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61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613A
KR20220055613A KR1020200139881A KR20200139881A KR20220055613A KR 20220055613 A KR20220055613 A KR 20220055613A KR 1020200139881 A KR1020200139881 A KR 1020200139881A KR 20200139881 A KR20200139881 A KR 20200139881A KR 20220055613 A KR20220055613 A KR 2022005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module
support member
lens group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903B1 (ko
Inventor
이은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보정 렌즈; 상기 보정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플랜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정 렌즈를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온도변화가 빈번히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일정한 광학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운송장치는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보조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후미에는 운전자에게 차량의 후방상태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다.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와 렌즈 배럴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의 렌즈 중 적어도 일부는 카메라 모듈의 성능개선 및 성능향상을 위해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렌즈 배럴은 카메라 모듈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등의 경량재질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모듈은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외부몸체에 장착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온도에 따라 쉽게 가열되거나 냉각된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의 렌즈와 렌즈 배럴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지므로, 카메라 모듈이 고온으로 가열되거나 또는 저온으로 냉각됨에 따라 렌즈 배럴에 대한 렌즈의 위치가 바뀌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렌즈 배럴에 대한 렌즈의 위치변화는 카메라 모듈의 광학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렌즈 배럴에 대한 렌즈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변화에도 일정한 광학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보정 렌즈; 상기 보정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플랜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정 렌즈를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주변온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광학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주요 구성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카메라 모듈의 변형 형태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온도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주요 구성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외부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 방범용 감시장치, 보안용 감시장치 등에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장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아파트 현관의 통화장치, 건물출입문의 보안장치 등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보정 렌즈(300), 렌즈 배럴(400), 지지 부재(5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필터(700), 이미지 센서(8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이 2매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을 1매 렌즈로 구성하거나 또는 3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외부의 온도에 둔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외부 충격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에서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렌즈(11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광학 수차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는 서로 다른 부호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는 큰 아베수 편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최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이미지 센서(8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렌즈(210), 제4렌즈(220), 제5렌즈(230), 제6렌즈(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200)이 4매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3매 이하 또는 5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카메라 모듈(10)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의 모든 렌즈들(210, 220, 230, 24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200)의 모든 렌즈들(210, 220, 230, 240)이 반드시 플라스틱 재질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210) 내지 제6렌즈(240)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카메라 모듈(10)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제3렌즈(210), 제5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렌즈(220) 및 제6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방초점거리 또는 후방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도 굴절력 및 굴절률의 변화가 미미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정 렌즈(300)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정 렌즈(300)는 대체로 강한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이웃한 렌즈들보다 큰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보정 렌즈(300)는 소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정 렌즈(300)는 정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의 초점변화와 제2렌즈 군(200)의 초점변화를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되어 온도변환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의 초점변화와 제2렌즈 군(200)의 초점변화를 상쇄시키거나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정 렌즈(30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 또는 제2렌즈 군(200) 중 보정 렌즈(300)와 인접한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렌즈 군(200)의 제3렌즈(210)가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렌즈 배럴(4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이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보정 렌즈(30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는 보정 렌즈(300)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의 내부는 플랜지부(410)에 의해 2개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410)의 전방 영역은 제1렌즈 군(100)이 배치되고, 플랜지부(410)의 후방 영역은 제2렌즈 군(20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카메라 모듈(10)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렌즈 군(100, 200)과의 밀착 접촉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군(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레즈 군(100)을 렌즈 배럴(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덮개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400)과 덮개 부재(600) 틈새를 통한 이물 또는 외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400)과 덮개 부재(600)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렌즈들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온도변화에 따른 보정 렌즈(30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5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 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플랜지부(410)의 일면에 보정 렌즈(300)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보정 렌즈(300)의 중심(광축)이 렌즈 배럴(300)의 중심(광축)과 일치되도록 보정 렌즈(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보정 렌즈(300)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정 렌즈(300)를 광축과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에서 균일한 크기의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접촉하고, 지지 부재(500)의 타단(520)은 렌즈 배럴(400)의 내주면(402)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광축과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에서 보정 렌즈(300)를 균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렌즈(300)의 서로 다른 4개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500)의 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렌즈 배럴(300)의 열팽창에 따른 보정 렌즈(30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500)는 렌즈 배럴(400)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지지 부재(500)의 열패창계수(STE)와 렌즈 배럴(400)의 열팽창계수(BTE) 간의 비(BTE/STE)는 0.32 ~ 0.59로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 부재(500)의 길이(SL)는 보정 렌즈(300)의 반지름(LR)과 소정의 관계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의 길이(SL)는 보정 렌즈(300)의 반지름(LR) 간의 비(SL/LR)은 0.3 ~ 0.6일 수 있다. SL/LR의 비가 0.3 미만이면, 온도상승에 따른 지지 부재(500)의 신장크기가 작으므로 지지 부재(500)를 통한 보정 렌즈(300)의 위치정렬이 어렵다. 이와 달리 SL/LR 비가 0.6을 초과하면, 온도상승에 따른 지지 부재(500)의 신장크기가 너무 커져 지지 부재(500)에 의해 보정 렌즈(300)의 위치가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SL/LR 비는 전술된 수치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변화를 설명한다.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렌즈 배럴(400)은 상당한 크기의 열팽창율을 가지므로 저온상태에서 수축되고 고온상태에서 신장된다. 이와 달리 유리 재질의 보정 렌즈(300)는 온도에 따른 열팽창율이 매우 작으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신장 및 수축율이 작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의 사용환경이 상온에서 저온상태 또는 고온상태로 변경되면, 렌즈 배럴(400)에 대한 보정 렌즈(30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전술된 큰폭의 온도변화 상황에서도 지지 부재(500)를 통해 보정 렌즈(3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되어 렌즈 배럴(400)에 대한 보정 렌즈(30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의 주변온도가 상온에서 저온상태로 변경되면, 지지 부재(500)는 상온에서의 길이보다 수축되어 플랜지부(410)에 의한 보정 렌즈(300)의 지지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카메라 모듈(10)의 주변온도가 상온에서 고온상태로 변경되면, 지지 부재(500)는 상온에서의 길이보다 신장되어 보정 렌즈(300)가 렌즈 배럴(400)의 신장 변형에 따른 틈새공간(G)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 따르면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보정 렌즈(30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0)의 광학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보정 렌즈(300), 렌즈 배럴(400), 지지 부재(5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2)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필터(700), 이미지 센서(8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이 2매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을 1매 렌즈로 구성하거나 또는 3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외부의 온도에 둔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외부 충격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에서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렌즈(11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광학 수차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는 서로 다른 부호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는 큰 아베수 편차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최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이미지 센서(8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렌즈(210), 제4렌즈(220), 제5렌즈(230), 제6렌즈(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200)이 4매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3매 이하 또는 5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카메라 모듈(12)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의 모든 렌즈들(210, 220, 230, 24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200)의 모든 렌즈들(210, 220, 230, 240)이 반드시 플라스틱 재질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210) 내지 제6렌즈(240) 중 하나 이상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렌즈 군(200)은 카메라 모듈(12)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제3렌즈(210), 제5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렌즈(220) 및 제6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방초점거리 또는 후방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도 굴절력 및 굴절률의 변화가 미미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정 렌즈(300)의 재질이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정 렌즈(300)는 대체로 강한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이웃한 렌즈들보다 큰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보정 렌즈(300)는 소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보정 렌즈(300)는 정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보정 렌즈(300)는 온도변화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의 초점변화와 제2렌즈 군(200)의 초점변화를 완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렌즈(3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되어 온도변환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의 초점변화와 제2렌즈 군(200)의 초점변화를 상쇄시키거나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정 렌즈(30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 또는 제2렌즈 군(200) 중 보정 렌즈(300)와 인접한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렌즈 군(200)의 제3렌즈(210)가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렌즈 배럴(4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이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보정 렌즈(30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는 보정 렌즈(300)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의 내부는 플랜지부(410)에 의해 2개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410)의 전방 영역은 제1렌즈 군(100)이 배치되고, 플랜지부(410)의 후방 영역은 제2렌즈 군(20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배럴(400)은 카메라 모듈(12)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렌즈 군(100, 200)과의 밀착 접촉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4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부(410)는 지지 부재(500)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410)의 일면에는 지지 부재(500)와 동수의 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410)의 홈(412)은 지지 부재(500)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홈(412)의 폭(Wp)은 지지 부재(500)의 폭(Ws)과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지지 부재(500)의 폭(Ws)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홈(412)은 지지 부재(500)의 배치위치를 한정함과 동시에 온도상승에 따른 지지 부재(500)의 신장방향을 안재하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군(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제1레즈 군(100)을 렌즈 배럴(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덮개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400)과 덮개 부재(600) 틈새를 통한 이물 또는 외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400)과 덮개 부재(600)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렌즈들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온도변화에 따른 보정 렌즈(300)의 위치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지지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지지 부재(5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 부재(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플랜지부(410)의 일면에 보정 렌즈(300)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보정 렌즈(300)의 중심(광축)이 렌즈 배럴(300)의 중심(광축)과 일치되도록 보정 렌즈(3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는 보정 렌즈(300)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정 렌즈(300)를 광축과 교차하는 복수의 방향에서 균일한 크기의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접촉하고, 지지 부재(500)의 타단(520)은 렌즈 배럴(400)의 내주면(402)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의 일단(510)은 보정 렌즈(300)의 외주면(310)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렌즈 군
200 제2렌즈 군
300 보정 렌즈
400 렌즈 배럴
410 (렌즈 배럴의) 플랜지부
500 지지 부재

Claims (10)

  1.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보정 렌즈;
    상기 보정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플랜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정 렌즈를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장착되는 위한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보정 렌즈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보정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렌즈 배럴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보정 렌즈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 또는 상기 제2렌즈 군 중 상기 보정 렌즈와 인접하는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SL)와 상기 보정 렌즈의 반지름(LR) 간의 비(SL/LR)은 0.3 ~ 0.6인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보정 렌즈 및 상기 렌즈 배럴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열팽창계수(STE)와 상기 렌즈 배럴의 열팽창계수(BTE) 간의 비(BTE/STE)는 0.32 ~ 0.59 인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렌즈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39881A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KR10243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81A KR102439903B1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81A KR102439903B1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613A true KR20220055613A (ko) 2022-05-04
KR102439903B1 KR102439903B1 (ko) 2022-09-05

Family

ID=8158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881A KR102439903B1 (ko) 2020-10-27 2020-10-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618Y1 (ko) * 1994-11-03 1998-12-01 김광호 감시용 카메라의 후면초점거리 조정장치
JP2007057605A (ja) * 2005-08-22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KR20130072814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20071438A (ja) * 2018-11-02 2020-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200061852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618Y1 (ko) * 1994-11-03 1998-12-01 김광호 감시용 카메라의 후면초점거리 조정장치
JP2007057605A (ja) * 2005-08-22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KR20130072814A (ko) * 2011-12-22 2013-07-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20071438A (ja) * 2018-11-02 2020-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200061852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03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913B2 (en) Infrared optical lens system
US9025259B2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US8027099B2 (en) Optical system for camera
US9134514B2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US8773772B2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US8873164B2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US10641983B2 (en) Lens apparatus and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220026345A (ko) 촬상 광학계
US20140218597A1 (en) Imaging lens
US20190293907A1 (en) Imaging lens system and camera
KR20220059463A (ko) 촬상 광학계
US20160116709A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2439903B1 (ko) 카메라 모듈
US8199413B2 (en) Compact zoom optical system
KR20220020015A (ko) 광학계
US20150146284A1 (en) Lens for infrared cameras
KR2022004231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62464A (ko) 촬상 광학계
US20160356996A1 (en) Variable-power optical system
JP3647237B2 (ja) ズーム光学系
JP2000089103A (ja) 望遠レンズ
KR102293909B1 (ko) 렌즈 시스템
KR100277210B1 (ko) 적외선 줌 망원경 광학계
US20220171159A1 (en)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US20240151938A1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