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318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318A
KR20220042318A KR1020220033924A KR20220033924A KR20220042318A KR 20220042318 A KR20220042318 A KR 20220042318A KR 1020220033924 A KR1020220033924 A KR 1020220033924A KR 20220033924 A KR20220033924 A KR 20220033924A KR 20220042318 A KR20220042318 A KR 2022004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lens group
objec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891B1 (ko
Inventor
장동혁
김병현
허재혁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8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318A/ko
Priority to KR1020230124767A priority patent/KR2023014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한 렌즈(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가 12.0 mm 미만이다. 촬상 광학계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이 1.5 mm 보다 크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광축 방향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로부터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TL: Total track length)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다. 카메라 모듈의 크기, 즉, TL은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 또는 기타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크기의 증가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의 크기의 증가는 카메라 모듈의 잦은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의 상당한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상태에 따라 크기(또는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변형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한 렌즈(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가 12.0 mm 미만이다. 촬상 광학계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이 1.5 mm 보다 크다.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구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축소 상태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수차 곡선이다.
도 28 내지 3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35는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공기간격(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 일 측 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이웃한 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 TL, IMG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L은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렌즈의 형상에 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하다 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하다 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5매 렌즈, 6매 렌즈, 7매 렌즈, 8매 렌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들을 광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의 길이(TL: 물체와 가장 인접한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12.0 mm 미만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필요에 따라 촬상 광학계의 길이(TL)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렌즈와 렌즈 간의 공기간격만큼 촬상 광학계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촬상 광학계의 길이를 상당한 크기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에서 렌즈와 렌즈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은 1.5 mm 보다 클 수 있다.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f)는 제1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지름(R1)과 소정의 수치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0.15 < R1/f < 0.5
촬상 광학계의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일 측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의 구성이 제1렌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렌즈 군은 제2렌즈 군과의 거리가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의 활성 상태에서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간의 거리는 확장되고, 촬상 광학계의 비활성 상태에서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간의 거리는 축소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소정의 비율로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상태에서의 촬상 광학계의 길이(TL)와 촬상 광학계의 비활성 상태에서의 촬상 광학계의 길이(TLs) 간의 비(TLs/TL)는 0.65보다 크고 0.79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은 소정의 거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Gmax)은 1.9 mm보다 크고 2.8 mm보다 작을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제3렌즈 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의 상 측에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3렌즈 군이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 군과 제3렌즈 군은 소정의 거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과 제3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Gmax)은 2.0 mm보다 크고 2.8 mm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제3렌즈 군 간의 최대 공기간격은 소정의 크기 관계를 성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은 제2렌즈 군과 제3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제3렌즈 군은 소정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및 제2렌즈를 포함하고, 제2렌즈 군은 제2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를 포함하고, 제3렌즈 군은 제3렌즈의 상 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촬상 광학계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는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촬상 광학계가 5매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 제7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 제7렌즈, 제8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형상이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1.5 이상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초점거리는 3.0 ~ 9.0 mm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1.6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초점거리는 -60 ~ -7.0 mm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1.53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1.53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일면이 볼록하거나 또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는 물체 측 또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1.5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일면이 볼록하거나 또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는 물체 측 또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1.5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6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6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물체 측 또는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1.5 이상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7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7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물체 측 또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7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7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7렌즈는 1.5 이상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8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8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8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8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8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8렌즈는 1.5 이상 1.6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렌즈 군을 구성하는 5매 이상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렌즈 군을 구성하는 5매 이상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이 비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참고로,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광으로부터 일부 파장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필터는 입사광의 적외선 파장을 차단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들에 의해 굴절된 빛이 피사체의 상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0.001 < D12/f < 0.04
-3.0 < f/f2 + f/f3
3.2 < Nd2 + Nd3
0.6 < TL/f < 1.3
0.12 < BFL/f < 0.26
f number < 2.5
상기 조건식에서 D12는 제1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제2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2는 제2레즈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제3렌즈의 초점거리이고, Nd2는 제2렌즈의 굴절률이고, Nd3은 제3렌즈의 굴절률이고, TL은 (활성 상태에서의)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BFL은 상면과 가장 인접한 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다.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만족할 수 있다.
0.20 < Gmax/TL < 0.30
-3.0 < f/f2 + f/f3 < 0
3.2 < Nd2 + Nd3 < 3.5
상기 조건식에서 Gmax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이다.
다음에서는 촬상 광학계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 제6렌즈(16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1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1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1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14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1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의 물체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1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1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6렌즈(16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5렌즈(150)와 제6렌즈(16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1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1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1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1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1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05 0.896 1.544 56.1
S3 14.19 0.208
S4 제2렌즈 7.42 0.300 1.671 19.4
S5 4.36 0.631
S6 제3렌즈 88.42 0.300 1.614 25.9
S7 14.34 0.299
S8 제4렌즈 12.27 0.548 1.567 38.0
S9 17.79 0.704
S10 제5렌즈 48.24 0.663 1.544 56.1
S11 -4.68 2.200
S12 제6렌즈 6.29 0.700 1.544 56.1
S13 2.29 0.815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S15 Infinity 0.398
S16 상면 Infinity 0.029
면번호 S2 S3 S4 S5 S6 S7
K -0.141 -1.829 1.451 4.066 -97.321 1.804
A -0.021 -0.018 -0.001 -0.027 0.023 -0.016
B 0.099 0.092 -0.061 0.181 -0.286 0.014
C -0.259 -0.383 0.166 -0.997 1.287 -0.064
D 0.428 0.954 -0.195 3.297 -3.686 0.165
E -0.479 -1.543 -0.055 -7.127 7.042 -0.292
F 0.374 1.713 0.542 10.646 -9.352 0.357
G -0.208 -1.349 -0.885 -11.341 8.863 -0.305
H 0.083 0.767 0.820 8.757 -6.073 0.185
J -0.024 -0.315 -0.496 -4.920 3.014 -0.080
L 0.005 0.093 0.203 1.992 -1.072 0.025
M -0.001 -0.019 -0.056 -0.566 0.266 -0.005
N 0.000 0.003 0.010 0.107 -0.044 0.001
O 0.000 0.000 -0.001 -0.012 0.004 0.000
P 0.000 0.000 0.000 0.001 0.000 0.000
면번호 S8 S9 S10 S11 S12 S13
K -1.840 2.691 0.000 0.000 -1.130 -0.888
A -0.029 -0.008 -0.003 0.004 -0.051 -0.061
B 0.031 -0.073 -0.015 -0.008 0.010 0.015
C -0.044 0.184 0.029 0.012 -0.001 -0.003
D 0.027 -0.278 -0.033 -0.011 0.000 0.000
E 0.018 0.280 0.025 0.006 0.000 0.000
F -0.053 -0.196 -0.013 -0.002 0.000 0.000
G 0.052 0.099 0.005 0.001 0.000 0.000
H -0.031 -0.036 -0.001 0.000 0.000 0.000
J 0.012 0.010 0.000 0.000 0.000 0.000
L -0.003 -0.002 0.000 0.000 0.000 0.000
M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4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 제6렌즈(26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2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2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23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2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2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2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2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210) 내지 제4렌즈(24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5렌즈(250) 및 제6렌즈(26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4렌즈(240)와 제5렌즈(25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2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2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2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2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2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2.57 0.881 1.544 56.1
S3 14.48 0.222
S4 제2렌즈 65.84 0.250 1.614 25.9
S5 5.59 0.458
S6 제3렌즈 -59.72 0.451 1.567 38.0
S7 -8.61 0.184
S8 제4렌즈 -5.50 0.594 1.651 21.5
S9 -6.35 2.000
S10 제5렌즈 6.46 1.047 1.535 56.1
S11 63.16 0.476
S12 제6렌즈 13.63 0.543 1.535 56.1
S13 2.75 0.624
S14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S15 Infinity 0.784
S16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K -0.057 50.994 99.000 2.366 71.197 24.692
A -0.006 -0.025 -0.056 -0.084 -0.041 -0.032
B 0.038 0.057 0.026 0.375 0.060 -0.084
C -0.107 -0.272 0.184 -1.747 -0.118 0.497
D 0.207 1.010 -0.610 6.101 -0.234 -1.521
E -0.285 -2.473 1.059 -14.674 2.334 3.152
F 0.296 4.125 -1.104 24.767 -7.312 -4.659
G -0.238 -4.834 0.582 -29.938 13.374 5.016
H 0.150 4.051 0.090 26.205 -16.089 -3.966
J -0.074 -2.439 -0.409 -16.621 13.256 2.299
L 0.028 1.046 0.336 7.557 -7.544 -0.964
M -0.008 -0.312 -0.152 -2.398 2.919 0.285
N 0.001 0.061 0.041 0.504 -0.734 -0.056
O 0.000 -0.007 -0.006 -0.063 0.108 0.007
P 0.000 0.000 0.000 0.004 -0.007 0.000
면번호 S8 S9 S10 S11 S12 S13
K 7.616 -65.071 -7.984 -35.744 -12.206 -0.813
A -0.051 -0.053 -0.007 0.001 -0.039 -0.049
B 0.060 0.019 0.006 0.004 0.004 0.007
C -0.189 0.022 -0.006 -0.005 0.000 0.000
D 0.512 -0.079 0.004 0.003 0.000 0.000
E -0.924 0.123 -0.001 -0.001 0.000 0.000
F 1.146 -0.123 0.000 0.000 0.000 0.000
G -1.004 0.085 0.000 0.000 0.000 0.000
H 0.631 -0.042 0.000 0.000 0.000 0.000
J -0.285 0.015 0.000 0.000 0.000 0.000
L 0.092 -0.004 0.000 0.000 0.000 0.000
M -0.020 0.001 0.000 0.000 0.000 0.000
N 0.003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7을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4렌즈(340), 제5렌즈(350), 제6렌즈(360), 제7렌즈(370)를 포함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3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3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3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3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35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의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36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3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6렌즈(3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37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7렌즈(37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7렌즈(37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310) 내지 제6렌즈(36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7렌즈(37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6렌즈(360)와 제7렌즈(37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3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3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3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3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3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3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15 0.799 1.544 56.1
S3 8.51 0.044
S4 제2렌즈 4.42 0.250 1.671 19.4
S5 3.22 0.172
S6 제3렌즈 4.09 0.344 1.544 56.1
S7 5.76 0.909
S8 제4렌즈 -23.28 0.311 1.671 19.4
S9 100.38 0.237
S10 제5렌즈 -23.98 0.522 1.544 56.1
S11 9.83 0.254
S12 제6렌즈 7.13 0.847 1.544 56.1
S13 -3.76 2.400
S14 제7렌즈 -7.67 0.660 1.544 56.1
S15 5.76 0.282
S16 필터 Infinity 0.210 1.518 64.2
S17 Infinity 0.569
S18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S8
K -0.008 0.276 -0.003 0.005 0.007 0.053 98.443
A -0.007 -0.020 -0.009 0.002 -0.017 -0.003 0.008
B 0.096 0.105 -0.026 -0.119 0.060 -0.044 -0.308
C -0.417 -0.394 0.138 0.546 -0.311 0.323 1.461
D 0.999 0.905 -0.432 -1.611 0.972 -1.228 -4.356
E -1.517 -1.380 0.844 3.176 -2.004 2.900 8.542
F 1.566 1.462 -1.101 -4.350 2.852 -4.575 -11.528
G -1.141 -1.105 1.001 4.242 -2.883 5.018 11.018
H 0.597 0.605 -0.647 -2.982 2.104 -3.902 -7.575
J -0.226 -0.240 0.299 1.514 -1.112 2.162 3.760
L 0.061 0.068 -0.098 -0.549 0.422 -0.847 -1.336
M -0.012 -0.014 0.022 0.139 -0.112 0.229 0.331
N 0.001 0.002 -0.003 -0.023 0.020 -0.041 -0.054
O 0.000 0.000 0.000 0.002 -0.002 0.004 0.005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S14 S15
K -98.751 7.766 0.891 -0.631 -0.015 -0.164 -0.031
A 0.026 -0.024 -0.059 -0.004 0.019 -0.006 -0.003
B -0.268 -0.088 -0.030 -0.048 -0.009 -0.007 -0.009
C 0.792 0.187 0.033 0.068 0.007 0.004 0.004
D -1.581 -0.195 0.028 -0.071 -0.006 -0.001 -0.001
E 2.210 0.115 -0.092 0.054 0.004 0.000 0.000
F -2.211 -0.024 0.103 -0.030 -0.002 0.000 0.000
G 1.601 -0.020 -0.071 0.012 0.000 0.000 0.000
H -0.844 0.021 0.033 -0.004 0.000 0.000 0.000
J 0.324 -0.010 -0.010 0.001 0.000 0.000 0.000
L -0.089 0.003 0.002 0.000 0.000 0.000 0.000
M 0.017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2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10을 참조하여 제4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400)는 제1렌즈(410), 제2렌즈(420), 제3렌즈(430), 제4렌즈(440), 제5렌즈(450), 제6렌즈(460), 제7렌즈(470)를 포함한다.
제1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4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4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4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4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4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4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46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46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6렌즈(4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47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7렌즈(47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7렌즈(47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410) 내지 제5렌즈(45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6렌즈(460) 및 제7렌즈(47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5렌즈(450)와 제6렌즈(46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4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4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4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4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4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4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22 0.873 1.544 56.1
S3 13.98 0.109
S4 제2렌즈 6.53 0.280 1.671 19.4
S5 4.61 0.653
S6 제3렌즈 14.43 0.280 1.671 19.4
S7 10.30 0.283
S8 제4렌즈 -16.11 0.504 1.567 38.0
S9 16.18 0.275
S10 제5렌즈 14.19 0.761 1.544 56.1
S11 -3.67 2.050
S12 제6렌즈 -137.59 0.700 1.535 56.1
S13 -38.65 0.088
S14 제7렌즈 6.71 0.600 1.535 56.1
S15 2.22 0.475
S16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S17 Infinity 0.740
S18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S8
K -0.083 -2.429 -0.841 3.663 -98.825 16.784 -14.618
A 0.003 -0.019 -0.024 -0.031 0.009 -0.001 -0.069
B -0.002 0.068 0.047 0.130 -0.184 -0.087 0.171
C -0.013 -0.224 -0.163 -0.705 0.738 0.290 -0.393
D 0.054 0.510 0.406 2.481 -2.009 -0.612 0.629
E -0.104 -0.795 -0.661 -5.856 3.752 0.830 -0.681
F 0.119 0.876 0.719 9.611 -5.008 -0.767 0.506
G -0.091 -0.697 -0.523 -11.233 4.882 0.498 -0.263
H 0.048 0.405 0.243 9.466 -3.504 -0.229 0.096
J -0.018 -0.171 -0.060 -5.763 1.848 0.074 -0.025
L 0.005 0.052 -0.002 2.510 -0.707 -0.017 0.005
M -0.001 -0.011 0.006 -0.762 0.191 0.002 -0.001
N 0.000 0.002 -0.002 0.153 -0.034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18 0.004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1 0.000 0.000 0.000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S14 S15
K -24.213 0.000 0.000 -96.775 -56.984 -1.568 -0.873
A -0.060 -0.028 0.007 -0.017 -0.096 -0.166 -0.091
B 0.006 0.006 -0.022 0.014 0.088 0.106 0.033
C 0.050 0.002 0.042 -0.007 -0.038 -0.040 -0.009
D -0.106 -0.016 -0.048 0.002 0.010 0.010 0.002
E 0.122 0.025 0.034 0.000 -0.002 -0.002 0.000
F -0.092 -0.022 -0.014 0.000 0.000 0.000 0.000
G 0.047 0.012 0.003 0.000 0.000 0.000 0.000
H -0.017 -0.005 0.000 0.000 0.000 0.000 0.000
J 0.004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L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M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13을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500)는 제1렌즈(510), 제2렌즈(520), 제3렌즈(530), 제4렌즈(540), 제5렌즈(550), 제6렌즈(560), 제7렌즈(570)를 포함한다.
제1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5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5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5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53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5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5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55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56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5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5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57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7렌즈(57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7렌즈(57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510) 내지 제4렌즈(54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5렌즈(550) 내지 제7렌즈(57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4렌즈(540)와 제5렌즈(55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5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5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5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5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5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5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2.59 0.895 1.544 56.1
S3 14.96 0.237
S4 제2렌즈 100.02 0.250 1.614 25.9
S5 5.69 0.433
S6 제3렌즈 -44.13 0.447 1.567 38.0
S7 -8.79 0.163
S8 제4렌즈 -5.64 0.553 1.651 21.5
S9 -6.24 2.000
S10 제5렌즈 -67.79 0.500 1.535 56.1
S11 -15.36 0.100
S12 제6렌즈 9.22 1.113 1.535 56.1
S13 62.61 0.405
S14 제7렌즈 16.42 0.514 1.535 56.1
S15 2.73 0.610
S16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S17 Infinity 0.600
S18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S8
K -0.008 52.513 -20.868 3.116 -14.639 24.821 7.207
A -0.001 -0.022 -0.060 -0.048 -0.033 -0.040 -0.041
B 0.025 0.043 0.090 -0.003 -0.004 0.010 0.017
C -0.120 -0.199 -0.212 0.525 0.188 0.069 -0.010
D 0.367 0.749 0.851 -2.536 -1.112 -0.326 0.015
E -0.746 -1.865 -2.520 7.325 3.908 0.874 -0.007
F 1.051 3.158 4.995 -14.254 -9.105 -1.566 -0.028
G -1.054 -3.747 -6.826 19.438 14.627 1.951 0.072
H 0.764 3.169 6.579 -18.921 -16.530 -1.723 -0.085
J -0.401 -1.921 -4.512 13.212 13.231 1.085 0.062
L 0.152 0.828 2.190 -6.562 -7.451 -0.484 -0.029
M -0.040 -0.247 -0.735 2.262 2.884 0.149 0.009
N 0.007 0.049 0.162 -0.514 -0.730 -0.030 -0.002
O -0.001 -0.006 -0.021 0.069 0.109 0.004 0.000
P 0.000 0.000 0.001 -0.004 -0.007 0.000 0.000
면번호 S9 S10 S11 S12 S13 S14 S15
K -68.364 -7.843 -17.759 -4.780 173.652 -12.609 -0.827
A -0.053 0.005 -0.006 -0.023 -0.008 -0.035 -0.043
B 0.028 -0.009 0.009 0.024 0.013 0.011 0.007
C -0.008 0.007 -0.005 -0.014 -0.008 -0.005 -0.001
D -0.019 -0.003 0.002 0.005 0.002 0.001 0.000
E 0.044 0.001 0.000 -0.001 0.000 0.000 0.000
F -0.052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G 0.04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H -0.02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J 0.008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L -0.002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M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16을 참조하여 제6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600)는 제1렌즈(610), 제2렌즈(620), 제3렌즈(630), 제4렌즈(640), 제5렌즈(650), 제6렌즈(660), 제7렌즈(670), 제8렌즈(580)를 포함한다.
제1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6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6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6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6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6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65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65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6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66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6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6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67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7렌즈(67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7렌즈(67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8렌즈(68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8렌즈(68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8렌즈(68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610) 내지 제7렌즈(67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8렌즈(68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7렌즈(670)와 제8렌즈(68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6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6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6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6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6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6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15 0.816 1.544 56.1
S3 8.97 0.113
S4 제2렌즈 4.92 0.260 1.671 19.4
S5 3.43 0.142
S6 제3렌즈 4.39 0.345 1.535 56.1
S7 6.33 0.910
S8 제4렌즈 -23.83 0.274 1.671 19.4
S9 159.12 0.230
S10 제5렌즈 -28.25 0.359 1.544 56.1
S11 11.62 0.100
S12 제6렌즈 10.48 0.300 1.567 38.0
S13 9.21 0.135
S14 제7렌즈 7.72 0.809 1.544 56.1
S15 -3.78 2.512
S16 제8렌즈 -7.73 0.541 1.544 56.1
S17 5.7106311 0.250
S18 필터 Infinity 0.210 1.518 64.2
S19 Infinity 0.510
S20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S8 S9
K -0.036 0.454 -0.020 0.015 0.003 0.006 0.000 0.000
A -0.001 -0.006 -0.012 -0.006 -0.012 -0.009 -0.012 -0.004
B 0.011 0.006 0.014 -0.058 0.011 0.032 -0.054 -0.065
C -0.040 -0.017 -0.065 0.285 -0.025 -0.152 0.093 0.108
D 0.093 0.018 0.140 -0.897 0.017 0.494 -0.098 -0.126
E -0.144 -0.006 -0.196 1.824 0.039 -1.111 0.018 0.113
F 0.154 -0.008 0.195 -2.523 -0.118 1.767 0.114 -0.089
G -0.118 0.011 -0.140 2.459 0.153 -2.016 -0.203 0.063
H 0.065 -0.007 0.073 -1.719 -0.121 1.662 0.194 -0.037
J -0.026 0.003 -0.027 0.866 0.062 -0.990 -0.122 0.016
L 0.007 -0.001 0.007 -0.312 -0.021 0.421 0.053 -0.005
M -0.001 0.000 -0.001 0.078 0.004 -0.125 -0.016 0.001
N 0.000 0.000 0.000 -0.013 0.000 0.024 0.003 0.000
O 0.000 0.000 0.000 0.001 0.000 -0.003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면번호 S10 S11 S12 S13 S14 S15 S16 S17
K -1.800 0.320 -1.294 -0.201 0.479 0.033 -0.408 -0.028
A -0.037 -0.048 0.004 0.003 0.002 0.015 -0.006 -0.003
B -0.031 -0.068 -0.089 -0.072 -0.048 -0.009 -0.006 -0.007
C 0.056 0.106 0.120 0.092 0.057 0.010 0.003 0.003
D -0.020 -0.071 -0.093 -0.077 -0.051 -0.012 -0.001 -0.001
E -0.027 0.013 0.045 0.047 0.035 0.009 0.000 0.000
F 0.044 0.017 -0.014 -0.023 -0.019 -0.005 0.000 0.000
G -0.031 -0.018 0.003 0.009 0.008 0.002 0.000 0.000
H 0.014 0.009 0.000 -0.003 -0.002 0.000 0.000 0.000
J -0.004 -0.003 0.000 0.001 0.000 0.000 0.000 0.000
L 0.001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M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19를 참조하여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700)는 제1렌즈(710), 제2렌즈(720), 제3렌즈(730), 제4렌즈(740), 제5렌즈(750), 제6렌즈(760), 제7렌즈(770), 제8렌즈(580)를 포함한다.
제1렌즈(7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7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7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7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7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7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7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7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7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7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75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76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6렌즈(76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6렌즈(76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7렌즈(77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7렌즈(77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7렌즈(77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8렌즈(78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8렌즈(78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8렌즈(78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7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710) 내지 제6렌즈(76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7렌즈(770) 및 제8렌즈(78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6렌즈(760)와 제7렌즈(77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7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2렌즈 군(G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촬상 광학계(7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7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7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7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7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15 0.898 1.544 56.1
S3 13.23 0.139
S4 제2렌즈 6.22 0.250 1.671 19.4
S5 4.34 0.715
S6 제3렌즈 14.06 0.271 1.535 56.1
S7 10.65 0.215
S8 제4렌즈 -19.26 0.319 1.671 19.4
S9 16.28 0.103
S10 제5렌즈 14.21 0.298 1.544 56.1
S11 15.39 0.102
S12 제6렌즈 16.20 0.706 1.567 38.0
S13 -3.68 2.082
S14 제7렌즈 -156.99 0.702 1.544 56.1
S15 -26.91 0.114
S16 제8렌즈 7.57 0.614 1.544 56.1
S17 2.1370821 0.415
S18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S19 Infinity 0.530
S20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S7 S8 S9
K -0.089 0.273 -0.632 3.762 -116.87 15.295 -13.653 -23.603
A 0.000 -0.010 -0.022 -0.012 -0.015 -0.014 -0.045 -0.071
B 0.008 0.010 0.008 -0.100 0.005 0.001 0.075 0.067
C -0.026 -0.026 0.002 0.625 -0.096 -0.022 -0.137 -0.076
D 0.053 0.089 0.052 -2.253 0.324 0.032 0.188 0.049
E -0.071 -0.192 -0.248 5.366 -0.699 -0.021 -0.183 -0.013
F 0.066 0.270 0.554 -8.839 1.034 -0.006 0.128 -0.007
G -0.044 -0.260 -0.762 10.340 -1.080 0.027 -0.064 0.009
H 0.021 0.177 0.699 -8.707 0.811 -0.027 0.023 -0.005
J -0.007 -0.086 -0.442 5.290 -0.439 0.016 -0.006 0.001
L 0.002 0.029 0.194 -2.297 0.169 -0.006 0.001 0.000
M 0.000 -0.007 -0.058 0.695 -0.045 0.002 0.000 0.000
N 0.000 0.001 0.011 -0.139 0.008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1 0.017 -0.001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1 0.000 0.000 0.000 0.000
면번호 S10 S11 S12 S13 S14 S15 S16 S17
K 2.143 -3.276 0.000 0.000 -12710 -60.910 -1.571 -0.880
A -0.028 0.003 0.007 0.005 -0.003 -0.046 -0.129 -0.091
B -0.008 -0.107 -0.093 -0.003 0.005 0.042 0.059 0.028
C 0.050 0.183 0.144 -0.005 -0.003 -0.017 -0.016 -0.007
D -0.085 -0.195 -0.149 0.013 0.001 0.004 0.003 0.001
E 0.080 0.141 0.108 -0.015 0.000 -0.001 0.000 0.000
F -0.050 -0.073 -0.056 0.011 0.000 0.000 0.000 0.000
G 0.022 0.027 0.022 -0.005 0.000 0.000 0.000 0.000
H -0.007 -0.007 -0.006 0.002 0.000 0.000 0.000 0.000
J 0.002 0.001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L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M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도 22를 참조하여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800)는 제1렌즈(810), 제2렌즈(820), 제3렌즈(830), 제4렌즈(840), 제5렌즈(850)를 포함한다.
제1렌즈(8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8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8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82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8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83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84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84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840)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5렌즈(85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85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촬상 광학계(8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810) 및 제2렌즈(82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3렌즈(83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하고, 제4렌즈(840) 및 제5렌즈(850)는 제3렌즈 군(G3)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820)와 제3렌즈(83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8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3렌즈 군(G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은 촬상 광학계(8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이웃한 제2렌즈 군(G2) 및 제3렌즈 군(G3)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8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이웃한 제2렌즈 군(G2) 및 제3렌즈 군(G3)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8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8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8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2.19 1.263 1.544 56.1
S3 -22.63 0.100
S4 제2렌즈 75.97 0.250 1.661 20.4
S5 5.04 0.677
S6 제3렌즈 5.04 0.250 1.567 37.4
S7 2.76 2.103
S8 제4렌즈 13.91 0.619 1.544 56.1
S9 2.67 0.360
S10 제5렌즈 12.36 0.686 1.661 20.4
S11 -14.97 0.100
S12 필터 Infinity 0.110 1.514 55.2
S13 Infinity 1.241
S14 상면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K 0.000 0.000 0.000 0.000 0.000
A -0.069 0.054 0.137 0.111 0.005
B -0.019 -0.016 -0.009 0.004 0.006
C -0.006 0.001 0.000 -0.002 -0.002
D -0.002 -0.001 -0.001 -0.001 0.000
E -0.001 0.000 0.001 0.000 0.000
F 0.000 0.000 0.000 0.000 0.000
G 0.000 0.000 0.000 0.000 0.000
H 0.000 0.000 0.000 0.000 0.000
J 0.000 0.000 0.000 0.000 0.000
L 0.000 0.000 0.000 0.000 0.000
M 0.000 0.000 0.000 0.000 0.000
N 0.000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면번호 S7 S8 S9 S10 S11
K 0.000 0.000 0.000 0.000 0.000
A 0.020 -1.129 -1.791 -0.712 -0.450
B 0.006 0.174 0.200 0.150 0.190
C -0.001 -0.041 -0.020 -0.102 -0.027
D 0.000 -0.014 0.037 0.020 0.058
E 0.000 0.014 0.006 -0.045 -0.047
F 0.000 0.020 0.019 0.020 -0.047
G 0.000 0.010 0.007 0.024 -0.048
H 0.000 0.003 0.010 0.034 -0.019
J 0.000 -0.004 0.005 0.006 -0.006
L 0.000 -0.008 0.004 -0.008 0.003
M 0.000 -0.009 0.002 -0.014 0.004
N 0.000 -0.007 0.001 -0.010 0.003
O 0.000 -0.003 0.000 -0.005 0.002
P 0.000 -0.001 0.000 -0.002 0.000
도 25를 참조하여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900)는 제1렌즈(910), 제2렌즈(920), 제3렌즈(930), 제4렌즈(940), 제5렌즈(950)를 포함한다.
제1렌즈(91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렌즈(910)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렌즈(92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렌즈(92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93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렌즈(93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940)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렌즈(94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렌즈(940)의 물체 측면 또는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5렌즈(950)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5렌즈(950)는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촬상 광학계(900)는 복수의 렌즈 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910) 및 제2렌즈(920)는 제1렌즈 군(G1)을 구성하고, 제3렌즈(930)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하고, 제4렌즈(940) 및 제5렌즈(950)는 제3렌즈 군(G3)을 구성할 수 있다. 제2렌즈 군(G2) 및 제3렌즈 군(G3) 간의 거리는 최대 공기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3렌즈(930)와 제4렌즈(940) 간의 공기간격은 다른 렌즈들 간의 공기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광학계(90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제3렌즈 군(G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의 위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은 촬상 광학계(900)의 활성 상태(촬상 가능한 상태)에서는 이웃한 제2렌즈 군(G2) 및 제3렌즈 군(G3)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위치되고, 촬상 광학계(900)의 비활성 상태(촬상 불능한 상태)에서는 이웃한 제2렌즈 군(G2) 및 제3렌즈 군(G3) 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900)의 길이(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는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900)의 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길이(TLs)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900)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다.
표 1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굴절률 아베수
S1 Infinity 0.000
S2 제1렌즈 3.35 1.925 1.544 56.1
S3 -14.14 0.059
S4 제2렌즈 -95.24 0.385 1.640 23.5
S5 6.83 0.433
S6 제3렌즈 Infinity 2.054
S7 -9.53 0.385 1.567 37.4
S8 제4렌즈 14.84 1.655
S9 -54.68 0.870 1.661 20.4
S10 제5렌즈 -9.99 0.119
S11 -14.56 0.666 1.535 56.1
S12 필터 27.986822 0.262
S13 Infinity 0.110 1.514 55.2
S14 상면 Infinity 2.544
15 Infinity -0.020
면번호 S2 S3 S4 S5 S6
K -0.867 0.000 0.000 -0.759 0.000
A 0.002 -0.015 -0.013 0.004 0.038
B 0.000 0.051 0.050 -0.011 -0.067
C 0.000 -0.078 -0.070 0.070 0.246
D 0.000 0.075 0.059 -0.181 -0.729
E 0.000 -0.051 -0.030 0.276 1.492
F 0.000 0.025 0.009 -0.277 -2.146
G 0.000 -0.009 0.000 0.195 2.203
H 0.000 0.002 -0.001 -0.098 -1.629
J 0.000 -0.001 0.000 0.035 0.867
L 0.000 0.000 0.000 -0.009 -0.328
M 0.000 0.000 0.000 0.002 0.086
N 0.000 0.000 0.000 0.000 -0.015
O 0.000 0.000 0.000 0.000 0.002
P 0.000 0.000 0.000 0.000 0.000
면번호 S7 S8 S9 S10 S11
K 0.000 0.000 0.576 -7.562 0.000
A 0.035 0.004 -0.024 -0.062 -0.036
B 0.019 -0.011 0.022 0.035 0.015
C -0.140 0.022 -0.017 -0.006 -0.003
D 0.388 -0.035 0.012 -0.004 0.000
E -0.692 0.037 -0.009 0.004 0.001
F 0.848 -0.027 0.005 -0.002 0.000
G -0.731 0.014 -0.002 0.000 0.000
H 0.449 -0.005 0.001 0.000 0.000
J -0.196 0.001 0.000 0.000 0.000
L 0.060 0.000 0.000 0.000 0.000
M -0.013 0.000 0.000 0.000 0.000
N 0.002 0.000 0.000 0.000 0.000
O 0.000 0.000 0.000 0.000 0.000
P 0.000 0.000 0.000 0.000 0.000
표 19 및 표 20은 제1실시 예 내지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광학 특성 값 및 조건식 값을 나타낸다.
비고 Ex. 1 Ex. 2 Ex. 3 Ex. 4 Ex. 5 Ex. 6 Ex. 7 Ex. 8 Ex. 9
TL 8.801 8.644 8.830 8.801 8.950 8.836 8.603 7.739 11.447
TLs 6.701 6.744 6.530 6.851 7.050 6.424 6.621 5.736 9.003
BFL 1.352 1.538 1.081 1.345 1.340 0.990 1.075 1.431 2.896
f number 1.91 2.30 1.80 1.89 2.31 1.89 2.31 2.45 2.47
IMGHT 6.00 6.00 6.00 6.25 6.00 6.00 6.25 3.00 3.00
f 7.237 7.584 7.049 6.952 7.661 6.992 6.660 11.421 13.216
f1 6.900 5.566 8.687 7.457 7.328 8.397 7.325 3.719 5.162
f2 -16.184 -9.859 -19.196 -24.459 -53.520 -17.561 -22.223 -8.084 -9.864
f3 -27.638 17.581 24.033 -54.434 -12.814 24.886 -66.735 -11.180 -10.112
f4 66.899 -87.472 -27.880 -14.066 -32.849 -29.748 -15.413 -6.167 18.159
f5 7.840 13.296 -12.671 5.412 15.507 -14.876 312.670 10.232 -17.731
f6 -7.011 -6.516 4.628 99.796 16.524 -144.233 5.555 - -
f7 - - -5.912 -6.479 63.391 4.718 60.345 - -
f8 - - - - - -5.868 -5.770 - -
조건식 Ex. 1 Ex. 2 Ex. 3 Ex. 4 Ex. 5 Ex. 6 Ex. 7 Ex. 8 Ex. 9
TLs/TL 0.7614 0.7802 0.7395 0.7784 0.7877 0.7270 0.7696 0.6666 0.6557
Gmax/TL 0.2500 0.2314 0.2718 0.2329 0.2235 0.2843 0.2420 0.2717 0.2172
f/f2+f/f3 -0.7090 -0.3379 -0.0739 -0.4120 -0.7410 -0.1172 -0.3995 -2.4343 -2.6469
TL/f 1.2162 1.1398 1.2527 1.2659 1.1683 1.2638 1.2918 0.6776 0.8661
Nd2+Nd3 3.2850 3.1810 3.2150 3.3420 3.1810 3.2060 3.2060 3.2280 3.2070
BFL/f 0.1868 0.2028 0.1534 0.1935 0.1749 0.1416 0.1614 0.1253 0.2191
D12/f 0.0287 0.0293 0.0062 0.0157 0.0309 0.0162 0.0209 0.0088 0.0045
R1/f 0.4215 0.3389 0.4469 0.4632 0.3381 0.4505 0.4730 0.1918 0.2535
다음에서는 도 28 내지 35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먼저, 도 28 내지 3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실시 예 내지 제7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렌즈 배럴(BH1, BH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BH1) 및 제2렌즈 배럴(BH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BH1, BH2)은 촬상 광학계(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BH1)은 촬상 광학계(100)의 제1렌즈 군(G1)을 수용하고, 제2렌즈 배럴(BH2)은 촬상 광학계(100)의 제2렌즈 군(G2)을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BH1, BH2) 중 하나 이상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BH1)은 광축 방향을 따라 상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의 길이는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의 길이는 제1렌즈 배럴(BH1)의 이동 변위(TL-TLs)만큼 축소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휴대 단말기(20)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20)의 일면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촬상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20)의 일면으로 돌출되고, 정지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촬상 모드 및 정지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1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모드에서의 카메라 모듈(10)의 길이(TL)는 휴대 단말기(20)의 두께(h)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정지 모드에서의 카메라 모듈(10)의 길이(TLs)는 휴대 단말기(20)의 두께(h)보다 작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0)은 촬상 모드에서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가 확장되므로,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충분한 초점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은 정지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므로, 외부 충격이 카메라 모듈(10)의 선단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2 내지 3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휴대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제8실시 예 및 제9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제8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복수의 렌즈 배럴(BH1, BH2, BH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배럴(BH1), 제2렌즈 배럴(BH2), 제3렌즈 배럴(BH3)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BH1, BH2, BH3)은 촬상 광학계(8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BH1)은 촬상 광학계(800)의 제1렌즈 군(G1)을 수용하고, 제2렌즈 배럴(BH2)은 촬상 광학계(800)의 제2렌즈 군(G2)을 수용하고, 제3렌즈 배럴(BH3)은 촬상 광학계(800)의 제3렌즈 군(G3)을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BH1, BH2, BH3) 중 하나 이상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BH1) 및 제2렌즈 배럴(BH2)은 광축 방향을 따라 상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의 길이는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의 길이는 제1렌즈 배럴(BH1) 및 제2렌즈 배럴(BH2)의 이동 변위(TL-TLs)만큼 축소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휴대 단말기(22)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2)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22)의 일면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2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촬상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22)의 일면으로 돌출되고, 정지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2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촬상 모드 및 정지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12)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모드에서의 카메라 모듈(12)의 길이(TL)는 휴대 단말기(22)의 두께(h)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정지 모드에서의 카메라 모듈(12)의 길이(TLs)는 휴대 단말기(22)의 두께(h)보다 작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2)은 촬상 모드에서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가 확장되므로,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충분한 초점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배럴(BH1) 및 제2렌즈 배럴(BH2)의 이동 변위만큼 초점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원거리 촬상 또는 초점배율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2)은 정지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2)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므로, 외부 충격이 카메라 모듈(12)의 선단부에 집중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및
    상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 군;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군은 상기 제2렌즈 군과의 거리가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가동되고,
    상기 거리가 확장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와 상기 거리가 축소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TLs) 간의 비(TLs/TL)는 0.7보다 크고 0.79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Gmax)은 1.9 mm보다 크고 2.8 mm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군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 군;
    을 더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Gmax)은 2.0 mm보다 크고 2.8 mm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은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의 최대 공기간격보다 작은 촬상 광학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은 상기 제1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 군은 상기 제2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는 제3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렌즈 군은 상기 제3렌즈의 상 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렌즈 및 제5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KR1020220033924A 2020-09-24 2022-03-18 촬상 광학계 KR10258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924A KR102582891B1 (ko) 2020-09-24 2022-03-18 촬상 광학계
KR1020230124767A KR20230142393A (ko) 2020-09-24 2023-09-19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436A KR102609160B1 (ko) 2020-09-24 2020-09-24 촬상 광학계
KR1020220033924A KR102582891B1 (ko) 2020-09-24 2022-03-18 촬상 광학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36A Division KR102609160B1 (ko) 2020-09-24 2020-09-24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767A Division KR20230142393A (ko) 2020-09-24 2023-09-19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318A true KR20220042318A (ko) 2022-04-05
KR102582891B1 KR102582891B1 (ko) 2023-09-26

Family

ID=795729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36A KR102609160B1 (ko) 2020-09-24 2020-09-24 촬상 광학계
KR1020220033924A KR102582891B1 (ko) 2020-09-24 2022-03-18 촬상 광학계
KR1020230124767A KR20230142393A (ko) 2020-09-24 2023-09-19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436A KR102609160B1 (ko) 2020-09-24 2020-09-24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4767A KR20230142393A (ko) 2020-09-24 2023-09-19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86037B2 (ko)
KR (3) KR102609160B1 (ko)
CN (2) CN215340514U (ko)
TW (1) TW2022195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4641A (zh) * 2021-12-28 2022-03-0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995A (ja) * 1999-10-20 2001-04-27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13130723A (ja) * 2011-12-21 2013-07-04 Tamron Co Ltd マクロレンズ
JP2017116919A (ja) * 2015-12-22 2017-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
JP2017146588A (ja) * 2016-02-18 2017-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撮像装置
JP2020112762A (ja) * 2019-01-17 2020-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7927B2 (en) 2001-11-27 2005-08-09 Minolta Co., Ltd. Taking lens system
JP5904208B2 (ja) 2011-10-20 2016-04-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光学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US9857568B2 (en) *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TWI459027B (zh) 2013-10-31 2014-11-0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及應用此鏡頭之電子裝置
KR102180476B1 (ko) 2013-12-17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JP6393874B2 (ja) 2014-02-28 2018-09-26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US10012822B2 (en) 2016-02-18 2018-07-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Zoom lens system, interchangeable lens device and camera system with zoom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with zoom lens system
KR101901698B1 (ko) 2016-05-11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180068585A (ko)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형성 방법
KR102557898B1 (ko) * 2016-12-20 2023-07-20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TWI637207B (zh) * 2017-09-22 2018-10-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932235B1 (ko) * 2017-09-27 2018-12-24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촬영 렌즈 광학계
TWI644140B (zh) 2018-05-11 2018-1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9856779B (zh) * 2018-12-31 2021-07-3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JP6625780B1 (ja) 2019-06-28 2019-12-25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撮像レンズ
CN111679407A (zh) 2020-07-21 2020-09-1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995A (ja) * 1999-10-20 2001-04-27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13130723A (ja) * 2011-12-21 2013-07-04 Tamron Co Ltd マクロレンズ
JP2017116919A (ja) * 2015-12-22 2017-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
JP2017146588A (ja) * 2016-02-18 2017-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ズームレンズ系を有する撮像装置
JP2020112762A (ja) * 2019-01-17 2020-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88A (ko) 2022-03-31
US11886037B2 (en) 2024-01-30
CN215340514U (zh) 2021-12-28
KR102609160B1 (ko) 2023-12-05
KR102582891B1 (ko) 2023-09-26
US20220091367A1 (en) 2022-03-24
KR20230142393A (ko) 2023-10-11
CN114252978A (zh) 2022-03-29
TW202219582A (zh)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182B1 (ko) 촬상 광학계
KR100973290B1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KR10127653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393384B1 (ko) 촬상 광학계
KR20080046328A (ko) 줌 렌즈
KR102449626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9517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93077A (ko) 촬상 광학계
KR10121582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30106107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4091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609154B1 (ko) 촬상 광학계
KR102363536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142393A (ko) 촬상 광학계
KR102399235B1 (ko) 촬상 광학계
KR20080099031A (ko) 소형 촬영 렌즈
KR20230029401A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11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129423A (ko) 광학계
KR20220145306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