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6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5161A KR20220055161A KR1020200139354A KR20200139354A KR20220055161A KR 20220055161 A KR20220055161 A KR 20220055161A KR 1020200139354 A KR1020200139354 A KR 1020200139354A KR 20200139354 A KR20200139354 A KR 20200139354A KR 20220055161 A KR20220055161 A KR 20220055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housing
- assembly
- pull
- base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넷(1) 또는 도어(2)의 단열부에는 커넥터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대커넥터(5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모듈에는 베이스하우징(20)과 커버하우징(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은 상기 단열부에 장착되고 결합홀(2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30)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하우징(20)과의 사이에 수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S1)에는 커넥터(50)가 수납되고,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결합홀(22)을 통해 결합면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로 인해 커넥터(50)가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내부에는 다양한 전기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전면의 디스플레이장치, 저장실을 밝히는 램프, 냉기를 유동하기 위한 팬(fan) 구동장치, 증발기에서 형성된 성에를 녹이기 위한 제상장치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전기제품이 냉장고의 내부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제품들에는 전원과 전기신호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기제품에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전원과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터미널이 구비되고, 터미널이 전기적인 연결을 담당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3572호에는 이러한 커넥터가 설치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그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냉장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단열을 위해 캐비넷의 내부나 도어의 내부에는 발포액이 충진/발포되어 단열부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발포액이 충진될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로 발포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링작업이 필요한데, 실링작업은 상기 커넥터의 표면을 PE(Polyurethane Foam)폼 등으로 감싸고, 그 바깥쪽을 다시 테이핑하여 발포액의 침투를 막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실링작업은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커넥터의 형상이 복잡하면 커넥터와 실링부 사이의 틈새가 커져 발포액이 침투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실링작업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어, 일정한 품질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케이싱 내부에 수납하여 발포액이 커넥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과 커넥터가 서로 미리 조립되어, 커넥터모듈 형태로 냉장고의 조립라인에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 또는 도어의 단열부에는 커넥터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대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모듈에는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단열부에 장착되고 결합홀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하우징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커넥터가 수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홀을 통해 결합면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로 인해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된 인출공간을 갖는 와이어인출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인출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와이어를 감싸, 와이어가 배출되는 부분을 통해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모듈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가장자리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가장자리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렇게 돌출된 와이어인출부만 테이핑 등으로 실링작업하면 되고, 따라서 실링공정의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작업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제1인출몸체와, 상기 제1인출몸체를 덮어 상기 제1인출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인출공간을 형성하는 제2인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인출공간을 따라 연장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결합홀이 관통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제1조립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조립부는 결합홀을 둘러 안쪽에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에는 제1인출몸체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인출몸체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수납공간을 만드는 커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의 선단부를 따라 제2조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제1조립부와 밀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제2조립부에는 제2인출몸체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출몸체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커버몸체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홀을 둘러 제1조립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에는 조립채널이 함몰되며, 상기 조립채널에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조립부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는 조립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 사이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고, 케이싱의 제조과정에서 소정의 오차가 발생해도 이를 보상하여 실링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채널은 상기 베이스하우징에서 돌출된 제1인출몸체에도 연결되고, 상기 조립단부는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돌출된 제2인출몸체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와 상기 제2인출몸체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조립단부는 상기 조립채널에 맞물려 상기 인출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제1조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조립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제1조립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조립부에는 체결후크와 체결턱이 구비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와이어홈이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제1인출몸체에는 제1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인출몸체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함몰되거나 상기 제1가이드리브와 접촉되는 제2가이드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단열부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배면 및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단열부의 내부에 묻혀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의 캐비넷이나 도어에 내장되는 커넥터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설치/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의 실링기능을 통해 커넥터의 내부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로 인해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냉장고의 제작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는 케이싱에 구비된 와이어인출부를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인출부는 와이어를 감싸, 와이어가 배출되는 부분을 통해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와이어인출부는 와이어가 연장되는 방향을 안내해줄 수도 있다.
이때, 와이어인출부는 케이싱의 가장자리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므로, 와이어가 인출되는 출구를 커넥터가 설치된 수납공간으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인출부의 출구를 통해 수납공간 안으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을 구성하는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은 서로 조립되어 커넥터를 감싸게 되는데,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의 조립부는 요철구조로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된다. 따라서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 사이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고, 케이싱의 제조과정에서 소정의 오차가 발생해도 이를 보상하여 실링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베이스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의 조립부가 서로 맞물리는 요철구조를 가지게 되면, 커넥터모듈은 발포액의 충진과정에서 가해지는 여러 방향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제작과정에서 커넥터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인출부 주변을 테이핑하게 되면, 와이어인출부를 통한 발포액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싱의 수납공간이 외부로 연결되는 부분은 와이어인출부에 한정되므로, 작업자는 와이어인출부만 테이핑 등으로 실링작업하면 되고, 따라서 실링공정의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작업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인출부는 케이싱에서 돌출된 구조이므로, 여기에 테잎을 감는 등의 실링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모듈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완성도를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모듈은 케이싱의 내부에 커넥터가 수납된 구조이므로, 커넥터모듈을 미리 조립한 상태로 냉장고의 캐비넷이나 도어의 조립라인에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는 현장에서 일일이 실링작업을 할 필요 없이, 이미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모듈을 이너케이스 등에 장착만 하면 되므로 캐비넷이나 도어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에서 커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베이스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의 다른 실시례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와이어인출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에서 커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베이스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의 다른 실시례가 도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케이싱의 와이어인출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에 설치된 다양한 전자부품에 전원과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커넥터모듈이 설치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모듈은 발포액이 충진되는 이너케이스-아웃케이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모듈은 내부에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50)와 함께, 상기 커넥터(50)를 감싸는 케이싱(20,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커넥터(50)의 내부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냉장고의 골격을 만드는 캐비넷(1)에는 도어(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넷(1)의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는 총 4개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 중 일부는 도어인도어(Door in door) 타입의 이중도어(3)일 수도 있다. 이중도어(3)의 경우에는 메인도어(4) 및 상기 메인도어(4)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서브도어(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기본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도어(2)의 개수와 타입 등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냉장고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 전면의 디스플레이장치, 저장실을 밝히는 램프모듈, 냉기를 유동하기 위한 팬(fan) 구동장치, 증발기에서 형성된 성에를 녹이기 위한 제상장치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전자부품이 냉장고의 내부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부품은 전원 및 전기신호의 인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5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절연성 재질인 커넥터하우징(51)과, 상기 커넥터하우징(51)에 내장되는 터미널, 그리고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50)는 상대커넥터(50)와 조립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및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메인도어(4)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도어(4)의 내부에는 커버(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8)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면 상기 커버(8)에 의해 차폐된 부분에 커넥터설치부(9)에는 커넥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전면인 결합면이 노출되게 설치되어서 여기에 상대커넥터(50)가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넥터설치부(9)는 도어(2)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설치부(9)는 캐비넷(1)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을 살펴보면, 상기 커넥터모듈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전체를 하나의 장치로 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은 하나의 장치로 완성된 상태로 상기 캐비넷(1)이나 상기 도어(2)의 조립 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은 케이싱(20,30)과 커넥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30)은 커넥터모듈의 외관 및 골격이 되는 부분이고,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케이싱(20,30)에 내장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30)은 (i) 상기 커넥터(50)의 내부로 발포액을 포함한 유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ii) 상기 커넥터모듈이 냉장고에 쉽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 A는 캐비넷(1) 또는 도어(2)의 내부를 나타내고, B는 외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F는 발포액이 충진되는 캐비넷(1) 또는 도어(2)의 내부 충진공간을 의미한다.
도 3을 보면, 상기 커넥터모듈이 상기 도어(2)의 커넥터설치부(9)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설치부(9)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모듈의 대부분이 가려지고, 상기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커넥터(50)의 전면인 결합면 일부만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P는 상기 커넥터설치부(9)에 개방된 관통창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케이싱(20,30)은 상기 커넥터(50)의 결합면 일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W)가 인출되는 와이어인출부(26,36)의 출구를 제외한 상기 커넥터(50)의 나머지 부분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케이싱(20,30)은 크게 베이스하우징(20)과, 커버하우징(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20)과 상기 커버하우징(30)은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케이싱(20,3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20)과 상기 커버하우징(30)은 상기 커넥터(50)를 사이에 두고 조립됨으로써, 상기 커넥터(5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는 대략 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21)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이 캐비넷(1)이나 도어(2)에 장착될 때, 이너케이스의 내면을 향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평판구조로 만들어진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장착부(21')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일체로 연결된 부분이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면적을 더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을 냉장고의 이너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부(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하부로 각각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전면(21a)은 상기 커넥터설치부(9)를 통해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이렇게 노출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전면(21a)에는 상기 커넥터(50)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돌출된 일부는 상기 커넥터(50)의 전면인 결합면이 될 수 있고, 여기에는 상대커넥터(5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체결후크(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배면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23)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커버하우징(30)의 체결턱(33)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23)가 상기 체결턱(33)에 걸리면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상기 커버하우징(30)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체결후크(23)는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체결턱(33)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결합홀(22)이 관통된다. 상기 결합홀(2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2)을 통해서 상기 커넥터(50)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일부가 상기 결합홀(22)을 통과해서, 상기 결합홀(22)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상기 결합홀(2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은 상기 커넥터(50)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2)에는 상기 커넥터(50)가 조립되는데, 각각의 결합홀(22) 마다 서로 다른 커넥터(50)가 조립되거나, 또는 하나의 결합홀(22)에 다수개의 커넥터(50)가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후크(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구비된 제1조립부(25)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결합홀(22)의 배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커버하우징(30)과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결합홀(22)을 둘러 형성될 수 있는데,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결합홀(22)들을 모두 에워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25)가 상기 결합홀(22)들을 에워싸게 되면, 상기 제1조립부(25)에 의해 에워싸인 중심에는 수납공간(S1)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S1)은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상기 커버하우징(30)이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조립되면, 상기 수납공간(S1)은 차폐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립부(25)는 닫힌 경로를 형성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출몸체(26)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배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다가, 상기 제1인출몸체(26)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26)를 통해서 와이어(W)가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제1조립부(25)는 닫힌 경로를 만들지 않고, 상기 제1인출몸체(26)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인출몸체(26)는 한쪽 방향(도 8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립부(25)는 대략 사각형상이고,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25)의 모서리는 상기 커버하우징(30)의 형태에 따른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하우징(30)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조립부(25)의 형상은 커넥터(50)의 개수, 형태 또는 상기 커넥터모듈이 설치되는 이너케이스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조립부(25)에는 조립채널(2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채널(25a)은 상기 제1조립부(25)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립부(25)는 상기 조립채널(25a)을 포함하여 대략 요철형태의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함몰된 상기 조립채널(25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커버하우징(30)의 조립단부(35a)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채널(25a)은 상기 제1조립부(25)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채널(25a)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출몸체(26)에 형성된 연결채널(26a)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채널(25a)의 깊이는 상기 조립단부(35a)의 끝부분이 삽입되어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가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배면에는 제1인출몸체(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26)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서 연장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홀(22)이 관통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인출몸체(26)는 상기 결합홀(22)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장착부(21') 보다 더 바깥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커버하우징(30)의 제2인출몸체(36)와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상기 제2인출몸체(36)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상기 제2인출몸체(36)는 와이어인출부(26,36)가 된다.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는 (i) 커넥터(5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W)가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또한 (ii) 와이어(W)가 인출되는 출구를 상기 수납공간(S1)으로부터 떨어뜨려 수납공간(S1)으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과 상기 커버하우징(30)이 서로 조립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는 상기 와이어(W)를 캐비넷(1)이나 도어(2)의 내부에서 이너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W)는 캐비넷(1)이나 도어(2)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1인출몸체(26)의 가장자리에는 연결채널(2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채널(26a)은 상기 제1인출몸체(26)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형태이고, 여기에는 상기 커버하우징(30)에 굽된 제2인출몸체(36)의 연결단부(36a)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채널(26a)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조립채널(25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채널(26a)은 상기 조립채널(25a)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조립채널(25a)과 연결채널(26a)은 하나의 실링채널(GC)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채널(GC)은 상기 커버하우징(30)에 의해 메워지므로, 발포액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채널(26a) 사이에는 상기 제1인출몸체(26)의 내부에는 인출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공간(S2)은 빈 공간으로, 상기 수납공간(S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몸체(26)가 제2인출몸체(36)와 결합되면 상기 인출공간(S2)은 양쪽 출입구를 제외한 부분은 차폐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인출공간(S2)의 한쪽은 상기 수납공간(S1)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와이어(W)가 배출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인출공간(S2)의 내면에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제2인출몸체(36)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인출몸체(26)에는 제1가이드리브(26C1,26C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는 상기 와이어(W)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도 6을 기준으로 상하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는 상기 인출공간(S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인출공간(S2)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는 상기 인출공간(S2)의 폭을 줄여서, 상기 인출공간(S2)을 통해서 수납공간(S1) 쪽으로 발포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에는 상기 와이어(W)가 끼워지는 와이어홈(26C2)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홈(26C2)은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여기에 와이어(W)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홈(26C2)은 모든 제1가이드리브(26C1,26C3)들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는 다수개가 상기 인출공간(S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제1가이드리브(26C1,26C3)가 생략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하우징(30)을 설명하면, 상기 커버하우징(30)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조립되어, 상기 수납공간(S1)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30)은 냉장고의 캐비넷(1)이나 도어(2)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부에 묻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하우징(30)은 발포액이 이너케이스의 안쪽에 충진되면 상기 발포액에 덮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하우징(30)은 발포액에 덮이더라도, 상기 수납공간(S1)은 커버하우징(3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3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하우징(30)의 골격은 커버몸체(31)가 형성하고, 상기 커버몸체(3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 수납공간(S1)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는 상기 수납공간(S1) 안에 커넥터(50)를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도 4에서 보듯이, 경사진 면(31a)이 포함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의 전체 높이는 내부에 수납된 커넥터(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의 모서리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의 모서리는 라운드진 형태로 만들어져서 단열부의 내부에서 큰 압력이 전해지더라도 견디기 유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1) 전체는 상기 커버하우징(30)과 조립되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몸체(31)에는 체결턱(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33)은 상기 커버몸체(3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33)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배면에 구비된 체결후크(23)가 걸릴 수 있다. 상기 체결후크(23)가 상기 체결턱(33)에 걸리면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상기 커버하우징(30)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체결턱(33)은 생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체결턱(33)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몸체(31)에는 제2조립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부(35)는 상기 커버몸체(31)의 선단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선단부란 상기 커버몸체(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배면을 향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2조립부(35)는 상기 제1조립부(25)에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조립부(35)의 끝부분에는 조립단부(35a)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단부(35a)는 상기 제2조립부(35)의 끝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2조립부(35)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조립부(35)가 상기 제1조립부(25)에 조립되면, 상기 수납공간(S1)이 차폐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립단부(35a)는 상기 제1조립부(25)에 있는 조립채널(25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단부(35a)는 상기 제2조립부(35)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단부(35a)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출몸체(36)에 형성된 연결단부(36a)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부(35)에는 제2인출몸체(3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출몸체(36)는 상기 제2조립부(35)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상대커넥터(50)와 결합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커버몸체(31)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인출몸체(36)는 상기 결합홀(22)이 관통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인출몸체(36)가 돌출된 방향은 상기 결합홀(22)이 관통된 방향과 반드시 직교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인출몸체(36)는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조립되고,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상기 제2인출몸체(36)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제1인출몸체(26)와 상기 제2인출몸체(36)는 와이어인출부(26,36)가 된다.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는 내부에 인출공간(S2)이 형성되고, 와이어(W)는 상기 인출공간(S2)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인출몸체(36)에는 상기 제1인출몸체(26)의 연결채널(26a)에 삽입되는 연결단부(3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36a)가 상기 연결채널(26a)에 삽입되면,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의 가장자리 부분은 발포액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부(36a)는 상기 조립단부(35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36a)는 상기 조립단부(35a)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조립단부(35a)과 연결단부(36a)는 하나의 실링단부(35a,36a)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단부(35a,36a)는 실링채널(GC)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링채널(GC)을 메울 수 있고, 발포액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인출몸체(36)에는 제2가이드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와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인출몸체(36)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인출공간(S2)을 좁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와 같은 위치에 구비되어 일부가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26C1,26C3)와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공간(S1)에는 커넥터(5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20,30)과는 독립적인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싱(20,30)에는 총 3개의 커넥터(5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커넥터하우징(51)이 그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51)에는 다수의 터미널설치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2)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대커넥터(50)의 터미널과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의 바렐부에는 와이어(W)의 심선이 압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W)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외부로 인출되어서 전원부나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W)는 외부로 인출되어야 하는데, 상기 와이어(W)는 앞서 설명한 와이어인출부(26,36)를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다수개가 하나의 다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와이어(W)들은 모두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를 통해서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전면은 상대커넥터(50)와 결합되는 면이 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전면인 결합면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결합홀(22)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상대커넥터(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전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외면에는 고정후크(53)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22)의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후크(53)가 걸릴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53)는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결합홀(22)을 통과할 때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커넥터(50)가 상기 결합홀(22)을 통과하면 다시 복원되어서 상기 결합홀(22)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후면 쪽은 상기 수납공간(S1)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후면은 상기 수납공간(S1)에서 차폐되어 보호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51)의 전면 쪽은 상대커넥터(50)와의 사이에 구비된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로 밀폐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100번대의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와 도 10에서 보듯이, 커넥터설치부(9)에는 상기 커넥터모듈을 구성하는 베이스하우징(120)의 전면이 밀착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120)의 배면을 비롯하여 상기 커버하우징(130)은 단열부에 덮일 수 있는 이너케이스의 안쪽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130)은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베이스하우징(120)에는 총 4개의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결합홀(122)에는 각각 서로 다른 커넥터(50)들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4개의 결합홀(122)들은 상기 커넥터(50)들의 형태에 맞도록 그 형상과 크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상기 베이스하우징(120)에는 실링채널(GC)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채널(GC)에는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결합단부와 연결단부(136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베이스하우징(120)과 상기 커버하우징(130)의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통해서 발포액의 침투를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커버하우징(130)에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인출부(126,136)를 구성하는 제2인출몸체(136)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출몸체(136)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안쪽에서 발포액에 의해 덮이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인출몸체(136)의 표면은 곡면이 되면 큰 압력에 대응하기 유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커넥터모듈을 조립하고 장착하는 과정을 설며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결합홀(22)에 커넥터(5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의 고정후크(53)가 상기 결합홀(22)을 통과하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 상기 고정후크(53)는 상기 결합홀(22)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50)에서 연장된 와이어(W)는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제1인출몸체(26)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정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하우징(20)에 커버하우징(30)이 조립되면,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수납공간(S1)에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의 인출공간(S2)을 따라 안내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의 출구 주변은 PE(Polyurethane Foam)폼이나 면(cotton)테잎 등의 실링부재(T)로 감싸질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의 출구가 이러한 실링부재(T)로 감싸지면 출구 부분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 의하면, 케이싱(20,30)을 조립하는 작업 이외에 테이핑 작업을 추가하더라도, 테이핑 작업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케이싱(20,30)의 수납공간(S1)이 외부로 연결되는 부분은 와이어인출부(26,36)에 한정되므로, 작업자는 와이어인출부(26,36)만 테이핑 등으로 실링작업하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와이어인출부(26,36)는 케이싱(20,30)에서 돌출된 구조이므로, 여기에 테잎을 감는 등의 실링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이렇게 완성된 커넥터모듈을 이너케이스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모듈이 이너케이스의 내면에 접착테잎 등으로 고정되면, 상기 커넥터(50)의 전면은 상기 커넥터설치부(9)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안쪽에 남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의 안쪽에 발포액이 충진되면, 상기 케이싱(20,30)의 표면은 발포액에 덮이고, 발포액이 발포되면 단열부의 내부에 묻힌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의 침투로 인해 커넥터(50)가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냉장고의 제작품질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이렇게 상기 케이싱(20,30)을 구성하는 베이스하우징(20)과 커버하우징(30)의 제1조립부(25)와 제2조립부(35)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케이싱(20,30)은 발포액의 충진과정에서 가해지는 여러 방향의 압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도 3의 X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커넥터설치부(9)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ii) Y축 및 Z축 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체결후크(23)-체결턱(33)의 고정구조 뿐 아니라, 상기 실링채널(GC)에 삽입된 실링단부의 조립구조를 통해서도 저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모듈을 미리 조립한 상태로 냉장고의 캐비넷(1)이나 도어(2)의 조립라인에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는 현장에서 일일이 실링작업을 할 필요 없이, 이미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모듈을 이너케이스 등에 장착만 하면 되므로 캐비넷(1)이나 도어(2)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베이스하우징
22: 결합홀
23: 체결후크 25: 제1조립부
25a: 조립채널 26: 제1인출몸체
26a: 연결채널 30: 커버하우징
31: 커버몸체 33: 체결턱
35: 제2조립부 35a: 조립단부
36: 제2인출몸체 36a: 연결단부
50: 커넥터 S1: 수납공간
S2: 인출공간 T: 실링부재
W: 와이어
23: 체결후크 25: 제1조립부
25a: 조립채널 26: 제1인출몸체
26a: 연결채널 30: 커버하우징
31: 커버몸체 33: 체결턱
35: 제2조립부 35a: 조립단부
36: 제2인출몸체 36a: 연결단부
50: 커넥터 S1: 수납공간
S2: 인출공간 T: 실링부재
W: 와이어
Claims (20)
-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의 단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모듈은
결합홀이 관통되는 베이스하우징;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하우징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결합홀을 통해 결합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모듈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된 인출공간을 갖는 와이어인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에 결합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인출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결합홀이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모듈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가장자리 및 상기 커버하우징의 가장자리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이 서로 조립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인출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제1인출몸체;와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인출몸체를 덮어 상기 제1인출몸체와의 사이에 상기 인출공간을 형성하는 제2인출몸체;로 구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결합홀이 관통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을 둘러 안쪽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1조립부;와
상기 제1조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이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인출몸체와 조립되어 내부에 인출공간을 만드는 제1인출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수납공간을 만드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의 선단부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조립부와 밀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는 제2조립부;와
상기 제2조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이 개방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커버몸체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제1인출몸체와 조립되어 내부에 인출공간을 만드는 제2인출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홀을 둘러 제1조립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조립부에는 조립채널이 함몰되며, 상기 조립채널에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조립부에서 연장되는 조립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냉장고.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립채널은 상기 베이스하우징에서 돌출된 제1인출몸체에도 연결되고, 상기 조립단부는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돌출된 제2인출몸체에도 연결되며, 상기 제1인출몸체와 상기 제2인출몸체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조립단부는 상기 조립채널에 맞물려 상기 인출공간을 차폐하는 냉장고.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몸체는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제1조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조립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제1조립부와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조립부에는 체결후크와 체결턱이 구비되어 서로 조립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고정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홀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는 와이어홈이 함몰되는 냉장고.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인출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구비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제1인출몸체에는 제1가이드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제2인출몸체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함몰되거나 상기 제1가이드리브와 접촉되는 제2가이드리브가 돌출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전면은 상기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배면 및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기 단열부의 내부에 묻혀 고정되는 냉장고.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인출부를 구성하는 제2인출몸체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배출되는 상기 와이어인출부의 출구는 실링부재로 밀폐되는 냉장고.
-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 또는 상기 도어의 단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결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단열부에 장착되고, 상기 결합홀이 관통되는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하우징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354A KR20220055161A (ko) | 2020-10-26 | 2020-10-26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354A KR20220055161A (ko) | 2020-10-26 | 2020-10-26 | 냉장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5161A true KR20220055161A (ko) | 2022-05-03 |
Family
ID=8159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9354A KR20220055161A (ko) | 2020-10-26 | 2020-10-26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5516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3572B1 (ko) | 2005-03-02 | 2007-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제빙기 커넥터 설치구조 |
-
2020
- 2020-10-26 KR KR1020200139354A patent/KR2022005516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3572B1 (ko) | 2005-03-02 | 2007-03-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제빙기 커넥터 설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85189A (en) | Method of molding using an insulated wiring harness for a domestic refrigerator | |
KR100758990B1 (ko) | 냉장고 | |
EP2892111B1 (en) | Refrigerator | |
EP3848655B1 (en) | Refrigerator | |
KR102385823B1 (ko) | 냉장고 | |
US6159041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panel mounting | |
CN113007957A (zh) | 用于vis的柔性贯通保温 | |
JP2012072967A (ja) | 冷蔵庫 | |
KR20220055161A (ko) | 냉장고 | |
JP5264655B2 (ja) | 冷凍冷蔵庫 | |
US10365035B2 (en) |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n electrical part on a front wall on a bearing rib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 |
US20240060714A1 (en) | Method for installing a camera on an interior-compartment wall of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 |
JP5318061B2 (ja) | 冷蔵庫 | |
KR20220059256A (ko) | 냉장고의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
EP3553433B1 (en) | Refrigeration appliance | |
JP2009036456A (ja) | 冷蔵庫 | |
CN103512311B (zh) | 具有线束的制冷器具 | |
CN109974385B (zh) | 冰箱 | |
CN108151413B (zh) | 具有特定的接地连接装置的家用制冷器具 | |
US20240200854A1 (en) | Refrigeration appliance | |
CN103486114B (zh) | 用于家用电器的机械连接装置以及家用电器组合 | |
CN112815592B (zh) | 冰箱 | |
KR102354149B1 (ko) | 냉장고 | |
JP2005274084A (ja) | 冷蔵庫 | |
KR100866089B1 (ko) | 커넥션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