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04A -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04A
KR20220055104A KR1020200139231A KR20200139231A KR20220055104A KR 20220055104 A KR20220055104 A KR 20220055104A KR 1020200139231 A KR1020200139231 A KR 1020200139231A KR 20200139231 A KR20200139231 A KR 20200139231A KR 20220055104 A KR20220055104 A KR 20220055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height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진
성택영
Original Assignee
박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진 filed Critical 박대진
Priority to KR102020013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104A/ko
Publication of KR2022005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방향 스테레오 촬영과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액션캠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수의 영상촬영기기를 선택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거치유닛삽입부(12)가 방사 형태로 이격되어 형성된 커넥터(10);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커넥터(10)에 형성된 거치유닛삽입부(12)에 일측 단부가 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유닛(20); 각 거치유닛(20)에 탈부착하는 마운트(30); 마운트(30)에 탈부착되며, 영상촬영기기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켜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높이조절부(40);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하며, 영상촬영기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우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거리조절부(50); 및 좌우거리조절부(50)에 탈부착되고,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을 포함하고, 거치유닛(20)에 결합한 마운트(30)는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며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고정홀(22)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높이조절부(40)에서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한 좌우거리조절부(5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키면,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촬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고, 좌우거리조절부(50)에서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좌우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거치유닛(20)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단부가 커넥터(10)에 대해 힌지회동을 하며 접혀지거나 접혀진 거치유닛(20)이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Omnidirectional video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방향 스테레오 촬영과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액션캠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수의 영상촬영기기를 선택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의 소형화로 VR 실사 촬영이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보편화되고 있으며, VR 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촬영 장치를 이용한 실사기반 VR 360˚ 영상제작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유튜브(youtube)에서는 독립적인 360영상채널을 운영중이며, 이를 구독하는 구독자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 채널 동영상목록에서 확인 가능한 영상 중 90%이상이 이 같은 실사 영상획득 장치로 제작된 콘텐츠이다.
현재 VR 실사 영상 콘텐츠 제작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카메라는 35mm 표준 필름 기준으로 초점거리 18mm 이하의 초광각렌즈 혹은 어안렌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360˚ 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최소 5~8대 이상의 카메라를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촬영 및 조작은 리모콘 시스템이나 수동 조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획득된 영상은 연결작업(stitching)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로 만들어지고 배급된다.
그러나, 이런 VR을 구현하기 위해 5~8대의 카메라를 사용해 촬영한 영상을 하나로 만드는 연결작업에서 카메라마다 일어나는 광축거리 불일치 등을 포함한 카메라의 촬영 위치 불일치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다수의 영상촬영기기를 선택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4973호(2019년06월11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전방향 스테레오 촬영과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액션캠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수의 영상촬영기기를 선택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거치유닛삽입부(12)가 방사 형태로 이격되어 형성된 커넥터(10);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커넥터(10)에 형성된 거치유닛삽입부(12)에 일측 단부가 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유닛(20); 각 거치유닛(20)에 탈부착하는 마운트(30); 마운트(30)에 탈부착되며, 영상촬영기기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켜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높이조절부(40);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하며, 영상촬영기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우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거리조절부(50); 및 좌우거리조절부(50)에 탈부착되고,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을 포함하고, 거치유닛(20)에 결합한 마운트(30)는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며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고정홀(22)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높이조절부(40)에서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한 좌우거리조절부(5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키면,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촬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고, 좌우거리조절부(50)에서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좌우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거치유닛(20)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단부가 커넥터(10)에 대해 힌지회동을 하며 접혀지거나 접혀진 거치유닛(20)이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조명, 마이크를 포함하여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액세서리 장치를 탈부착하기 위해 높이조절부(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액세서리결합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회동하여 접힌 상태에 있는 거치유닛(20)을 보관하거나 거치유닛(20)이 펼쳐져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영상촬영기기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구조와 커넥터와 결합하여 힌지회동을 하는 거치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높이조절부의 상하 승강운동과 좌우거리조절부의 좌우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거치유닛이 힌지회동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와 액세서리결합부에 결합된 액세서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거치유닛이 접혀져 보관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커넥터의 구조와 커넥터와 결합하여 힌지회동을 하는 거치유닛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높이조절부의 상하 승강운동과 좌우거리조절부의 좌우운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거치유닛이 힌지회동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와 액세서리결합부에 결합된 액세서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거치유닛이 접혀져 보관부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는,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커넥터(10), 커넥터커버(16), 거치유닛(20), 마운트(30), 높이조절부(40), 좌우거리조절부(50),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 액세서리결합부(70), 보관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는 사용자가 스테레오 촬영과 VR 영상 촬영을 할 수 있는 카메라, 액션캠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다수의 영상촬영기기를 선택하여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과 높이 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장착된 모든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또는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일치시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다양한 주변기기가 용이하게 호환되어 설치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마이크, 조명 등의 액세서리 장치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공간을 이용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원형의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고, 커넥터(10)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거치유닛삽입부(1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 형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커넥터커버(16)는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10)의 상부를 덮어 밀폐시킨다. 여기서, 커넥터커버(16)는 커넥터(10)에 결합한 거치유닛(20)이 펼쳐진 상태 또는 거치유닛(20)이 접혀진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상부를 덮으며 밀폐시키게 된다.
거치유닛(2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거치유닛(20)에는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거치유닛(20)은 커넥터(10)에 형성된 거치유닛삽입부(12)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커넥터(10)에 결합한다.
한편,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마운트고정홀(22)에는 마운트고정홀(22)마다 번호가 기입되어 있어 마운트(30)가 거치유닛(20)에 결합할 때, 사용자가 마운트(3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즉,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서로 동일하게 조절할 때 거치유닛(20)에 표시된 마운트고정홀(22)의 번호를 보면서 마운트(30)를 이동시켜 각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마운트(30)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거치유닛(20)에 탈부착하며, 아래에 서술된 높이조절부(40)가 마운트(30)의 상부면에 결합하게 된다.
마운트(30)가 거치유닛(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마운트(30)는 영상촬영기기 또는 액세서리 장치가 탈부착되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와 높이조절부(40) 및 좌우거리조절부(50)를 탑재하는 동시에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높이조절부(40)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운트(30)의 상측에 탈부착되며, 아래에 서술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켜 촬영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좌우거리조절부(50)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하며,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우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좌우거리조절부(50)에 탈부착되고, VR 카메라, 액션캠,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기가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액세서리결합부(70)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마이크를 포함하여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액세서리 장치를 탈부착하기 위해 높이조절부(40)의 상부에 구비된다.
액세서리결합부(70)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공에 나사 또는 볼트 를 포함한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액세서리결합부(70)의 상측에 안착된 액세서리 장치와 결합하게 된다.
보관부(80)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마운트(30)를 거치유닛(20)에서 분리한 후, 거치유닛(20)을 힌지회동시켜 접힌 상태로 만들고, 접힌 상태에 있는 거치유닛(20)을 보관하거나 거치유닛(20)에 마운트(30)를 부착시켜 사용할 경우, 거치유닛(20)을 힌지회동시켜 펼쳐진 상태로 만들면 보관부(80)의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비워진 보관부(80)의 내부에 배터리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서 거치유닛(20)에 결합한 마운트(30)는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며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고정홀(22)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운트(30)에는 푸시버튼(32)이 구비되고, 이 푸시버튼을 누르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거치유닛(20)에 결합한 마운트(30)가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푸시버튼의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즉, 푸시버튼에서 손을 떼면)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고정홀(22)에서 마운트(30)가 잠금상태가 되어 마운트(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마운트(30)와 높이조절부(40), 좌우거리조절부(50) 및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마운트(30)를 거치유닛(2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이동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서 높이조절부(40)와 좌우거리조절부(50)는 회전구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 피니언기어와 연결되는 랙기어에 의해 영상촬영기기장착부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40)에서 회전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구와 연결된 피니언기어가 랙기어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한 좌우거리조절부(50)도 함께 상방 또는 하방 승강운동을 하게 되며, 좌우거리조절부(50)가 승강운동을 함에 따라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촬영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좌우거리조절부(50)에서도 회전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구와 연결된 피니언기어가 회전을 하며 랙기어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좌우거리조절부(50)의 상부에서 피니언기어와 결합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좌우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높이조절부(40)와 거리조절부에는 마운트(30)의 상하 높이와 좌우거리 조절범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조절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거치유닛(20)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단부가 커넥터(10)에 대해 힌지회동을 하며 접혀지거나 접혀진 거치유닛(20)이 펼쳐져 거치유닛(20)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거치유닛(20)에서 커넥터(10)의 거치유닛삽입부(12)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단부에는 힌지회동구가 구비되어 거치유닛삽입부(12)에 삽입된 힌지회동구를 회전중심으로 거치유닛(20)이 힌지회동을 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커넥터 12 - 거치유닛삽입부
16 - 커넥터커버 20 - 거치유닛
30 - 마운트 40 - 높이조절부
50 - 좌우거리조절부 60 - 영상촬영기기장착부
70 - 액세서리결합부 80 - 보관부

Claims (3)

  1.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거치유닛삽입부(12)가 방사 형태로 이격되어 형성된 커넥터(10);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커넥터(10)에 형성된 거치유닛삽입부(12)에 일측 단부가 각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유닛(20);
    각 거치유닛(20)에 탈부착하는 마운트(30);
    마운트(30)에 탈부착되며, 영상촬영기기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켜 촬영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높이조절부(40);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하며, 영상촬영기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우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좌우거리조절부(50); 및
    좌우거리조절부(50)에 탈부착되고,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
    를 포함하고,
    거치유닛(20)에 결합한 마운트(30)는 거치유닛(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며 거치유닛(20)에 형성된 다수의 마운트고정홀(22) 중 어느 하나의 마운트고정홀(22)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광축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며,
    높이조절부(40)에서 높이조절부(40)와 결합한 좌우거리조절부(5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강시키면,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되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의 촬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고,
    좌우거리조절부(50)에서 좌우거리조절부(50)와 결합한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영상촬영기기장착부(60)에 장착된 영상촬영기기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좌우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
    을 포함하며,
    거치유닛(20)은 커넥터(10)에 연결되는 단부가 커넥터(10)에 대해 힌지회동을 하며 접혀지거나 접혀진 거치유닛(20)이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명, 마이크를 포함하여 영상촬영기기에 부가되는 액세서리 장치를 탈부착하기 위해 높이조절부(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액세서리결합부(70)
    를 더 포함하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회동하여 접힌 상태에 있는 거치유닛(20)을 보관하거나 거치유닛(20)이 펼쳐져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관부(80)
    를 더 포함하는,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KR1020200139231A 2020-10-26 2020-10-26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KR20220055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31A KR20220055104A (ko) 2020-10-26 2020-10-26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31A KR20220055104A (ko) 2020-10-26 2020-10-26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04A true KR20220055104A (ko) 2022-05-03

Family

ID=8159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31A KR20220055104A (ko) 2020-10-26 2020-10-26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1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5295A (zh) * 2023-04-07 2023-08-29 奥视纵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生产培训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5295A (zh) * 2023-04-07 2023-08-29 奥视纵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生产培训系统
CN116665295B (zh) * 2023-04-07 2024-01-02 奥视纵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字孪生的生产培训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3567B2 (en) Web camera with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CA2376414C (en) Lens mount apparatus for a high definition video camera
CN209402652U (zh) 摄像装置
KR20220055104A (ko) 전방향 영상 촬영장치
CN214544506U (zh) 一种手机拍照用光学配件
CN205039884U (zh) 手机双螺纹镜头夹
US9354492B2 (en) Camera mount assembly,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WO2013051796A2 (ko) 입체영상 촬영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CN112492128A (zh) 拍摄装置及拍摄系统
US9429824B2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CN209845163U (zh) 测试装置和测试系统
WO2017039744A1 (en) Universal adjustable lens adapter
CN211700633U (zh) 手持云台
JP4924872B2 (ja) 近接撮影用ライト
US11343444B2 (en)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image-capturing unit capable of capturing a time slice image
CN106195554B (zh) 一种双相机的可调机架和动感照片的双相机拍摄装置
CN210725068U (zh) 智能摄影系统
CN212156578U (zh) 手持云台
KR102566181B1 (ko) 카메라 리그 및 모니터링 장치
JP2005202305A (ja)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
CN218998147U (zh) 一种新型双目活体检测摄像头
CN221054672U (zh) 一种摄像设备
US11042036B2 (en) Device mount for mixed-reality capture
CN110035282B (zh) 测试装置和测试系统
KR101944380B1 (ko) 스마트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