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554A -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554A
KR20230094554A KR1020210183811A KR20210183811A KR20230094554A KR 20230094554 A KR20230094554 A KR 20230094554A KR 1020210183811 A KR1020210183811 A KR 1020210183811A KR 20210183811 A KR20210183811 A KR 20210183811A KR 20230094554 A KR20230094554 A KR 2023009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cover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섭
최규관
김주상
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554A/ko
Publication of KR2023009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식물 재배 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마련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재배용기가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부; 및 상기 공급펌프부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상기 베드로 안내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물통과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상기 물통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덮개가 상기 힌지 결합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까지 개방시켰을 때, 상기 가이드의 단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수직선상 안쪽에 위치되는 길이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장치{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재배장치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광 에너지, 수분, 토양, 온도를 인공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식물재배장치는 내부에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공간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공간에서 식물을 재배 및 보관한다.
또한, 식물재배장치에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 및 양분을 공급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장치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의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제공받지 않고, 식물재배장치로부터 인공적으로 광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식물의 재배단계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수분 또는 양분을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식물재배장치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식물재배장치에서 공급되는 양분, 수분 및 광 에너지를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다.
식물재배장치에서 수분은 저장부에 저장된 공급수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저장부는 물통과 물통을 덮는 덮개를 포함한다. 식물재배장치는 물과 열을 사용하는 장치임에 따라, 공급수가 저장된 저장부에는 결로가 발생한다. 결로에 의해 덮개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은 주변으로 흘러 내려 주변을 오염시킨다. 예컨대, 맺혀있던 물방울은 저장부 주변으로 흘러내려 기계실을 오염시키거나, 저장부를 인출할 때, 충격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통을 덮는 덮개의 저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덮개의 저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충격 등으로 흘러내릴 경우에도 물통 안으로 모일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식물 재배 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마련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재배용기가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부; 및 상기 공급펌프부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상기 베드로 안내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물통과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상기 물통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덮개가 상기 힌지 결합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까지 개방시켰을 때, 상기 가이드의 단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수직선상 안쪽에 위치되는 길이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에서 지면에 대한 상기 덮개의 각도는 90도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통의 둘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에서 인접한 홈 간의 이격 거리는 하나의 홈의 너비보다 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육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저장공간을 덮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실시 예의 식물재배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마련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재배용기가 안착되는 베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부; 및 상기 공급펌프부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상기 베드로 안내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통; 및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저장공간을 덮는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덮개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상기 물통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가이드의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에서 인접한 홈 간의 이격 거리는 하나의 홈의 너비보다 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육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물통을 덮는 덮개의 저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덮개의 저면에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충격 등으로 흘러내릴 경우에도 물통 안으로 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베드와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베드에 재배용기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급수부의 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재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재배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저장부를 캐비닛에서 인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저장부의 덮개를 개방하여 물통의 저장공간을 드러낸 모습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덮개를 개방할 때, 덮개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의 이동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에서 도어(2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S1)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재배공간(S1)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통상적으로 쌈 또는 샐러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종류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재배공간(S1)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꽃을 피우는 화훼류일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재배공간(S1)이 형성된다. 캐비닛(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배공간(S1)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면 원기둥, 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일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의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부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고 설명한다.
도어(20)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도어패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부(23)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등 투시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재배공간(S1)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재배공간(S1)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육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어패널부(23)는 색상을 가지거나 유색의 코팅, 금속 증착 또는 필름이 부착될 수 있고, 외부에서 재배공간(S1)이 육안으로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도어(20)의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부(23)는 도어프레임(22)에 의해 끼워지고, 도어프레임(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캐비닛(10)과 마주하는 도어프레임(22)의 일면에 마련되고, 도어프레임(22)이 형성하는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도어실링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히면, 도어실링부재(24)는 캐비닛(10)과 접촉하고, 재배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도어실링부재(24)는 도어(20)를 닫힐 때 도어(20)가 캐비닛(10)에 가하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어, 식물재배장치(1)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실링부재(24)는 재배공간(S1)과 캐비닛(10) 외부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여, 재배공간(S1)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실링부(24)는 단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캐비닛(10)은 단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배공간(S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도어결합부(21)는 도어프레임(22)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20)와 캐비닛(10)을 결합시킨다. 도어(20)는 도어결합부(21)를 통해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재배공간(S1)은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도어결합부(21)는 도어프레임(22)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 중 일측으로 문이 개폐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어핸들(25)은 도어프레임(22)에 단차져 형성된다. 도어핸들(25)은 도어프레임(2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단에 마련된다. 사용자는 도어핸들(25)을 이용하여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결합부(24)가 상기 도어프레임(22)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마련될 때, 도어핸들(25)은 도어프레임(22)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하부 캐비닛(19)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캐비닛(19)에는 외기를 유입하여 재배공간(S1)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부(81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베드(50)와 배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의 베드(50)에 재배용기(60)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는 베드(50)와,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어 베드(50)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드(50)에는 재배용기(cultivation pot; 60)가 안착될 수 있다. 재배용기(6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재배용기(60)는 베드(5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드(50)에 복수개의 재배용기(60)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재배용기(60)는 각각 다른 종류의 식물을 포함할 수 있어, 재배공간(S1)에서는 각각 다른 종류의 식물이 재배될 수 있다.
재배용기(60)는 베드(50)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베드(50)에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를 열어 재배공간(S1)에 접근하여, 재배용기(60)를 베드(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식물의 성장이 완료되어 수확시기가 되면, 재배용기(60)를 베드(50)에서 분리하여 식물재배장치(1)의 외부에서 재배용기(60)의 식물을 용이하게 수확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재배용기(6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배용기(60)의 긴방향이 캐비닛(10)의 전방에서 후방방향을 향하도록 베드(50)를 형성할 수 있다.
재배용기(6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베드(50)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재배용기(60)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1방향(x방향), 상기 재배용기(6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방향을 제2방향(y방향)으로 정의한다.
베드(5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캐비닛(10)의 내부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인출입 가이드에 재배공간(S1)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출입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급수부(40)는 재배용기(6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40)와, 상기 재배용기(60)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회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40)는 상부 베드(51) 및 하부 베드(51)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드(50)의 일측에는 공급부(41)를 통해 물이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베드집수부(524)가 형성될 수 있다. 베드집수부(524)는 베드 내부에 구비되는 배출유로부(4911, 4913)와 연결되어 베드집수부(524)로 공급된 물은 상기 재배용기(60)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공급유로부(411)는 상부 베드(51) 에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제2공급유로부(412)는 하부 베드(52)에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제1급수유로부(411)는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상부 베드(51)의 베드집수부(524)로 이동되도록,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급수유로부(412)는 저장부(43)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하부 베드(52)의 베드집수부(524)로 이동되도록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될 수 연장될 수 있다.
공급부(41)의 토출홀(413)은 베드집수부(5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공급유로부(411) 및 제2공급유로부(412)에서 공급되는 물이 베드집수부(524)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공급부(4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부(41)는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유로가 변형되거나 꺽이게 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물 공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베드(51)와 하부 베드(52)로 급수되는 구조는 그 상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며, 베드집수부(524)로 공급되는 물은 베드(50)에 장착된 재배용기(6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급수부(40)는 급수케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케이스(42)는 하부 베드(5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급수케이스(42)는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에서 급수부의 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수부(40)는 급수케이스(42), 급수 케이스(42) 내부에 위치되는 구성들, 그리로 이들 구성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케이스(42)의 내부에는 저장부(43),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분기밸브(46), 연결유로(47)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케이스(42)로 인해 상기 저장부(43), 공급펌프부(44), 유량센서(45), 분기밸브(46)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상기 급수부(4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깔끔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급수부(40)는 식물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43)와,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저장부(43)의 물을 공급부(41)로 압송시키는 공급펌프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는 캐비닛(1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43)에 물을 급수하거나 세척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급펌프부(44)는 공급부(41)로 물을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펌프(441)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펌프부(44)는 펌프지지부(443)를 더 포함하여 펌프(441)를 캐비닛(10)에 지지할 수 있다. 저장부(43)에는 식물에 필요한 양액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부(43)의 물은 펌프(441)와 연결되는 제1연결유로(471)를 통해 공급부(41)로 공급될 수 있다.
유량센서(45)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한다. 유량센서(45)는 재배용기(60)로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유량센서(45)를 통한 정량 급수로 재배용기(6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센서(45)는 재배용기(60)에 식물의 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재배용기(60)에 과도하게 수분이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재배용기(6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베드(50) 및 재배공간(S1) 내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분기밸브(46)는 펌프(441)의 구동시 개방되어 공급부(41)를 향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기밸브(46)는 공급부(41)가 베드(5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43)와 펌프(441)는 제1연결유로(4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펌프(441)와 분기밸브(46)는 제2연결유로(47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분기밸브(46)는 제1공급유로부(411)와 연결되는 제3연결유로(475)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기밸브(46)는 제2공급유로부(412)와 연결되는 제4연결유로(477)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유로(473)로부터 공급된 물은 분기밸브(46)에 의해 제3연결유로(475) 및/또는 상기 제4연결유로(477)로 각각 이동된다. 제3연결유로(475)로 공급된 물은 제1공급유로부(411)로 공급된다. 제4연결유로(477)로 공급된 물은 제2공급유로부(412)에 공급된다. 펌프(441)의 작동에 의해 저장부(43)의 물이 분기밸브(46)를 지나 재배용기(60) 및/또는 베드(50)로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49)는 재배용기(60)에서 배출되는 물을 회수하여 저장부(43)로 회수되도록 마련된다. 배출부(49)는 베드(50)의 안착연통홀(512)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을 회수하는 배출유로부(4911, 49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부(4911, 4913)는 저장부(43)와 연결되어 재배용기(60) 내부의 물의 회수한다. 배출연결유로(493)는 배출회수유로(499)와 배출유로부(4911, 4913)를 연결하여 회수되는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배출연결유로(493)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배출유로(4911)와 제2배출유로(4913)는 각각 배출연결유로(49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회수유로(499)는 저장부(43)와 연결된다. 배출회수유로(499)는 배출연결유로(493)로부터 물이 회수되어 저장부(43)에 저장되도록 안내한다. 배출연결유로(493)와 저장부(43)를 연통시키는 배출회수유로(499)는 적어도 일부가 급수케이스(42)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부(43)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49)는 배출연결유로(493)에 연결되어 배출연결유로(493)상의 회수되는 물을 저장부(43)로 압송하는 배출펌프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펌프부(495)의 작동되면, 후술하는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이 배출부(49)로 회수될 수 있다. 배출펌프부(495)의 작동이 멈추면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은 배출부(49)로 회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식물재배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캐비닛(10)은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케이스(130)와, 상기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케이스(130)와 이너케이스(140)의 사이에는 단열재(10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단열재(101)를 통해 캐비닛(10) 내부의 재배공간(S1)과 캐비닛(10)의 외부를 효과적으로 단열할 수 있다.
아우터케이스(13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케이스(130)는 캐비닛(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기계실(12)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2)은 압축기(32), 응축기(3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12)은 재배공간(S1)과 구획된 별도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후면에는 제어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식물재배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압축기(32)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 구비된 압축기 PCB(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재배공간(S1)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체(72)를 포함하는 발광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70)는 베드(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70)는 베드(5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식물에 필요한 빛을 제공 할 수 있다. 발광부(7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은 태양광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발광부(7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은 재배되는 식물에 최적화된 광량과 조사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발광부(70)가 켜지게 되면 재배공간(S1)이 밝아지게 되어 도어패널부(23)을 통해서 내부가 보여질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발광부(7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재배공간(S1)이 어두워지게 되고, 더불어 도어패널(23)이 가지는 색상 또는 광학적 특성에 의해 재배공간(S1)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너케이스(140)는 캐비닛(10)의 내부의 재배공간(S1)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 성능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소재의 이너케이스(140)는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여 재배공간(S1)의 가열 또는 냉각시 재배공간(S1)이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는 발광부(7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70)에서 조사되는 빛은 이너케이스(140)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베드(50)의 전체 영역의 식물에 고르게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빛이 조사되지 않는 음영 지역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 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의 각 면에는 반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 도장 또는 필름 부착이 더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너케이스(140)는 후방면을 형성하는 이너후방플레이트(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후방플레이트(146)의 전면에는 증발기(3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후방플레이트(146)의 배면에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공간(S1)의 후방에서 재배공간(S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증발기(41) 및 히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S1)의 내부는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예컨데 18℃ - 28℃)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히터(미도시)가 아닌 다른 가열을 위한 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핫가스를 통한 가열 구조 또는 냉동사이클의 전환을 통한 가열 구조 등 다양한 가열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상기 재배공간(S1)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재배공간(S1)의 온도가 상기 캐비닛(10)의 외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는 재배공간(S1)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82)을 포함하는 송풍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80)는 증발기(3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0)는 발광부(70)의 하부 및 베드(50)의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0)는 베드(5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송풍팬(82)은 베드(5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0)는 베드(50)에 의해 분할되는 재배공간(S1)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재배공간(S1)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송풍부(80)에 의해 각각의 재배공간(S1)에 독립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재배공간(S1)이 배열된 일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송풍부(80)는 서로 장착 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송풍부(80)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이너후방플레이트(146)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증발기(31)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80)에 의해 재배공간(S1)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고, 특히 순환되는 공기는 증발기(31)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재배공간(S1)의 내부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재배공간(S1)은 빠르게 온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송풍부(8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베드(50) 상면과 발광부(70)의 하면을 지나면서 유동될 수 있다. 송풍부(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베드(50) 상면을 지나면서 베드(50)에 안착되는 재배부(6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호흡을 원활하고, 식물이 흔들릴 수 있게 하여 식물의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발광부(70)의 하면을 지나면서 발광부(7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부(80)는 상기 히터(102) 또는 증발기(31)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상단에서 토출할 수 있고, 상기 베드(50) 상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공간(S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송풍부(80)는 상단이 발광부(70)의 후방의 일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풍부(80)는 증발기(31)를 비롯한 이너후방플레이트(146)에 구비된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발기(31)는 이너후방플레이트(146)와 송풍부(80)의 사이에 위치한다. 증발기(31)는 압축기(32)의 구동에 의해 유동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31)로부터 냉각된 공기는 송풍부(80)를 통해 재배공간(S1)의 내부를 순환하여 재배공간(S1)을 고르게 냉각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이너후방플레이트(146)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단열재(101)에 의해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증발기(31)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가열된 공기는 송풍부(80)를 통해 재배공간(S1) 내로 유입되고, 상기 재배공간(S1)을 순환할 수 있다. 히터(미도시)는 증발기(31)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증발기(31)의 결빙시 동작되어 증발기(31)의 제상에 이용될 있다.
증발기(31) 및 히터(미도시)는 이너후방플레이트(146) 중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31) 및 히터(미도시)는 적어도 일부가 상방 및 하방에 배치된 송풍부(80)의 일부와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히터(미도시) 및 증발기(미도시)에 의해 가열 및 냉각된 공기는 송풍부(80)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하나의 히터(미도시) 및 증발기(31)를 통해 재배공간(S1) 내부의 구획된 공간 전체를 고르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140)의 하부에는에는 리턴덕트(150)가 위치될 수 있다. 리턴덕트(150)는 재배공간(S1) 내부의 공기를 기계실(12)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실(12)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턴덕트(150)는 이너후방플레이트(146)의 하부 및 증발기(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31)에 결로가 발생되면 기계실(12)로 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기계실(12)의 내부에는 리턴덕트(15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집수할 수 있는 드레인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12)은 송풍부(80)와 이너후방플레이트(146)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공간(S3)과 연통되는 공급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있으며, 공급덕트(미도시)를 통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가 기계실(12)에서 공기유동공간(S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재배공간(S1)의 공기는 송풍부(80)를 통해 공기유동공간(S3)으로 배출될 수 있고, 공기유동공간(S3)에서 리턴덕트(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급덕트(미도시)와 리턴덕트(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내부가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공급덕트(미도시)와 리턴덕트(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산화탄소가 재배공간(S1)으로 공급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다.
이너후방플레이트(146)의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송풍부(80)의 하측에는 공급덕트(미도시)의 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덕트(미도시)는 기계실(12)과 연통될 수 있으며, 하부캐비닛(19)에 마련되는 연통구(819)를 통해 재배공간(S1)의 내측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거나, 연통구(819)로 재배공간(S1)의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에 적용되는 재배용기(6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에 적용되는 재배용기(6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재배용기(60)를 설명한다.
재배용기(60)는 베드(50)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용기부(61)와, 용기부(61)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61)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용기부(61)는 베드(50)에 안착되기 위하여 베드(50)의 상면에 마련되는 베드안착부(52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부(61)는 베드안착부(521)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재배를 원하는 식물이 파종된 재배용기(60)를 선택하여, 베드(50)상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켜 식물의 재배를 시작할 수 있다.
용기부(61)는 재배용기의 바닥면(611)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61)는 바닥면(611)으로부터 소정 높이(H1) 연장되는 측벽을 갖는다. 용기부(61)는 내부에 배지(64)를 수용하는 배지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부(61)에는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이 배출유로부(51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홀(6135)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6135)은 용기부(61)의 바닥면(611)에 구비되어, 베드(50)에 마련되는 배출유로부(512)와 연통될 수 있다. 배지수용공간(S2)의 물은 배출홀(6135)을 통해 급수부(40)에서 유입되거나, 다시 급수부(40)로 회수될 수 있다.
재배용기(60)의 바닥면(611)에는 재배필터(66)가 구비될 수 있다. 재배필터(66)는 배출홀(6135)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 한다. 재배필터(66)에서 필터링되는 이물질은 식물의 생장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지(64)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식물의 뿌리의 일부분일 수 있다. 재배필터(66)는 배출홀(6135)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있으며, 배지수용공간(S2)에서 생성될 수 있는 이물질이 상기 급수부(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지(64)는 용기부(61)는 내부에 수용된다. 배지(64)는 용기부(61)가 형성하는 배지수용공간(S2)에 마련된다. 배지(64)는 식물의 종자를 내장한다. 또한, 생장된 식물의 적어도 일부는 배지(64)에 내장된다. 식물의 뿌리는 배지(64)를 관통하여 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배지(64)는 용기부(61)의 바닥면(611)에서 커버부(62)를 향하여 소정의 높이(H3)로 연장될 수 있다. 배지(64)의 높이(H3)는 용기부(61)에 수용하기에 적절한 높이로 설정된다.
배지(64)에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양분의 공급이 없더라도 물만 공급되면 식물의 생장이 적정 속도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지(64)는 배지(64)의 외관을 형성하는 배지바디(641)를 포함한다. 배지바디(641)는 배지(64)의 몸체를 이룬다. 배지바디(641)의 상측에는 식물의 씨앗이 내장되는 배지홀(643)이 형성된다. 배지(64)는 배지수용공간(S2)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배지(64)의 내부의 씨앗 또는 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지(64)는 식물의 뿌리가 생육하고 지탱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배지(64)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그 소재와 형태, 크기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식물은 배지홀(643)에 내장된 씨앗이 발아되고, 식물의 줄기는 커버관통홀(6233)을 통과하여 커버부(62)의 상부로 생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원활한 생장을 위하여,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은 배지홀(6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에서 재배용기(60)를 바라볼 때, 커버관통홀(6233)은 배지홀(643)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은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커버부(62)는 용기부(61)의 배지수용공간(S2)을 커버한다. 커버부(62)는 용기부(61)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한다. 커버부(62)는 용기부(61)와 결합될 수 있다. 배지수용공간(S2)에는 배지(64)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외부의 공기와 발광부(미도시)에 의해 조사되는 빛에 노출되면, 물에서 미생물의 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고, 이는 식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62)는 용기부(61)의 배지수용공간(S2)을 차폐하도록 구성하여, 배지수용공간(S2)이 재배용기(6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부(62)로 인하여, 배지수용공간(S2) 내부에 저장된 물은 재배용기(60)의 상부에 마련되는 발광부(미도시)에 의해 조사되는 빛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재배용기(60)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62)로 인하여, 배지(64) 내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뿌리가 발광부(상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식물의 생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부(62)는 용기부(61)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62)와 용기부(61)의 결합 방식을 제시한 방식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62)는 배지(64)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배지(64)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배지수용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수용부(623)는 커버부(62)의 상면(621)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62)의 측면(622)은 소정의 높이(H2)를 형성하며,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배지수용부(623)는 커버부(62)의 높이(H2)만큼 배지(64)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배지수용부(623)에 의해, 커버부(62)가 용기부(61)에 결합되면 배지(64)는 용기부(61)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배지(64) 및 배지수용부(623)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배지수용부(623)는 배지(64)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배지(64)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배지수용부(623)의 개수는 적어도 상기 배지(64)의 개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지수용부(623)는 커버부(62)의 상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지수용부(623)는 커버부(62)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배치수용부(623)의 배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배지수용부(623)의 개수, 배치, 이격 거리 등은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재배용기(60)는 표지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지부(63)는 커버부(62)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표지부(63)에는 종자명이 기재될 수 있다. 표지부(63)는 식물의 종자명이 기재되도록 마련되어 재배공간(S1)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종류가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표지부(63)는 커버부(62)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부(63)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커버부(62)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표지부(63) 커버부(62) 중 상기 커버결합부(62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재배용기(60)의 상부에서 재배용기(60)를 바라볼 때, 표지부(63)의 상면(633)이 노출되고, 커버결합부(624)를 제외하고 커버부(62)의 상면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표지부(63)는 커버관통홀(623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관통되어 상기 커버관통홀(62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표지홀(631)이 마련된다. 식물은 표지홀(631)을 통과하여 재배용기(60)의 상부로 생장할 수 있다.
표지부(63)에는 식물의 정보(635)가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식물의 정보(635)는 QR code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식물의 정보는 문자 또는 바코드(barcode)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지부(63)에 인쇄된 식물의 정보(635)는 재배용기(60)에 내장된 식물의 종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표지부(63)에 식물의 정보(635)를 인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식물의 정보(635)는 재배용기(60)의 어느 위치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저장부(43)를 캐비닛에서 인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저장부(43)의 덮개(433)를 개방하여 물통(431)의 저장공간(4311)을 드러낸 모습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3)를 설명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저장부(43)는 하부 베드(51)의 하단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부(43)는 캐비넷(10) 내의 공급펌프부(44)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캐비넷(10)의 전방으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계실(12)의 경우 압축기(32)의 높이로 인해 후방측이 높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기계실(12)의 상향 돌출 부위로 인해 마련되는 이너케이스(140) 내의 저부측 전방에 저장부(43)를 설치한 것이다.
저장부(43)는 물통(431)과 덮개(433)를 포함한다.
물통(431)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 구조로 형성된다. 물통의 내부에는 저장공간(4311)이 형성된다. 저장공간(4311)에는 물이 저장된다.
덮개(433)는 물통(43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덮개(433)의 개폐 조작에 의해 물통(431)의 상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덮개(433)를 개방하여, 물통(431)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공간(4311)에 공급수를 충전할 수 있다.
덮개(433)는 물통(431)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다. 덮개(433)는 물통(431)의 개방된 상면에 대한 일측에 결합된다. 덮개(433)는 물통(431)과 결합된 측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덮개(43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저장공간(4311)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물통(431)의 전면에는 손잡이(432)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손잡이(432)를 이용하여 물통(431)를 서랍식으로 취출하거나 혹은, 인입할 수 있다. 손잡이(432)는 물통(431)과는 다른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433)는 보조판(435)을 포함한다. 보조판(435)은 덮개(433)의 저면에 제공된다. 보조판(435)에는 가이드(4331)와 복수개의 홈(4351, 도 12 참조)이 형성된다.
가이드(4331)는 덮개(433)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가이드(4331)는 물통(431)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가이드(4331)는 물통(431)의 둘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가이드(4331)는 물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4331)가 돌출되는 길이(d1)는, 덮개(433)가 힌지 결합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까지 개방시켰을 때, 저장공간(4311)의 수직선상의 안쪽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이다. 이로서, 가이드(4331)는 덮개(433)를 회전시켜 개방할 때 덮개(433)의 저면에 맺혀있던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저장공간(4311)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이로서, 덮개(433)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기계실이나 다른 구성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433)의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에서의 각도는 지면에 대하여 90도(deg)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덮개(433)의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에서의 각도는 지면에 대하여 90도(deg)이다. 상술한 90도(deg)란 수학적으로 정확한 90도를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홈(4351)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11에 도 1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홈(4351)은 가이드(4331)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홈(4351)은 저장공간(4311)을 덮는 영역에 형성된다. 홈(4351)은 뿔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홈(4351)은 육각뿔 형상을 갖는다. 하나의 홈(4351)과 인접한 홈(4351) 사이의 이격 거리는 하나의 홈(4351)의 너비보다 좁다. 홈(4351)에는 결로로 발생한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홈(4351)에 맺힌 결로에 의한 물방울은 흘러내리지 않고 다시 물통(431)으로 떨어진다. 이로서, 충격 등에 의하더라도 덮개(433)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주변 구성으로 이동하지 않고, 물통(431)으로 즉각 떨어지게 된다.
도 13은 덮개(433)를 개방할 때, 덮개(433)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의 이동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433)의 저면, 즉 보조판(435)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 중 일부는 물통(431)으로 떨어지고, 일부는 홈(4351)에 맺히게 된다. 홈(4351)에 맺혀있던 물방울은 덮개(433)의 개방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흘러내리는 물방울은 가이드(4331)에 의해 물통(431)으로 모일 수 있다. 이로서, 식물재배장치(1)의 저장부(43)에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맺힌 물방울은 물통(431)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되고, 주변 구성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433)에는 급수관(438)이 마련될 수 있다. 급수관(438)은 덮개(433)의 후방측 저면으로부터 물통(431)의 저장공간(4311)으로 돌출된다. 급수관(438)은 공급펌프부(44)와 연결된다. 저장공간(4311)에 저장된 공급수는 급수관(438)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급수관(438)은 물통(431) 내의 바닥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물통(431) 내의 공급수를 최대한 많이 펌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통(431)의 상부에는 확장턱(4312)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턱(4312)는 물통(431)의 상면 둘레를 따라 외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확장턱(4312)은 덮개(433)의 저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한다. 확장턱(4312) 중 양측 전방측 부위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절개부를 통해 저부로 노출되는 덮개(433)의 저면을 들어 올림으로써 덮개(433)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마련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재배용기가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부; 및
    상기 공급펌프부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상기 베드로 안내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물통과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상기 물통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덮개가 상기 힌지 결합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까지 개방시켰을 때, 상기 가이드의 단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수직선상 안쪽에 위치되는 길이인 식물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 종단에서 지면에 대한 상기 덮개의 각도는 90도 이상인 식물재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물통의 둘레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물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식물재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에서 인접한 홈 간의 이격 거리는 하나의 홈의 너비보다 좁은 식물재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뿔 형상을 갖는 식물재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육각뿔 형상을 갖는 식물재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저장공간을 덮는 영역에 형성되는 식물재배장치.
  9.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내부에 마련되고, 식물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되는 재배용기가 안착되는 베드;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베드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공급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공급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부; 및
    상기 공급펌프부에 의해 펌핑된 공급수를 상기 베드로 안내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통; 및
    상기 물통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저장공간을 덮는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덮개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상기 물통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홈은 상기 가이드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는 식물재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에서 인접한 홈 간의 이격 거리는 하나의 홈의 너비보다 좁은 식물재배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뿔 형상을 갖는 식물재배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홈은 육각뿔 형상을 갖는 식물재배장치.
KR1020210183811A 2021-12-21 2021-12-21 식물재배장치 KR2023009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811A KR20230094554A (ko) 2021-12-21 2021-12-21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811A KR20230094554A (ko) 2021-12-21 2021-12-21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554A true KR20230094554A (ko) 2023-06-28

Family

ID=8699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811A KR20230094554A (ko) 2021-12-21 2021-12-21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5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64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3003342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192106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3002695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361420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3029267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EP4129049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10121743A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40040973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30094554A (ko) 식물재배장치
KR10259472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88358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0A (ko) 식물 재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1744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56577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075903B1 (ko) 식물재배장치
KR10258962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21742A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30062056A1 (en) Water supply device in cabinet
KR20210121738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088372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30094555A (ko) 식물관리시스템
KR20210125780A (ko) 식물 재배 장치
KR20210137339A (ko) 식물 재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