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와 상기 걸림 돌기(31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15)이 상기 도어(12)의 배면으로부터 임의적으로(inadvertently)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detail, the shield 3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nd a locking protrusion 311 protrudes from an upper end of the shield 31. In addition, a locking rib 151 extends at a lower end of the door basket 15 tha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bove the water storage unit 30. In addition, the locking protrusion 311 is located behind the locking rib 151. That is, the locking rib 151 is located between the door liner 1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11 so that the door basket 15 is inadvertently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 prevent.

이하에서는 상기 물저장 유닛(30)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ater storage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 유닛의 쉴드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물저장 유닛을 구성하는 워터 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eld of a water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constituting the water storage unit is separa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 유닛(30)은, 상기 쉴드(31)와; 상기 쉴드(31)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배면 하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탱크 하우징(123)과; 상기 탱크 하우징(123) 내부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급수 호스(41)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32)와; 상기 워터 탱크(32)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디스펜서와 아이스 메이커로 나뉘어 흐르도록 하는 분지 밸브(40)를 포함한다.3 and 4, the water storage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 31; A tank housing (123) shielded by the shield (31) and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A water tank 32 mounted at one side of the tank housing 123 and stor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1; It includes a branch valve 40 to allow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32 flows into the dispenser and the ice maker.

상세히, 상기 탱크 하우징(123)은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하측 일부분이 상기 아웃 케이스(121) 쪽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내측 벽에는 상기 급수 호스(41) 및 상기 분지 밸브(40)로부터 연장되는 호스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하우 징(123)의 측벽에는 상기 쉴드(3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미도시)에 끼워져서 상기 쉴드(31)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는 쉴드 체결 돌기(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일측 공간에는 상기 분지 밸브(40)가 수용되고, 타측 공간에는 상기 워터 탱크(32)가 장착된다. In detail, the tank housing 123 is formed by recessing a lower portion of the door liner 122 toward the outer case 121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inner wall of the tank housing 123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125 through which the hos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hose 41 and the branch valve 40 passes. In addition, a shield fastening protrusion 124 is formed on a sidewall of the tank housing 123 so as to be fitted into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side of the shield 31 to prevent any detachment of the shield 31. The branch valve 40 is accommodated in one space of the tank housing 123, and the water tank 32 is mounted in the other space.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32)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통형상(tubular)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다각형 통 형상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32)는, 일측에 입수 포트(323)가 형성되고 타측에 개구되는 통 형상의 탱크 바디(321)와, 상기 탱크 바디(321)의 개구되는 부분을 차폐하는 탱크 커버(322)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 커버(322)의 일측에는 출수 포트(3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바디(321)와 탱크 커버(322)가 결합되는 부분은 일정 폭만큼 중첩되고, 중첩되는 부분이 융착 공정에 의하여 결합된다. 융착 공정을 통하여 탱크 바디(321)와 탱크 커버(322)의 연결 부분을 통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water tank 32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in this embodiment,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presented. However, of course, the polygonal cylindrical shape is also applicable. In more detail, the water tank 32 has a tank cover 321 having an inlet port 323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open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tank cover shielding an opening portion of the tank body 321. 322. One side of the tank cover 322 is formed with a water outlet port 324. In addition, a portion where the tank body 321 and the tank cover 322 are coupled is overlapped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overlapping portions are coupled by a fusion process. Through the fusion process, water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tank body 321 and the tank cover 322.

또한, 상기 입수 포트(323)는 상기 탱크 바디(321)의 길이 방향 중심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 포트(324)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2)가 상기 탱크 하우징(123)에 장착될 때, 상기 출수 포트(324)가 상기 입수 포트(323)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입수 포트(324)와 출수 포트(324)의 형성 위치는 바뀔 수 있으나, 어떤 경우든 상기 출수 포트(324)가 상기 입수 포트(323)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워터 탱크(32)가 장착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water inlet port 323 is formed on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tank body 321, the water outlet port 324 is formed at a point biased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ral axis. When the water tank 32 is mounted to the tank housing 123, the water outlet port 324 is mounted to be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inlet port 323. Here, the forming position of the inlet port 324 and the outlet port 324 can be changed, but in any case the water tank 32 is mounted so that the outlet port 324 is located higher than the inlet port 323 It is good to be.

또한, 상기 입수 포트(323)에는 상기 급수 호스(42)가 연결되고, 상기 출수 포트(324)에는 출수 호스(4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호스(42)는 상기 분지 밸브(40)의 입구 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 밸브(40)의 출구측에는 아이스 메이커 쪽으로 연결되는 아이스 메이커 호스(44)와, 워터 디스펜서 쪽으로 연결되는 디스펜서 호스(43)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호스(44)와 상기 디스펜서 호스(43)는 상기 통과홀(125)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122)와 아웃 케이스(121) 사이의 공간을 따라 워터 디스펜서와 아이스 메이커로 각각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hose 42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ort 323, and the water outlet hose 42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ort 324. The outlet hose 42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branch valve 40. The outlet side of the branch valve 40 is connected to an ice maker hose 44 connected to the ice maker and a dispenser hose 43 connected to the water dispenser. In addition, the ice maker hose 44 and the dispenser hose 43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125 to the water dispenser and the ice maker along the space between the door liner 122 and the outer case 121, respectively. Is extended.

한편, 상기 워터 탱크(32)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장착 리브(325)가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장착 리브들(325)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출수 호스(42)가 관통하는 호스 서포터(326)가 연장된다. 상기 호스 서포터(326)에 의하여 상기 출수 호스(42)가 요동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출수 호스(324)가 상기 출수 포트(324) 연결 부위에서 뒤틀리거나 꼬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리브들(325)과 상기 호스 서포터(326)는 상기 워터 탱크(32)의 탱크 바디(321) 또는 탱크 커버(322) 중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워터 탱크(3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 리브들(325)은 상기 워터 탱크(32)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mounting ribs 325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is exte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32. In detail, the mounting ribs 325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t mutually opposite positions. In addition, a hose supporter 326 through which the discharge hose 42 penetrates is extend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32. Since the water extraction hose 42 is not oscillated by the hose supporter 326, the water extraction hose 324 may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or twis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extraction port 324. The mounting ribs 325 and the hose supporter 326 may be formed in any of the tank body 321 or the tank cover 322 of the water tank 32, and integrally with the water tank 32. It can be injection molded. The mounting ribs 325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water tank 32.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워터 탱크(32)의 장착 및 분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and detachment process of the water tank 32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먼저, 조립자는 상기 급수 호스(41)의 단부를 상기 입수 포트(323)에 연결하고, 상기 출수 호스(41)의 일단을 상기 출수 포트(324)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 호스(41)의 타단을 상기 분지 밸브(40)의 입구에 연결하고, 상기 디스펜서 호스(43)아 아이스 메이커 호스(44)의 일단들을 상기 분지 밸브(40)에 형성된 출구들에 각각 연결한다. First, the assembler connects the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41 to the water inlet port 323, and connects one end of the water outlet hose 41 to the water outlet port 324. The other end of the outlet hose 41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branch valve 40, and one end of the dispenser hose 43 and the ice maker hose 44 is connected to the outlets formed in the branch valve 40. Connect each.

이러한 과정이 끝난 후에, 조립자는 상기 워터 탱크를 가로로 뉘어서 상기 탱크 하우징(123)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장착 리브(325)의 단부가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후벽면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장착 리브들(32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상측 벽에 밀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하측 벽에 밀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출수 포트(324)가 입수 포트(323)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워터 탱크(32)를 장착한다. 상기 출수 포트(324)가 상기 입수 포트(323)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되면, 상기 출수 포트 주위에 약간의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워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의 물공급이 중단되어 호스 내부에 남게 되는 물이 상기 워터 탱크(32)로 역류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분지 밸브(4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밸브 폐쇄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즉시 닫히지 않는다. 따라서, 급수 중단 신호가 발생하여 급수가 중단되더라도 상기 분지 밸브(40)의 출구가 완전히 닫히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 폐쇄의 지연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펜서 호스(43) 또는 아이스 메이커 호스(44) 내부에 있는 물의 적어도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고, 상기 분지 밸브(40)를 통하여 상기 급수 탱 크(32)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아이스 메이커 호스(44)의 단부에서 호스 내부의 물이 결빙되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 호스(44)는 제빙실로 연결되기 때문에, 호스의 토출단 영역은 결빙이 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워터 탱크가 다수회 말아진 호스 다발이 아니라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와 같은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fter this process, the assembler divides the water tank horizontally and inserts it into the tank housing 123. At this time, the end of the mounting rib 325 is inserted facing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tank housing 123. Then, one of the mounting ribs 325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wall of the tank housing 123, the other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wall of the tank housing 123. The water tank 32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outlet port 32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inlet port 323. If the outlet port 324 is locat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inlet port 323, a slight air layer may be formed around the outlet port. Then,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dispenser or the ice maker is stopped, and the water remaining in the hose is allowed to flow back to the water tank 32. The branch valve 40 is a solenoid valve and does not immediately close when a valve closing signal is input. Accordingly, even if the water supply stop signal is generat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 time delay occurs until the outlet of the branch valve 40 is completely closed. As a result of the delay in closing the valve,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in the dispenser hose 43 or the ice maker hose 44 drops by its own weight and passes through the branch valve 40 to the water supply tank 32. Go back to. As a result, water freezing inside the hose at the end of the ice maker hose 44 can be alleviated. Since the ice maker hose 44 is connected to the ice making chamber, the discharge end region of the hose is likely to freeze. 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tank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stead of a bundle of hoses rolled a plurality of times, the above additional effects can be obtained.

이 상태에서, 조립자가 상기 워터 탱크(32)를 더 깊숙히 밀어 넣으면, 상기 장착 리브들(325)의 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상기 장착 리브들(325)은 휘어지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워터 탱크(32)의 상측 벽과 하측 벽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워터 탱크(32)는 상기 탱크 하우징(123)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리브들(325)은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상측벽 및 하측벽에 걸리거나 특정 부분에 끼워지는 구조가 아니라 단순히 접촉된 상태만을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장착 리브들(3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탱크 하우징(123)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상기 워터 탱크(32)를 상기 마찰력보다 큰 힘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워터 탱크(32)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하여 별도의 연장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워터 탱크(32)의 안정적인 고정을 원한다면 상기 장착 리브들(325)의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후크 형상의 단부에 대응하는 홈들이 상기 탱크 하우징(123)의 내측 벽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assembler pushes the water tank 32 deeper, the ends of the mounting ribs 325 are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mounting ribs 325 are ben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of the water tank 3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By this frictional force, the water tank 32 is stably fixed inside the tank housing 123. Here, the mounting ribs 325 are not structured to be caught on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of the tank housing 123 or to be fitted to a specific portion, and thus merely maintain a contact state. That i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mounting ribs 325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ank housing 123. Therefore, the assembler only needs to pull the water tank 32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force,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eparate extension for mounting and detaching the water tank 32. However, if a stable fixing of the water tank 32 is desired, the ends of the mounting ribs 325 are formed in a hook shape,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hook-shaped ends ar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tank housing 123. Of course you can.

이와 같이, 워터 탱크가 일정한 크기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탱크 하우징(123)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워터 탱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As such, since the water tank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constant size, not only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tank housing 123 is increased, but also the water tank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 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water supply passage dispos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 케이스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out case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 외관을 이루는 아웃 케이스(121)와,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후방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21)와 상기 도어 라이너(122) 사이 공간에는 폴리우레탄 발포와 같은 단열재가 충진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door 12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ase 121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and the door lin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outer case 121. (122). 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21 and the door liner 122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foam.

상세히, 상기 아웃 케이스(121)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플라스택 소재의 어퍼 패널(126)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상측 모서리에는 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힌지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급수 호스(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아웃 케이스(12)의 배면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호스(41)의 단부는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하단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22)에 형성된 탱크 하우징(123)의 통과홀(125)을 통하여 상기 워터 탱크(32)의 입수 포트(323)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영역 A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탱크 하우징(123)이 놓이는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분지 밸브(40)의 출구에서 각각 연장되는 아이스 메이커 호 스(44) 및 상기 디스펜서 호스(43)는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배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다. In detail, the out case 121 is made of a metal plate, and the upper panel 126 of the plastic material is mounted on the top case. In addition, a hinge is mounted at an upper edge of the out case 121, and the inside of the hinge is formed to be empty. Then,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s downwar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out case 12 through the hinge as shown. In addition, an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41 is an inlet port of the water tank 32 through the through hole 125 of the tank housing 123 formed in the door liner 122 at the lower end of the out case 121. 323 is connected. In the drawing, area A is the area where the tank housing 123 of the door liner 122 is placed. In addition, the ice maker hose 44 and the dispenser hose 43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branch valve 40 extend upwar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out case 121.

한편,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배면 상측에는, 아이스 메이커 제어용 기판에 연결되는 리셉터클(R)과 아이스 메이커로 물을 토출하는 급수 꼭지(441)를 지지하는 홀더(50)가 놓인다. 그리고, 상기 홀더(50)는 상기 어퍼 패널(126)에 고정되며, 상기 제빙실(20)의 전면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상기 아웃 케이스(121) 배면에는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와 같은 별도의 단열 패널(8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80)은 상기 아웃 케이스(121)와 상기 홀더(50) 사이에 개입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21)의 배면에는 음용수 취출과 얼음 취출시 용기를 수용하도록 함몰되는 디스펜서 하우징(7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70)의 상단에는 상기 제빙실(20)에서 제조된 얼음이 냉장실 도어(12)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아이스 슈트(7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물꼭지는 상기 아이스 슈트(71)의 전방에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receptacle R connected to the ice maker control substrate and a holder 50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tap 441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ice maker are plac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case 121. In addition, the holder 50 is fixed to the upper panel 126, and a separate surface such as a vacuum insulation panel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1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of the ice making chamber 20. Thermal insulation panel 80 may be attached. The insulation panel 80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 case 121 and the holder 50. The dispenser housing 7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1 to b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when the drinking water is taken out and the ice is taken out. In addition, an ice chute 71 may be mounted at an upper end of the dispenser housing 70 to guide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chamber 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2. Then, the tap for taking out drinking water is formed in front of the ice chute 71.

이러한 구조의 냉장고에서, 상기 디스펜서 호스(43)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꼭지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 호스(44)는 상기 디스펜서 호스(43)보다 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 꼭지(441)로 연장된다.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structure, the dispenser hose 43 extends upward and extends toward the faucet, and the ice maker hose 44 extends upwardly than the dispenser hose 43 so that the water tap 441 is provided. Extend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의 부분 사시도이다.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chine room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본체(11) 배면을 따라 급수 호스(41)가 연장된다. 6 and 7,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s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f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세히, 상기 급수 호스(41)는 상기 본체(11)의 배면 상측 모서리 부위로 연장된다. 이는,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미도시)가 상기 냉장실(111)의 상측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 호스(41)는 상기 본체(11)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에 연결되고,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본체(11)의 배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 호스(41)는 상기 본체(11) 내부로 다시 삽입되어, 상기 본체(11)의 단열층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힌지를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아웃 케이스(121) 배면으로 연장된다. In detail,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s to the rear upper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11. This is because a filter (not shown) for purifying the water to be supplied is mount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1. The water supply hose 41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is connected to the filter,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filter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hose 4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 again and extends forward along the heat insulation layer of the main body 11. Then, it extends through the hing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 case 121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

상기 본체(11)의 배면에는 호스 고정체(45)가 부착되고, 상기 호스 고정체(45)는 상기 본체(11) 배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급수 호스(41) 부분과, 상기 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로부터 외부로 관통하는 호스 부분을 감싼다. 상기 호스 고정체(45)에 의하여 상기 급수 호스(41)가 상기 본체(11)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 hose fixing body 45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the hose fixing body 45 is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se 41 extending upward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flows into the filter. And wrap a portion of the hose that penetrates outward from the filter. The water supply hose 41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by the hose fixing body 45.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호스(41)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S)는 상기 본체(11)의 기계실(112)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flow rate sensor S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41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12 of the main body (11).

상세히,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는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60)에 형성된 수도 연결부(6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원과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60) 사이에 급수 펌프가 장착되며, 상기 급수 펌프도 상기 기계실(112) 내부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60)는 급수 밸브(6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62)의 출구 측에는 상기 유량 센서(S)가 장착된다. 그리 고, 상기 유량 센서(S)의 출구측에 상기 급수 호스(41)의 입구단이 연결된다. 상기 유량 센서(S)는 임펠러의 분당 회전수를 감지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미터(flowmeter)일 수 있다. In detail, a hose extending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water connection 61 formed in the water supply valve assembly 60. Here, a feed pump is mounted between the feed source and the feed valve assembly 60, and the feed pump may also be placed inside the machine room 112.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valve assembly 60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62. The flow rate sensor S is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water supply valve 62. And, the inlet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41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flow sensor (S). The flow sensor (S) may be a flowmeter (flow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by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minute of the impell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량 센서(S)에서 유량이 감지되고, 상기 제빙실(20) 내부의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되는 물이 설정량에 도달하거나, 워터 디스펜서로부터 물공급 중단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급수 밸브 어셈블리(60)가 작동한다. 즉, 상기 급수 밸브(62)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급수 펌프의 작동이 중지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low rate is sensed by the flow sensor S,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in the ice making chamber 20 reaches a set amount or a water supply stop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water dispenser The feed valve assembly 60 is operated. 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62 is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is stopp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저장 유닛의 쉴드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물저장 유닛을 구성하는 워터 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water storage unit is separat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를 구성하는 아웃 케이스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out case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계실의 부분 사시도.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 roo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A do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도어의 일측에 장착되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탱크를 포함하고,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and includes a water tank provided at any poin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워터 탱크는 상기 급수 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The water tank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워터 탱크는, The water tank,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급수 유로가 연결되는 입수 포트와,An inlet port formed at one end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water outlet port formed at the other end, 상기 출수 포트는 상기 입수 포트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outlet por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bove the inlet 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수 포트에 연결되는 유로에 제공되며, 다수의 출구가 형성되는 밸브와,A valve provided in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ort and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상기 다수의 출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아이스 메이커 쪽으로 연장되는 아이스 메이커 유로 및An ice maker flow path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extending toward the ice maker; 상기 다수의 출구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워터 디스펜서 쪽으로 연장되 는 디스펜서 유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And a dispens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nd extending toward the water dispens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를 수용하기 위하여 함몰되는 탱크 하우징이 형성되고,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formed with a tank housing which is recessed to receive the water tank, 상기 워터 탱크 및 상기 밸브가 상기 탱크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water tank and the valve are accommodated in the tank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탱크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워터 탱크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tank housing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width of the water tank.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탱크 하우징을 차폐하며,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돌출되는 쉴드와,A shield shielding the tank housing and protruding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on an upper end thereof; 상기 탱크 하우징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리브가 돌출되는 도어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A door basket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tank housing, the door basket protruding at least one locking rib from a lower end thereof; 상기 쉴드와 상기 도어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리브와 상기 걸림 돌기는 서로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locking rib and the locking protrusion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the shield and the door basket are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 개입되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It further comprises a flow rate sensor for intervening at any poin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상기 유량 센서는 플로미터를 포함하는 냉장고.The flow sensor i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low meter.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A doo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급수 유로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탱크를 포함하고,A water tank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provided at a point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상기 워터 탱크는,The water tank,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이 개구되는 탱크 바디와,The tank body is empty inside and one side is opened, 상기 탱커 바디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탱크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And a tank cover shielding an opening of the tanker body.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탱크 바디와 상기 탱크 커버는 융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the tank body and the tank cover are fusion-bonde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가 수용되는 탱크 하우징이 형성되고,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formed with a tank housing for receiving the water tank, 상기 탱크 바디와 탱크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면에 걸리는 한 쌍의 장착 리브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ny one of the tank body and the tank cove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mounting ribs exte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housing.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한 쌍의 장착 리브는, The pair of mounting ribs,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탄성 리브이고,Elastic ribs extending in mutually opposite positions, 상기 워터 탱크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refrigerator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water tank.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워터 탱크가 상기 탱크 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한 쌍의 장착 리브는 상기 탱크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로 휘어져서, 상기 장착 리브의 복원력에 대응하는 크기의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when the water tank is inserted into the tank housing, the pair of mounting ribs are b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tank housing so that a friction forc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mounting ribs is appli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한 쌍의 장착 리브들 각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Hooks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pair of mounting ribs, 상기 탱크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후크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it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housing is fitte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워터 탱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와 연결되는 호스를 잡아주는 호스 서포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se supporter for holding the hos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protrud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KR1020090129258A 2009-12-22 2009-12-22 Refrigerator KR1016394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58A KR101639442B1 (en) 2009-12-22 2009-12-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58A KR101639442B1 (en) 2009-12-22 2009-12-2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69A true KR20110072369A (en) 2011-06-29
KR101639442B1 KR101639442B1 (en) 2016-07-13

Family

ID=4440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58A KR101639442B1 (en) 2009-12-22 2009-12-22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4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1430A (en) * 2014-11-06 2016-08-10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with detachable water tank
CN105841431A (en) * 2014-11-06 2016-08-10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WO2020130564A1 (en) * 2018-12-17 2020-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079157B2 (en) * 2015-05-20 2021-08-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50A (en) * 2004-06-08 2005-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tank mounting structur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650160B1 (en) * 2005-09-01 2006-11-27 (유)부림금속 Aluminum air tank weld part form using in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50A (en) * 2004-06-08 2005-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tank mounting structur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650160B1 (en) * 2005-09-01 2006-11-27 (유)부림금속 Aluminum air tank weld part form using in ca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1430A (en) * 2014-11-06 2016-08-10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with detachable water tank
CN105841431A (en) * 2014-11-06 2016-08-10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US9709321B2 (en) 2014-11-06 2017-07-18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US9752820B2 (en) 2014-11-06 2017-09-05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detachable water tank
US11079157B2 (en) * 2015-05-20 2021-08-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20130564A1 (en) * 2018-12-17 2020-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3227687A (en) * 2018-12-17 2021-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with a door
US11313615B2 (en) 2018-12-17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442B1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869B2 (en)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US20180187964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429927B2 (en) Refrigerator
US8800315B2 (en) Refrigerator
EP2908075B1 (en) Refrigerator
US9310122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of refrigerator
KR101639442B1 (en) Refrigerator
KR102470628B1 (en) Refrigerator
KR100568203B1 (en) Refrigerator
CN214371192U (en) A kind of refrigerator
KR20090020403A (en) Structure of barrier for refrigerator
KR20120126181A (en) Refrigerator mounted with water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