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477A -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477A
KR20220056477A KR1020200141098A KR20200141098A KR20220056477A KR 20220056477 A KR20220056477 A KR 20220056477A KR 1020200141098 A KR1020200141098 A KR 1020200141098A KR 20200141098 A KR20200141098 A KR 20200141098A KR 20220056477 A KR20220056477 A KR 2022005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
panel
charging
hole
fend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403B1 (ko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충전포트는 단순히 프론트 범퍼와 프론트 후드 사이에 마운팅한 것으로서 외부에서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거나 유동되는 것은 물론 부주의하게 되면 빗물이나 세차 시의 물이 충전포트로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의 일측에 용접되는 소정 크기의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의 일측단과 중앙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공(301a)(301b)이 구비된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 사방의 플랜지(410)에 구비된 장착공(411a)(411b)을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300a)(300b)에 볼트(320)로 마운팅되는 충전포트(400);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과 볼팅 체결되며,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에 마운팅된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510)이 구비된 휀더판넬(500); 휀더판넬(500)의 이면에 부착되어 강성을 높여주며,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610)이 형성된 보강판넬(600); 휀더판넬(5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통공(510)을 개폐하는 충전포트용 도어어세이(700);로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에 결합되는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에 체결브라켓(300a)(300b)을 용접 결합하고 그 체결브라켓(300a)(300b)에 충전포트(400)를 마운팅한 후 휀더판넬(500)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에 결합하되 보강판넬(600)을 휀더판넬(500)의 이면에 부착하여 강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충전포트(400)가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Charging Port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이드 아웃터 판넬에 결합되는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에 체결브라켓을 용접 결합하고 그 체결브라켓에 충전포트를 마운팅한 후 휀더판넬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에 결합하되 보강판넬을 휀더판넬의 이면에 부착하여 강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충전포트가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최소화의 대상으로 친환경 자동차가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기존의 내연기관으로 구성된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가 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BEV(Battery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V), HEV(Hybrid E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V(Hybrid EV)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한 자동차로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 있는 것이며, PHEV(Plug-in Hybrid EV)는 HEV의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해서 쓸 수 있도록 설계한 자동차이며, BEV(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로만 구동되는 자동차이다.
상기 HEV, PHEV 및 BEV 자동차는 공통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차량구동에 활용하게 되는데, HEV는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PHEV와 BEV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PHEV, BEV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를 가지고, 충전포트는 차량의 휠에 인접한 부분 또는 차량의 전방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충전포트는 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 리셉터클(charge receptacle)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리셉터클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충전 플러그(charger plug)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충전 플러그는 충전 시 시스템에 충전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충전구조의 선행기술이 일본 등록특허 제58960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충전포트는 충전암에 마련되는 잠금부와 전기적 접속 위치로 연결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걸어 맞추고 있는 걸어 맞춤부를 가지며, 개폐기구는 충전암에 마련되는 록 해제 조작부의 락 해제 방향으로의 조작방향과 거의 동일 방향으로 충전 포트 리드를 닫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충전 포트 리드는 그 이면에 충전 중의 충전 암을 향하여 충전 포트 리드를 닫았을 때 록 해제 조작부에 맞닿는 것보다도 먼저 록 해제 조작부 이외의 부위에 맞닿는 앞당부를 가지도록 한 것으로 이는 충전 중 충전 건을 향하여 충전 포트 리드를 닫아도 충전 포트 리드에 의한 충전 건의 잠금 해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본 등록특허 10-5896033호(2016. 03. 11 등록)(전동차량의 외부 충전 구조)
그러나 선행기술에서의 충전포트는 프론트 범퍼와 프론트 후드 사이에 마운팅한 것으로서 외부에서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거나 유동되는 것은 물론 부주의하게 되면 빗물이나 세차 시의 물이 충전포트로 쉽게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포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충전포트가 장착되는 휀더판넬의 강성을 향상시켜 외부에서의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빗물이나 세치 시의 물이 충전포트로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일측에 용접되는 소정 크기의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의 일측단과 중앙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공이 각각 구비된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 사방의 플랜지에 구비된 장착공을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에 볼트로 마운팅되는 충전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아웃터 패널과 볼팅 체결되며,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에 마운팅된 충전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구비된 휀더판넬; 휀더판넬의 이면에 부착되어 강성을 높여주며, 충전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된 보강판넬;펜더판넬의 전면에 설치되어 통공을 개폐하는 충전포트용 도어어세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판넬은 테두리를 따라 비드부를 다수 구비하여 강성을 높이고, 휀더판넬에 보강판넬을 용접 결합 후 이음새에 실러를 충진시켜 이음을 방지하고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휀더판넬에 구비되는 충전포트가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은 물론 휀더판넬의 강성이 보강되어 외부에서의 충격에 의하여 충전포트가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빗물이나 세차 시의 물이 충전포트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 충전포트가 마운팅되는 판넬을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충전포트가 마운팅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결합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충전포트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브라켓과 케이블용 받침브라켓만을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비드부가 구비된 보강판넬이 휀더판넬 이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충전포트가 마운팅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포트가 마운팅되는 판넬을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결합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포트의 마운팅 구조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포트가 마운팅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서 비드부가 구비된 보강판넬을 휀더팬널에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포트가 마운팅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서 체결브라켓과 받침브라켓만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충전포트의 마운팅 구조로서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의 일측에 용접되는 소정 크기의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의 일측단과 중앙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공(301a)(301b)이 각각 구비된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 사방의 플랜지(410)에 구비된 장착공(411)을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300a)(300b)에 볼트(320)로 마운팅되는 충전포트(400);로 구성된다.
또한,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과 볼팅 체결되며,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에 마운팅된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510)이 구비된 휀더판넬(500); 휀더판넬(500)의 이면에 부착되어 강성을 높여주며,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610)이 형성된 보강판넬(600); 휀더판넬(5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통공(510)을 개폐하는 충전포트용 도어어세이(70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충전포트(400)의 마운팅 구조가 견고하여 외부에서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전포트(400)가 쉽게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휀더판넬(500)과 보강판넬(600)사이에 실러를 도포하여 빗물이나 세차 시 물이 충전포트(400)로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충전포트(400)를 장착하기 위해서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의 일측에 용접 결합된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의 일측단과 중앙에 용접 장착한다.
이후 체결브라켓(300a)(300b)에 충전포트(400)를 마운팅하는데 상기 체결브라켓(300a)(300b)에는 한 쌍의 체결공(301a)(301b)이 구비되고 충전포트(400)의 양쪽 플랜지(410)에는 상기 체결공(301a)(301b)과 상응된 위치에 장착공(411a)(411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포트(400)의 플랜지(410)를 체결브라켓(300a)(300b)에 밀착시켜 장착공(411a)(411b)과 체결공(301a)(301b)을 서로 일치시킨 후 볼트(320)를 체결하게 되면 충전포트(400)는 체결브라켓(300a)(300b)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처럼 충전포트(400)를 체결브라켓(300a)(300b)에 결합한 후 휀더판넬(500)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에 볼팅 체결하는데 상기 휀더판넬(500)에는 통공(510)이 구비되어 있어 휀더판넬(500)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에 결합하면 충전포트(400)가 통공(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휀더판넬(500)의 이면에는 홀(610)이 형성된 보강판넬(600)을 부착하여 휀더판넬(500)의 강성을 높혀주는 것으로 보강판넬(600)을 부착 시 보강판넬(600)의 홀(610)과 휀더판넬(500)의 통공(510)이 서로 일치되도록 부착하여야 만이 휀더판넬(500)을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에 결합한 이후 충전포트(400)가 홀(610)과 통공(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후 휀더판넬(500)의 전면에는 통공(510)을 개폐하는 충전포트용 도어어세이(700)를 절첩식으로 설치하여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포트(400)를 개방시킬 경우에만 도어어세이(700)를 열고 충전이 끝난 이후에는 도어어세이(700)를 닫아 충전포트(4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충전포트(400)를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단이 배터리에 결속되고 타단은 충전포트(400)에 결속되어 외부의 전원을 배터리로 공급하는 케이블(800)이 유동되지 않도록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의 타측에 받침브라켓(210)을 설치하여 케이블(800)이 받침브라켓(210)에 얹혀지도록 하되 받침브라켓(210)에는 한 쌍의 밴드공(211)을 구비하여 받침브라켓(210)에 얹혀진 케이블(800)을 밴드(900)로 결착 고정되게 하여 케이블(800)이 늘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휀더판넬(500)의 이면에 부착되는 보강판넬(60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비드부(620)를 구비하여 보강판넬(600)의 강성을 높이고, 휀더판넬(500)에 보강판넬(600)을 용접 결합한 이후에 휀더판넬(500)과 보강판넬(600)의 이음새에 실러를 충진시켜 이음을 방지하여 빗물이나 세차 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충전포트(400)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였다.
100 : 사이드 아웃터 판넬 200 :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
210 : 받침브라켓 211 : 밴드공
300a,300b : 체결브라켓 301a,301b : 체결공
320 : 볼트 400 : 충전포트
410 : 플랜지 411a,411b : 장착공
500 : 휀더판넬 510 : 통공
600 : 보강판넬 610 : 홀
620 : 비드부 700 : 도어어세이
800 : 케이블 900 : 밴드

Claims (3)

  1.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의 일측에 용접되는 소정 크기의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의 일측단과 중앙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공(301a)(301b)이 구비된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
    사방의 플랜지(410)에 구비된 장착공(411a)(411b)을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300a)(300b)에 볼트(320)로 마운팅되는 충전포트(400);
    사이드 아웃터 판넬(100)과 볼팅 체결되며, 충전포트용 체결브라켓(300a)(300b)에 마운팅된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510)이 구비된 휀더판넬(500);
    휀더판넬(500)의 이면에 부착되어 강성을 높여주며, 충전포트(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홀(610)이 형성된 보강판넬(600);
    휀더판넬(5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통공(510)을 개폐하는 충전포트용 도어어세이(700);
    로 구성되어 충전포트(400)가 휀더판넬(500)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카울 사이드 어퍼멤버(200)는,
    충전포트(400)의 케이블()이 얹혀지는 받침브라켓(210)을 타측단에 구비하고,
    받침브라켓(210)에는 한 쌍의 밴드공(211)을 구비하여
    얹혀진 케이블(800)이 밴드(900)로 결착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판넬(600)은 테두리를 따라 비드부(620)를 다수 구비하여 강성을 높이고,
    휀더판넬(500)에 보강판넬(600)을 용접 결합 후 이음새에 실러를 충진시켜 이음을 방지하고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 구조.

KR1020200141098A 2020-10-28 2020-10-28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KR10247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98A KR102472403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98A KR102472403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477A true KR20220056477A (ko) 2022-05-06
KR102472403B1 KR102472403B1 (ko) 2022-11-30

Family

ID=8158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098A KR102472403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8792A1 (en) * 2013-10-23 2015-04-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ar fender module
JP5853714B2 (ja) * 2012-01-16 2016-02-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充電ソケット取付構造
CN105896033A (zh) 2014-10-31 2016-08-24 西安电子科技大学 高隔离度mimo天线系统
KR101894809B1 (ko) * 2017-02-27 2018-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러 하우징 판넬 접합구조
WO2018161697A1 (zh) * 2017-03-07 2018-09-1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后翼子板总成和具有其的车辆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3714B2 (ja) * 2012-01-16 2016-02-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充電ソケット取付構造
US20150108792A1 (en) * 2013-10-23 2015-04-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ar fender module
CN105896033A (zh) 2014-10-31 2016-08-24 西安电子科技大学 高隔离度mimo天线系统
KR101894809B1 (ko) * 2017-02-27 2018-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러 하우징 판넬 접합구조
WO2018161697A1 (zh) * 2017-03-07 2018-09-13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后翼子板总成和具有其的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403B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2770B1 (en) Charging connector accommodation apparatus for use in truck-type electric vehicle
US9812685B2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KR890002454B1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US11492044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KR100491670B1 (ko) 연료 전지 차량의 연료 탱크 탑재 구조
EP3650321B1 (en) A vehicle battery arrangement
US9819116B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US10479221B2 (en) Vehicle
JP5853714B2 (ja) 自動車の充電ソケット取付構造
WO2018161697A1 (zh) 后翼子板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115892231A (zh) 车体构造
KR10247240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 마운팅구조
JP3608157B2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JPH10255746A (ja) 電気自動車
JP5780121B2 (ja) リッドの取付構造
JP5136448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JP4004930B2 (ja) 蓄電装置の冷却装置
CN109808477B (zh) 电力控制装置的车载构造
JPS61282173A (ja) 自動車のリツド構造
CN105235608A (zh) 电动汽车充电插座装饰盖总成
CN216545764U (zh) 商用车国标充电插座防护箱
CN115195880B (zh) 车辆
CN217533092U (zh) 一种电动车侧保与踏板连接组件
JP2006147593A (ja) 電気自動車
CN213082932U (zh) 一种隐藏式后置充电口高压线束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