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233A -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233A
KR20220056233A KR1020227011165A KR20227011165A KR20220056233A KR 20220056233 A KR20220056233 A KR 20220056233A KR 1020227011165 A KR1020227011165 A KR 1020227011165A KR 20227011165 A KR20227011165 A KR 20227011165A KR 20220056233 A KR20220056233 A KR 2022005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delivery system
aerosol delivery
outer housing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몰로니
칼 칼주라
앤드류 손턴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2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은 외부 하우징, 마우스피스,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 및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은 제어기가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은 사용자들에게 에어로졸들을 전달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특히, 일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은 니코틴 및/또는 다른 약리학적 활성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는 에어로졸들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담배 연소에서 유도되지 않은 니코틴 함유 에어로졸들은 e-시가레트(e-cigarette)들 및 "비연소식(heat not burn)" 디바이스들(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 또는 "ENDS"로도 지칭됨)과 같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디바이스 부품,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 형태로 사용자에게 변환/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은 응축 에어로졸 형태로 전달된다(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될 때). 그러나, 진동, 기계적 또는 정전기적 수단들 등과 같은 다른 수단들을 통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시스템들 상태의 양태들과 사용자의 요구들에 더 잘 반응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제1 양태에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고,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디바이스는 외부 하우징, 마우스피스,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 및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은 제어기가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에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디바이스는 전원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은 본원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사시도 및 단부도를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는 상이한 상태들의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입면도들을 제공한다.
도 4a 및 도 4b는 상이한 상태들의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사시도들을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이한 상태들의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사시도들을 제공한다.
도 6a 및 도 6b는 상이한 상태들의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입면도들을 제공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원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변형 가능한 외부 하우징 표면들의 표면들의 예시도들을 제공한다.
도 8은 본원에 설명된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내부 보호 환경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특정 예들 및 구체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구체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결함을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에어로졸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증기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전자 증기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에어로졸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전자 에어로졸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및 유사한 용어들은 불연성 에어로졸 및 증기 공급 시스템들(불연성 흡연 물품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 흡연 물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가열 또는 다른 기술들, 예컨대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로부터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자 시가레트들 또는 e-시가레트들,
담배 가열 제품들과 같이 연소 없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로부터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들,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의 조합을 통해 에어로졸들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들,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겔 또는 고체 기재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들. 용어 "에어로졸"은 기체에 분산된 미립자 물질(고체 또는 액체)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용어 "증기"의 맥락에서, 에어로졸은 증기의 응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설명되는 양태들의 핵심이 아닌 한, 용어들 "증기" 및 "에어로졸"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는 일반적으로 생성된 에어로졸이 시스템을 빠져나가는 시스템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입술이 마우스피스와 맞물린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일부 구체예들에서 에어로졸의 흡입이 그러한 맞물림 없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분출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에어로졸 또는 증기 전달 시스템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로도 알려져 있는, 전자 시가레트와 같은 불연성 흡연 물품이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예를 들어, 히터, 피에조 시스템)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일부 구체예들에서 시스템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히터, 액체 또는 겔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 외부 하우징 및 마우스피스(이는 시스템에서 분리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기재 용기에 포함될 수 있다. 기재 용기는 히터(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와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에어로졸 또는 증기 전달 시스템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지만 연소하지 않음으로써 하나 이상의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제품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는 에어로졸화가능 기재 재료이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제품은 담배 가열 제품이다. 담배 가열 제품은 일반적으로 전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 및 고체 또는 겔 재료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제품은 또한 에어로졸화가능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불연성 에어로졸 또는 증기 공급 시스템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의 조합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공급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기재 및 고체 기재를 포함한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일부 구체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기재 및 담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또는 증기는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다양한 기재들로부터 생성되거나 방출될 수 있다. 이들은 증발을 유발하기 위한 가열, 화합물들을 방출하기 위한 가열, 및 액적들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 또는 겔의 진동을 포함한다.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재료들일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재료, 에어로졸화가능 기재, 에어로졸화가능 기재 재료, 또는 유사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재 재료는 고체, 액체 또는 겔일 수 있으며, 담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제 또는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내용의 구체예들은 사용 중에 함께 연결되는 2개의 분리가능 부품들, 즉 재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부품, 및 일회용 또는 단일 사용일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는 소모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10)은 외부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0)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0), 마우스피스(150)(이는 디바이스(100)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음), 전원(102),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 및 제어기(101)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0)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구(104)로부터 공기 배출구로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공기 배출구는 외부 하우징(11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마우스피스(150)가 디바이스(100)에 연결된 경우들에는 마우스피스(15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기류 경로는 기재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기류 경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에 동반되도록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한다. 시스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가 기류 경로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0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분리가능 마우스피스(15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영역은 단순히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이징된 공동일 수 있다. 영역(105)은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의 일부를 전형적으로 수용한다.
사용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디바이스(100) 내에 수용된다. 이후, 사용자는 마우스피스(이는 공기 배출구의 일부를 형성함)를 거쳐 디바이스를 통해 공기를 끌어들이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를 활성화한다. 제어기(101)에 의해 활성화를 감지하면, 제어기(101)는 전원(102)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지시한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기류 경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동반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일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들이 시스템 상태의 일부 양태들에 반응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배터리가 "낮은" 경우,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LED들이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플래싱(flashing)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시스템들은 구조적 구성이 비교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LED들 등과 같은 알림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지만, 이것들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보유하는 방식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마우스피스(150) 및 외부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은 제어기(101)가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디바이스(100)의 작동 파라미터가 달라질 때, 마우스피스 및 외부 하우징 중 하나(또는 둘 모두)의 일부분의 물리적 이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변화를 통지한다. 이것은 이동이 디바이스의 새로운 작동 상태와 더 관련된 디바이스의 구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구체예들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이것의 하나의 예시적인 예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가 그 작동 윈도우 밖의 온도, 예를 들어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가운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일 수 있다. 그러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101)는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가 사용자가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마우스피스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가 외부 하우징(110) 내의 위치로 후퇴될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100)가 더 이상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디바이스의 작동 파라미터가 달라졌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뿐만 아니라 마우스피스의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현재 실행되는 알림 형태들, 예를 들어 LED 플래싱을 통해서에 비해 틀림없이 개선된 상황인데, 왜냐하면 사용자가 그 플래싱을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리적 이동을 필요로 하여, 작동 상태 변화가 더 눈에 띈다. 일 구체예에서, 제어기는 작동 파라미터의 특정 변화에 응답하여 특정 이동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는 디바이스(100)의 작동 준비 상태와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작동 준비 상태"는 제어기(101)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수신시, 제어기(101)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에 전력을 보내도록 하는 상태에 있음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어기(101)는 "작동 준비"를 나타내지 않는 상태들 및 "작동 준비"를 나타내는 상태들을 취할 수 있다. "작동 준비"를 나타내지 않는 상태들의 예들은 제어기(101)가 꺼져 있거나(전원이 공급되지 않음), 저전력 모드(예컨대 절전 또는 대기)로 있거나 "잠금" 상태(이에 의해 활성화 입력들이 제어기(101)에 의해 효과적으로 무시됨)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 "작동 준비"를 나타내는 상태들의 예들은 제어기(101)가 켜져 있거나(전원이 공급됨), 더 높은 전력 모드(예컨대, 활성화)에 있거나, "잠금 해제된" 상태(이에 의해 활성화 입력들이 제어기(101)에 의해 작동됨)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특정 전력 프로파일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상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중 전력 프로파일 구성들 간의 전환은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상태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러한 상태들 중 다른 하나로 또는 "작동 준비"를 나타내지 않는 상태로의 전환은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서, 전환은 하나의 작동 준비 상태에서 다른 작동 준비 상태로의 전환이다. 일 구체예에서, 전환은 하나의 작동 준비 상태에서 작동 준비 상태가 아닌 상태로의 전환이다.
추가 구체예에서, 제어기(101)가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한다.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예를 들어, 히터), 전원(102)(예를 들어, 배터리), 마우스피스(예컨대, 마우스피스를 통한 기류 경로의 내부 표면), 외부 하우징(110)(예컨대, 외부 하우징(110)의 외부 표면) 및/또는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제어기(101))일 수 있다. 용이한 경우에, 정의된 온도 윈도우는 작동 목적들을 위해 허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제어기(101)는 허용된 온도 윈도우 안에서 온도 윈도우 밖으로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변화에 기초하여 이동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의 온도 윈도우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103)의 유형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유형에 의존할 것이다. 예시적인 윈도우는 그 아래에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의 휘발성 성분들의 증발이 효율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더 낮은 온도와 그 초과에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분해될 수 있는(예를 들어, 연소를 통해) 최대 온도로 구성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윈도우들은 100 내지 400℃, 150 내지 350℃, 또는 200 내지 350℃일 수 있다. 전원과 관련하여 적절한 온도 윈도우들은 해당 전원의 작동 및 안전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알고 있다. 기류 경로의 내부 표면과 관련하여 응축을 통해 형성된 에어로졸들은 일부 사용자들이 흡입하기 불편할 수 있는 잔류 열이 함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기류 경로 표면들의 온도 측정은 에어로졸의 온도에 대한 대용물 역할을 한다. 물론, 에어로졸의 온도는 직접 측정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의 온도는 디바이스의 '작동 파라미터'가 될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인 온도 윈도우들은 사용자의 요구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고 제어기(101)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의 외부 표면 및/또는 디바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제어기(101))에 대한 예시적인 온도 윈도우들과 관련하여, 당업자는 전자장치들의 안전한 작동 온도들 및 그 초과에서는 사용자의 손으로 외부 하우징(110)을 잡는 것이 불편하게 될 수 있는 온도들과 같은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온도는 모니터링할 구성요소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성요소들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자 온도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재료의 저항이 온도에 의존하는 경우, 전류가 재료를 통과할 때 그것의 저항에 기초하여 구성요소의 온도를 유추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저항을 모니터링하고, 그것의 저항의 변화들에 기초하여 구성요소의 온도를 추론하기에 적절한 전자장치들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알고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히터들의 온도를 측정하는 맥락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제어기(101)가 전원의 전원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한다. 전원의 전원 상태는 전원의 전압 상태, 전원의 노후화도(age) 및/또는 전원이 경험하는 충전 사이클들의 횟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원 상태가 허용 가능한 작동 윈도우 안에서 그 윈도우 밖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전압이 허용 가능한 수준 아래로 떨어질 수 있고, 전원이 요망하는 시간보다 더 오래 사용되었을 수 있고/거나, 재충전/방전 사이클들의 횟수가 전원의 성능이 손상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상태의 맥락에서, 윈도우는 전자 파라미터(전압, 전류 등), 시간 기반 파라미터(시간, 일 등), 또는 재충전/방전 사이클들에 기초한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윈도우들은 해당 전원 및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유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제어기(101)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태 변화는 디바이스 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존재(또는 부재),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노후화도, 및/또는 디바이스 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식별 특성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이것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물리적 파라미터, 예컨대 그것의 특정 성분 함량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예컨대, 열)로부터의 에너지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변색될 수 있다. 이 변색은 광학 센서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색상에 대해 설정된 허용 가능한 작동 윈도우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감지된 색상이 허용 가능한 윈도우 밖에 있도록 달라지는 경우, 이는 제어기가 마우스피스/외부 하우징(또는 이의 일부분)의 이동을 지시하게 하는 트리거(trigger) 역할을 할 수 있다. 적합한 광학 센서들은 예를 들어 MICRO-EPSILON, UK & Ireland Ltd.로부터 입수 가능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10)에는 디바이스(110) 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없음 포함)을 감지하는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센서들(예를 들어, 기재를 통한 광 흡수도를 통해 기재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광학 센서들)을 통해, 또는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에 가해진 냉각 부족으로 인한 기재의 부재를 추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103)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에 대한 에너지 싱크로 작용한다. 그러한 에너지 싱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재가 없는 경우,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의 파라미터, 예컨대 그것의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 증가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의 온도 또는 실제로 광학 센서의 출력에 대해 허용 가능한 작동 윈도우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101)가 허용 가능한 작동 윈도우 안에서 윈도우 밖으로(또는 그 반대로)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외부 하우징(110)(또는 이의 일부분들)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노후화도, 및/또는 디바이스 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식별 특성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1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식별자를 모니터링하고 얼마나 오래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가 디바이스에 있었는지/어떤 유형의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가 존재하는지를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분명히, 다양한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들에 대해 허용 가능한 "노후화도" 윈도우가 설정될 수 있고, 당업자는 특정 기재들에 대해 노후화도 윈도우가 상응하게 설정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재료가 그 기재에 대한 허용 가능한 윈도우 밖에 있는 기간 동안 디바이스(110)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어기(101)는 마우스피스(150)/외부 하우징(110)(또는 이의 일부분들)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별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유형(예컨대, 향미, 제조업체, 브랜드 등)과 관련된 경우, 제어기(101)는 식별자의 변화를 감지하고 마우스피스(150)/외부 하우징(110)(또는 이의 일부분들)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식별자는 RFID 칩, 또는 센서에 의해 쉽게 감지될 수 있는 다른 식별자를 통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존재할 수 있다.
추가 구체예에서, 제어기(101)가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한다.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상태 변화에는 전원과의 연결 무결성,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노후화도,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누적 활성화 기간,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전기적 특성 및/또는 또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활성화들의 누적 횟수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상태들 각각은 제어기(10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작동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와 전원의 전기적 연결의 무결성 및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전기적 특성을 위해, 제어기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걸쳐 허용 가능한 전압 윈도우를 확인할 수 있다. 감지된 전압(또는 V=IR에 기초한 유사한 파라미터)이 윈도우 밖에 있는 경우(부적절한 연결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너무 높은 저항을 의미함), 이후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노후화도 및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누적 활성화 기간(둘 모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한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에 대해, 제어기(101)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가 장치에 존재했던 시간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가 겪었던 활성화들의 횟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10)로의 삽입 및 후속 활성화시 센서, 예를 들어, RFID 칩, 바코드 등에 의해 판독 가능한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의 고유 식별자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1)가 디바이스(110)의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기(10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마우스피스(150) 및/또는 외부 하우징(110)의 이동을 지시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은 마우스피스(150) 또는 외부 하우징(110)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의 회전 및/또는 평행이동(translatio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150)(또는 이의 일부분)는 첫 번째 위치에서 두 번째 위치로 평행이동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마우스피스(150)(또는 이의 일부분)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마우스피스의 이동은 회전 및 평행이동들 둘 모두, 예를 들어 나사식 회전작용(screwing action)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위치에서 마우스피스(150)의 대부분은 외부 하우징(110) 너머로 연장되고, 제2 위치에서 마우스피스(150)의 대부분은 외부 하우징(110) 내에 포함된다. 이것은 마우스피스에 대한 접근이 예를 들어 다음의 결과로 제한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온도 변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부재
전원의 전력 감소
특정 유형들(오래되었거나, 사용되었거나, 인증되지 않은 유형들 포함)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 및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의 삽입.
추가로, 및 선택적으로 마우스피스(150)(또는 이의 일부분)의 이동과 함께 외부 하우징(110)의 일부분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평행이동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외부 하우징(110)의 일부분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110)의 일부분은 디바이스의 어퍼쳐(aperture)(예컨대,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110)의 상기 일부분은 디바이스의 어퍼쳐(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마우스피스(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삽입이 예를 들어 다음의 결과로 방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상태 변화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온도 변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부재
전원의 전력 감소
특정 유형들(오래되었거나, 사용되었거나, 인증되지 않은 유형들 포함)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들 및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의 삽입.
제어기는 제어기가 2, 3, 4, 5개 이상의 디바이스의 작동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마우스피스 및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의 이동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러 작동 파라미터들에 걸쳐 변화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합하여 특정 디바이스의 고도로 맞춤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 및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의 이동은 특정 상황들에서의 사용 제한 이외의 이유들로 사용자가 원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마우스피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특정 유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응답하여 마우스피스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그 기재의 특정 구성요소들이 다른 기재들보다 덜 가열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멘톨이 기재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어기가 (식별자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마우스피스를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서 더 멀리 이동시켜 기재로의 온도 전달을 줄이고 기재 내 멘톨의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바이스를 통한 기류가 작동 윈도우 밖의 온도에 있다는 것을 디바이스가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 하우징(110)의 일부분은 더 많은 공기 유입구를 드러내도록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를 통한 더 많은 양의 기류를 허용함으로써 더 시원한 에어로졸을 공급할 수 있다(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된 동일한 열에 대해 더 많은 양의 공기가 있기 때문에).
마우스피스/외부 하우징(또는 이의 일부분들)의 이동은 다양한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기억 재료들, 바이메탈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스트립들 또는 라미네이트들)을 통해 또는 액추에이터(전자 액추에이터들 또는 기계적 액추에이터들, 예를 들어, 스프링 바이어스 덮개들)를 통해서이다.
형상 기억 재료들과 관련하여, 적절한 예들은 형상 기억 합금들, 형상 기억 폴리머들, 형상 기억 세라믹들 및 형상 기억 겔들을 포함한다. 형상 기억 재료들은 재료의 결정 구조의 변화(형상 기억 합금의 맥락에서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화로 인해 형상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 구조의 변화는 온도 변화의 결과로 유도되지만, 빛을 통하거나 재료를 통해 전류를 통과시키는 것과 같은 구조 변화를 유도하는 다른 방식들이 가능하다. 형상 기억 재료들은 형상 변화가 비가역적인 "한방향(one-way)" 또는 형상 변화가 가역적임을 의미하는 "양방향(two-way)"으로 분류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들의 재료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들이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에서 예상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재료의 다양한 형상들 또는 형태들 사이의 전환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통해 전류를 통과시켜 생성될 수 있는 열에 의해 작동된다. 형상 기억 폴리머들 또는 세라믹들의 경우, 전기 전도성 입자들이 재료에 통합되어 재료를 통한 전류 흐름으로 인한 줄(Joule) 가열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형상 기억 재료를 교류 자기장에 배치함으로써 유도를 통해 재료에 열이 유도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대안적으로, 형상 기억 재료는 열원으로부터 복사된 열이 형상 기억 재료의 온도를 그 전이 온도 초과로 증가시킬 때 이동이 발생하도록 디바이스 내의 열원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열원은 통상적인 히터일 수 있거나 적외선 광원일 수 있다. 열원을 제거한 후, 재료는 "양방향" 재료인 경우 그것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것이다. 형상 기억 재료를 그것의 원래 위치(제1 위치)로 되돌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유도된 온도가 재료에서 소산되거나 소산될 수 있는 비율에 따라 다르다. 요망하는 경우, 재료는 래치들 등을 통해서와 같이 그것의 원래 형상/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이는 구성요소의 온도가 초과된 경우 디바이스를 잠그는 수단들로 유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한방향"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이 무기한 방지될 수 있다. 이것은 탬퍼링의 경우들(인증되지 않은/오래된 에어로졸 형성 구성요소들의 삽입 등에 의해서와 같은)에 중요할 수 있다.
다른 형상 기억 재료들은 온도와 같은 다른 형상 전환 조건들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재료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당업자는 적절한 형상 기억 재료들이 요구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내의 특정 적용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형상 기억 합금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문헌("Shape memory alloys: a state of art review", Naresh et al, IOP Conf.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49 (2016) 012054)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 내용들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형상 기억 폴리머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문헌("Shape memory polymers", Behl et al, Materials today, pages 20-28, volume 10, issue 4, April 2007)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 내용들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일 구체예에서, 형상 기억 재료는 40℃ 초과, 50℃ 초과, 60℃ 초과, 70℃ 초과, 80℃ 초과, 90℃ 초과, 100℃ 초과의 전이 온도를 갖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서, 형상 기억 재료는 500℃ 미만, 450℃ 미만, 400℃ 미만, 350℃ 미만, 300℃ 미만, 250℃ 미만, 200℃ 미만의 전이 온도를 갖는 재료들로부터 선택된다. 적절한 형상 기억 합금의 예는 니티놀이다. 형상 기억 합금의 전이 온도는 합금 성분들/성분들의 비율을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티놀 SM495의 전이 온도는 50 내지 80℃인 반면, 니티놀 SM500의 전이 온도는 30 내지 50℃이다. 당업자는 요망하는 전이 온도들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재료들을 선택할 수 있다.
작동과 관련하여, 이것은 마우스피스/외부 하우징의 각 일부분들에 연결된 전기 모터들을 통해 달성되어 그 일부분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편향된 액추에이터들(예를 들어, 래치된 스프링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기에 의한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를 감지한 후 편향된 상태에서 해제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추에이터들 자체는 형상 기억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구체예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20)은 외부 하우징(2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200)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200), 및 마우스피스(250)(이는 디바이스(200)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 또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200)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구(204)(보이지 않음)로부터 마우스피스(250)의 일부로서 형성된 공기 배출구(251)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도 2b는 시스템(20)의 단부도를 도시한다. 공기 유입구(204)가 보인다. 외부 하우징(210)은 이동가능 부분(211)을 포함하며, 이 부분은 이 구체예에서 이동가능 패널(이의 정확한 형상은 중요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동가능 부분(211)은 디바이스(200)의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1 위치(A)에서 제2 위치(B)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211)의 이동의 결과로, 공기 유입구(204)가 덮이게 된다. 이것은 공기 유입구를 덮는 것이 기류 경로에서 가능한 기류/압력 변화를 방지(또는 적어도 감소)시키기 때문에 기류 경로 내의 압력 또는 기류의 변화를 통해 활성화되는 시스템들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기는 압력/기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생성이 시작되지 않을 것이다(또는 중단/조절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구체예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30)은 외부 하우징(3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300)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300), 및 마우스피스(350)를 포함한다(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 또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300)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구(304)(보이지 않음)로부터 마우스피스(350)의 일부로서 형성된 공기 배출구(351)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이 구체예에 따르면, 마우스피스(35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위치는 마우스피스(350)가 외부 하우징(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장된 위치에 있는 위치일 수 있고(도 3a에 도시됨), 제2 위치는 마우스피스(350)가 외부 하우징(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도 3b에 도시되어 있으며, 마우스피스(350)가 더 이상 보이지 않으므로, 마우스피스(350)는 외부 하우징(310) 내로 후퇴된 상태임). 따라서, 디바이스(300)의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마우스피스(350)의 이동의 결과로서, 디바이스 형상/접근성의 물리적 변화를 통해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위치는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상대적으로 연장된 위치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구체예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40)은 외부 하우징(4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400)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400), 및 마우스피스(450)를 포함한다(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 마우스피스(450)는 디바이스(400)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 따르면, 마우스피스(45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위치는 마우스피스(450)가 외부 하우징(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장된 위치에 있는 위치일 수 있고(도 4a에 도시됨), 제2 위치는 마우스피스(450)가 외부 하우징(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마우스피스(450)는 도 4b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마우스피스(450)가 외부적으로 더 이상 보이지 않으므로, 외부 하우징(410) 내로 후퇴된 상태임). 따라서, 디바이스(400)의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마우스피스(450)의 이동의 결과로서, 디바이스 형상/접근성의 물리적 변화를 통해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위치는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상대적으로 연장된 위치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대안적인 예시적 구체예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50)은 외부 하우징(51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500)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500), 및 마우스피스(550)(디바이스(500)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 또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500)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구(504)(보이지 않음)에서 공기 배출구(551)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기류 경로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510)은 이동가능 부분(511)을 포함하며, 이는 이 구체예에서 이동가능 패널(이의 정확한 형상은 중요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이동가능 부분(511)은 디바이스(500)의 작동 파라미터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1 위치에서(도 5a에 도시됨) 제2 위치(도 5b에 도시됨)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511)의 이동의 결과로, 공기 배출구(504)가 덮이게 된다. 이 구체예에서 공기 배출구가 분리가능 마우스피스(미도시됨)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가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들에서 디바이스와 마우스피스의 결합을 방지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와 디바이스의 결합을 방지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을 제한한다. 물론, 제1 위치에서는 공기 배출구(504)가 덮이고 제2 위치에서는 공기 배출구(504)가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들에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이 제공되며, 디바이스는 전원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시스템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변형 가능한"은 외부 하우징의 표면 상의 두 지점들 사이의 거리 및/또는 표면 각도가 달라질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 일부분의 프로파일이 수정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단일 표면, 또는 대안적으로 표면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들에 의해 분리된 다중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이 단일 표면을 포함하는 경우, 변형은 표면 스트레칭, 압축 및/또는 벤딩을 포함한다. 적합한 표면들의 예들은 열가소성 재료들, 형상 기억 재료들, 유연성 재료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단성 재료들로 형성된 표면들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재료들의 경우, 재료는 사용자의 피부 온도 또는 그 부근에서 변형되는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외부 하우징을 잡을 수 있고 외부 하우징의 표면을 요망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한 구체예는 단일 형상의 외부 하우징이 제조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사용자는 이에 따라 인간 공학에 기초하여 외부 하우징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표면이 형상 기억 재료(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아), 가단성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또는 유연한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시트)로 형성된 경우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체예의 예시적인 예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서, 지점 A 및 지점 B는 외부 하우징(610)의 표면 상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점 B가 놓이는 하우징(610)의 일부분은 지점 A가 놓이는 하우징의 일부분에 대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점 B에서 사용자 지시 압력(예를 들어, 그리핑)의 결과로, 외부 하우징이 변형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이 다중 표면들을 포함하는 경우, 표면의 두 지점들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들로 분할된다. 전형적으로, 가요성 연결은 힌지(hinge), 볼(ball)과 소켓(socket), 피벗(pivot), 글라이딩(gliding), 새들(saddle) 및/또는 평면 조인트(planar joint)와 같은 조인트이다. 그러나, 다른 표면에 대해 한 표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을 갖는 가요성 멤브레인과 같은 다른 가요성 연결들이 예상된다(웨빙과 유사함). 이 구체예에서, 가요성 연결이 서로에 대한 표면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변형될 표면들 자체의 능력은 덜 중요하다(배제되지는 않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은 변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표면 또는 표면들의 집합체로서 견고하고 변형 불가능한 하우징들과 관련된 구조적 무결성이 부족할 수 있다. 그 결과, 일 구체예에서 디바이스는 외부 하우징을 지지하고 그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내부 골격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구체예들에서, 골격의 지지 부분들은 재구성가능할 수 있는 반면, 지지 골격의 다른 부분들은 재구성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이 단일 표면(예를 들어, 실리콘 시트) 또는 다중 표면들로 형성되는 일 구체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그 일부분에서 변형될 표면들은 하나 이상의 지지 암들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암은 사용자 지시 힘(예를 들어, 그리핑)에 응답하여 연장, 후퇴 및/또는 회전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 표면의 아래쪽에 대해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는 외부 하우징의 변형 가능한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지지 암)의 예시도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7a는 지지 부분(760)에 의해 지지되는 변형 가능한 외부 하우징 표면(710)을 도시한다. 이 특정 예에서, 지지 부분(760)은 볼 및 조인트 연결을 통해 디바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연장 가능한 섹션(761)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 표면(710)의 밑면과 지지 부분(760) 사이의 접촉은 외부 하우징 표면(710)에 가해진 압력을 분배하는 원형/평탄화된 플레이트(76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암들의 이동은 자동화에 의해, 예를 들어 지지 암을 자동으로 연장, 후퇴 및/또는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짐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지지 암들은 유압식으로 및/또는 기계식으로(예를 들어, 나사산들/랙(rack)과 피니언(pinion)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추가 예에서, 변형 가능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지지 부분들(760)에 의해 지지된다. 이 특정 예에서, 변형 가능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가요성 연결(780)에 의해 결합된 다중 표면들(710)로부터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작동에 필수적인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전원, 제어기 등)은 디바이스 내의 보호된 환경 내에 위치한다. 즉, 디바이스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의 변형이 내부 구성요소들의 파손 또는 기능적 손상을 가져오지 않는다. 이것은 구성요소들이 위치하는 가요성 공간을 정의하는 보호 환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호 환경은 외부 하우징 내의 고정된 공간 체적일 수 있고, 외부 하우징은 체적이 감소되는 정도로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디바이스(80)를 도시하며, 이에 의해 내부 구성요소들(C)은 보호 환경(890)(가요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에 위치되고 외부 하우징(810)은 변형 가능하지만, 변형될 때 보호 환경의 부피가 감소되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는 작동 상태(예를 들어, 켜짐/꺼짐, 대기, 활성)도 물리적 상태(예를 들어, 덮개 열림 닫힘, 스위치/버튼 이동)도 외부 하우징(또는 이의 일부분)의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이 외부 하우징의 변형이 사용자 정의 상태에 연결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은 제조 후 특정 형상을 취하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제어기는 사용자 선호도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외부 하우징 프로파일 형상들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선호도들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에 삽입된 특정 향미 또는 유형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연관될 수 있다.
제어기에 대한 접근 및 이에 따른 외부 하우징 프로파일 형상들의 선택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제어기에 연결된 전화 또는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요망하는 외부 하우징 형상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 표면(들)을 변형시키도록 후퇴/연장 등을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지 암들을 구동함으로써, 그리고/또는 형상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형상 기억 재료로 형성된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을 통해 전류를 보냄으로써 변형을 지시할 것이다.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어기는 또한 특정 외부 하우징 형상을 감지하고 이를 특정 사용자와 연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특정 사용자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는(또는 사용할 것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외부 하우징을 그 사용자와 연관된 저장된 외부 하우징 프로파일로 변형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식별은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의 생체 식별을 통해,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페어링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쟁점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구체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구체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에 불과하고, 여기에만 국한되고/거나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이들을 교시하기 위해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구체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구체예들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과 다른 조합들로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7)

  1.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외부 하우징, 마우스피스, 전원,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및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이 상기 제어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들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준비 상태, 상기 디바이스 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온도, 상기 전원의 전원 상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태,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상태로부터 선택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준비 상태가, 상기 디바이스가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 더 높은 전력 모드에 있는지 또는 더 낮은 전력 모드에 있는지, 그리고/또는 잠겨 있는지 또는 잠금 해제되어 있는지를 상기 제어기가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상기 온도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상기 전원, 상기 마우스피스, 상기 외부 하우징, 상기 에어로졸 생성 기재,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를 통한 기류의 온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상기 전원 상태가 상기 전원의 전압 상태, 상기 전원의 노후화도(age), 및/또는 상기 전원에 의해 경험되는 충전 사이클의 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기 상태가 상기 디바이스 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존재, 상기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양, 상기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노후화도,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 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식별 특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상기 상태가 상기 전원과의 연결 무결성,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노후화도,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누적 활성화 기간,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의 활성화들의 누적 횟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이 상기 제어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파라미터들 중 2개, 3개, 4개, 5개 이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한,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마우스피스에 및/또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 및/또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동이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전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외부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가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재료가 형상 기억 합금, 형상 기억 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이동이 상기 외부 하우징을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부분의 이동이 상기 마우스피스 전체에 대한 상기 마우스피스의 그 일부분의 회전 및/또는 평행이동(translation)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부분의 이동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마우스피스 전체의 회전 및/또는 평행이동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작동 파라미터의 특정 변화에 응답하여 특정 이동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8.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원을 둘러싸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부분은 상기 시스템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일부분이 단일 표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일부분이 다중 표면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형상 기억 재료, 열가소성 재료, 가단성 재료 및/또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일부분이 상기 일부분에 가해지는 압력 및/또는 온도의 변화에 응답하여 변형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변형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변형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일부분이 상기 시스템 내의 제어기에 의해 감지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변형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 상의 센서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유도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기류 센서, 대기압 센서, 생체 인식 센서, 터치 텐서,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및/또는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태블릿 또는 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어기와의 연결이 무선인,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KR1020227011165A 2019-09-06 2020-09-04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KR20220056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12834.7A GB201912834D0 (en) 2019-09-06 2019-09-06 Aerosol delivery system
GB1912834.7 2019-09-06
PCT/GB2020/052116 WO2021044152A1 (en) 2019-09-06 2020-09-04 Aerosol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233A true KR20220056233A (ko) 2022-05-04

Family

ID=682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165A KR20220056233A (ko) 2019-09-06 2020-09-04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69722A1 (ko)
EP (1) EP4025083A1 (ko)
JP (1) JP7312909B2 (ko)
KR (1) KR20220056233A (ko)
CA (1) CA3153219A1 (ko)
GB (1) GB201912834D0 (ko)
WO (1) WO20210441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735B1 (en) * 2015-05-04 2018-04-10 Bonvi Water, Inc. Electronic cigarette
GB201517088D0 (en) *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and methods
WO2017182976A1 (en) * 2016-04-22 2017-10-26 Resolve Digital Health Inc. An inha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MX2018012723A (es) * 2016-04-29 2019-01-31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dispositivo de retroalimentacion visual.
GB201607474D0 (en) 2016-04-29 2016-06-1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of heating a smokable material
JP7317836B2 (ja) * 2017-12-28 2023-07-3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表面が変化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9722A1 (en) 2022-11-24
WO2021044152A1 (en) 2021-03-11
EP4025083A1 (en) 2022-07-13
JP2022546724A (ja) 2022-11-07
CA3153219A1 (en) 2021-03-11
GB201912834D0 (en) 2019-10-23
JP7312909B2 (ja)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2054B2 (ja) 低温電子気化デバイスおよびその方法
US11992607B2 (e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EP3210480B1 (e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temperature control
EP3478101B1 (en) Battery powered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temperature dependent battery pre-heating
EP3273809B1 (en) Heater management
JP7018318B2 (ja) 固体エアロゾル発生源を実装する加熱装置を含む電子喫煙物品、ならびに関連付けられる装置及び方法
KR102576942B1 (ko) 타간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전기 작동식 시스템
AU2018347775B2 (en) Vapour provision systems
US11682946B2 (e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al generator assembly
KR10248549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044363A1 (en) Smoking set
US20220287375A1 (e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an interface element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CN114745983A (zh) 气溶胶产生装置、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控制器、控制气溶胶产生装置的方法
KR20220056233A (ko)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
JP2024510118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CN115279218A (zh) 气溶胶产生装置、方法及其控制电路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