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741A - 식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741A
KR20220056741A KR1020200141595A KR20200141595A KR20220056741A KR 20220056741 A KR20220056741 A KR 20220056741A KR 1020200141595 A KR1020200141595 A KR 1020200141595A KR 20200141595 A KR20200141595 A KR 20200141595A KR 20220056741 A KR20220056741 A KR 2022005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plant cultivation
cultivation apparatu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977B1 (ko
Inventor
이봉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977B1/ko
Priority to EP21886860.2A priority patent/EP4238409A1/en
Priority to PCT/KR2021/015339 priority patent/WO2022092866A1/ko
Priority to US18/034,532 priority patent/US20230380352A1/en
Publication of KR2022005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배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재배를 위한 식물이 안착되는 재배 선반; 상기 재배 선반에 급수된 물을 배수하도록 개구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개폐하는 로드; 및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근래에는 빛, 온도 조절 및 수분 조절이 가능한 재배 공간과, 상기 재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가정의 실내에서 식물을 직접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54251호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씨앗이 포함된 캡슐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구비되고, 광원 모듈과, 배양액 모듈 및 공기 조화 모듈에 의해 각각 빛과, 수분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캡슐에 배치된 식물에 물 공급을 위해서 트레이 내부에는 배양액 분사 유닛이 구비되어 캡슐에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기술에서는 빈번한 분사 유닛의 배양액 공급으로 트레이 바닥에는 배양액이 잔존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트레이 내부의 배양액의 효과적인 배수 작업이 수반되지 않아 트레이에서 곰팡이 또는 녹조가 발생되어 재배 공간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배 선반에 효과적인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 선반의 배수 성능이 개선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 선반에서의 효과적인 배수를 통해 재배 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재배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재배를 위한 식물이 안착되는 재배 선반; 상기 재배 선반에 급수된 물을 배수하도록 개구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개폐하는 로드; 및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하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피니언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 일면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접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측면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은, 일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이 관통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홈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고,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장착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은,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는 일면에,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드는, 랙 기어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디부 하면의 크기는, 상기 누름부 하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바디부는, 일면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재배 선반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재배 공간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재배 선반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패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급수 완료 후,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상기 재배 선반의 물을 배수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에는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제외하고는 재배 선반 내부 물을 비울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곰팡이 또는 녹조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일면에는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드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가 상기 케이스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의 설정된 이동 방향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을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하는 브라켓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라켓과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 및 피니언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보다 더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일면에는 일부가 절개된 측면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절개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브라켓 및 피니언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와 결합할 때 작업 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로드가 인출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로드는 상기 케이스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장치는 상기 피니언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피니언이 관통되는 관통홈과,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장착홀 및 구동모터와 스크류 체결되는 모터 고정홀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에 의해 상기 피니언 및 구동 모터가 보다 더 견고하게 케이스 내측에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캐비닛 내부의 급수 모듈 배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캐비닛 내부의 배수 모듈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재배 선반과 급수 및 배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재배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재배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재배 선반의 일 구성인 선반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폐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와, 개폐부재 및 재배 선반의 배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결합 구조를 일 방향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결합 구조를 타 방향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구동장치의 케이스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구동장치의 모터 및 로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XVII- XVII'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 전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별도의 방향에 대한 정의가 있지 않는 한, 도 1에서 보이는 도어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의 전면을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식물 재배 장치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상기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상기 이너 케이스(12)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재배 공간(10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는 상기 재배 공간(100)을 개폐하는 도어(1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3) 전면에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132a)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하방에는 기계실(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의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22)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그릴부(221)가 형성되어 기계실(20) 내부의 냉각 및 방열을 위한 공기가 전방으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재배 선반(40)이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40)은 상부 재배 선반(40a)과 하부 재배 선반(40b)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4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40)은 상기 시드 패키지(30)가 다수개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재배 선반(40)의 상면에는 상기 시드 패키지(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다수의 안착부(4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420)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드 패키지(30)를 안착시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선반(40)에는 워터 탱크(70)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40)에 공급되는 물은 다수의 안착부(420) 중 상기 시드 패키지(30)가 배치된 안착부(420)로 선별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100)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 공간(100)은 냉동 사이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배 공간(100)의 후벽면에는 증발기(243)가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송풍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공간(100) 일측 벽면에는 히터(18)가 구비되어, 상기 재배 공간(100)의 전체가 고르게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30)의 상방에는 라이팅 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40)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라이팅 장치(40)는 상부 라이팅 장치(40a)와, 하방의 공간에 구비되는 하부 라이팅 장치(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바닥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70)는 상기 재배 선반(30)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재배 선반(30)에서 회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70)는 하부 재배 선반(40b)의 하방에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70)에 의해 가려지는 후방의 공간에는 펌프 커버(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81)의 내부에는 상기 재배 선반으로 상기 워터 탱크(70)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83)와 상기 워터 탱크(70)와 펌프(83)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탱크(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3)는 일례로,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에 물을 공급하는 상부 펌프(83a)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에 물을 공급하는 하부 펌프(8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캐비닛 내부의 급수 모듈 배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캐비닛 내부의 배수 모듈 배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0)은 이너 케이스(12)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2)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121),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2),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123), 후면을 형성하는 백 플레이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1)는 후반부가 더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200) 내부에 상기 압축기(241)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반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121)의 전반부에는 상기 서브 탱크(82)와, 펌프(83)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 커버(8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2)에는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선반 레일(1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30)의 양측면에 구비된 선반 레일(16)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30)은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2) 중 우측의 사이드 플레이트(122)에는 급수관(84)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급수관 안내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 안내부(122a)의 개구된 전면 중 일부를 차폐하는 안내부 커버(122b)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급수관(8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상기 급수관(84)은 상기 상부 펌프(83a)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으로 물을 공급하는 상부 급수관(84a)과, 상기 하부 펌프(83b)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으로 물을 공급하는 하부 급수관(8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물 공급을 위해 배치되는 상기 서브 탱크(82)와 펌프(83) 및 급수관(84)을 포함하여 급수 모듈이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모듈은 상기 펌프 커버(81)의 내측 공간과 상기 재배 공간(100)의 측벽면 상에 제공되어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급수 모듈이 배치되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는 배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는 좌우 측면 중, 상기 급수관(84)이 배치된 일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일측면에는 배수관(89)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89)과 인접하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후면과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배수 트레이(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배 공간(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1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배수관 안내부(12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89)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 배치된 상기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부 재배 선반(30b)에서 배수되는 물이 모두 하나의 상기 배수관(89)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89)은 상기 배수 트레이(85)의 물을 상기 워터 탱크(70)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 트레이(85)와 연결되는 배수 안내관(87)과, 상기 배수 안내관(87)과 상기 워터 탱크(70)를 연결하는 배수 튜브(8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89)은 상기 배수관 안내부(122c)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 트레이(85)와 연결되어 상기 재배 선반(3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펌프 커버(81)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재배 공간(100)의 후벽면에 인접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관(89)의 단부에 연결되는 배수 밸브(881)는, 상기 펌프 커버(81) 내부에 배치되는 배수 튜브(8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밸브(881)는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워터 탱크(70)가 인입될 때 상기 워터 탱크(70)와 연결되어 개방되고, 상기 워터 탱크(70)가 인출되면 상기 워터 탱크(70)와 분리되어 닫히게 된다.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일 구성인 재배 선반과 급수 및 배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재배 선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재배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재배 선반(30)은 복수개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일례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재배 선반(30a)과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재배 선반(3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30)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기 급수 모듈과 배수 모듈은 상기 워터 탱크(7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70)와 상기 재배 선반(30) 사이에서 물이 순환되면서 상기 시드 패키지(90)에 적시 적량의 물과 양분이 적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은 상기 재배 선반(30)을 기준으로 급수부(316)가 형성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83)는 제어를 통해서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하루에 8회 즉, 3시간 간격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1회 급수시 대략 1리터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모듈은 상기 재배 선반(30)을 기준으로 개폐부재(36)가 구비되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모듈은, 배수 트레이(85)와, 배수관(8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배수구(319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6)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구(319a)로부터 배수되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배수구(319a)를 회전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36)의 상방에 구비되는 구동장치(60)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부 재배 선반(30a)의 개폐부재(36)를 개방하기 위한 상부 구동장치(60a)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의 개폐부재(36)를 개방하기 위한 하부 구동장치(6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동장치(60)는 모터 구동에 의해 로드(65)가 상하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폐부재(36)를 눌러서 회전시켜 상기 배수구(319a)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65)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개폐부재(36)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배수구(319a)를 다시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장치(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재배 선반(30)에 급수가 이루어진 후 설정 시간이 지나면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30)에 급수된 물은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배수되어 상기 재배 선반(30)에 물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배수관(89)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상부 재배 선반(30a)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부 배수 트레이(85a)와, 하부 재배 선반(30b)의 하방에 구비되는 하부 배수 트레이(8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상기 재배 선반(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1차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재배 선반(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넘치지 않고, 상기 배수관(89)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 모듈과 배수 모듈은 상기 워터 탱크(70)와 연결되어, 상기 워터 탱크(70)의 물을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상기 워터 탱크(70)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 선반(30)은 복수의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워터 탱크(70)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배 선반(30)은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되는 선반 트레이(32)와,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선반 베이스(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상면에 포개어지는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트레이(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베이스(31) 후면의 상기 급수부(316)와 개폐부재(36) 또한 상기 선반 트레이(3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트레이(32)는 전체적으로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트레이 상면(321)과, 상기 트레이 상면(321)에서 함몰된 안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시드 패키지(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시드 패키지(9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 바닥면(322)의 중앙에는 셔터(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33)는 다수의 상기 안착부(320) 마다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33)는 상기 안착부 바닥면(322)을 관통하는 플레이트 장착구(32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셔터(33)는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선반 베이스(31)에 수용된 물이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셔터는 상기 안착부(320)로의 선택적인 물 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물 공급부재라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반 트레이(32)의 하방에는 상기 선반 베이스(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베이스(31)는 상기 워터 탱크(70)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유동 및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반 트레이(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 트레이(32)의 하면 형상과 대응하는 상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내측에는 상기 셔터(33)가 수용되는 셔터 수용부(315), 상기 셔터 수용부(315)와 급수부(316) 및 배수구(319a)를 연결하는 베이스 유로(317) 및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전면에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인출입을 위한 손잡이(312)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좌우 양측에는 재배 선반(30)의 인출입을 위한 선반 레일(16)과 결합되는 베이스 측면(3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 베이스(31) 후단 일측에는 급수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6)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84)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베이스(31)의 후단 타측에는 배수구(319a) 및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배수구(319a) 및 상기 배수구(319a) 인접 영역을 감싸 차폐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장치(6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부재(36)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재배 선반의 일 구성인 선반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폐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선반 베이스(31) 후단에는 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선반 배수부(3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배수부(319)는 상기 배수 트레이(8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후면 하단이 상기 배수 트레이(85)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후면 하단에는 상기 배수구(319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좌우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개폐부재 회전축(319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 회전축(319b)은 상기 개폐부재(36)의 축 결합부(3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후면에는 상기 개폐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선반 배수부(319)를 후방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배수구(319a)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선반 배수부(319)를 후방에서 감싸는 개폐 바디(361)와, 상기 구동장치(60)에 의해 눌려지는 회전 조작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바디(361)는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후면과 양측면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36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319a)를 포함한 상기 배수구(319a)의 인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바디(361)의 내측면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실링부재(3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63)는 상기 개폐부재(36)와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사이를 기밀시켜 상기 개폐부재(36)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구(319a)를 통해 물이 배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 회전축(319b)에는 상기 탄성부재(36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양측면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364)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 1 고정부(319c)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364)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36)가 상기 배수구(319a)를 차폐하는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바디(361)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 조작부(36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조작부(362)는 상기 구동장치(60)의 로드(65)가 접촉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작부(362)는 상기 로드(65)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부재 회전축(319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 공간(100)의 내측에는 상기 개폐부재(36)의 선택적인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6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와, 개폐부재 및 재배 선반의 배치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결합 구조를 일 방향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결합 구조를 타 방향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개폐부재(36)를 회전시켜, 상기 재배 선반(30)의 배수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재배 공간(100)의 측면과 후면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송풍장치(50)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려지기 때문에, 상기 재배 공간(10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재배 선반(30) 각각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개폐부재(36) 수직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동장치(60)는 상부 재배 선반(30a)의 개폐부재(36)를 개방하기 위한 상부 구동장치(60a)와, 상기 하부 재배 선반(30b)의 개폐부재(36)를 개방하기 위한 하부 구동장치(6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 조작부(362)를 눌러 상기 개폐부재(3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장치(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61)와, 상기 케이스(61)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62),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2)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피니언(63)과, 상기 피니언(63)을 지지하는 브라켓(64) 및 상기 케이스(61)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조작부(362)와 접촉하는 로드(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구동장치의 케이스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61)는, 후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는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62)와 피니언(63) 및 로드(65)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61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는 상기 구동 모터(62)가 장착되는 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측면 절개부(6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절개부(611)는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절개부(611)는 상기 구동 모터(62)를 연결하는 전선을 인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 모터(62)와 피니언(63)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63)과 상기 로드(65)를 결합할 때, 상기 케이스(61) 측면이 차폐된 경우, 구조 간섭으로 각 구성들간의 조립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측면 절개부(611)는, 상기 케이스(61) 내부로 상기 구동 모터(62)와 피니언(63) 및 로드(65) 등을 삽입하여 장착할 때 작업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절개부(611)는 상기 구동장치(60) 조립 시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61)는 일 측면에 상기 로드(6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의 양 측면 중에서, 상기 측면 절개부(61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 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에 상기 로드(65) 일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리브(654)와 대응하는 개수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 내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654)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리브(654)가 상기 로드(65)에서 돌출된 길이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 일 측면에서 외측 방향(상기 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케이스(61) 상단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612) 상면은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로드(65)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61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612)는 상기 로드 삽입부(61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삽입부(613)는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에 장착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 삽입부(613)는 상기 로드(65) 바디부(651)의 상면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삽입부(613)는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61)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 삽입부(613)는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61) 하면에는 상기 로드(65)의 누름부(65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된 관통부(6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614)는 상기 로드 삽입부(613)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614)는 상기 누름부(653)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614)는 상기 로드(65)의 바디부(651) 하면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614)는 상기 로드(6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누름부(653)만, 상기 케이스(61) 하면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65)의 바디부(651)는 상기 관통부(614)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61) 하방으로 관통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누름부(653)가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 조작부(362)를 상방에서 설정된 깊이만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653)의 길이 및 상기 로드(65) 하방 이동길이는 상기 개폐부재(36)가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가 충분히 개방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는 상기 피니언(63)을 지지하는 브라켓(64)이 장착되는 장착부(6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615)는 상기 케이스(61) 전면에서 상기 브라켓(64)과 삽입되는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615)는 상기 로드(65)의 상하 이동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612)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615)는 상기 케이스(61) 전면 내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615)는 상기 케이스(61) 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테두리부(616)와, 상기 브라켓(64)이 장착되는 보스부(618)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테두리부(616)는 양 측면에는 상기 피니언(63)이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라운드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617)는 상기 테두리부(616)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피니언(6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617)는 상기 피니언(63)이 상기 케이스(6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63)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17)는 상기 피니언(63)이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테두리부(616) 일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63)은 상기 브라켓(64)과 상기 장착부(6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부(617)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6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브라켓(64)에 형성된 장착홀(64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케이스(61) 전면 내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테두리부(616)에 의해 형성된 공간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장착부(615)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브라켓(64)과 상기 케이스(61)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스부(618)는 상기 장착홀(642)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수용하는 보스홀(618a)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61) 후면에는 상기 케이스(61)가 상기 이너케이스(6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6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19)는 상기 케이스(61) 후면 일 측단 및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619)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이너케이스(61)와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홀(619a)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동 모터(62)는 상기 케이스(6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62)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61)의 측면 절개부(611)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구동장치의 모터 및 로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2의 XVII- XVII'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2)에는 상기 구동 모터(62)를 상기 브라켓(64)에 고정하기 위한 모터 체결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체결부(621)를 관통하는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구동 모터(62)를 상기 브라켓(64)에 형성된 모터 고정홀(644)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2)는 회전축(622)이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622)에 상기 피니언(6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63)의 단부에는 상기 로드(65)의 랙 기어(652)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6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에는 상기 피니언(63)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4)의 일면은 상기 케이스(61)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61)와 결합되는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63)이 관통 배치되는 관통홈(64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63)은 상기 관통홈(641)을 통과하도록 상기 브라켓(64)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64)은 상기 피니언(63)이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관통홈(641) 상하 방향에는 장착홀(64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642)은 상기 케이스(61) 장착부(615)에 형성된 보스홀(618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642)을 관통하는 스크류는 상기 보스홀(618a)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64)이 상기 케이스(61)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4)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보강부(6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643)는 상기 케이스(61) 내부에 상기 브라켓(64)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61) 내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브라켓(64)이 상기 장착부(6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643)는 상기 케이스(61)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케이스(61)와 상기 브라켓(64)이 보다 더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4)은 상기 구동 모터(62)와 결합되는 일면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62)와 결합되는 모터 고정홀(644)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 고정홀(644)은 상기 구동 모터(62)에 형성된 모터 체결부(619)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브라켓(64)에 상기 구동 모터(6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64)의 구조로, 상기 피니언(63)이 상기 구동 모터(62)의 회전축(622)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홈(641)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4)은 상기 피니언(63)과 상기 구동 모터(6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61)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615)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65)는, 상기 케이스(61)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드(65)는 상기 케이스(61) 상면에 형성된 로드 삽입부(613)와, 상기 케이스(61) 하면에 형성된 관통부(614)를 통과하여, 상기 로드(65)가 케이스(61)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드(65)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61) 내측에 배치되는 바디부(651)와, 상기 바디부(651)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폐부재(36)와 접촉되는 누름부(65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651)는 상기 케이스(61)의 로드 삽입부(613)와 대응하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케이스(61)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651)의 일면에는 랙 기어(652)가 형성된다. 상기 랙 기어(652)는 상기 피니언 기어(631)와 마주보는 상기 바디부(651)의 일측면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랙 기어(652)는,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 기어(631)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62)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63)에 의해 상기 로드(6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651)는 일면에 가이드 리브(65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654)는 상기 바디부(651)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654)는 상기 바디부(651)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612)와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65)가 상기 케이스(6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654)는 상기 가이드부(612)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65)의 장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654)는 상기 로드(6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653)는 상기 바디부(651)의 단면적 보다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653)는 상기 로드(65)의 하방 이동시,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 조작부(362)를 상방에서 누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653)는 상하 길이 및 상기 로드(65)의 하방 이동 스트로크는 상기 개폐부재(36)가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가 충분히 개방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재배 선반(30)을 인출한 후, 재배 선반(30)을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설정된 간격 미만으로 삽입되어 배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로드(65)는 상기 재배 선반(30)이 덜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가 진행되더라도, 상기 개폐부재(36) 회전에 의해 상기 배수구(319a)가 충분히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길이 및 이동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로드(65)는 상기 재배 선반(30)의 배수를 위해 상기 구동장치(60)가 동작되는 경우 설정된 거리만큼 하방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조작부(362)를 눌러 상기 개폐부재(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수구(319a)가 개방되어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배 선반(30)의 배수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장치(60)는 동작되지 않으며, 이때 상기 로드(65)는 상기 케이스(61)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하부 로드(65)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61)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로드(6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재배 공간(100) 내부의 구성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60) 및 개폐부재(36)의 동작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 전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재배 선반(30)에는 상기 펌프(83) 구동에 의해 상기 워터 탱크(70) 내부의 물이 상기 급수관(84)을 통해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설정량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30)에 급수가 이루어지는 동안 및 급수 완료 후 배수가 개시되기 전까지 상기 구동장치(60)는 동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6) 또한 상기 배수구(319a)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30)은 물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고, 상기 시드 패키지(90)로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흡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동작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로드(65)의 대부분이 상기 케이스(6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송풍장치(50)에 의해 가려져 상기 구동장치(60) 및 상기 로드(65)는 사실상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36)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36)의 내측면이 상기 선반 배수부(319)를 감싸 수용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363)는 상기 배수구(319a)를 차폐하도록 상기 선반 배수부(319)의 외측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선반(30) 내부에 급수된 물은 정상적인 급수 상황에서는 상기 배수 트레이(85)로 배수되지 않고, 상기 배수 트레이(85)는 비어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으로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재배 선반(30)에 급수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재배 선반(30) 내부의 물은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재배 선반(3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구동장치(60)가 동작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62)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63)이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63)과 결합된 로드(65)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65)는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 조작부(362)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로드(65)의 지속적인 하방 이동시 상기 회전 조작부(362)를 눌러 상기 개폐부재(3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로드(65)는 상기 개폐부재(36)가 회전되어 상기 배수구(319a)가 충분히 개방되도록 회전될 수 있는 높이까지 하강 된다. 상기 로드(65)가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62)는 회전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 로드(65)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회전 조작부(362)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36)는 상기 개폐부재 회전축(319b)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36)는 반시계 방향(도 19에서 볼 때)으로 회전되며, 상기 개폐부재(36)가 설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실링부재(363)는 상기 배수구(319a)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설정 각도는 일례로, 4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9도 이상일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조작부(362)가 상기 로드(65)에 의해 눌려 반시계 방향(도 19에서 볼 때)으로 적어도 6도 이상이 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회전 조작부(362)가 설정 각도 이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배수구(319a)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게되어, 상기 배수구(319a)외의 다른 장소로 물이 누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선반(30)이 사용자의 실수로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가 시작하더라도 상기 회전 조작부(362)가 적어도 9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배수구(319a)를 충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36)가 불완전하게 상기 배수구(319a)를 개방하여, 상기 배수구(319a)외의 장소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수구(319a)가 개방되면, 상기 배수구(319a)를 통해서 상기 재배 선반(30) 내부의 물이 배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트레이(85)의 내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트레이(85) 내부로 낙하된 물은 상기 트레이 바닥면(851)을 따라서 유동되어 상기 트레이 배수부(856)로 향하고, 상기 배수관(89)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 선반(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면, 상기 구동 모터(62)는 역회전하여, 상기 로드(65)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3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시 닫힌 상태가 되어, 상기 재배 선반(30)으로 급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급수와 배수의 과정은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선반(30)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적절한 양의 물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재배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재배를 위한 식물이 안착되는 재배 선반;
    상기 재배 선반에 급수된 물을 배수하도록 개구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재배 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개폐하는 로드; 및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면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피니언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보스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스 내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 일면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접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측면 절개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면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이 관통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관통홈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고,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장착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는 일면에,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와 결합되는 모터 고정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랙 기어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하면의 크기는,
    상기 누름부 하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 식물 재배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면을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재배 선반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재배 공간의 후면에 구비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0200141595A 2020-10-28 2020-10-28 식물 재배 장치 KR10255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95A KR102556977B1 (ko) 2020-10-28 2020-10-28 식물 재배 장치
EP21886860.2A EP4238409A1 (en) 2020-10-28 2021-10-28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CT/KR2021/015339 WO2022092866A1 (ko) 2020-10-28 2021-10-28 식물 재배 장치
US18/034,532 US20230380352A1 (en) 2020-10-28 2021-10-28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95A KR102556977B1 (ko) 2020-10-28 2020-10-28 식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741A true KR20220056741A (ko) 2022-05-06
KR102556977B1 KR102556977B1 (ko) 2023-07-18

Family

ID=8138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95A KR102556977B1 (ko) 2020-10-28 2020-10-28 식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80352A1 (ko)
EP (1) EP4238409A1 (ko)
KR (1) KR102556977B1 (ko)
WO (1) WO20220928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081B1 (ko) * 1997-07-25 2000-01-15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8091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물 재배 장치
KR20180005344A (ko) * 2016-07-06 2018-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WO2018021219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カネカ 検査用デバイス
KR20190057809A (ko) * 2017-11-20 2019-05-29 정영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0285A (ja) * 2010-11-25 2012-06-14 Tsubakimoto Chain Co 植物栽培装置
KR20160095424A (ko) * 2015-02-03 2016-08-11 김윤영 다육식물 재배장치
KR101954251B1 (ko) 2018-08-30 2019-03-05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러스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캡슐,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CN111247997A (zh) * 2020-01-18 2020-06-09 上海恒运建筑设计工程发展有限公司 一种屋顶绿化植物种植培养装置及屋顶绿化施工方法
CN111567279A (zh) * 2020-06-12 2020-08-25 泉州台商投资区秋鑫茶业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幼苗培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081B1 (ko) * 1997-07-25 2000-01-15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8091A (ko) * 2012-02-27 2013-09-04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물 재배 장치
KR20180005344A (ko) * 2016-07-06 2018-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WO2018021219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カネカ 検査用デバイス
KR20190057809A (ko) * 2017-11-20 2019-05-29 정영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0352A1 (en) 2023-11-30
EP4238409A1 (en) 2023-09-06
KR102556977B1 (ko) 2023-07-18
WO2022092866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645B1 (ko) 식물 재배 장치
CN111567390B (zh) 植物栽培装置
CN111567389B (zh) 植物栽培装置
CN115250899B (zh) 植物栽培装置
US2023003342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930424B1 (ko)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KR20230052772A (ko) 식물 재배 장치
EP4190143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2556977B1 (ko) 식물 재배 장치
EP4129049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10047705A (ko) 식물 재배장치
US2022039493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water supply method therefor
CN111567381B (zh) 植物栽培装置
KR10259472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3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20059843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554767B1 (ko) 식물 재배 장치용 씨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589627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30062056A1 (en) Water supply device in cabinet
KR10256577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88276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4A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30380360A1 (en)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30094554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23645A (ko) 식물 재배 장치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