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483A -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483A
KR20220055483A KR1020227010247A KR20227010247A KR20220055483A KR 20220055483 A KR20220055483 A KR 20220055483A KR 1020227010247 A KR1020227010247 A KR 1020227010247A KR 20227010247 A KR20227010247 A KR 20227010247A KR 20220055483 A KR20220055483 A KR 2022005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pdcch
terminal
dorma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706B1 (ko
Inventor
서인권
안준기
양석철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본 개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LTE 시스템에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의 활성화(activation)/비활성화(deactivation)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휴면 상태를 정의했으며, 특정 SCell이 휴면 상태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해당 셀에 대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해당 SCell을 빠르게 활성화하기 위하여, 휴면 상태에서 측정, 보고 등을 수행하여 해당 셀의 채널 조건(channel condition) 및 링크 상태(link status)를 모니터링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특정 SCell이 휴면 상태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은 수행하지 않지만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을 위한 측정 및 보고는 수행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전술한 휴면 상태 또는 휴면 동작은 BWP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단말의 전력 절약을 고려한 BWP 활성화 기반의 불연속 수신 동작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자긴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3은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XR 기기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로봇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AI 기기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16은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17은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은 휴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BWP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단말의 BWP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단말의 불연속 수신 방법의 일례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유휴 모드 DRX 동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식한 순서도다.
도 23은 유휴 모드 DRX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DRX 사이클을 예시한다.
도 25는 C-DRX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C-DRX 동작의 일례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7은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의 무선 기기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 NR 및 6G뿐만 아니라 저전력 통신을 위한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LTE Cat NB1 및/또는 LTE Cat NB2 등의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기기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M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또는 7) LTE M 등의 다양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기기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저전력 광역 통신망(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ZigBee 기술은 IEEE 802.15.4 등의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소형/저-파워 디지털 통신에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s)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Access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기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기기(100)와 제2 무선 기기(200)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LTE, NR)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기기(100), 제2 무선 기기(200)}은 도 1의 {무선 기기(100x), 기지국(200)} 및/또는 {무선 기기(100x), 무선 기기(100x)}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106)을 통해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2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제2 무선 기기(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하나 이상의 메모리(20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한 뒤,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제4 정보/신호의 신호 처리로부터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20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무선 통신 기술(예, LTE,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 유닛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기기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기기(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 MAC, RLC, PDCP, RRC, SDAP와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문서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문서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전송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회로(1000)는 스크램블러(1010), 변조기(1020), 레이어 매퍼(1030), 프리코더(1040), 자원 매퍼(1050), 신호 생성기(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의 동작/기능은 도 2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의 하드웨어 요소는 도 2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1010~1060은 도 2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1010~1050은 도 2의 프로세서(102, 202)에서 구현되고, 블록 1060은 도 2의 송수신기(106, 2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도 3의 신호 처리 회로(1000)를 거쳐 무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워드는 정보블록의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이다. 정보블록은 전송블록(예, UL-SCH 전송블록, DL-SCH 전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다양한 물리 채널(예, PUSCH, PDS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러(1010)에 의해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로 변환될 수 있다. 스크램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 시퀀스는 초기화 값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초기화 값은 무선 기기의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크램블된 비트 시퀀스는 변조기(1020)에 의해 변조 심볼 시퀀스로 변조될 수 있다. 변조 방식은 pi/2-BPSK(pi/2-Binary Phase Shift Keying), m-PSK(m-Phase Shift Keying),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소 변조 심볼 시퀀스는 레이어 매퍼(103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송 레이어로 매핑될 수 있다. 각 전송 레이어의 변조 심볼들은 프리코더(1040)에 의해 해당 안테나 포트(들)로 매핑될 수 있다(프리코딩). 프리코더(1040)의 출력 z는 레이어 매퍼(1030)의 출력 y를 N*M의 프리코딩 행렬 W와 곱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N은 안테나 포트의 개수, M은 전송 레이어의 개수이다. 여기서, 프리코더(1040)는 복소 변조 심볼들에 대한 트랜스폼(transform) 프리코딩(예, DFT 변환)을 수행한 이후에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코더(1040)는 트랜스폼 프리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매퍼(1050)는 각 안테나 포트의 변조 심볼들을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의 심볼(예, CP-OFDMA 심볼, DFT-s-O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기(1060)는 매핑된 변조 심볼들로부터 무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무선 신호는 각 안테나를 통해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생성기(1060)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 및 CP(Cyclic Prefix) 삽입기,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주파수 상향 변환기(frequency uplink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기에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은 도 3의 신호 처리 과정(1010~1060)의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예, 도 2의 100, 200)는 안테나 포트/송수신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신호 복원기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복원기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frequency downlink converter),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CP 제거기, FFT(Fast Fourier Transfor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베이스밴드 신호는 자원 디-매퍼 과정, 포스트코딩(postcoding) 과정, 복조 과정 및 디-스크램블 과정을 거쳐 코드워드로 복원될 수 있다. 코드워드는 복호(decoding)를 거쳐 원래의 정보블록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신호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미도시)는 신호 복원기, 자원 디-매퍼, 포스트코더, 복조기, 디-스크램블러 및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무선 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무선 기기는 사용-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기기(100, 200)는 도 2의 무선 기기(100,200)에 대응하며, 다양한 요소(element), 성분(component), 유닛/부(unit), 및/또는 모듈(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0, 2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및 추가 요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 회로(112) 및 송수신기(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2)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202)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204)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들)(114)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2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메모리부(130) 및 추가 요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기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기기의 전기적/기계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통신부(110)을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예, 다른 통신 기기)로부터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요소(140)는 무선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요소(140)는 파워 유닛/배터리, 입출력부(I/O unit), 구동부 및 컴퓨팅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도 1, 100a), 차량(도 1, 100b-1, 100b-2), XR 기기(도 1, 100c), 휴대 기기(도 1, 100d), 가전(도 1, 100e), IoT 기기(도 1, 100f), 디지털 방송용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기기(도 1, 400), 기지국(도 1, 200), 네트워크 노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기기는 사용-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가능하거나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무선 기기(100, 200) 내의 다양한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전체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기기(100, 200) 내에서 제어부(120)와 통신부(110)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20)와 제1 유닛(예, 130, 140)은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기(100, 200) 내의 각 요소, 성분, 유닛/부,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ECU(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 등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부(1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의 구현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휴대 기기를 예시한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휴대용 컴퓨터(예,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WT(Wireless terminal)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100)는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전원공급부(140a), 인터페이스부(140b) 및 입출력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c는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기지국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휴대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휴대 기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a)는 휴대 기기(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휴대 기기(100)와 다른 외부 기기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b)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포트(예, 오디오 입/출력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영상 정보/신호, 오디오 정보/신호,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 받거나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c)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140d),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통신의 경우, 입출력부(140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신호(예, 터치,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를 획득하며, 획득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다른 무선 기기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뒤, 수신된 무선 신호를 원래의 정보/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정보/신호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뒤, 입출력부(140c)를 통해 다양한 형태(예, 문자, 음성, 이미지, 비디오, 헵틱)로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은 이동형 로봇, 차량, 기차, 유/무인 비행체(Aerial Vehicle, AV), 선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은 안테나부(108), 통신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40a), 전원공급부(140b), 센서부(140c) 및 자율 주행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8)는 통신부(1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d는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기지국(e.g. 기지국, 노변 기지국(Road Side unit) 등),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의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a)는 엔진, 모터, 파워 트레인, 바퀴, 브레이크, 조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b)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c)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데이터, 교통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드라이빙 플랜에 따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이 자율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140a)를 제어할 수 있다(예, 속도/방향 조절). 자율 주행 도중에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교통 정보 데이터를 비/주기적으로 획득하며,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교통 정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도중에 센서부(140c)는 차량 상태,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율 주행부(140d)는 새로 획득된 데이터/정보에 기반하여 자율 주행 경로와 드라이빙 플랜을 갱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위치, 자율 주행 경로, 드라이빙 플랜 등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데이터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차량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차량을 예시한다. 차량은 운송수단, 기차, 비행체, 선박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및 위치 측정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b는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차량, 또는 기지국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차량(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AR/V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HUD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차량(100)의 절대 위치 정보, 주행선 내에서의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 주변 차량과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수신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b)는 GPS 및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차량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지도 정보, 교통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하여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출력부(140a)는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차량 내 유리창에 표시할 수 있다(1410, 1420).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이 주행선 내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100)이 주행선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a)를 통해 차량 내 유리창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주변 차량들에게 주행 이상에 관한 경고 메세지를 방송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관계 기관에게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행/차량 이상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XR 기기를 예시한다. XR 기기는 HMD,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전원공급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c은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휴대 기기, 또는 미디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미디어 데이터,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이미지,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XR 기기(100a)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 및 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XR 기기(100a)의 구동/X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외부로부터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획득하며, 생성된 XR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XR 기기 상태,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c)는 XR 기기(100a)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유/무선 충전 회로,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XR 기기(100a)의 메모리부(130)는 XR 오브젝트(예, AR/VR/MR 오브젝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예, 데이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사용자로부터 XR 기기(100a)를 조작하는 명령을 회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구동 명령에 따라 XR 기기(100a)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R 기기(100a)를 통해 영화, 뉴스 등을 시청하려고 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컨텐츠 요청 정보를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기기(예, 휴대 기기(100b)) 또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영화, 뉴스 등의 컨텐츠를 메모리부(130)로 다운로드/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이미지 획득, (비디오/이미지) 인코딩, 메타데이터 생성/처리 등의 절차를 제어 및/또는 수행하며, 입출력부(140a)/센서부(140b)를 통해 획득한 주변 공간 또는 현실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XR 오브젝트를 생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XR 기기(100a)는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기기(100b)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XR 기기(100a)의 동작은 휴대 기기(100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100b)는 XR 기기(100a)에 대한 콘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XR 기기(100a)는 휴대 기기(100b)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한 뒤, 휴대 기기(100b)에 대응하는 XR 개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적용되는 로봇을 예시한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로봇(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 센서부(140b) 및 구동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110~130/140a~140c은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 기기, 다른 로봇, 또는 제어 서버 등의 외부 기기들과 신호(예, 구동 정보,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로봇(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로봇(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파라미터/프로그램/코드/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로봇(100)의 외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며, 로봇(100)의 외부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b)는 로봇(100)의 내부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센서부(140b)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c)는 로봇(100)을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140c)는 액츄에이터, 모터, 바퀴,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적용되는 AI 기기를 예시한다. AI 기기는 TV, 프로젝터, 스마트폰,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I 기기(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a/140b), 러닝 프로세서부(140c) 및 센서부(140d)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10~130/140a~140d는 각각 도 4의 블록 110~130/140에 대응한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AI 기기(예, 도 1, 100x, 200, 400)나 AI 서버(예, 도 1의 400) 등의 외부 기기들과 유무선 신호(예,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메모리부(130) 내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메모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AI 기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 또는 메모리부(13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AI 기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AI 장치(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부(130) 또는 러닝 프로세서부(140c)에 저장하거나, AI 서버(도 1, 400)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AI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30)는 입력부(140a)로부터 얻은 데이터, 통신부(110)로부터 얻은 데이터,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데이터, 및 센싱부(140)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의 동작/실행에 필요한 제어 정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AI 기기(100)의 외부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a)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이 적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40a)는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또는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b)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b)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AI 기기(100)의 내부 정보, AI 기기(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레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AI 서버(도 1, 400)의 러닝 프로세서부와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부(140c)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러닝 프로세서부(140c)의 출력 값은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되거나/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1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 단말은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RRC idle) 상태에 있게 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영역에서 여러 개의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벌(Symbol)들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복수의 OFDM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벌들(예, 첫 번째 OFDM 심볼)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전송의 단위 시간으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이 될 수 있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NR)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14는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5G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에 기초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5G NR 시스템(이하, 간단히 "NR"이라 칭함)에서 사용되는 개체는 도 11에서 소개된 개체(예를 들어, eNB, MME, S-GW)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흡수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체는 LTE와 구별하기 위해 "NG"라는 이름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UE(11), NG-RAN(next-generation RAN) 및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C)를 포함한다. NG-RAN은 적어도 하나의 NG-RAN 노드로 구성된다. NG-RAN 노드는 도 11에 도시된 BS(20)에 대응하는 개체이다. NG-RAN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gNB(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ng-eNB (22)로 구성된다. gNB(21)는 UE(11)를 향한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의 종단을 제공한다. Ng-eNB(22)는 UE(11)를 향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의 종단을 제공한다.
5GC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 및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을 포함한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과 같은 기능을 호스트 한다. AMF는 종래 MME의 기능을 포함하는 개체이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 PDU(protocol data unit) 처리와 같은 기능을 호스트 한다. UPF는 종래의 S-GW의 기능을 포함하는 개체이다. SMF는 UE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와 같은 기능을 호스트 한다.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 및 ng-e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에, 그리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에 연결된다.
도 15는 NG-RAN과 5GC 간의 기능적 분할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단말 IP 주소 할당, PDU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10 ms(millisecond)로 구성될 수 있고, 1 ms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10개를 포함할 수 있다.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노멀 CP(normal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혹은, CP-OFDM 심볼), SC-FDMA 심볼 (혹은,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에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slot)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를 예시한다.
Figure pct00001
다음 표 2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에 따라, 프레임 내 슬롯 개수(Nframeμ slot),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 슬롯 내 심볼 개수(Nslot symb) 등을 예시한다.
Figure pct00002
표 3은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SCS에 따라 슬롯 별 심볼의 개수, 프레임 별 슬롯의 개수와 서브프레임(SF) 별 슬롯의 개수를 예시한다.
Figure pct00003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numerology(또는 subcarrier spacing(SCS))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가지 type(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하기 표 4와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주파수 영역 지정(Frequency Range designation)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FR1 450MHz - 6000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하기 표 5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 지정(Frequency Range designation)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복수의 셀들간에 OFDM(A) 뉴머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시간 자원(예, SF, 슬롯 또는 TTI)(편의상, TU(Time Unit)로 통칭)의 (절대 시간) 구간이 병합된 셀들간에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노멀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4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12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노멀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7개의 심볼을 포함하나, 확장 CP의 경우 하나의 슬롯이 6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파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한다. RB(Resource Block)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예를 들어, 12)의 연속한 부반송파로 정의될 수 있다. BWP(Bandwidth Part)는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연속한 (P)RB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뉴머놀로지(numerology)(예, SCS, CP 길이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반송파는 최대 N개(예를 들어, 5개)의 BWP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활성화된 BWP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요소는 자원 그리드에서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될 수 있고, 하나의 복소 심볼이 맵핑될 수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다음 표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들로 구성될 수 있다.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CCE의 개수(Number of CCEs)
1 1
2 2
4 4
8 8
16 16
즉, PDCCH는 1, 2, 4, 8 또는 16개의 CCE들로 구성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CCE는 6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며, 하나의 REG는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된다.
한편, NR에서는,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이라는 새로운 단위를 도입할 수 있다. 단말은 CORESET에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BWP에 대해 설명한다.
NR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당 최대 400 메가헤르츠(megahertz: MHz)까지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광대역(wideband) CC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항상 CC 전체에 대한 RF를 켜둔 채로 동작한다면 단말 배터리 소모가 커질 수 있다. 혹은 하나의 광대역 CC 내에 동작하는 여러 유스 케이스(use case)들(예, eMBB, URLLC, mMTC 등)을 고려할 때 해당 CC 내에 주파수 대역 별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y) (예,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가 지원될 수 있다. 혹은 단말 별로 최대 대역폭에 대한 능력(capability)이 다를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기지국은 광대역 CC의 전체 대역폭이 아닌 일부 대역폭에서만 동작하도록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으며, 해당 일부 대역폭을 편의상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로 정의하고자 한다. BWP는 주파수 축 상에서 연속한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뉴머롤로지 (예, 부반송파 간격, CP(cyclic prefix) 길이, 슬롯/미니-슬롯(mini-slot) 기간(duration) 등)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된 하나의 CC 내에서도 다수의 BWP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PDCCH 모니터링 슬롯(PDCCH monitoring slot)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주파수 영역을 차지하는 BWP를 설정하고, PDCCH에서 지시하는 PDSCH는 그보다 큰 BWP 상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혹은, 특정 BWP에 단말들이 몰리는 경우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을 위해 일부 단말들을 다른 BWP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이웃 셀 간의 주파수 영역 인터-셀 간섭 해제(frequency domain inter-cell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을 고려하여 전체 대역폭 중 가운데 일부 스펙트럼을 배제하고 양쪽 BWP들을 동일 슬롯 내에서도 설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광대역(wideband) CC 와 관련(association)된 단말에게 적어도 하나의 DL/UL BWP를 설정해 줄 수 있으며, 특정 시점에 설정된 DL/UL BWP(s) 중 적어도 하나의 DL/UL BWP를 (L1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활성화(activation)시킬 수 있고, 다른 설정된 DL/UL BWP로 스위칭이 (L1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RRC 시그널링 등에 의해) 지시될 수 있거나, 타이머 기반으로 타이머 값이 만료되면 정해진 DL/UL BWP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이 때, 활성화된 DL/UL BWP를 활성(active) DL/UL BWP로 정의한다. 그런데 단말이 초기 접속(initial access) 과정에 있거나, 혹은 RRC 연결이 셋업(set up)되기 전 등의 상황에서는 DL/UL BWP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단말이 가정하는 DL/UL BWP는 초기 활성(initial active) DL/UL BWP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NR 시스템에서 각 서빙 셀은 최대 4개로 다수의 BWP가 설정될 수 있으며, NR 시스템에서 휴면 상태(dormant state)는 BWP 단위의 동작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각 셀 및 BWP에 대한 휴면(dormancy) 동작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의 활성화(activation)/비활성화(deactivation)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휴면 상태를 정의했으며, 특정 SCell이 휴면 상태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해당 셀에 대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해당 SCell을 빠르게 활성화하기 위하여, 휴면 상태에서 측정, 보고 등을 수행하여 해당 셀의 채널 조건(channel condition) 및 링크 상태(link status)를 모니터링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특정 SCell이 휴면 상태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은 수행하지 않지만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을 위한 측정 및 보고는 수행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전술한 휴면 상태 또는 휴면 동작은 BWP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방법 등을 통하여 각 셀 및 BWP에 대한 휴면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휴면 동작은 휴면 모드에 기반한 단말의 동작으로 교차 해석될 수 있고, 일반 동작은 휴면 동작이 아닌 동작, 또는 일반 모드에 기반한 단말의 동작으로 교차 해석될 수 있다.
(휴면 동작 정의 방법 1) 상태 변경(state change)
네트워크는 특정 BWP에 대하여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은 휴면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 받은 BWP에 설정된 PDCCH 모니터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휴면 동작 정의 방법 2) 휴면 BWP
네트워크는 특정 BWP를 휴면 BWP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이 0인 BWP를 설정하거나, BWP 설정을 통해 최소한의 PDCCH 모니터링을 지시하거나, 검색 공간 집합 설정을 지시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PDCCH 모니터링을 하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NR 시스템에서는 보다 빠른 SCell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해 DCI 등의 L1 시그널링을 통해 일반 상태(normal state)와 휴면 상태 간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특정 셀의 휴면 동작을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 방법 1) 특정 DCI 도입
각 SCell의 휴면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특정 DCI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PCell에서 특정 DCI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시 받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특정 DCI를 통해 각 SCell의 휴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Cell의 휴면 동작은 위의 방식 1 또는 2 등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활성화 방법 2) DCI 내 BWP 지시 필드의 개선(enhancement)
기존 DCI의 BWP 지시 필드를 해당 셀 및/또는 특정 SCell(들)의 BWP 지시를 수행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즉, 기존 BWP 지시 필드에서 BWP에 대한 교차-반송파 지시(cross-carrier indication)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 방법 3) BWP 단위의 교차-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기존 교차-반송파 스케줄링은 각 셀 별로 해당 셀의 스케줄링/스케줄링된 셀 여부를 지시하고, 스케줄링된 셀(scheduled cell)일 경우 해당 셀의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반송파 간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 SCell에 대한 휴면 동작를 정의하기 위해 교차-반송파 스케줄링 여부를 BWP 별로 지시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의 각 BWP 설정에 해당 BWP가 휴면 동작을 수행할 때 상태 전환 등을 지시 받을 수 있는 스케줄링 셀이 지정될 수 있다. 또는 휴면 BWP가 지정될 경우, 해당 BWP 설정 내에 해당 BWP의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스케줄링 셀이 지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의 SCell의 신속한 활성화/비활성화, 휴면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위의 방법들이 사용될 경우,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고려 사항 1) BWP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디폴트(default) BWP
(고려 사항 2) 휴면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DCI 내 스케줄링 정보
(고려 사항 3) 휴면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DCI의 HARQ 피드백
이하에서는 각 고려 사항 및 해결 방법을 논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D-BWP는 휴면 동작을 수행하는 BWP를 의미하며, N-BWP는 일반(normal) BWP로 기존의 BWP 동작을 수행하는 BWP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BWP에서의 휴면 동작은 해당 BWP에서 PDCCH를 수신하지 않거나 일반 동작(normal behavior)에 비해 긴 주기로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BWP에 대한 PDSCH/PUSCH 스케줄링을 받지 않거나 일반 동작에 비해 긴 주기로 받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휴면 BWP는 해당 BWP에서 PDCCH를 수신하지 않거나 일반 BWP에 비해 긴 주기로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BWP에 대한 PDSCH/PUSCH 스케줄링을 받지 않거나 일반 BWP에 비해 긴 주기로 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8은 휴면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8의 (a) 및 (b) 각각은 단말의 휴면 상태 지시에 따른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의 (a)에 따르면, 단말은 일반 동작에 기반하여 제1 BWP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이 휴면 상태 지시를 수신하면,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18의 (b)에 따르면, 단말은 일반 동작에 기반하여 제2 BWP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PDCCH 모니터링은 제1 주기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휴면 상태 지시를 수신하면, 제2 주기에 기반하여 PDCCH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제2 주기는 제1 주기보다 더 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BWP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디폴트(default) BWP에 대해 설명한다.
BWP 동작과 관련하여, NR 시스템에서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불일치(misunderstanding)로 인해 활성(active) BWP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 등을 방지하기 위해 BWP 비활성 타이머를 도입했다. 단말은 활성 BWP에서 타이머 등에 의해 지정된 특정 시간 이상 PDCCH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 지시된 디폴트 BWP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디폴트 BWP에 대하여 설정된 CORESET, 검색 공간 집합 설정 등의 PDCCH 모니터링 설정에 따라 디폴트 BWP에서의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BWP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단말은 제1 BWP 상에서 PDCCH를 수신하다가, 해당 BWP에서 BWP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PDCCH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디폴트 BWP인 제2 BWP로 이동하여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한편, 도 19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제1 BWP에서 제2 BWP로 이동한다는 것은 활성 BWP가 제1 BWP에서 제2 BWP로 변경됨을 의미할 수 있다.
디폴트 BWP 동작과 휴면 동작이 함께 수행될 경우, 각각의 목적과 상반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단말의 전력 절약(power saving) 등을 위하여 특정 SCell에 대하여 D-BWP로의 이동을 지시하거나, 현재 BWP를 휴면 상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BWP 비활성 타이머를 설정 받은 단말은 일정 시간 후 디폴트 BWP로 이동하여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단한 방법은 디폴트 BWP를 D-BWP로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디폴트 BWP의 원래 목적인 네트워크와 단말 간 불일치(misunderstanding)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면 동작과 BWP 비활성 타이머를 함께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네트워크가 D-BWP로의 이동을 지시하거나, 현재 활성 BWP를 휴면 상태로 전환한 경우, 단말은 기존에 설정된 BWP 비활성 타이머를 무시하거나, 사전에 정의된 값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휴면 상태와 관련하여 지시된 값으로 BWP 비활성 타이머를 재설정(rese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단말의 트래픽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휴면 구간을 설정하고, 해당 값을 단말에게 사전에 지시하는 등으로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D-BWP로의 이동을 지시 받거나, 현재 활성 BWP를 휴면 상태로 전환할 것을 지시 받은 경우, 네트워크로 지시 받은 값을 BWP 비활성 타이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네트워크로부터 지시 받은 휴면 동작을 위한 비활성 타이머는 기존의 BWP 비활성 타이머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면 동작을 지시 받은 단말은 기존 BWP 비활성 타이머를 오프(OFF)하고, 휴면 동작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단말은 BWP 비활성 타이머가 종료되거나, N-BWP로의 이동 또는 일반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 받은 경우, 휴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추가로, 휴면 동작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휴면 동작이 종료될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의 디폴트 BWP로 이동하거나, 일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가 비활성 타이머에 의해 휴면 동작이 종료될 경우 단말이 이동할 BWP 등을 지정하여 지시할 수도 있다.
도 20은 단말의 BWP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도 19의 일례에서 BWP 비활성 타이머가 동작 중일 때 단말이 휴면 상태로 전환할 것을 지시/설정 받은 경우의 일례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단말은 제1 BWP 상에서 BWP 비활성 타이머 동작 중에 휴면 상태 전환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휴면 상태 전환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휴면 상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이 휴면 상태 전환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에서 휴면 동작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될 수 있다. 이 때, 휴면 동작에 대한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디폴트 BWP인 제2 BWP 상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면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DCI 내 스케줄링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DCI 등에 의해 D-BWP/N-BWP 간 이동이 지시되고, 해당 DCI가 일반적인 스케줄링 DCI일 경우, DCI 내의 스케줄링 정보에 대한 동작 여부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WP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DCI에서의 PDSCH 스케줄링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경우, 해당 PDSCH의 수신 성공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D-BWP에서도 PDCCH/PDSCH 송수신 동작이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경우(case) 1-1) 특정 셀에 대한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DCI 또는 휴면 BWP로의 스위칭을 지시하는 DCI에 PDSCH 스케줄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D-BWP에서의 PDSCH 송수신은 추가적인 PDCCH/PDSCH 송수신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휴면 BWP의 목적에 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DCI에 포함된 D-BWP에 대한 PDSCH 스케줄링 정보는 무시할 수 있다. 추가로, 해당 필드에 알려진 비트(known bit) 또는 알려진 비트 시퀀스를 전송하여 단말의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사전 정의를 통해 PDSCH 스케줄링에 연관된 필드 등에 대한 알려진 비트 정보가 지시될 수도 있다.
(경우 1-2) 휴면 동작에서 일반 동작으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DCI 또는 휴면 BWP에서 일반 BWP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DCI에 PDSCH 스케줄링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존재할 경우
경우 1-2에서, PDSCH 스케줄링 정보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N-BWP에서의 또는 일반 상태에서의 PDCCH 전송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 경우 1-2는 해당 PDSCH 스케줄링 정보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전환되는 N-BWP에서의 UL/DL 스케줄링 관련 정보이거나, 일반 상태에서의 PDSCH 또는 상향링크 전송 관련 정보일 경우로 한정하여 PDSCH 스케줄링 정보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의 적용 유무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Cell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특정 SCell(들)에 대한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필드가 추가될 경우, 해당 DCI의 PDSCH 스케줄링 정보는 PCell에서의 PDSCH 관련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휴면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DCI의 HARQ 피드백에 대해 설명한다.
휴면 동작은 (정의에 따라) 지시된 셀에서의 PDCCH/PDSCH 송수신 동작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missing)/거짓 경보(false alarm) 등에 따라 네트워크와 단말의 이후 동작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코딩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거나, 휴면 동작 지시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D-BWP로의 이동 또는 휴면 상태로의 전환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방법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아래 내용에서 휴면 동작에 대한 지시만으로 DCI가 구성될 경우, 단말은 NACK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아래 제안은 ACK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는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DCI가 PDSCH 스케줄링도 포함할 경우, 해당 PDSCH에 대한 ACK/NACK 또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이 휴면 동작에 대한 명령을 수신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ACK이나 NACK 모두 DCI 수신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ACK/NACK 모두 휴면 동작에 대한 지시를 수신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 2-1) 휴면 명령(dormancy command) 및 UL/DL 스케줄링의 결합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DCI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향링크에 대한 ACK/NACK 및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전송은 휴면 동작이 포함된 DCI를 제대로 수신했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단말과 네트워크는 지시된 휴면 동작이 수행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NACK은 PDSCH 수신에 대한 NACK을 의미하므로 NACK 역시 휴면 동작에 대한 지시를 수신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 2-1-1)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줄링의 타겟(target)이 휴면 BWP 또는 휴면 상태인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된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줄링까지 종료 후 휴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D-BWP 또는 휴면 상태에서의 해당 스케줄링에 대한 ACK/NACK 자원 또는 상향링크 자원은 기존 ACK/NACK 자원 결정 방법 및 상향링크 전송 방식을 따른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해당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수신을 종료한 단말은 휴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스케줄링은 없다고 가정하거나 무시할 수 있다.
(경우 2-1-2)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줄링의 타겟이 스케줄링 셀/BWP 또는 일반 상태인 경우
이 경우, 스케줄링 셀/BWP 또는 일반 상태에서 ACK/NACK 또는 상향링크 전송이 휴면 명령을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은 휴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 2-2) 휴면 명령 및 비-스케줄링(non-scheduling)/거짓-스케줄링(fake-scheduling)의 결합
경우 2-2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없이 휴면 동작에 대한 명령만이 유효한 DCI 또는 스케줄링 정보 필드를 더미(dummy)/더미 데이터로 가정할 수 있는 DCI에 의해 휴면 동작이 지시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연계된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수신이 없으므로 DCI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DCI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단말은 DCI 송신 여부를 알지 못하므로 실제로는 ACK 송신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면 BWP 또는 휴면 상태에서 휴면 명령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하고, 피드백 자원은 휴면 명령를 전송하는 DCI에서 함께 지시하거나 사전에 정의된 피드백 자원을 통해 피드백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 상태에 대한 BWP 결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 BWP와 휴면 BWP 간 전환이 BWP 지시 없이 상태 간의 변경만으로 수행될 경우,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PCell에서 전송되는 DCI에 SCell 별로 또는 SCell 그룹 별로 1 비트를 할당하여 휴면 여부만을 지시할 경우, 휴면 모드/일반 모드를 위한 BWP가 사전에 정의될 것을 제안한다. 일례로, 네트워크는 휴면 모드 용 BWP (D-BWP)를 하나 지정하고, 사전에 정의된 DCI 내의 1 비트 필드가 “1” 또는 “0”일 경우 연계된 Scell의 활성 BWP를 D-BWP로 지정할 수 있다. 휴면 BWP의 경우, 다수의 휴면 BWP는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만 증가시킬 뿐 추가적인 이득이 없으므로 셀 당 하나만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일반 BWP는 기존과 동일하게 셀 당 최대 4개의 BWP가 지정될 수 있다. 이는 휴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될 경우, 설정된 일반 BWP 중 하나로 이동해야 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이 휴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을 지시 받은 경우, 일반 모드에서의 활성 BWP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옵션 1-1) 휴면 모드 직전 일반 모드에서의 활성 BWP
첫번째 방법으로 해당 휴면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의 일반 모드에서의 활성 BWP를 휴면 모드 이후 일반 모드에서의 활성 BWP로 가정할 수 있다. 이는 휴면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을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옵션 1-2) 디폴트 BWP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사전에 정의된 BWP
단말은 휴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이동할 경우, 해당 셀에 지정된 디폴트 BWP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디폴트 BWP는 BWP 비활성 타이머가 종료될 경우 이동하도록 정의된 디폴트 BWP이거나, 네트워크가 SCell 휴면 동작을 위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을 이용해 지정한 BWP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디폴트 BWP에 비해 넓은 BWP 또는 좁은 BWP에서 단말을 동작시키고 싶을 경우, 기존의 BWP 스위칭 절차를 통해 일반 모드에서 BWP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옵션 1-1, 옵션 1-2 중 실제 적용되는 방법은 사전 정의에 의해 지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타이머 등을 추가로 지정하여 적용할 옵션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변경될 경우, 사전에 정의된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옵션 1-1에 의해 휴면 모드 직전의 일반 모드에서의 마지막 활성 BWP로 이동할 수 있다. 타이머가 종료된 이후, 일반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 받은 단말은 디폴트 BWP로 이동하여 일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셀 당 BWP의 최대 개수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 BWP 동작에서 단말은 셀 당 최대 4개의 BWP가 설정될 수 있었다. 반면, 휴면 BWP가 도입될 경우, 해당 제한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면 BWP가 지정된 셀에서의 BWP의 최대 개수를 지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옵션 2-1) 휴면 BWP가 지정될 경우 BWP의 최대 개수를 1 증가
휴면 BWP와 관련하여 단말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영향(impact)이 적기 때문에 휴면 BWP에 의한 셀 당 최대 BWP의 개수 증가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휴면 BWP가 지정된 셀에서는 최대 BWP의 개수를 1 증가시켜 기존과 동일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옵션 2-2) 휴면 BWP는 BWP의 개수에 포함시키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이, 휴면 BWP 상에서 단말은 기존 BWP에서 수행하는 대부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면 BWP는 BWP의 개수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휴면 지시에 대한 HARQ 피드백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면 동작은 (정의에 따라) 지시된 셀에서의 PDCCH/PDSCH 송수신 동작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missing)/거짓 경보(false alarm) 등에 따라 네트워크와 단말의 이후 동작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코딩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거나, 휴면 동작 지시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 피드백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PCell에서 SCell의 휴면 동작에 대한 ACK/NACK 피드백 방법을 설명하지만, 상기 방법은 SCell에서 또 다른 SCell에 대한 휴면 동작을 지시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PCell에서 SCell의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방법으로 PCell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SCell에 대한 휴면 동작 지시 필드를 추가하거나 또는 PCell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 중 일부 필드를 재해석하여 SCell에 대한 휴면 동작을 지시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DCI의 역할에 따라 다음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 및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 피드백 방법을 제안한다.
(경우 3-1) PDSCH 스케줄링 정보 및 SCell 휴면 지시의 결합
경우 3-1에서, 함께 스케줄링되는 PDSCH에 대한 ACK/NACK을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PDSCH에 대하여 DCI를 누락한(missing) 경우에도 NACK을 전송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다수의 PDSCH가 스케줄링되고 해당 PDSCH들에 대한 HARQ-ACK 피드백이 하나의 PUCCH 자원에 전송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NACK이 DCI 누락(missing)에 의한 NACK 인지, DCI는 수신, 즉, 휴면 지시도 수신했으나 PDSCH에 대한 디코딩이 실패했다는 의미의 NACK인지를 구분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PDSCH에 대응되는 ACK/NACK 정보와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 정보가 각각 동일한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될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DCI 또는 대응되는 PDSCH로부터 해당 DCI를 통해 HARQ-ACK 피드백 타이밍으로 지시된 K1개의 슬롯 이후의 슬롯을 통해, 상기 PDSCH에 대응되는 ACK/NACK 정보와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 정보를 함께 피드백/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DSCH에 대응되는 ACK/NACK 정보는 기존 NR 시스템과 동일하게 반-정적 또는 동적 HARQ-ACK 코드북을 구성하고, 이후, 예를 들어, 가장 마지막 자리 또는 이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비트 인덱스(highest bit index) 등 해당 HARQ-ACK 코드북 내 특정 위치에 휴면 지시에 대응되는 1 비트 HARQ-ACK을 추가할 수 있다. 즉, 경우 3-1에서, 휴면 지시와 함께 지시되는 PDSCH 스케줄링에 대한 기존의 ACK/NACK 보고 절차에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 필드(일례로, 1비트 필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해당 PDSCH에 대응되는 HARQ-ACK 비트의 코드북 내 위치의 다음 자리에 휴면 지시에 대응되는 1 비트 HARQ-ACK을 전송하거나, 또는 코드북 내 상기 PDSCH가 전송된 셀에 대응되는 HARQ-ACK 페이로드(payload)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가장 마지막 자리 또는 이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비트 인덱스에 휴면 지시에 대응되는 1 비트 HARQ-ACK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SCell이 휴면 상태를 전환하는 슬롯 또는 해당 슬롯을 포함한 복수의 슬롯에서 해당 SCell에 대해서는 PDSCH 스케줄링을 기대하지 않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반-정적 코드북(semi-static codebook) 등에 대해 해당 PCell로 전송되는 휴면 지시에 대해서 HARQ-ACK 코드북 중 해당 타이밍의 SCell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에 해당 SCell에 대한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휴면 지시가 복수의 SCell들로 이루어진 SCell 그룹에 대한 지시일 경우, 해당 SCell들에 대한 HARQ-ACK 위치 모두에 동일한 피드백을 전송하거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SCell 등 특정 SCell에 대한 HARQ-ACK 위치에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은 SCell에 PDSCH 스케줄링이 기대되지 않는 복수의 슬롯 타이밍에 대해서 동일한 값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반-정적 코드북(semi-static codebook)과 동적 코드북(dynamic codebook) 각각은 NR 기준으로 타입(Type)-1 코드북과 타입-2 코드북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 3-2) PDSCH 스케줄링 정보 없는 SCell 휴면 지시
경우 3-2에 따르면 함께 지시되는 PDSCH 스케줄링이 없기 때문에 PDCCH, 즉, 휴면 지시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음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ACK/NACK 전송 방법 1) 반-정적 HARQ-ACK 코드북이 설정된 경우 등 NR의 HARQ-ACK 코드북을 구성한 이후, 특정 위치에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위치는 가장 마지막 자리 또는 이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비트 인덱스일 수 있고, 상기 추가되는 HARQ-ACK 필드는 1비트 필드일 수 있다.
(ACK/NACK 전송 방법 2) 반-정적 HARQ-ACK 코드북이 설정된 경우, NR의 SPS 해제를 지시하는 DCI에 대한 HARQ-ACK 피드백 방법과 유사하게, 반-정적 HARQ-ACK 코드북 내 해당 DCI 또는 해당 DCI가 전송된 슬롯에 대응되는 위치에 HARQ-ACK을 전송한 경우, 단말은 휴면 상태를 지시하는 PDCCH가 전송된 슬롯과 동일 슬롯 내에 다른 유니캐스트 PDSCH 수신이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ACK/NACK 전송 방법 3) 경우 3-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HARQ-ACK 코드북 내 SCell에 대응하는 HARQ-ACK 위치에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HARQ-ACK 피드백 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내용에서,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 피드백 타이밍은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옵션 3-1) DCI로부터 K1개의 슬롯 이후의 슬롯
휴면 지시를 포함하는 DCI가 전송될 슬롯으로부터 K1, 즉, DCI 및 HARQ-ACK 간의 슬롯 오프셋 이후 슬롯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옵션 3-2)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로부터 K1개의 슬롯
네트워크는 휴면 지시가 포함된 DCI 내 PDSCH 자원 할당 정보에 기반한 PDSCH 위치로부터 K1 슬롯 이후의 슬롯으로 피드백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경우 3-2에서, 실제 스케줄링되는 PDSCH는 없으나, 네트워크가 가상의 PDSCH를 할당하여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 피드백 타이밍을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제안은 HARQ-ACK 정보가 실리는 상향링크 채널에 연관된 후보 PDSCH 수신 슬롯 또는 이에 대응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monitoring occasion)가 휴면 상태를 지시하는 PDCCH에 대한 모니터링 기회를 포함할 때에 한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 3-1의 경우, 폴백(fallback) PUCCH 전송, 즉, 실제 피드백 해야 할 HARQ-ACK 정보가 단일 PCell 단일(single) PDSCH에만 대응되는 1-비트이거나 (반-정적 코드북의 경우) 또는 counter-DAI=1인 단일 PDSCH에만 대응되는 경우이 아닌 경우에 한해 적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폴백 PUCCH 전송인 경우에는 휴면 지시에 대한 별도의 HARQ-ACK 피드백 없이,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한 HARQ-ACK만을 피드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슬롯 오프셋을 도출한 단말은 해당 K1에 대응되는 PDSCH 슬롯 내의 어느 SLIV(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에 HARQ-ACK을 맵핑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DCI에서 지시된 가상의 SLIV 또는 예를 들어 첫 번째 또는 마지막 등 특정 SLIV 후보에, 해당 HARQ-ACK을 맵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해당 방법은 특히 상기 경우 3-2에서, ACK/NACK 전송 방법 2에서의 HARQ-ACK 코드북 구성 시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반-정적 코드북의 경우, 활성화된 셀(activated cell)의 현재 활성 하향링크 BWP 및 비활성화된 셀(deactivated cell)의 첫 번째 활성 하향링크 BWP에 대응되는 HARQ-ACK들의 집합이 피드백되는데, 특정 셀의 활성 하향링크 BWP가 휴면 BWP일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당 셀에 대응되는 HARQ-ACK 코드북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방법들은 휴면 BWP가 지시되고 X ms 이후부터 적용될 수 있으며, X 값은 사전 정의에 의해 또는 네트워크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옵션 4-1) 비활성화된 셀과 동일하게 첫 번째 활성 하향링크 BWP 및 여기에 설정된 SLIV 및 K1 값의 집합에 대응되는 HARQ-ACK
(옵션 4-2) 0 비트
(옵션 4-3) 해당 휴면 BWP 직전 최근 BWP 및 여기에 설정된 SLIV 및 K1 값의 집합에 대응되는 HARQ-ACK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휴면 동작에 해당하는 BWP(휴면 BWP)와 비-휴면 동작에 해당하는 BWP(비-휴면 BWP) 간 스위칭을 통해 휴면 동작의 전환을 수행하는 경우 HARQ-ACK 코드북 구성은 휴면 BWP의 설정을 따를 수 있다. 또는, 휴면 BWP의 TDRA(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표, SLIV 표 등의 HARQ-ACK 코드북 구성에 대한 설정이 없을 경우 해당 셀의 특정 BWP의 구성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특정 BWP는 휴면 BWP를 제외한 가장 낮은/가장 높은 인덱스를 갖는 BWP, 설정된 레퍼런스(reference) BWP, 초기(initial) BWP, 가장 최근의 비-휴면 활성 BWP 등일 수 있다.
전술한 방법들에 대해, 단말이 동일한 SCell에 대해 휴면 지시에 따른 휴면/비-휴면 동작이 적용되기 이전에 다시 휴면 지시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가장 최근에 수신한 휴면 지시를 따르거나, 또는 단말은 두 개의 휴면 지시는 동일한 동작(휴면 또는 비-휴면)을 지시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지시하는 동작이 서로 다를 경우 해당 DCI의 수신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SCell에 대해 휴면 지시를 수신한 경우, 해당 휴면/비-휴면 동작이 적용되기 이전 또는 특정 시간 구간 이전에는 해당 셀에 대한 휴면 지시가 전송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거나, 휴면 지시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는 휴면 지시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휴면 지시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DCI에서도 전송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DCI에서 휴면 지시가 전송될 경우 단말이 해당 휴면 지시를 제대로 수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휴면 지시에 대한 피드백은 단말이 이전 지시와 다른 지시를 검출한 경우, 예를 들어, 이전에 휴면 지시를 수신했지만 이후 일반 동작 지시를 검출한 경우, 이전에 일반 동작 지시를 수신했지만 이후 휴면 지시를 검출한 경우, 특정 SCell에 대한 지시를 수신했지만 이후 SCell 그룹에 대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만 전송될 수도 있다.
(피드백 방법 1) PUSCH를 이용하는 방법
NR 시스템에서 DCI 포맷 0_1(상향링크 논-폴백 DCI)에는 PUSCH 자원 할당 필드, UL-SCH 지시자 필드, CSI 요청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의 CSI 보고 및 관련 동작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각각의 단말의 동작 별로 휴면 지시에 대한 HARQ-ACK 피드백 방법을 제안한다.
(피드백 방법 1-1) UL-SCH 지시자가 오프(OFF)이고 CSI 요청이 온(ON)일 경우 단말은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이 CSI 보고를 수행하면 gNB는 단말이 해당 DCI, 즉, 휴면 지시를 포함하는 DCI를 수신했다고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휴면 지시 관련 피드백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피드백 방법 1-2) UL-SCH 지시자 및 CSI 요청이 오프(OFF)이면, 단말은 CSI 보고를 위한 PUSCH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하향링크에 대한 측정만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은 PUSCH를 전송하여 휴면 지시에 대한 수신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USCH는 내용이 없는(null contents) PUSCH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존의 하향링크 측정만 수행하는 동작과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는 DCI 내 특정 필드 또는 특정 필드(들)와의 조합으로 하향링크 측정이 아니라 휴면 지시에 기반한 DCI를 전송한 것임을 알리고, 단말은 해당 DCI의 PUSCH 스케줄링에 따라 PUSCH 또는 내용이 없는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필드는 해당 DCI가 휴면 지시 전용 DCI임을 알리는 추가적인 1 비트 필드이거나, 예를 들어, 자원 할당 필드를 전부 1로 설정하는 등 기존 필드를 특정 값으로 설정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기존의 하향링크 측정만 수행하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이 임의의 SCell에 대해 휴면 동작 또는 일반 동작을 지시할 경우 해당 DCI의 PUSCH 스케줄링에 따라 PUSCH 또는 내용이 없는 PUSCH를 전송하며, 이 경우 하향링크 측정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방법에 따라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DCI를 통해 휴면 지시가 온(ON)이면서 UL-SCH 지시자 및 CSI 보고 트리거가 모두 오프(OFF)로 지시된 경우 해당 DCI에 의해 할당된 PUSCH 자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휴면 지시가 오프(OFF)이면서, UL-SCH 지시자 및 CSI 보고 트리거가 모두 오프(OFF)로 지시된 경우 해당 DCI에 대응하는 PUSCH 전송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피드백 방법 2) HARQ-ACK 피드백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방법
UL-SCH 지시자가 오프(OFF)이고 CSI 요청이 오프(OFF)인 경우 단말은 휴면 지시에 대한 명시적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기존의 하향링크 측정만 수행하는 동작과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는 DCI 내 특정 필드(들)와의 조합으로 하향링크 측정이 아닌 휴면 지시를 위한 DCI 전송임을 알리고, 단말은 명시적(explicit) 피드백을 이용하여 휴면 지시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명시적 피드백은 해당 슬롯에 다른 PDSCH들에 대한 HARQ-ACK이 피드백되는 경우 1 비트를 추가하여 휴면 지시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PDSCH에 대한 HARQ-ACK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PUCCH를 이용한 휴면 지시에 대한 피드백이 수행될 수 있고, 이를 위한 PUCCH 자원은 RRC 시그널링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설정되거나 또는 RRC 시그널링 및 상향링크 그랜트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향링크 그랜트 DCI를 통해 휴면 지시가 전송된 경우 해당 DCI 내 필드들 또는 해당 DCI 내 필드들의 재해석을 통해 해당 휴면 지시에 대한 피드백 전송에 사용 또는 적용될 피드백 전송 타이밍과 PUCCH 전송 자원이 지시될 수 있다.
도 21은 단말의 불연속 수신 방법의 일례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단말은 온-듀레이션(on duration) 상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2110).
또한, 단말은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2120). 여기서,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줄 수 있다.
단말은 상기 PDCCH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PDCCH를 수신한다(S2130). 여기서,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설정된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non-dormancy)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활성화한다(S2140).
이하에서는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에 대해 설명한다.
DRX(Discontinuous Reception)는 UE(User Equipment)가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켜 단말이 다운 링크 채널을 불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즉, DRX로 설정된 단말은 DL 시그널을 불연속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DRX 동작은 온 구간(On Duration)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DRX 사이클 내에서 수행된다. DRX 사이클은 온-구간 및 수면 구간(Sleep Duration)(혹은, DRX의 기회)을 포함한다. 온-구간은 단말이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DRX는 RRC(Radio Resource Control)_IDLE 상태(또는 모드), RRC_INACTIVE 상태(또는 모드) 또는 RRC_CONNECTED 상태(또는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RRC_IDLE 상태 및 RRC_INACTIVE 상태에서, DRX는 페이징 신호를 불연속적으로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RRC_IDLE 상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무선 연결(RRC 연결)이 확립(establish)되지 않은 상태.
- RRC_INACTIVE 상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무선 연결(RRC 연결)이 확립되었지만, 무선 연결은 비활성화된 상태.
- RRC_CONNECTED 상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무선 연결(RRC 연결)이 확립된 상태.
DRX는 기본적으로 유휴(idle) 모드 DRX, 연결된(Connected) DRX (C-DRX) 및 확장(extended) DRX로 구분될 수 있다.
IDLE 상태에서 적용된 DRX는 유휴 모드 DRX라고 명명될 수 있으며, CONNECTED 상태에서 적용된 DRX는 연결 모드 DRX(C-DRX)라고 명명될 수 있다.
eDRX(Extended/Enhanced DRX)는 유휴 모드 DRX 및 C-DRX의 사이클을 확장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eDRX(Extended/Enhanced DRX)는 주로 (매시브) IoT의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유휴 모드 DRX에서, eDRX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SIB1)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SIB1은 eDRX-허용(allowed)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eDRX-허용 파라미터는 유휴 모드 확장 DRX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다.
이하에서는 유휴(idle) 모드 DRX에 대해 설명한다.
유휴 모드에서, 단말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DRX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 PO)는 P-RNTI(Paging-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NB-IoT에 대한 페이징 메시지를 어드레스(address)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MPDCCH(MTC PDCCH) 또는 NPDCCH(Narrowband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이다.
MPDCCH를 통해 전송된 P-RNTI에서 PO는 MPDCCH 반복의 시작 서브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NPDCCH를 통해 전송된 P-RNTI의 케이스에서, PO에 의해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유효한 NB-IoT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아닌 경우, PO는 NPDCCH 반복의 시작 서브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PO 이후의 첫 번째 유효 NB-IoT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은 NPDCCH 반복의 시작 서브 프레임이다.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 PF)은 하나 또는 복수의 페이징 기회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이다. DRX가 사용될 때, 단말은 DRX 사이클 당 하나의 PO만을 모니터링하면 된다. 하나의 페이징 협대역(paging narrow band; PNB)은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협대역이다. PF, PO 및 PNB는 시스템 정보에서 제공되는 DRX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2는 유휴 모드 DRX 동작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식한 순서도다.
도 22에 따르면,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시스템 정보)을 통해 유휴 모드 DRX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1).
단말은 유휴 모드 DRX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페이징 DRX 사이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PF(Paging Frame) 및 PO(Paging Occasion)를 결정할 수 있다(S22). 이 경우 DRX 사이클에는 온-구간 및 수면 구간(또는 DRX의 기회)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PF의 PO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23). 여기서 예컨대, 단말은 페이징 DRX 사이클 당 하나의 서브 프레임(PO)만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단말이 온-구간 동안 P-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수신하면(즉, 페이징이 검출되는 경우), 단말은 연결 모드로 천이하고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3은 유휴 모드 DRX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RRC 유휴 상태의 단말에게 트래픽이 있다면, 대응하는 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일어난다. 단말은 주기적으로, 즉, (페이징) DRX 주기마다, 웨이크 업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한다. 만약 페이징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은 연결 상태로 천이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이하에서는 연결 모드 DRX(connected mode DRX: C-DRX)에 대해 설명한다.
C-DRX는 RRC 연결 상태에서 적용되는 DRX를 의미한다. C-DRX의 DRX 사이클은 짧은 DRX 사이클 및/또는 긴 DRX 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짧은 DRX 사이클은 선택 사항에 해당할 수 있다.
C-DRX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온-구간에 대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동안 PDCCH가 성공적으로 검출되면, 단말은 인액티브(inactive) 타이머를 동작(또는 실행)하고 어웨이크(awak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PDCCH 모니터링 동안 PDCCH가 성공적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은 온-구간이 종료된 후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C-DRX가 설정된 경우, PDCCH 수신 기회(예컨대, PDCCH 서치 스페이스를 가지는 슬롯)는 C-DRX 설정에 기반하여 비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C-DRX가 설정되지 않으면, 본 개시에서 PDCCH 수신 기회(예컨대, PDCCH 서치 스페이스를 갖는 슬롯)가 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PDCCH 모니터링은 C-DRX 설정에 관계없이 측정 갭(gap)으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 24는 DRX 사이클을 예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DRX 사이클은 'On Duration(온-구간)'과 'Opportunity for DRX(DRX를 위한 기회)'로 구성된다. DRX 사이클은 '온-구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정의한다. '온-구간'은 단말이 PDCCH를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DRX가 설정되면, 단말은 '온-구간' 동안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PDCCH 모니터링 동안에 성공적으로 검출된 PDCCH가 있는 경우, 단말은 inactivity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깬(awake)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PDCCH 모니터링 동안에 성공적으로 검출된 PDCCH가 없는 경우, 단말은 '온-구간'이 끝난 뒤 슬립(sleep) 상태로 들어간다. 따라서, DRX가 설정된 경우,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PDCCH 모니터링/수신이 시간 도메인에서 불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가 설정된 경우, 본 개시에서 PDCCH 수신 기회(occasion)(예, PDCCH 탐색 공간을 갖는 슬롯)는 DRX 설정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DRX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앞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PDCCH 모니터링/수신이 시간 도메인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에서 PDCCH 수신 기회(예, PDCCH 탐색 공간을 갖는 슬롯)는 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DRX 설정 여부와 관계 없이, 측정 갭으로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는 PDCCH 모니터링이 제한될 수 있다.
표 7은 DRX와 관련된 단말의 과정을 나타낸다(RRC_CONNECTED 상태). 표 7을 참조하면, DRX 구성 정보는 상위 계층(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고, DRX ON/OFF 여부는 MAC 계층의 DRX 커맨드에 의해 제어된다. DRX가 설정되면, 본 개시에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PDCCH 모니터링을 불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신호의 종류(Type of signals) 단말 절차(UE procedure)
단계 1 RRC 시그널링(MAC-CellGroupConfig) - DRX 설정 정보 수신
단계 2 MAC CE((긴(Long)) DRX 명령(command) MAC CE) - DRX 명령 수신
단계 3 - - DRX 주기의 온-듀레이션(on-duration) 동안 PDCCH 모니터링
상기 MAC-CellGroupConfig는 셀 그룹을 위한 MAC(Medium Access Control)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AC-CellGroupConfig는 DRX에 관한 구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CellGroupConfig는 DRX를 정의하는데 정보를 다음과 같이 포함할 수 있다.
- Value of drx-OnDurationTimer: DRX 사이클의 시작 구간의 길이를 정의
- Value of drx-InactivityTimer: 초기 UL 또는 DL 데이터를 지시하는 PDCCH가 검출된 PDCCH 기회 이후에 단말이 깬 상태로 있는 시간 구간의 길이를 정의
- Value of drx-HARQ-RTT-TimerDL: DL 초기 전송이 수신된 후, DL 재전송이 수신될 때까지의 최대 시간 구간의 길이를 정의.
- Value of drx-HARQ-RTT-TimerDL: UL 초기 전송에 대한 그랜트가 수신된 후, UL 재전송에 대한 그랜트가 수신될 때까지의 최대 시간 구간의 길이를 정의.
- drx-LongCycleStartOffset: DRX 사이클의 시간 길이와 시작 시점을 정의
- drx-ShortCycle (optional): short DRX 사이클의 시간 길이를 정의
여기서, drx-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DL 중 어느 하나라도 동작 중이면 단말은 깬 상태를 유지하면서 매 PDCCH 기회마다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도 25는 C-DRX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DRX 설정을 전송한다(S31). 여기서, DRX 설정 정보는 다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onDurationTimer: DRX 주기 시작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
- drx-InactivityTimer: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갖는 PDCCH를 디코딩할 때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
- drx-RetransmissionTimer: HARQ 재전송이 예상될 때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
- longDRX-Cycle: 온 듀레이션 발생 주기
- drxStartOffset: DRX 주기가 시작되는 서브프레임 번호
- drxShortCycleTimer: 짧은 DRX 주기 번호
- shortDRX-Cycle: DRX-InactivityTimer가 종료될 때 drxShortCycleTimer 번호만큼 동작하는 DRX 주기
나아가, MAC CE (명령 요소(command element))의 DRX 명령을 통해 DRX 'ON'이 설정되면, 단말은 DRX 설정에 기반하여 DRX 주기의 온 듀레이션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한다(S33).
도 26은 C-DRX 동작의 일례에 대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단말이 RRC 연결 상태에서 DL 그랜트 등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DRX 비활성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 및 RRC 비활성 타이머(RRC inactivity timer)를 동작시킨다.
D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되면 DRX 모드가 시작된다. 단말은 DRX 주기에서 웨이크 업하고, 사전에 결정된 시간(온 듀레이션 타이머)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이 경우, 짧은 DRX가 설정되는 경우, 단말이 DRX 모드가 시작할 때, 단말은 우선 짧은 DRX 주기를 시작하고, 짧은 DRX 주기가 종료된 후 긴 DRX 주기를 시작한다. 긴 DRX 주기는 복수의 짧은 DRX 주기일 수 있다. 짧은 DRX 주기에서, 단말은 더욱 빈번하게 웨이크 업한다. RRX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후, 단말은 유휴 상태로 이동하고 유휴 상태 DRX 동작을 수행한다.
도 27은 단말의 상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단말이 켜진 후, 단말은 애플리케이션 로딩을 위한 부팅(Boot Up for Application loading), 기지국과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초기 접속/랜덤 접속 절차 및 네트워크와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각 절차가 수행되는 동안 소비되는 전류 또는 전력 소모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단말의 전송 전력이 높으면 단말의 전류 소모량이 증가한다. 또한, 단말이 자신에게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 전송할 트래픽이 없다면, 단말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유휴 모드로 천이하고 유휴 모드 DRX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유휴 모드 DRX 동작 중에 콜 발생(call occurrence) 등의 페이징이 발생하면 단말은 셀 확립 절차를 통해 유휴 모드에서 연결 모드로 천이하고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단말은 연결 모드에서 특정 시간 동안 또는 설정된 타이밍에 기지국과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연결 모드 DRX(C-DRX)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이 시스템 정보 등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확장된 DRX(eDRX)가 설정되면, 단말은 유휴 모드 또는 연결 모드에서 e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단말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됨을 기초로 하는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수행하는, 단말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apparatus)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에 따르면, 단말이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되는 기지국에 의한 동작이 고려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들이 설정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에 있어서,
    온-듀레이션(on-duration) 상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상기 PDCCH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PDCCH를 수신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를 프라이머리 셀 상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수신 전 상기 단말의 활성(active) BWP는 휴면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휴면 BWP 상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거나,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BWP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하는 필드(field)는 1-비트(b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상기 특정 셀에 대해 설정 가능한 최대 BWP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휴면 BWP는 상기 최대 BWP의 개수에 포함되는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휴면 BWP는 상기 최대 BWP의 개수에 포함되지 않는 BW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특정 BWP 상에서 PDSCH 또는 PDCCH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후, 상기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로 상기 PDCCH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상기 PDCCH에 연계된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복수의 셀들 단위로 비-휴면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들은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리 셀은 상기 단말이 초기 연결 확립 절차 또는 연결 재확립 절차를 수행하는 셀이고,
    상기 세컨더리 셀은 상기 단말에 대해 추가적인 무선 자원이 제공되는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이 설정된 단말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온-듀레이션(on-duration) 상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상기 PDCCH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PDCCH를 수신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이 설정된 단말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장치(apparatus)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온-듀레이션(on-duration) 상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상기 PDCCH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PDCCH를 수신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됨을 기초로 하는 명령어(instruc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 있어서,
    온-듀레이션(on-duration) 상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상기 PDCCH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PDCCH를 수신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상기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설정된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통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기지국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단말에게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BWP) 설정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BWP 설정 정보는 특정 BWP를 알려주고,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하되, 상기 PDCCH는 상기 단말에게 설정된 복수의 셀들 중 특정 셀에 대한 휴면(dormant)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휴면 지시 정보가 비-휴면을 지시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BWP를 통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27010247A 2019-10-17 2020-09-01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KR102526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68 2019-10-17
KR20190129268 2019-10-17
KR20190141053 2019-11-06
KR1020190141053 2019-11-06
US201962932604P 2019-11-08 2019-11-08
US62/932,604 2019-11-08
PCT/KR2020/011690 WO2021075711A1 (ko) 2019-10-17 2020-09-01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483A true KR20220055483A (ko) 2022-05-03
KR102526706B1 KR102526706B1 (ko) 2023-04-28

Family

ID=7553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247A KR102526706B1 (ko) 2019-10-17 2020-09-01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95980B2 (ko)
EP (1) EP4027733B1 (ko)
JP (1) JP7455203B2 (ko)
KR (1) KR102526706B1 (ko)
CN (1) CN114600538A (ko)
WO (1) WO2021075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931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N115516954A (zh) * 2020-03-26 2022-12-23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调度释放反馈
US11849396B2 (en) * 2020-09-24 2023-12-19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with sidelink (SL)
US11985597B2 (en) * 2021-08-05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periodic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900B1 (ko) * 2013-09-20 2021-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CN110034868B (zh) * 2018-01-11 2023-09-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传输harq-ack信息的方法及设备
CN117375773A (zh) * 2018-01-11 2024-01-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传输harq-ack信息的方法及设备
WO2020145869A1 (en) * 2019-01-10 2020-07-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ake-up signal (wus) controlled actions
KR20210008670A (ko) * 2019-07-15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부분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09312B2 (en) * 2019-08-09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roup wake-up reconfiguration
EP4011128B1 (en) * 2019-09-30 2023-03-08 Ofinno, LLC Power saving and cell dormancy operation
EP4038976A4 (en) * 2019-10-02 2023-06-07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N IDLE TIMER TO SWITCH TO AN IDLE BANDWIDTH PART
US20210112529A1 (en) * 2019-10-10 2021-04-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resource set and search space set manage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10242* *
3GPP R1-1911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7733A4 (en) 2022-11-23
JP2022553209A (ja) 2022-12-22
KR102526706B1 (ko) 2023-04-28
WO2021075711A1 (ko) 2021-04-22
US20230217438A1 (en) 2023-07-06
US11595980B2 (en) 2023-02-28
EP4027733A1 (en) 2022-07-13
EP4027733B1 (en) 2023-11-01
JP7455203B2 (ja) 2024-03-25
US20220225371A1 (en) 2022-07-14
CN114600538A (zh)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7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BWP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579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KR102660885B1 (ko) Sl csi 보고
KR102390350B1 (ko) Dci를 기반으로 lte sl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7128B1 (ko) Nr v2x에서 bw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6706B1 (ko)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KR1024649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포인트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8016B1 (ko) Nr v2x에서 절전 모드 별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30266A (ko) Nr v2x에서 psfch 자원을 기준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92887A (ko) Dci 미검출 시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353366B1 (ko) Lte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dci
KR102165873B1 (ko) Nr v2x에서 bw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41069A1 (en) Bwp-based sidelink communication mehtod and drx operation
JP2022541206A (ja) Nr v2xにおいて優先順位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01124B1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의 장치 능력 보고
KR102603239B1 (ko) Nr v2x에서 제어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92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
US11706782B2 (en) BWP activation method for terminal
US120216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TX on basis of reference signal in NR V2X
US202203611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idelink transmission power in nr v2x
KR20230065278A (ko) Nr v2x에서 uu drx 동작 관련 rf 모듈의 스위칭으로 인한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10491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천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