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831A -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 Google Patents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831A
KR20220056831A KR1020220032082A KR20220032082A KR20220056831A KR 20220056831 A KR20220056831 A KR 20220056831A KR 1020220032082 A KR1020220032082 A KR 1020220032082A KR 20220032082 A KR20220032082 A KR 20220032082A KR 20220056831 A KR20220056831 A KR 2022005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coupled
pip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038B1 (ko
Inventor
문형순
황경환
강필식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스틸
Priority to KR102022003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0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선 위빙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CARRIAGE STRUCTURE THAT CAN ADJUST FOR DIAGONAL WEAVING PATTERNS}
본 발명은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선 위빙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수도용 강관의 경우 수동 용접에 의한 제작을 기본으로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기량에 따라 용접 품질이 달라지거나, 용접 변수의 체계적인 제어 및 관리 부실로 인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에는 용접 토치와 스윙 및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변환 헤드부, 용접 캐리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선 위빙이 불가능했다. 이에 사선 위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모터 축을 사용해 사선 위빙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는 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전체 시스템의 크기 또한 증가하며, 별도 모터축이 필요함에 따라 사선 위빙 축의 구조 강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사선 위빙 기능이 없거나 사선 위빙을 위해 별도의 2축 구동부가 추가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전성,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가가 매우 어려웠다. 또한 추가 구동부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현장 작업자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사선 위빙 구조가 외부 환경에 의해 변형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008-0093673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선 위빙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몸체를 이루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홀; 및 상기 홀더홀에 삽입된 상기 용접기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홀더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본체가 결합되는 홀더프레임; 및 상기 홀더프레임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더프레임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프레임홀은 복수의 행과 열을 갖는 배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직모터; 상기 수직모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수직풀리; 상기 제1 수직풀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수직풀리; 상기 제1 수직풀리 및 상기 제2 수직풀리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수직벨트; 상기 제2 수직풀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직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체는, 내측면에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수직결합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모터; 상기 수평모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수평풀리; 상기 제1 수평풀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수평풀리; 상기 제1 수평풀리 및 상기 제2 수평풀리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수평벨트; 상기 제2 수평풀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평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평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체는, 내측면에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평결합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평이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가 안착되는 회전결합체; 상기 회전결합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몸체를 이루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는 중앙몸체; 및 상기 중앙몸체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풋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앙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핸들프레임; 및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주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체; 상기 회전동력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동력체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수직한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베벨샤프트; 및 상기 베벨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벨트부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롤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가 상기 벨트부를 따라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기가 기설정된 용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원주이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고, 형성하고자 하는 사선 위빙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더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결합된 용접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자동화된 수도용 강관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품질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도용 강관뿐만 아니라 파이프 원주 용접에 전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내구성 및 강건성이 뛰어나고 별도의 부가 2축이 필요없는 사선 위빙 구조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 및 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하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위치에 따른 제1 패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위치에 따른 제2 패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 및 회전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하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100)는 홀더부(110), 수직이동부(120), 수평이동부(130), 회전부(140), 본체부(150), 벨트부(160), 원주이동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110)는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홀더본체(111) 홀더홀(112), 홀더레버(113) 및 홀더프레임(114)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본체(111)는 상기 홀더부(110)몸체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홀(112)은 상기 홀더본체(111)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레버(113)는 상기 홀더홀(112)에 삽입된 상기 용접기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프레임(114)은 상기 홀더본체(111)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프레임홀(115)은 상기 홀더프레임(114)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프레임홀(115)은 복수의 행과 열을 갖는 배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111)는 상기 홀더프레임홀(115)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프레임(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본체(111)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홀더프레임홀(11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프레임홀(115)이 복수의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홀더본체(111)는 기설정된 사선 위빙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울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홀더프레임홀(115)들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부(120)는 상기 홀더부(110)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모터(121), 제1 수직풀리(122), 제2 수직풀리(123), 수직벨트(124), 수직프레임(125) 및 수직결합체(126)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모터(121)는 상기 제1 수직풀리(122)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풀리(122)는 상기 수직모터(1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풀리(122)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수직풀리(123)는 상기 제1 수직풀리(12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벨트(124)는 상기 제1 수직풀리(122) 및 상기 제2 수직풀리(123)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수직벨트(124)는 상기 제1 수직풀리(122)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수직풀리(123)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25)은 상기 제2 수직풀리(123)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결합체(126)는 일단이 상기 홀더부(110)의 상기 홀더프레임(114)과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직프레임(125)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체(126)는 내측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25)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체(126)는 상기 수직프레임(125)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5)이 상기 수직결합체(12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수직프레임(125)이 상기 수직결합체(126)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110)에 결합된 용접기의 상기 파이프에 대한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부(130)는 상기 홀더부(110)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수평모터(131), 제1 수평풀리(132), 제2 수평풀리(133), 수평벨트(134), 수평프레임(135) 및 수평결합체(136)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모터(131)는 상기 제1 수평풀리(132)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풀리(132)는 상기 수평모터(1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풀리(132)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수평풀리(133)는 상기 제1 수평풀리(13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벨트(134)는 상기 제1 수평풀리(132) 및 상기 제2 수평풀리(133)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수평벨트(134)는 상기 제1 수평풀리(132)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수평풀리(133)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35)은 상기 제2 수평풀리(133)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결합체(136)는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120)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평프레임(135)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체(136)는 내측면에 상기 수평프레임(135)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체(136)는 상기 수평프레임(135)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135)이 상기 수평결합체(13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수평프레임(135)이 상기 수평결합체(136)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110)에 결합된 용접기의 수평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수평이동부(130)는 상기 홀더부(110)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상기 용접기가 파이프에 대한 사선 위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위치에 따른 제1 패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의 회전부의 위치에 따른 제2 패턴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140)는 상기 수평이동부(130)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13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50)는 회전프레임(141), 회전결합체(142), 스핀들(143) 및 고정레버(14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프레임(141)은 상기 수평이동부(13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5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체(142)는 상기 회전프레임(141) 상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130)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143)은 상기 회전결합체(142)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13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143)은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의 일측 하부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스핀들(1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이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은 상기 스핀들(143)과 연결된 부분이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은 상기 벨트부(160)와 수직한 방향을 중심선으로 하였을 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각각 최대 45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최대 90도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버(144)는 상기 회전프레임(14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핀들(143)의 회전을 고정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레버(144)는 상기 스핀들(143)이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을 기설정된 각도를 갖는 위치에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회전부(140)는 도 5와 같이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2) 사이의 이음부에 필렛 용접을 수행할 때,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패턴(10)을 갖게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40)는 도 6과 같이, 상기 수평이동유닛(13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패턴(20)을 갖게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회전부(140)에 의해 필렛 용접의 사선 패턴의 형성 방향이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50)는 상부에 상기 회전부(1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몸체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50)는 중앙몸체(151), 풋몸체(152), 핸들프레임(153) 및 핸들(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몸체(151)는 상기 본체부(150)의 몸체를 이루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1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풋몸체(152)는 상기 중앙몸체(151)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몸체(151)가 상기 벨트부(16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핸들프레임(153)은 상기 중앙몸체(151)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154)은 상기 핸들프레임(153)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150)에 결합된 구성들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54)은 상기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100)의 위치를 수동으로 제어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60)는 상기 본체부(150)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부(160)는 상기 중앙몸체(151)의 하부 및 상기 풋몸체(152) 사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중앙몸체(151)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 파이프(2)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주이동부(170)는 상기 벨트부(160)를 따라 상기 본체부(150)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주이동부(170)는 회전동력체(171), 제1 베벨기어(172), 제2 베벨기어(173), 베벨샤프트(174) 및 롤러(17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동력체(171)는 상기 제1 베벨기어(172)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벨트부(16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동력체(171)는 상기 중앙몸체(15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벨기어(172)는 상기 회전동력체(17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동력체(171)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벨기어(172)는 상기 회전동력체(171)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벨기어(173)는 각각의 상기 제1 베벨기어(171)와 수직한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벨샤프트(174)는 각 상기 제2 베벨기어(173)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벨샤프트(174)는 상기 벨트부(160)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175)는 상기 베벨샤프트(17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175)는 상기 벨트부(160)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롤러(175)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50)가 상기 벨트부(160)를 따라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본체부(150)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용접기가 기설정된 용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120), 상기 수평이동부(130) 및 상기 원주이동부(17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형성하고자 하는 사선 위빙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회전부(140)가 일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를 0도로하고, 타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를 90도로 하였을 때, 입력받은 형성하고자 하는 사선 패턴의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140)가 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평이동부(130)의 수평 이동 속도를 제어하여 파이프에 대한 사선 위빙을 수행할 때, 용접이 잘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100)는 자동화된 수도용 강관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품질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도용 강관뿐만 아니라 파이프 원주 용접에 전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내구성 및 강건성이 뛰어나고 별도의 부가 2축이 필요없이 사선 위빙 패턴의 변화가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 파이프 2: 제2 파이프
10: 제1 패턴 20: 제2 패턴
100: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110: 홀더부 111: 홀더본체
112: 홀더홀 113: 홀더레버
114: 홀더프레임 115: 홀더프레임홀
120: 수직이동부 121: 수직모터
122: 제1 수직풀리 123: 제2 수직풀리
124: 수직벨트 125: 수직프레임
126: 수직결합체 130: 수평이동부
131: 수평모터 132: 제1 수평풀리
133: 제2 수평풀리 134: 수평벨트
135: 수평프레임 136: 수평결합체
140: 회전부 141: 회전프레임
142: 회전결합체 143: 스핀들
144: 고정레버 150: 본체부
151: 중앙몸체 152: 풋몸체
153: 핸들프레임 154: 핸들
160: 벨트부 170: 원주이동부
171: 회전동력체 172: 제1 베벨기어
173: 제2 베벨기어 174: 베벨샤프트
175: 롤러 180: 제어부

Claims (12)

  1.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몸체를 이루며,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는 중앙몸체; 및
    상기 중앙몸체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풋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몸체를 이루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용접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홀; 및
    상기 홀더홀에 삽입된 상기 용접기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홀더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3.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직모터;
    상기 수직모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수직풀리;
    상기 제1 수직풀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수직풀리;
    상기 제1 수직풀리 및 상기 제2 수직풀리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수직벨트;
    상기 제2 수직풀리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홀더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직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체는,
    내측면에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수직결합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5.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수평모터;
    상기 수평모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수평풀리;
    상기 제1 수평풀리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수평풀리;
    상기 제1 수평풀리 및 상기 제2 수평풀리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수평벨트;
    상기 제2 수평풀리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평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직이동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수평프레임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평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체는,
    내측면에 상기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평결합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7.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수평이동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 상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가 안착되는 회전결합체;
    상기 회전결합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핀들;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앙몸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핸들프레임; 및
    상기 핸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9.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주이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동력체;
    상기 회전동력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동력체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수직한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베벨샤프트; 및
    상기 베벨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벨트부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롤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가 상기 벨트부를 따라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11. 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가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상기 파이프의 접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수직이동부;
    상기 홀더부가 용접 부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수평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의 일단부가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부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회전부;
    상부에 상기 회전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마련되며,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를 상기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원주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기가 기설정된 용접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이동부, 상기 수평이동부 및 상기 원주이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고,
    형성하고자 하는 사선 위빙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더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12. 제 1항에 따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에 결합된 용접기.
KR1020220032082A 2020-10-27 2022-03-15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KR10251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82A KR102517038B1 (ko) 2020-10-27 2022-03-15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930A KR102379792B1 (ko) 2020-10-27 2020-10-27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KR1020220032082A KR102517038B1 (ko) 2020-10-27 2022-03-15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30A Division KR102379792B1 (ko) 2020-10-27 2020-10-27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831A true KR20220056831A (ko) 2022-05-06
KR102517038B1 KR102517038B1 (ko) 2023-04-04

Family

ID=809479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30A KR102379792B1 (ko) 2020-10-27 2020-10-27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KR1020220032082A KR102517038B1 (ko) 2020-10-27 2022-03-15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30A KR102379792B1 (ko) 2020-10-27 2020-10-27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9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7988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태성스틸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42B2 (ja) * 1990-11-30 1995-02-15 日本鋼管株式会社 パイプの片面溶接装置
KR20080093673A (ko) 2007-04-18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용접이 가능한 자동 다층 용접 장치
KR101244179B1 (ko) * 2012-07-23 2013-03-25 (주)지이씨 다축 구동 토치를 구비한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KR101698340B1 (ko) * 2015-11-02 2017-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토치각도조절이 용이한 파이프 접합용 오비탈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41B1 (ko) * 2012-07-24 2012-08-22 주식회사 청우이엔지 무레일 강관 자동용접장치
KR20140016788A (ko) * 2012-07-30 2014-0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42B2 (ja) * 1990-11-30 1995-02-15 日本鋼管株式会社 パイプの片面溶接装置
KR20080093673A (ko) 2007-04-18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용접이 가능한 자동 다층 용접 장치
KR101244179B1 (ko) * 2012-07-23 2013-03-25 (주)지이씨 다축 구동 토치를 구비한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KR101698340B1 (ko) * 2015-11-02 2017-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토치각도조절이 용이한 파이프 접합용 오비탈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792B1 (ko) 2022-03-30
KR102517038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3909B2 (en) External pipe welding apparatus
KR20060080951A (ko) 러그 용접 장치
CN112372108B (zh) 一种自动焊机的相贯线角焊缝堆焊实现机构
KR20220056831A (ko) 사선 위빙 패턴 조절이 가능한 캐리지
KR20150144513A (ko) 파이프 맞대기 용접 및 플랜지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 장치
KR20160004086A (ko) 맞대기 용접 및 플랜지 용접이 가능한 자동 용접시스템
KR102144761B1 (ko) 용접용 터닝 롤러 장치
KR101218790B1 (ko) 배관 자동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KR101996873B1 (ko) 자동 붐 용접 장치 및 방법
JPH0310431B2 (ko)
KR101056877B1 (ko) 3차원 곡면 자동 용접용 대전류 미그 용접 장치
KR101284061B1 (ko) 곡면부 자동용접장치
KR101028386B1 (ko) 회전식 용접장치
KR101799324B1 (ko) 곡선 및 직선 주행이 가능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
KR101429604B1 (ko) 구면용접장치
JPH0825088A (ja) 溶接ロボット用ポジショナ傾動装置
KR20090059634A (ko) 소형 노즐의 내표면 클래딩 장치, 그것을 이용한 내표면클래딩 방법 및 소형 노즐의 접합 구조
KR20220132075A (ko) 위빙 모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04626A (ko) 수직 및 수평 자동용접장치와 수평 자동용접장치
KR100520784B1 (ko) 선박의 원형판 자동용접장치
CN104827232A (zh) 一种焊接回转台、及氩弧焊系统
CN112372121B (zh) 一种自动焊机的相贯线法线跟踪实现机构
KR101572145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자동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CN214134409U (zh) 自动焊机的相贯线法线跟踪实现机构
KR20100069744A (ko) 파이프 내면 맞대기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