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368A -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368A
KR20220056368A KR1020200140883A KR20200140883A KR20220056368A KR 20220056368 A KR20220056368 A KR 20220056368A KR 1020200140883 A KR1020200140883 A KR 1020200140883A KR 20200140883 A KR20200140883 A KR 20200140883A KR 20220056368 A KR20220056368 A KR 2022005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thermoelectric generator
thermoelectric
thermoelectric pow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236B1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엔케이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케이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엔케이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14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CO, CO2
    • H01L35/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나무, 석탄을 포함하는 화석연료가 투입되고, 내측 하부에는 화석연료의 안착 기능 및 화석연료 재를 배출하도록 탈착 가능한 재받이부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내외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 순환구가 형성된 연소챔버와; 상기 연소챔버에 형성된 공기 순환구의 상부측 및 연소챔버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소챔버 내부로 확장되어 연소열을 집열하는 열전달부와, 상기 연소챔버 외부로 확장된 히트싱크 및 상기 열전달부와 히트싱크 사이에 연결된 열전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전발전기 모듈과,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의 후방에 형성된 송풍구와,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의 상,하부에 형성된 송풍채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하우징과; 상기 열전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구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 및 송풍채널을 거쳐 상기 연소챔버 내부로 보내는 송풍기; 및 상기 열전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O 탐지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연소챔버 내부로 확장된 두개 이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금속판은 횡방향으로 평평하되 연소열기로부터 가까운 금속판이 먼 금속판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두개 이상의 금속판은 연소열기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CO detector}
본 발명은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으로 화석연료의 사용이 지목되면서,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운동이 전지구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책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하나는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석연료의 효율을 높혀 같은 에너지를 얻는데 사용되는 화석연료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후자의 방책은 다시 두 가지 세부 방책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에너지기관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석연료의 사용에 있어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내용은 화석연료의 사용에 있어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일차적인 에너지-예를 들어, 열기관에 의해 생산되는 기계에너지, 전기에너지 등-를 생산하게 되면, 그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열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에너지는 일차적인 에너지와 다른 형태의 에너지이기 때문에 그대로 버려졌으나, 최근 이러한 열에너지를 재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열전발전시스템이다.
열전발전은 고온부와 저온부의 온도차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전자 평형압력차이를 이용하는 열전자발전 및 제벡효과를 이용하는 열전기발전 등이 있다.
열전발전시스템은 고온부와 저온부를 필요로 하는데, 상온 상태의 공기 혹은 액체 상태의 물을 저온부의 소스로 활용한다고 할 때, 고온부의 소스가 무엇인지에 따라 열전발전시스템의 종류가 결정된다.
현재 주로 논의되고 있는 열전발전시스템의 고온부 소스로는, 스토브,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의 폐열 등이 있는데, 공장의 폐열은 대규모 발전을 위한 소스로 활용되고 있고, 스토브 및 자동차의 배기가스는 소규모 발전을 위한 소스로 활용되고 있다.
대규모 발전의 경우, 열전발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용 공간, 가용 비용 등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데 반해, 소규모 발전의 경우, 열전발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가용 공간이 협소하고,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 가용할 수 있는 제조 비용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실내 또는 야외 캠핑용으로 사용되는 스토브는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나무,석탄,석유,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요리 또는 난방용 등으로 사용된다.
또한, 전기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이 많은 곳에서는 주거지 내부 또는 외부에서 취사 및 난방용으로 스토브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열전발전기(Thermo Electronic Generator)가 적용된 스토브는 스토브에서 발생한 열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외부 전자기기를 충전하거나,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열전발전기에 의한 전력 생산은 열전발전기의 가열면과 냉각면과의 온도차가 클수록 전력 생산 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차를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스토브에서 발생되는 열이 열전발전기 가열면을 효율적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냉각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스토브에서 발생되는 열이 냉각면으로 전달되기 어렵게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스, 석탄 등에 포함된 탄소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무색,무취의 기체인 일산화탄소(CO)를 감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29098호(공고일자 2019년10월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일산화탄소(CO) 중독사고를 예방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토브의 챔버를 내부 공간에 냉각물질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성하여, 내구성과 안정성 및 열전발생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열전발전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 열전발전기의 고온면에 접합되는 열전달부와 저온면에 접합되는 히트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력 생산 효율을 크게 증가시킨 열전발전기 모듈을 포함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나무, 석탄을 포함하는 화석연료가 투입되고, 내측 하부에는 화석연료의 안착 기능 및 화석연료 재를 배출하도록 탈착 가능한 재받이부(300)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내외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 순환구(110)가 형성된 연소챔버(100)와; 상기 연소챔버(100)에 형성된 공기 순환구(110)의 상부측 및 연소챔버(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확장되어 연소열을 집열하는 열전달부(261)와, 상기 연소챔버(100) 외부로 확장된 히트싱크(263) 및 상기 열전달부(261)와 히트싱크(263) 사이에 연결된 열전발전기(2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전발전기 모듈(260)과,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후방에 형성된 송풍구(220)와,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상,하부에 형성된 송풍채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하우징(200)과; 상기 열전발전기(2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구(220)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263) 및 송풍채널을 거쳐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보내는 송풍기(250); 및 상기 열전발전기(26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O 탐지기(1)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부(261)는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확장된 두개 이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금속판은 횡방향으로 평평하되 연소열기로부터 가까운 금속판이 먼 금속판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두개 이상의 금속판은 연소열기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소챔버(100)의 외부는 내부에 냉각물질이 채워진 이중 벽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챔버(100)의 외부는 에어로졸 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열전발전시스템은 상기 열전발전기(262)와 연결되는 탈착식 충전 배터리 및 전기장치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열전발전시스템은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사이에는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간 접촉을 분리시키는 과열보호부(26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전발전시스템은 일산화탄소 탐지가 가능하여, 일산화탄소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열전발전시스템은 연소챔버를 내부 공간에 냉각물질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정성 및 열전발생기의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발전시스템은 열전발전기의 고온면에 접합되는 열전달부와 저온면에 접합되는 히트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력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의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기 모듈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에서 이중 벽구조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에서 높은 열팽창계수의 금속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모듈 및 과열 반응을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에서 바이메탈 금속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모듈 및 과열 반응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발전시스템(1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열전발전시스템(10)은 크게 CO 탐지기(1)와,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시키는 공간인 연소챔버(100)와, 송풍기(250)와 열전발전기 모듈(260)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하우징(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챔버(100) 하단부는 탈착 가능한 재받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CO 탐지기(1)는 일산화탄소(CO)를 감지한다. 일산화탄소(CO)는 가스, 석탄 등에 포함된 탄소의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무색·무취의 기체로 체내 흡입 시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공급을 방해함으로써 저산소증(일산화탄소 중독)을 유발한다. 이에 열전발전시스템(10)이 이용되는 환경에서 공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증가되면 상기 CO 탐지기(1)는 이를 감지하고, 경보를 울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은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히트싱크(263)로 구성되며,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양쪽 면은 상기 열전달부(261) 및 상기 히트싱크(263)와 접촉하고 있다. 이하, 열전달부(261)와 접촉면을 고온면, 히트싱크(262)와 접촉면을 저온면으로 명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부(261)는 연소열을 집열하여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연소 챔버(100) 내부로 확장된 형태이며, 상기 히트싱크(263)는 냉기를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저온면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송풍기(250) 쪽으로 확장된 형태이다. 상기 히트싱크(263)은 수냉식이나 공랭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과 저온면의 온도차가 클수록 전력생산 효율이 높아지므로 상기 열전달부(261)와 상기 히트싱크(263)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소챔버(100)에서 연료가 연소하면, 연소열이 상기 열전달부(261)를 통해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으로 전달되면, 저온면과의 온도차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생산된 전력은 열전발전기(262)와 연결된 송풍기(250)의 구동 전력으로 사용되며, 상기 송풍기(250)가 구동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200)을 통해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송풍기(250)에 의한 외부공기는 상기 히트싱크(263)를 거치게 되므로, 히트싱크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의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저온면의 냉각으로 전력 생산이 가능한 정도로 온도차가 유지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을 위해 외부공기가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양쪽 송풍 채널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양 사이드 송풍 채널, 또는 어느 한 쪽 사이드 송풍 채널을 통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온도 상태에 따라 송풍기(250)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온도 상태는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일 경우, 위쪽 송풍채널을 차단하고, 송풍량을 줄이거나 중지시키면 상기 연소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들어 연소열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열전발전기(262)에 의한 전력 생산량이 줄어들면 상기 송풍채널 조절 및 송풍량 조절을 통해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저온면과 고온면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시스템(10)은 상기 열전발전기(262)와 연결되는 탈착식 충전 배터리와 전기장치 연결 포트를 포함한다. 탈착식 충전 배터리는 상기 열전발전기(262)에서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에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된 전력은 열전발전기(263)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연소 초기에 송풍기의 구동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O 탐지기(1)의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외부 전자통신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치 연결 포트는 열전발전기(263)에서 생산된 전력을 연결된 전자통신 기기의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기 하우징(200)은 상기 찰탁식 충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거나 온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에는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과 접촉하는 열전달부(261)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열전달부(261)는 하단부의 금속판이 상단부의 금속판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에 열을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는 고온면의 중심부에서 바깥부까지 균일하게 온도를 전달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력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이중 벽 연소챔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이중 벽 내부 공간은 냉각물질이 채워져 있으며, 이는 내부 연소열이 연소챔버(100) 바깥쪽 벽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연소챔버(100)와 열전발전기 하우징(200)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연소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전발전시스템의 주변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냉각물질은 물을 포함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액체나 불활성 기체를 포함한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일 수 있다.
또한, 연소챔버(100)의 외부는 에어로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챔버의 외부가 에어로졸층으로 둘러싸이게 됨으로써 보온효과 상승으로,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은 열팽창계수의 금속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모듈(200) 및 과열 반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 금속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모듈 및 과열 반응을 나타낸 도면이다.
열전달부(261)는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에 열 전달 효율이 높은 물질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열전달부(261)는 연소열을 지속적으로 열전발전기(262)의 고온면에 전달하는데, 상기 열전달부(261)가 일정온도 이상 과열되면, 열전소자의 열화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접합물질의 변형이 발생하여, 접촉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온도는 열전발전기에서 허용하는 최대온도에 근접하는 온도이다. 과열이 지속되면 효율이 떨어지다가 급기야 소자가 파괴되어, 결과적으로 열전발전기(262)의 전력생산 효율 감소 및 수명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사이에 과열보호부(264, 265)를 구성하였다.
도면 6의 과열보호부(264)는 상기 열전달부(261)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팽창하기 시작하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 양 끝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달부(261)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서 상기 금속판이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부에 의해 금속판이 휘어져 상기 열전달부(261)와 상기 열전발전기(262)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금속판 양 끝단에 구비되는 형태이거나, 상기 열전달부(261) 접촉면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가 양 끝단에 구비되는 형태는 상기 금속판이 팽창하면 안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열전달부(261)와 상기 열전발전기(262)를 분리시킨다. 여기서 일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금속판이 수축되어 다시 상기 열전달부(261)와 상기 열전발전기(262)가 접합상태로 돌아가 열전달이 계속된다.
도면 7의 과열보호부(265)는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두 개의 금속이 접합된 바이메탈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달부(261)가 열전발전기에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면서,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두 개의 금속이 서로 다른 길이로 팽창하기 때문에 한 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열전달부(261)와 상기 열전발전기(262)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CO 탐지기 10 : 열전발전시스템
100 : 연소챔버 105 : 손잡이
110 : 공기 순환구
200 : 열전발전기 하우징 210 : 케이스
220 : 송풍구 230 : 충전상태 표시부
240 : 전원포트 250 : 송풍기
260 : 열전발전기 모듈 261 : 열전달부
262 : 열전발전기 263 : 히트싱크
264 : 높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금속판 구조 과열보호부
265 : 바이메탈 구조 과열보호부
300 : 재받이부 310 : 지지대

Claims (5)

  1.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나무, 석탄을 포함하는 화석연료가 투입되고, 측면에는 내외부의 공기순환을 위한 공기 순환구(110)가 형성된 연소챔버(100)와;
    상기 연소챔버(100)에 형성된 공기 순환구(110)의 상부측 및 연소챔버(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확장되어 연소열을 집열하는 열전달부(261)와, 상기 연소챔버(100) 외부로 확장된 히트싱크(263) 및 상기 열전달부(261)와 히트싱크(263) 사이에 연결된 열전발전기(2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전발전기 모듈(260)과,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후방에 형성된 송풍구(220)와,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상,하부에 형성된 송풍채널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 하우징(200)과;
    상기 열전발전기(2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송풍구(220)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263) 및 송풍채널을 거쳐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보내는 송풍기(250); 및
    상기 열전발전기(26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O 탐지기(1)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부(261)는 상기 연소챔버(100) 내부로 확장된 두개 이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금속판은 횡방향으로 평평하되 연소열기로부터 가까운 금속판이 먼 금속판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두개 이상의 금속판은 연소열기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100)의 외부는 내부에 냉각물질이 채워진 이중 벽 구조이고, 상기 연소챔버(100)의 내측 하부에는 화석연료의 안착 기능 및 화석연료 재를 배출하도록 탈착 가능한 재받이부(300)가 구비되는 열전발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100)의 외부는 에어로졸 층이 형성된 것인 열전발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기(262)와 연결되는 탈착식 충전 배터리 및 전기장치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하는 열전발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기 모듈(260)의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사이에는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열전달부(261)와 열전발전기(262) 간 접촉을 분리시키는 과열보호부(26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발전시스템.
KR1020200140883A 2020-10-28 2020-10-28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KR10246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883A KR102461236B1 (ko) 2020-10-28 2020-10-28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883A KR102461236B1 (ko) 2020-10-28 2020-10-28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368A true KR20220056368A (ko) 2022-05-06
KR102461236B1 KR102461236B1 (ko) 2022-10-31

Family

ID=8158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883A KR102461236B1 (ko) 2020-10-28 2020-10-28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86A (ja) * 1992-09-08 1994-03-29 Tokai Rubber Ind Ltd 蓄熱装置
KR19990074293A (ko) * 1998-03-09 1999-10-05 이상종 다목적 보일러
JP2000035824A (ja) * 1998-07-17 2000-02-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発電装置
JP2009273273A (ja) * 2008-05-08 2009-11-19 Rinnai Corp 熱発電装置
JP2014138102A (ja) * 2013-01-17 2014-07-28 Yamaha Corp 熱電発電ユニット
JP2016185074A (ja) * 2016-07-27 2016-10-20 岩谷産業株式会社 燃焼機器
KR102029098B1 (ko) 2017-12-20 2019-10-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기관에 설치되는 열전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86A (ja) * 1992-09-08 1994-03-29 Tokai Rubber Ind Ltd 蓄熱装置
KR19990074293A (ko) * 1998-03-09 1999-10-05 이상종 다목적 보일러
JP2000035824A (ja) * 1998-07-17 2000-02-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発電装置
JP2009273273A (ja) * 2008-05-08 2009-11-19 Rinnai Corp 熱発電装置
JP2014138102A (ja) * 2013-01-17 2014-07-28 Yamaha Corp 熱電発電ユニット
JP2016185074A (ja) * 2016-07-27 2016-10-20 岩谷産業株式会社 燃焼機器
KR102029098B1 (ko) 2017-12-20 2019-10-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기관에 설치되는 열전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36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2660A1 (en) Smart Fuel Bur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50037303A1 (en) Generation of electricity in a fireplace using thermoelectric module
US102300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US20060172245A1 (en) Gas burner with thermoelectric generator
EP2676304B1 (en) Thermally driven power generator
CN103791524A (zh) 燃气具
FR3000303B1 (fr) Systeme de production d'energie electrique a pile a combustible
WO2013015868A1 (en) Waste heat recovery for forced convection biomass stove
KR102328632B1 (ko) 연통형 열전소자를 적용한 열전발전시스템
US20030075214A1 (en) TPV cylindrical generator for home cogeneration using low NOx radiant tube burner
Li et al. Miniature self-powering and self-aspirating combustion-powered thermoelectric generator burning gas fuels for combined heat and power supply
KR102461236B1 (ko) Co 탐지기가 구비된 열전발전시스템
IE51048B1 (en) Improvements in solid fuel stoves
US20120234262A1 (en) Water heater having backup power system
KR20000056018A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야외용 휴대발전장치 및 그 발전제어방법
CN110999068B (zh) 热电发电装置
JP2008251359A (ja) 低温用照明装置
KR102219350B1 (ko) 열전발전기를 포함하는 연소장치
KR102219213B1 (ko) 과열보호부가 구비된 열전발전기를 포함하는 연소장치
CN107612424B (zh) 发电系统以及电器
WO2013046179A1 (en) Heating device
JPH0684536A (ja) ポータブル電源
CN107228478A (zh) 具有发电系统的热水器及热水器发电方法
CN114730894A (zh) 燃料电池模块
JP2001221508A (ja) 温風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