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06A -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7106A KR20220057106A KR1020200141989A KR20200141989A KR20220057106A KR 20220057106 A KR20220057106 A KR 20220057106A KR 1020200141989 A KR1020200141989 A KR 1020200141989A KR 20200141989 A KR20200141989 A KR 20200141989A KR 20220057106 A KR20220057106 A KR 20220057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switch
- pixel
- amplifier
- 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1100424823 Arabidopsis thaliana TDT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28—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digital to analog [D/A] conversion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2—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communicating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화소센싱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화소 센싱에서 사용하는 앰프를 이용하여 프리차지전압을 센싱라인으로 공급함으로서, 화소센싱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센싱라인별 프리차지전압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화소 센싱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소 센싱 회로의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에는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스드라이버가 포함된다.
소스드라이버는 영상데이터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결정하고, 이러한 데이터전압을 화소들로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의 밝기를 제어한다.
한편, 동일한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더라도 화소들의 특성에 따라 각 화소의 밝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에는 구동트랜지스터가 포함되는데, 구동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달라지면 동일한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더라도 화소의 밝기가 달라진다. 소스드라이버가 이러한 화소들의 특성변화를 고려하지 않게 되면 화소들이 원하지 않는 밝기로 구동되고,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소들은 시간에 따라 혹은 주변 환경에 따라 특성이 변한다. 이때, 소스드라이버가 화소들의 변화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게 되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예를 들어, 화면얼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화질 저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표시장치는 화소들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센싱장치는 각 화소와 연결되는 센싱라인을 통해 각 화소에 대한 센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화소센싱장치는 센싱신호를 센싱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컨트롤러로 전송하는데, 타이밍컨트롤러는 이러한 센싱데이터를 통해 각 화소의 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밍컨트롤러는 각 화소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화소의 편차에 따른 화질 저하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화소센싱장치는 센싱라인을 일정 전압으로 충전한 후에 화소로부터 센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전압은 프리차지전압이라고 호칭되기도 한다.
프리차지전압은 하나의 공급라인을 통해 복수의 센싱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급라인의 양단으로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고, 공급라인에서 서로 다른 위치로 복수의 센싱라인이 연결되면서 각각의 센싱라인으로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하나의 공급라인에 복수의 센싱라인이 연결되면서 각각의 센싱라인으로 공급되는 프리차지전압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공급라인에는 라인저항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라인저항에 의해 전압강하가 발생함으로써 각각의 센싱라인으로 공급되는 프리차지전압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각 센싱라인에서의 프리차지전압의 편차는 각 센싱라인의 센싱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센싱편차는 라인딤, 블록딤 등의 화질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화소센싱방식은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하나의 공급라인으로부터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센싱라인이 프리차지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이때, 일 센싱라인의 전류가 공급라인을 통해 다른 일 센싱라인으로 흘러들어가면서 크로스토크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는 센싱보상을 부정확하게 만들고 화질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화소센싱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센싱라인별 프리차지전압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화소센싱장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센싱라인을 통해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를 센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을 상기 센싱라인으로 출력하고,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센싱전압으로 출력하는 앰프; 상기 센싱전압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및 상기 화소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보상하는 장치로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포함하는 화소센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프리차지전압은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상기 센싱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제1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화소센싱장치는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와 상기 센싱라인을 연결하는 제1스위치,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상기 센싱라인을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상기 앰프의 상기 제1입력단자를 연결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앰프의 상기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오픈될 수 있다.
상기 화소센싱장치는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 및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상기 앰프의 상기 제1입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앰프의 상기 제2입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오픈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의 서로 다른 위치로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라인을 통해 동시에 상기 프리차지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은 상기 제1시간에 후속하는 시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화소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및 복수의 센싱라인이 배치되는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구동회로;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에 대응되는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소센싱회로; 및 상기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상처리하는 데이터처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센싱회로는,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을 상기 화소와 연결되는 센싱라인으로 출력하고,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상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로 출력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패널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센싱회로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접점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트랜지스터로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접점노드에 형성되는 전압을 상기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라인별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화소센싱의 정확도를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라인별 프리차지전압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에에 의하면, 화소센싱장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화소에 대한 구조 및 데이터구동회로와 센싱회로에서 화소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센싱회로에서 두 개의 채널이 동시에 화소를 센싱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1예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예시에 따른 연결변경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1시간 상태도이다.
도 8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2시간 상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2예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화소에 대한 구조 및 데이터구동회로와 센싱회로에서 화소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센싱회로에서 두 개의 채널이 동시에 화소를 센싱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1예시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예시에 따른 연결변경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1시간 상태도이다.
도 8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2시간 상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2예시 구성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패널(160) 및 패널(160)을 구동하는 패널구동장치(120, 130, 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60)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 복수의 게이트라인(GL) 및 복수의 센싱라인(SL)이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는 데이터구동회로(120), 센싱회로(130), 게이트구동회로(140), 데이터처리회로(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게이트구동회로(140)는 턴온전압 혹은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온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와 데이터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구동회로(120)는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한다.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된 데이터전압은 스캔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된 화소(P)로 전달되게 된다.
패널구동장치에서, 센싱회로(130)는 각 화소(P)에 형성되는 센싱신호-예를 들어, 전기적 신호로서, 전압, 전류 등-를 수신한다. 센싱회로(130)는 스캔신호에 따라 각 화소(P)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센싱스캔신호에 따라 각 화소(P)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센싱스캔신호는 게이트구동회로(14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패널구동장치에서, 데이터처리회로(150)는 게이트구동회로(140) 및 데이터구동회로(12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회로(15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게이트구동회로(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회로(1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구동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한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회로(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회로(15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회로(120)가 각 화소(P)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회로(150)는 화소(P)의 특성에 따라 영상데이터(RGB)를 보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처리회로(150)는 센싱회로(130)로부터 센싱데이터(SDAT)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데이터(SDAT)에는 화소(P)의 특성에 대한 측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구동회로(120)는 소스드라이버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구동회로(140)는 게이트드라이버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회로(150)는 타이밍컨트롤러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데이터구동회로(120)와 센싱회로(130)는 하나의 집적회로(110)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소스드라이버IC(Integrated Circuit)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고, 화소센싱장치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회로(120), 센싱회로(130) 및 데이터처리회로(150)는 하나의 집적회로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통합IC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이러한 명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소스드라이버, 게이트드라이버, 타이밍컨트롤러 등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부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이러한 일부 구성들이 생략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패널(160)은 유기발광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때, 패널(160)에 배치되는 화소(P)들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에 포함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트랜지스터의 특성은 시간 혹은 주변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130)는 각 화소(P)에 포함된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센싱하여 데이터처리회로(1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각 화소에 대한 구조 및 데이터구동회로와 센싱회로에서 화소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구동트랜지스터(DRT), 스위칭트랜지스터(SWT), 센싱트랜지스터(SENT) 및 스토리지캐패시터(Cst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 유기층 및 캐소드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어에 따라 애노드전극은 구동전압(EVDD)과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기저전압(EVSS)과 연결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구동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는 스위칭트랜지스터(SWT)의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게이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DV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드레인 노드 혹은 소스 노드일 수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SWT)는 데이터라인(DL)과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게이트 라인(GL1)을 통해 스캔신호를 공급받아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트랜지스터(SWT)가 턴온되면 데이터라인(DL)을 통해 데이터구동회로(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전압(Vdata)이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로 전달되게 된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캐패시터일 수도 있고,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외부에 의도적으로 설계한 외부 캐패시터일 수 있다.
센싱트랜지스터(SENT)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센싱라인(SL)을 연결시키고, 센싱라인(SL)은 제1노드(N1)로 프리차지전압(Vpre)을 전달하고 제1노드(N1)의 특성치-예를 들어, 전압 혹은 전류-를 센싱회로(1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회로(130)는 센싱라인(SL)을 통해 전달되는 센싱신호(Is)를 이용하여 화소(P)의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센싱회로(130)는 화소(P)의 특성 측정값에 따라 생성되는 센싱데이터를 데이터처리회로(도 1의 150 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회로(도 1의 150 참조)는 이러한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화소(P)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센싱회로에는 복수의 채널이 배치되고, 복수의 채널은 센싱라인과 각각 연결되면서 동시에 복수의 화소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시 센싱에서 각각의 채널이 연결되는 센싱라인의 프리차지전압(Vpre)에 편차가 발생하거나 센싱라인 사이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면서 화소 센싱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센싱회로에서 두 개의 채널이 동시에 화소를 센싱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싱회로는 하나의 공급라인(VL)을 통해 두 개의 채널(CH[1], CH[2])로 프리차지전압(Vpre)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화소(P)에 대한 센싱이 시작되면, 스위치(SW)가 클로즈(턴온)되고 공급라인(VL)을 통해 프리차지전압(Vpre)이 센싱라인(SL1, SL2)으로 공급될 수 있다.
프리차지전압(Vpre)은 공급라인(VL)의 양단에서 공급되는데, 공급라인(VL)에 라인저항(R)이 있기 때문에, 각 센싱라인(SL1, SL2)으로는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가지는 프리차지전압(Vpre)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차지전압(Vpre)의 편차는 센싱오차를 일으키고 화질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자는 공급라인(VL)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급라인(VL)의 폭이 증가하면 라인저항(R)이 작아지게 되고, 프리차지전압(Vpre)의 편차 문제가 일정 정도 개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도 이러한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급라인(VL)의 폭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면 센싱회로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급라인(VL)의 폭 증가는 일정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프리차지전압(Vpre)의 편차를 개선하는 다른 방법 중 하나로 공급라인(VL)의 양단에 앰프-예를 들어, 버퍼-를 추가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센싱라인(SL1, SL2)은 저항부하라기 보다는 캐패시터부하이다. 그래서, 센싱라인(SL1, SL2)에 형성되는 초기 프리차지전압(Vpre)은 라인저항(R)에 의해 편차를 가질 수 있지만, RC 시정수에 따른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그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이것은 센싱라인(SL1, SL2)이 캐패시터부하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이다. 그런데, 센싱시간이 짧기 때문에 센싱라인(SL1, SL2)이 모두 충전되기 전에 센싱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센싱에서 프리차지전압(Vpre)의 편차가 인식되는 것이다.
공급라인(VL)의 양단에 앰프를 추가하게 되면, 전류 공급 능력이 향상되면서, 센싱라인(SL1, SL2)의 충전시간도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센싱에서의 프리차지전압(Vpre)의 편차도 개선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앰프를 추가해야하는 문제가 있고, 앰프에 의해 센싱회로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성능 개선을 위해 본 실시예에도 이러한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센싱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공급라인(VL)과 각 센싱라인(SL1, SL2)의 사이에 앰프-예를 들어, 버퍼-를 배치하는 것이다. 버퍼가 배치되면, 앰프의 입력단으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프리차지전압의 편차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센싱라인(SL1, SL2)으로 앰프를 배치하면, 센싱라인(SL1, SL2) 사이의 크로스토크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센싱회로에서 센싱라인(SL1, SL2)으로 프리차지전압(Vpre)이 공급될 때-스위치(SW)가 클로즈될 때-, 센싱라인(SL1, SL2)의 전류는 제1경로(PT1)와 같이 흘러야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제2경로(PT2)와 같이 일 센싱라인(SL2)의 전류가 다른 일 센싱라인(SL1)으로 흘러들어가는 크로스토크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각 센싱라인(SL1, SL2)으로 앰프를 배치하면, 앰프에 의해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이러한 크로스토크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각 센싱라인마다 앰프를 추가적으로 배치해야하기 때문에 센싱회로의 크기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는 센싱에서 사용하는 앰프를 이용하여 프리차지전압을 센싱라인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는 추가적으로 앰프를 배치하지 않으면서 각 센싱라인에 앰프를 배치할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싱회로(130)는 아날로그전단부(410, AFE:Analog Front End), 샘플앤홀드부(420, S/H:Sample and Hold),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50,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및 송신부(460, TX:Transmit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전단부(410) 및 샘플앤홀드부(420)는 채널을 구성할 수 있고, 센싱회로(130)는 이러한 채널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전단부(410)는 센싱라인(SL)과 연결되고 센싱라인(SL)을 통해 화소를 센싱할 수 있다. 아날로그전단부(410)는 센싱라인(SL)으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신호(Is)를 처리하여 센싱전압(Vi)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전압(Vi)은 화소로부터 전달되는 전류가 적분된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아날로그전단부(410)는 센싱전압(Vi)을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50)로 전달할 수 있다.
아날로그전단부(410)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50) 사이에는 샘플앤홀드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샘플앤홀드부(420)는 아날로그전단부(410)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50)를 신호적으로 분리시키고, 아날로그전단부(410)에서 출력되는 센싱전압(Vi)을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센싱전압(Vi)을 혹은 센싱전압과 기준전압의 차분(*?*Vi)을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450)로 입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460)는 다수의 채널에서 수집된 디지털데이터(Ao)를 처리하여 센싱데이터(SDAT)를 생성하고, 센싱데이터(SDAT)를 외부장치(예를 들어, 데이터처리회로(15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1예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날로그전단부(410a)는 연결변경회로(510), 앰프(520) 및 부가회로(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앰프(520)는 제1입력단자(T1), 제2입력단자(T2) 및 출력단자(T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입력단자(T2)와 출력단자(T3)가 연결되면서 버퍼로 작동할 수 있다. 앰프(520)는 제1입력단자(T1)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단자(T3)로 공급할 수 있다. 버퍼로 작동할 때, 제1입력단자(T1)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은 출력단자(T3)의 전압과 동일할 수 있지만, 제1입력단자(T1)와 출력단자(T3)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앰프(520)는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Vpre)을 입력받아 센싱라인(SL)으로 출력할 수 있고, 제2시간에서 센싱라인(SL)을 통해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Is)를 입력받아 출력단자(T3)로 출력할 수 있다. 제1시간과 제2시간은 서로 다른 시간이고, 제1시간이 제2시간보다 앞설 수 있다. 제2시간은 제1시간에 후속되는 시간으로, 제1시간 동안 센싱라인(SL)이 프리차지전압(Vpre)으로 충전된 후, 제2시간에서 화소가 센싱될 수 있다. 센싱라인(SL)에는 기생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앰프(520)를 이용하면 이러한 기생정전용량을 충전시킬 수 있다.
앰프(520)의 이러한 작동을 지원하기 위해, 연결변경회로(510)는 회로의 연결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변경회로(510)는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Vpre)을 제1입력단자(T1)로 연결시키고 센싱라인(SL)을 제2입력단자(T2)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시간에서, 연결변경회로(510)는 프리차지전압(Vpre)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센싱라인(SL)을 제2입력단자(T2)가 아닌 제1입력단자(T1)로 변경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아날로그전단부(410a)는 하나의 앰프(520)를 이용하여 프리차지전압(Vpre)을 센싱라인(SL)으로 공급할 수 있고, 센싱라인(SL)으로부터 센싱신호(Is)를 수신할 수 있다.
부가회로(530)는 아날로그신호인 센싱신호(Is)를 후처리하는 회로로서, 부가회로(530)에는 버퍼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적분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1예시에 따른 연결변경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변경회로(510)는 3개의 스위치(SW1, SW2, SW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SW1)는 앰프(520)의 제1입력단자(T1)와 센싱라인(SL)에 대한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스위치(SW2)는 앰프(520)의 제2입력단자(T2)와 센싱라인(SL)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는 프리차지전압(Vpre)의 공급라인과 앰프(520)의 제1입력단자(T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는 스위치신호(Spre)에 따라 오픈(턴오프)되었다가 클로즈(턴온)될 수 있고, 제1스위치(SW1)는 스위치신호(Spre)의 반전신호에 따라 오픈(턴오프)되었다가 클로즈(턴온)될 수 있다.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와 제1스위치(SW1)는 서로 반대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1시간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시간에서 제1스위치(SW1)가 오픈되고,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가 클로즈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따라, 프리차지전압(Vpre)이 제1입력단자(T1)로 입력되고, 앰프(520)에 의해 증폭된 프리차지전압(Vpre)이 출력단자(T3), 제2입력단자(T2) 및 제2스위치(SW2)를 거쳐 센싱라인(SL)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제1예시에 따른 스위치들의 제2시간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시간에서 제1스위치(SW1)가 클로즈되고,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가 오픈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따라, 프리차지전압(Vpre)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라인(SL)에 형성되는 센싱신호(Is)가 제1스위치(SW1)를 통해 앰프(520)의 제1입력단자(T1)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앰프(520)에 의해 증폭된 센싱신호(Is)가 앰프(520)의 출력단자(T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전단부의 제2예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아날로그전단부(410b)는 3개의 스위치(SW1, SW2, SW3), 앰프(520) 및 부가회로(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앰프(520)는 제1입력단자(T1), 제2입력단자(T2) 및 출력단자(T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SW1)는 앰프(520)의 제1입력단자(T1)와 출력단자(T3)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스위치(SW2)는 앰프(520)의 제2입력단자(T2)와 출력단자(T3)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는 프리차지전압(Vpre)의 공급라인과 제1입력단자(T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앰프(520)는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Vpre)을 입력받아 센싱라인(SL)으로 출력할 수 있고, 제2시간에서 센싱라인(SL)을 통해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Is)를 입력받아 출력단자(T3)로 출력할 수 있다. 제1시간과 제2시간은 서로 다른 시간이고, 제1시간이 제2시간보다 앞설 수 있다.
제1시간에서 제1스위치(SW1)가 오픈되고,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가 클로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입력단자(T1)로 프리차지전압(Vpre)이 입력되고, 앰프(520)에서 증폭된 프리차지전압(Vpre)이 출력단자(T3), 제2스위치(SW2) 및 제2입력단자(T2)를 거쳐 센싱라인(SL)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에서 제1스위치(SW1)가 클로즈되고, 제2스위치(SW2) 및 제3스위치(SW3)가 오픈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따라, 프리차지전압(Vpre)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라인(SL)에 형성되는 센싱신호(Is)가 앰프(520)의 제2입력단자(T2)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앰프(520)에 의해 증폭된 센싱신호(Is)가 앰프(520)의 출력단자(T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라인별 편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화소센싱의 정확도를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라인별 프리차지전압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센싱라인 사이의 크로스토크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에에 의하면, 화소센싱장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 센싱라인을 통해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를 센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을 상기 센싱라인으로 출력하고,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센싱전압으로 출력하는 앰프;
상기 센싱전압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및
상기 화소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보상하는 장치로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회로
를 포함하는 화소센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프리차지전압은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상기 센싱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제1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가 연결되는 화소센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와 상기 센싱라인을 연결하는 제1스위치,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상기 센싱라인을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상기 앰프의 상기 제1입력단자를 연결하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앰프의 상기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화소센싱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오픈되는 화소센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의 제1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1스위치, 상기 앰프의 제2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 및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과 상기 앰프의 상기 제1입력단자를 연결시키는 제3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앰프의 상기 제2입력단자와 연결되는 화소센싱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시간에서 상기 제1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가 오픈되는 화소센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프리차지전압이 공급되는 라인의 서로 다른 위치로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센싱라인이 상기 라인을 통해 동시에 상기 프리차지전압을 공급받는 화소센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간은 상기 제1시간에 후속하는 화소센싱장치. -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화소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및 복수의 센싱라인이 배치되는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공급하는 데이터구동회로;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센싱신호에 대응되는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소센싱회로; 및
상기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상처리하는 데이터처리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센싱회로는,
제1시간에서 프리차지전압을 상기 화소와 연결되는 센싱라인으로 출력하고, 제2시간에서 상기 센싱라인을 통해 상기 화소에 형성되는 상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로 출력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패널구동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패널구동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센싱회로는,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구동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접점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트랜지스터로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 혹은 상기 접점노드에 형성되는 전압을 상기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는 패널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989A KR20220057106A (ko) | 2020-10-29 | 2020-10-29 |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US17/504,241 US11636806B2 (en) | 2020-10-29 | 2021-10-18 | Pixel sensing device and panel driving device for sensing characteristics of pixels |
TW110139459A TW202232463A (zh) | 2020-10-29 | 2021-10-25 | 用於感測像素的特性的像素感測裝置和面板驅動裝置 |
CN202111238305.2A CN114429751A (zh) | 2020-10-29 | 2021-10-25 | 用于感测像素的特性的像素感测装置和面板驱动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989A KR20220057106A (ko) | 2020-10-29 | 2020-10-29 |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106A true KR20220057106A (ko) | 2022-05-09 |
Family
ID=8131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1989A KR20220057106A (ko) | 2020-10-29 | 2020-10-29 |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636806B2 (ko) |
KR (1) | KR20220057106A (ko) |
CN (1) | CN114429751A (ko) |
TW (1) | TW202232463A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0417B1 (ko) | 2009-11-24 | 2015-10-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1675395B1 (ko) | 2010-07-16 | 2016-11-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1929790B1 (ko) | 2011-10-04 | 2018-12-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트랜지스터 특성 측정방법 |
KR102168879B1 (ko) * | 2014-07-10 | 2020-10-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AU2015349619A1 (en) | 2014-11-21 | 2017-03-16 |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 Light-emitting sub-pixel circuit for a display panel, drive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unit using the same |
CN105895020B (zh) * | 2016-06-02 | 2019-07-02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装置驱动系统及oled显示装置驱动方法 |
KR102614069B1 (ko) | 2016-08-31 | 2023-12-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센싱 회로, 센싱 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센싱 방법 |
KR102618601B1 (ko) * | 2018-11-29 | 2023-12-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픽셀 센싱 장치와 그를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픽셀 센싱 방법 |
-
2020
- 2020-10-29 KR KR1020200141989A patent/KR20220057106A/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0-18 US US17/504,241 patent/US11636806B2/en active Active
- 2021-10-25 TW TW110139459A patent/TW202232463A/zh unknown
- 2021-10-25 CN CN202111238305.2A patent/CN114429751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232463A (zh) | 2022-08-16 |
US20220139320A1 (en) | 2022-05-05 |
CN114429751A (zh) | 2022-05-03 |
US11636806B2 (en) | 2023-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05412A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1282456B2 (en) | Pixel sensing device and panel driving device for sensing characteristics of pixels | |
US10957251B2 (en) | Pixel sensing device and panel driving device | |
JPH06224710A (ja) | 差動比較器回路 | |
KR102654418B1 (ko) | 각 집적회로의 편차를 조정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
US20230377521A1 (en) |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 |
KR20180078701A (ko) |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180078700A (ko) | 문턱 전압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11990099B2 (en) |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riving device | |
US11508315B2 (en) | Pixel sensing circuit and pixel sensing method | |
US11361716B2 (en) | Pixel sensing circuit and panel driving device | |
KR20220057106A (ko) | 화소의 특성을 센싱하는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
US12062324B2 (en) | Current supply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2131704B2 (en) | Precharge circuit and source driver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04366A (ko) | 소스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센싱장치 | |
US11948487B2 (en) | Current supply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83637A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를 구동하는 집적 회로, 및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 |
KR20180076467A (ko) |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
US11475851B2 (en) | Pixel sensing apparatus and panel driving apparatus | |
US12136370B2 (en) | Pixel sensing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 |
US11830399B2 (en) | Multi-channel voltage sensing circuit for pixel compensation | |
KR20220068364A (ko) | 화소센싱장치 및 패널구동장치 | |
CN113327549A (zh) | 源极驱动器及包括其的显示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