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09A - 직기 - Google Patents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09A
KR20220056109A KR1020210126257A KR20210126257A KR20220056109A KR 20220056109 A KR20220056109 A KR 20220056109A KR 1020210126257 A KR1020210126257 A KR 1020210126257A KR 20210126257 A KR20210126257 A KR 20210126257A KR 20220056109 A KR20220056109 A KR 20220056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ring structure
shaft
loom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묘기
다이고 야마기시
고이치 다무라
가즈야 야마
Original Assignee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03D49/025Ground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어 요동(搖動) 구동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양 지지축에 연결됨으로써 지지축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샤프트와, 로킹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구조체와,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면인 장착면을 포함하고 또한 짜는 폭(織幅) 방향에 걸쳐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직기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하고 또한, 작업자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급적 경감하기 위하여,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도록 한 직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착면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지지체가,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을 가진다.

Description

직기{LOOM}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어 요동(搖動) 구동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양 지지축에 연결됨으로써 지지축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샤프트와, 로킹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구조체와,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면인 장착면을 포함하고 또한 짜는 폭(織幅) 방향에 걸쳐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직기(織機)에 관한 것이다.
직기는, 주축(主軸)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 구동되는 한 쌍의 지지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지지축은, 직기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그 일단부가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짜는 폭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 지지축에는, 바디치기 장치에서의 로킹 샤프트가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로킹 샤프트는, 한 쌍의 지지축 사이에서 가설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로킹 샤프트는, 이와 같이 지지축 사이에 가설된 상태로, 베어링을 통하여 베어링 구조체에도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베어링 구조체는, 짜는 폭 방향에 걸쳐 연장하도록 설치된 지지체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베어링 구조체를 구비한 직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직기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중간지지장치)는, 직기에서의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가설되는 형태로 짜는 폭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빔에 장착된 플레이트에 탑재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베어링 구조체는, 베어링을 구성하는 축지지부로서의 베어링 홀더 및 베어링 커버와, 그 축지지부를 지지하고 또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기부(基部)로서의 L자형의 브래킷(bracke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336669호 공보
그런데, 로킹 샤프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연결된 지지축의 축심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 구동된다. 이 때문에, 로킹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그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축지지부의 베어링의 중심은,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지지축의 축심과 거의 일치한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에, 베어링 구조체는,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때의 그 초기의 상태가, 예를 들면, 상하 방향에 관하여, 직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장착될 때의 플레이트와 지지축의 축심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링 구조체는, 그 초기 상태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탑재되는 면(탑재면)과 베어링의 중심의 위치 관계가 상기한 지지축 측의 위치 관계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베어링 구조체가 설치되는 빔이나 플레이트는 장척(長尺)의 부재이므로, 그 자체에 길이 방향에 걸쳐 휨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에 구성된 베어링 구조체를 그대로 플레이트 상에 설치한 경우에는, 베어링의 중심과 지지축의 축심은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일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에, 특허문헌 1의 베어링 구조체는, 축지지부가 그 축지지부를 지지하는 기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의 베어링 구조체를 플레이트 상에 설치한 후에,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베어링의 중심이 지지축의 축심에 일치하도록, 기부에 대한 축지지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그러나, 베어링 구조체가 설치되는 위치는, 짜는 폭 방향에 관하여, 지지축으로부터 크게 이격된 위치이므로, 이와 같이 베어링의 중심을 지지축의 축심에 맞추는 작업은, 매우 어렵고, 품이 드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그 조정 작업은, 시간이 걸리고 또한, 작업자에게 있어서 큰 부담이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한 기부와 축지지부를 조합한 형태로 베어링 구조체를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베어링 구조체의 구성의 복잡화를 초래하는 문제도 생기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베어링 구조체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하고 또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가급적 경감하고자, 상기한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직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직기를 전제로 하고, 상기한 장착면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지지체가,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축지지부와, 장착면에 장착되는 기부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로서 성형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의하면, 지지체가,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체는, 이와 같이 장착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위치 조정면을, 장착면보다 지지축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체가 그렇게 구성된 직기에 의하면, 그 지지체는, 위치 조정면이 장착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게 형성된 면이므로, 그 위치 조정면과 장착면의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이와 같이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조정면과 장착면의 위치 관계 및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상기 탑재면과 베어링의 중심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위치 조정면과 지지축의 위치 관계를 결정한다. 또한, 위치 조정면과 지지축이 이와 같이 정해진 위치 관계가 되도록 지지체를 직기 상에 배치함으로써, 그 지지체의 장착면에 설치된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베어링의 중심은,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그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축의 축심과 위치가 일치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직기의 조립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부담도 가급적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베어링 구조체를, 베어링이 설치되는 축지지부와 장착면에 장착되는 기부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단일 구조체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베어링 구조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면, 종래와 같은 복수 부분의 조합에 의해 베어링 구조체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어링 구조체 자체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일 구조체로 하면, 베어링 구조체 전체의 강성(剛性)이 향상하고, 직기의 고속 운전에도 보다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에서의 직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에서의 직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에서의 직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도 3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일실시형태(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기에 있어서, 프레임(1)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을 주체로 하고, 그 양 사이드 프레임(2, 2)이 4개의 빔재(3a, 3b, 3c, 3d)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에 있어서는, 그 직기의 전후 방향에서의 한쪽(후방 측)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는 형태로, 경사(warp threads) T를 보내기 위한 경사 빔(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다른 쪽(전방 측)에는, 제직(製織)된 직포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빔(8)이,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4개의 빔재에 대하여,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권취 빔 측(8)에 배치되는 빔재(3a, 3b)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a)가 소위 프론트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b)가 소위 프론트 바텀 스테이이다. 또한,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경사 빔(6) 측에 배치되는 빔재(3c, 3d)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c)가 소위 리어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d)가 소위 리어 바텀 스테이이다.
그리고,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그 양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a1, 3c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톱 스테이(3a)에서의 양 플랜지(3a1, 3c1)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그 위치가 일치하도록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리어 톱 스테이(3c)에서의 양 플랜지(3c1, 3c1)도, 리어 톱 스테이(3c)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그 위치가 일치하도록 리어 톱 스테이(3c)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각 플랜지(3a1, 3c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삽통(揷通)된 고정용 볼트가 사이드 프레임(2)에 나사로 삽입되는 형태로, 각 사이드 프레임(2, 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의 빔재이며, 그 양 단부에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단벽(端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도, 각 단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사이드 프레임(2)에 나사 삽입되는 형태로, 각 사이드 프레임(2, 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있어서, 주축(도시 생략)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축(20)과, 주축(주축을 구동하는 구동축(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 구동되는 지지축(2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축(20) 및 지지축(22)은,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하여 그 후방 측(경사 빔(6) 측)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지지축(22)은,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존재 범위 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구동축(20)은, 그 지지축(2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축(20) 및 지지축(22)은, 그 일단부가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2, 2)으로부터 짜는 폭 방향에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바디(11)를 요동 구동하는 바디치기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바디치기 장치(10)에 있어서는, 바디(11)이 슬레이(12) 및 슬레이 소드(13)를 통하여 로킹 샤프트(1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로킹 샤프트(14)는,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축 부재를 그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킹 샤프트(14)는,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축(22, 22)에 대하여 커플링 부재(24, 2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로킹 샤프트(14)는,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2, 2)에 있어서, 양 지지축(22, 22) 사이에 가설되는 형태로, 짜는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디치기 장치(10)에 있어서는, 로킹 샤프트(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지지축(22)에 연결됨으로써 양 지지축(22, 22)에 지지되는 것에 더하여, 그 지지축(22, 22) 사이에 있어서도,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지지된 베어링 구조체(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구조체(30)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에 장착됨으로써, 그 지지 플레이트(4)를 통하여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에는, 판형의 지지 플레이트(4)가 고정되어 있다. 그 지지 플레이트(4)는, 판 두께 방향으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판재로서, 그 판 두께 방향에서의 양단면의 장변(長邊)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프레임(1)에서의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그 단변(短邊) 방향에서의 치수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치수보다 큰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4)는, 상기 장변 방향을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길이 방향(=짜는 폭 방향)과 일치시킨 방향으로, 상기 양 단면의 한쪽을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하면와 맞닿게 하는 형태로,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지지 플레이트(4)에서의 상기 한쪽의 단면은, 직기 상에서 위쪽을 향하는 면(상면)이 된다.
다만, 그 지지 플레이트(4)의 고정은,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하여, 그 상기 단변 방향에서의 일단 측의 사이드 에지를,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전방 측(권취 빔(8) 측)의 끝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4)는, 이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후방 측(경사 빔(6)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나아가서는, 지지 플레이트(4)는, 이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에 관하여, 지지축(2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구동축(20)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4)의 고정은, 예를 들면, 나사 부재(볼트 등)를 사용한 장착, 혹은 용접에 의한 고착(固着) 등의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베어링 구조체(30)는, 로킹 샤프트(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4a)을 가지고 있고, 그 베어링(34a)을 내장하는 축지지부(34)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구조체(30)는, 그 축지지부(34)가 세워져 설치되고 또한, 지지 플레이트(4)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부(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구조체(30)는, 그 기부(32) 및 축지지부(34)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로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베어링 구조체(30)는, 기부(3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지지 플레이트(4)에 나사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4)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장착은, 지지 플레이트(4)(상기 상면) 상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고, 그 상기 상면에서의 베어링 구조체(30)의 장착 위치(부분)가, 지지 플레이트(4)에서의 장착면(4a)이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로킹 샤프트(14)를 지지축(22, 22) 사이에서의 2개소에서 지지하도록, 베어링 구조체(30)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 플레이트(4) 상에는, 베어링 구조체(30)가 장착되는 장착면(4a)이 2개소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베어링 구조체(30)가 장착되는 장착면(4a)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4) 및 지지 플레이트(4)가 고정되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조합이, 본 발명에서 일컫는 지지체가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직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장착면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그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지지체에서의 지지 플레이트(4)가, 상기 장변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면 상에 양 장착면(4a, 4a)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4b, 4b)을 가지도록 형성된 예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4)에서의 각 장착면(4a)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면에서의 각 베어링 구조체(30)가 장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범위가, 그 주위의 부분보다 오목하도록 절결되는 형태로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오목한 부분의 바닥면(4a)이, 베어링 구조체(30)를 위한 장착면이 되어 있다. 또한, 그 양 장착면(4a, 4a)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장착면(4a, 4a)은, 상기 지지체가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장착된 상태(장착 상태)에 있어서, 그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높이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그 장착 상태는, 양 장착면(4a, 4a)이 지지축(22)의 축선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가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장착된 상태이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4)의 상기 장변 방향에서의 양 단부(지지축(22)의 근방의 부분)에 있어서는, 그 상기 상면 상의 프론트 톱 스테이(3a)보다 후방 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그 주위의 부분보다 오목하도록 절결되는 형태로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그 양 오목한 부분의 바닥면(4b, 4b)은, 상기한 양 장착면(4a, 4a)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 일컫는 위치 조정면이 되어 있다. 또한, 그 양 위치 조정면(4b, 4b)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위치가 서로 일치하고 또한, 양 장착면(4a, 4a) 모두 상기 높이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지지 플레이트(4)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장착 상태에서의 듀얼 베어링 구조체(30, 30)의 베어링(34a, 34a)의 중심을,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양 지지축(22, 22)의 축심과 일치한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의 각 베어링 구조체(30)는, 상기와 같이 단일 구조체로서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베어링 구조체(30)가 장착면(4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장착면(4a)으로부터 베어링(34a)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미리 결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 장착면(4a, 4a)과 양 위치 조정면(4b, 4b)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 위치 조정면(4b, 4b)으로부터 양 지지축(22, 22)의 축심까지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리를 상기한 장착면(4a)으로부터 베어링(34a)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맞춤으로써,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듀얼 베어링 구조체(30, 30)의 베어링(34a, 34a)의 중심이 지지축(22)의 축심과 일치한 상태로 된다. 이에,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대하여 상기 지지체를 장착할 때, 양 위치 조정면(4b, 4b)과 양 지지축(22, 22)의 축심의 위치 관계(거리)를 이와 같이 맞추는 형태로 그 장착을 행함으로써, 듀얼 베어링(34a, 34a)의 중심과 양 지지축(22, 22)의 축심을 짜는 폭 방향으로 볼 때 일치시킨 상태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일실시형태 (이하, 「상기 실시예」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변형예)에서의 실시도 가능하다.
(1) 위치 조정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체에서의 지지 플레이트(4)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있어서, 그 상기 상면 상의 일부분이 오목하도록 절결되는 형태로 가공되어 있고, 그 오목한 부분의 바닥면(4b, 4b)이 위치 조정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양 위치 조정면(4b, 4b)은,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30, 30)를 위한 장착면(4a, 4a)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또한, 상기 높이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 조정면은, 장착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면이면 되고, 상기 장착 상태에서의 상기 높이 위치가 장착면에 대하여 일치하도록 형성된 면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경우에서의 양 사이드 프레임에 대한 상기 지지체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우선은, 위치 조정면과 장착면의 상기 높이 위치를 미리 구한다. 또한, 그 양면의 상기 높이 위치의 차이, 및 미리 구해진 장착면과 베어링 구조체에서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로부터, 베어링의 중심과 지지축의 축심이 일치하는 위치 조정면과 지지축의 축심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그리고, 위치 조정면과 지지축의 축심 사이의 거리가 그 구해진 거리가 되는 상기 지지체의 위치가, 그 상기 지지체의 장착 위치가 된다.
또한, 위치 조정면은, 지지 플레이트(4)에서의 상기 상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위치 조정면은, 지지 플레이트(4)의 양 단부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4) 상의 장착면(4a)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직기 상에 있어서 아래쪽을 향하는 면(하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위치 조정면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체에서의 빔재의 양 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상측면 혹은 하측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위치 조정면은,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은 지지 플레이트나 빔재의 한쪽의 단부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체의 장착은, 지지축의 축심에 대한 위치 조정면의 위치를, 미리 구해진 지지축의 축심과의 사이의 거리가 되는 위치에 맞추는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위치 조정면의 위치를 맞추는 대상이 되는 부분은, 상기한 지지축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직기 상에서의 특정한 부분(예를 들면, 사이드 프레임 등)으로 해도 된다. 다만, 그 직기 상에서의 특정한 부분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위치 조정면과 평행을 이루는 부분이 된다.
(2) 장착면을 포함하는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체가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지지 플레이트(4)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지지 플레이트(4)의 상기 상면 상에 장착면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는, 장착면이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프론트 톱 스테이에 장착면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는, 지지체는, 지지 플레이트를 생략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에 장착면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프론트 톱 스테이에서의 후방 측을 향한 면 (후방 측 측면) 상에 장착면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는, 베어링 구조체는, 상기 후방 측 측면에 장착되고, 축지지부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그러한 경우에는, 위치 조정면은, 그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으로서, 상기 후방 측 측면 상에 형성하면 된다. 다만, 지지체에 상기 후방 측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서 위치 조정면을 형성 가능한 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치 조정면을 그 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에서의 장착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 플레이트(4)의 상기 상면 상에서의 베어링 구조체(30)가 장착되는 부분에 가공을 실시하고, 그 가공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의 바닥면(4a)을 장착면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착면은, 지지체에 대하여 추가 가공을 행하여 형성된 면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체를 상기 장착 상태로 했을 때, 지지체 전체에서의 길이 방향에 걸친 휨 등과의 관계에 의해,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부분의 지지체 상의 면이 지지축의 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지지체 상의 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추가 가공을 행하지 않고, 그 면을 장착면로 해도 된다.
또한,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지지 플레이트(4)의 조합에 의해 지지체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의 지지체는, 직기에서의 기존의 빔재와,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는, 그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판형 혹은 빔형으로 형성된 상기 장착 부재를, 직기에서의 기존의 빔재가 아니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가설된 상태가 되도록 양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하고, 그 상기 장착 부재만으로 지지체가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직기에서의 기존의 빔재와는 별도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용의 빔형 부재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가설시키는 형태로 설치하고 또한, 그 전용의 빔형 부재에, 상기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와 같은 판형의 상기 장착 부재를 장착하고, 그 전용의 빔형 부재와 판형의 상기 장착 부재로 지지체가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부재가 빔형 부재인 경우, 혹은 지지체가 상기와 같은 전용의 빔형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빔형의 부재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한 장착은, 상기 실시예의 빔재와 동일하게 고정용 볼트를 사용하여 행하면 된다. 또한, 지지체가 되는 상기 장착 부재가 판형의 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장착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가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게 하고, 그 굴곡된 부분에 삽통된 나사 부재(볼트 등)를 사이드 프레임에 체결하는 형태로 양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하도록 하면 된다.
(3) 베어링 구조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구조체(30)는, 베어링(34a)을 내장하는 축지지부(34)와 지지 플레이트(4) 상에 장착되는 기부(32)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로서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는, 이와 같이 일체적으로 성형된 구조체로는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된 축지지부와 기부를 조합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킹 샤프트(14)를 지지축(22, 22) 사이에서의 2개소에서 지지하도록, 베어링 구조체(30)가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베어링 구조체는, 로킹 샤프트의 구성에 따라 적절한 개수만 설치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1: 프레임
2: 사이드 프레임
3a: 빔재(프론트 톱 스테이)
3a1: 플랜지
3b: 빔재(프론트 바텀 스테이)
3c: 빔재(리어 톱 스테이)
3c1: 플랜지
3d: 빔재(리어 바텀 스테이)
4: 지지 플레이트
4a: 바닥면(장착면)
4b: 바닥면(위치 조정면)
6: 경사 빔
8: 권취 빔
10: 바디치기 장치
11: 바디
12: 슬레이
13: 슬레이 소드
14: 로킹 샤프트
20: 구동축
22: 지지축
24: 커플링 부재
30: 베어링 구조체
32: 기부
34: 축지지부
34a: 베어링

Claims (2)

  1.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어 요동(搖動) 구동되는 한 쌍의 지지축;
    양 지지축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축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샤프트;
    상기 로킹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구조체; 및
    상기 베어링 구조체가 장착되는 면인 장착면을 포함하고 또한 짜는 폭(織幅) 방향에 걸쳐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체;
    를 구비하는 직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端部)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장착면과 평행을 이루는 위치 조정면을 가지고 있는,
    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체는, 상기 베어링이 설치되는 축지지부와,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는 기부(基部)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로서 성형되어 있는, 직기.
KR1020210126257A 2020-10-27 2021-09-24 직기 KR20220056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9827 2020-10-27
JP2020179827A JP2022070652A (ja) 2020-10-27 2020-10-27 織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09A true KR20220056109A (ko) 2022-05-04

Family

ID=7829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57A KR20220056109A (ko) 2020-10-27 2021-09-24 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13144B2 (ko)
EP (1) EP3992343B1 (ko)
JP (1) JP2022070652A (ko)
KR (1) KR20220056109A (ko)
CN (2) CN215906334U (ko)
TW (1) TW2022171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3872B2 (en) * 2021-05-06 2024-05-2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Loom
JP2023057445A (ja) * 2021-10-11 2023-04-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669A (ja) 2004-05-28 2005-12-08 Tsudakoma Corp 織機の筬打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088U (ko) * 1987-07-08 1989-01-19
DE10128538B4 (de) * 2001-06-13 2006-09-07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ebmaschine zum Herstellen eines Drehergewebes
JP4776261B2 (ja) * 2005-04-08 2011-09-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における筬打ち装置の補強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水噴射式織機
CN204311195U (zh) 2014-11-13 2015-05-06 青岛海佳机械有限公司 喷水织机实心打纬轴加固前上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669A (ja) 2004-05-28 2005-12-08 Tsudakoma Corp 織機の筬打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7102A (zh) 2022-05-01
JP2022070652A (ja) 2022-05-13
EP3992343B1 (en) 2024-02-21
EP3992343A1 (en) 2022-05-04
US20220127763A1 (en) 2022-04-28
US11913144B2 (en) 2024-02-27
CN215906334U (zh) 2022-02-25
CN114481414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6109A (ko) 직기
KR20210130634A (ko) 직기의 프레임 구조
US11993872B2 (en) Loom
JP7453115B2 (ja) 織機
KR20220044097A (ko) 직기의 프레임
US4076048A (en) Sley drive for a weaving machine
US6089737A (en) Headlamp for automobile
US6648294B2 (en) Mirror device for a vehicle
EP0786548B1 (en) Beating-up apparatus in loom
EP4086377A1 (en) Loom
US5421150A (en) Machine frame for a textile machine
JP2023057445A (ja) 織機
EP1652986B1 (en) Sewing machine
JP6867150B2 (ja) 織機における経糸送出し装置
JP2022070651A (ja) 織機の筬打ち装置
US20220314777A1 (en) Battery mounting part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JPH0849140A (ja) 織機及びそのスレイソード
JP2002035348A (ja) パチンコ遊技機
JP2022173058A (ja) 織機
JP2023049070A (ja) 洗濯機の梱包装置
FI115779B (fi) Kannatinsovitelma
JPH11200272A (ja) 摺動シャワー装置における軸受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