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393A - 권철심 - Google Patents

권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393A
KR20220054393A KR1020227010618A KR20227010618A KR20220054393A KR 20220054393 A KR20220054393 A KR 20220054393A KR 1020227010618 A KR1020227010618 A KR 1020227010618A KR 20227010618 A KR20227010618 A KR 20227010618A KR 20220054393 A KR20220054393 A KR 2022005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eel
heat transfer
iron core
edg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모기
다카히토 미즈무라
데루유키 다마키
히로시 후지무라
류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01F27/245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using bent lam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권철심은,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상기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변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는,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경로를 갖고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변부에만 있다.

Description

권철심
본 개시는, 권철심에 관한 것이다.
권철심은, 변압기, 리액터 또는 노이즈 필터 등의 자심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변압기에 있어서는, 종래, 고효율화의 관점에서, 저철손화가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고, 다양한 관점에서 저철손화의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84889호 공보에는, 코일상으로 감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철심의 외주에, 강판의 권취 방향으로 주위 방향 밴드가 감겨, 주위 방향 밴드의 표면측에 있어서, 철심에 권회된 권취선과 해당 철심 사이에, 진동 손실 계수 η>0.01의 적층 방향 밴드가 배치된 저소음 권취 트랜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48036호 공보에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권철심 본체를 구비하는 권철심이 개시되어 있다. 이 권철심의 권철심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평면부와 코너부가 교호로 연속하고, 당해 각 코너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평면부가 이루는 각이 90°인 방향성 전자 강판이,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부분을 포함하고, 측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코너부는, 방향성 전자 강판의 측면으로 보아, 곡선상의 형상을 갖는 굴곡부를 2개 이상 갖고 있고, 또한, 하나의 코너부에 존재하는 굴곡부 각각의 굽힘 각도의 합계가 90°이다. 또한, 굴곡부의 측면으로 보아서의 내면측 곡률 반경 r은 1mm를 초과하고, 3mm 미만이다. 또한, 방향성 전자 강판의 내면측 및 외면측의 강판면에 의해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한 180° 자벽을 갖는 표면에, 길이 방향의 치수가 150㎛ 이하, 판 두께 방향의 치수가 30㎛ 이상인 환류 자구가, 길이 방향으로 0.5mm 이상 8mm 이하의 간격으로, 폭 방향으로 연속 또한 직선적으로 존재하는 영역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환류 자구가 존재하는 영역이, 내면측 또는 외면측의 강판면 표면적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권철심이 사용된 변압기 등은,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지만, 철손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권철심과, 권철심에 권회되는 권선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지가 가열되어서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절연지는 열화에 의해 파단될 가능성이 있고, 절연지가 파단된 변압기는, 절연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절연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권철심의 온도는 가능한 한 저온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일반의 변압기는, 권철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절연성의 기름(절연유) 중에 권철심을 수용하고, 이 절연유가 체류함으로써 권철심에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고 있다. 그러나, 방열에 기여하는 절연유와 권철심은 권철심의 표면에서밖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권철심의 표면만에서밖에 절연유에 의한 방열이 되지 않고, 권철심의 발열량이 크면 방열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낮은 철손을 유지하고, 또한,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한 권철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 등은, 권철심의 온도 상승 억제를 예의 검토하는 중에서, 권철심에 발생하는 열의 방열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권철심에 있어서 방열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적층된 전자 강판 사이에서 방열되는 것에 상도하였다. 한편으로, 적층된 전자 강판의 간격을 과잉으로 확대하면, 철손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자 등은, 낮은 철손을 유지하면서, 권철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가능한 권철심에 대해서, 더 검토한 결과, 본 개시에 이르렀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본 개시의 일 양태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본 개시의 일 양태의 권철심은,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상기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변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는,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경로를 갖고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변부에만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낮은 철손을 유지하고, 또한,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한 권철심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X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X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시험예에서의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과 권철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시험예에서의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과 권철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중의 각 구성 요소의 비율, 치수는, 실제의 각 구성 요소의 비율, 치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X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자 강판 S를 측면측에서 본 경우를 측면시라고 한다. 전자 강판 S의 적층 방향을 적절히 「적층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전자 강판 S의 판 폭 방향을 적절히 「판 폭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전자 강판 S의 권회 방향을 적절히 「권회 방향」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전자 강판 S가 측면으로 보아(바꾸어 말하면, 권철심(1)을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환상으로 적층된 적층체(2)를 구비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환상으로 형성된 복수매의 전자 강판 S가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서 적층체(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체(2)는, 복수의 굴곡부(21)와, 서로 인접하는 굴곡부(21)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변부(22)를 갖는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권철심의 측면이란, 적층된 전자 강판 S의 측면에 의해 형성된 면을 말한다.
적층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강판 S가 적층되어서 측면으로 보아 팔각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복수의 굴곡부(21)와 복수의 변부(2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2)는, 최내주의 전자 강판 S가 4개의 구석부(21A)를 형성하도록 절곡되어서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최내주의 전자 강판 S의 외주에 위치하는 전자 강판 S가 최내주의 전자 강판 S의 구석부(21A)에 있어서 절곡되어, 2개의 모퉁이부(21B)가 형성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적층체(2)의 굴곡부(21)는, 하나의 구석부(21A)와, 이 구석부(21A)에 있어서 전자 강판 S가 절곡되어서 형성된 2개의 모퉁이부(21B)를 직선으로 연결한 대략 삼각형의 영역의 부분이다. 또한,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구석부(21A)가 인접해서 2개 있는 경우에는, 적층체(2)의 굴곡부(21)는, 2개의 구석부(21A)와, 2개의 모퉁이부(21B)를 각각 직선으로 연결한 대략 사다리꼴의 영역의 부분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2)의 변부(22)는, 인접하는 굴곡부(21) 사이에 위치하는 대략 직선상의 부분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2)는, 4개의 굴곡부(21)와 4개의 변부(2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적층체(2)는, 전자 강판 S의 측면측에서 본 때에, 외주에 8개의 모퉁이부(21B)를 갖는 팔각형을 이루고 있다. 한편으로, 적층체(2)는, 내주에 4개의 구석부(21A)를 갖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적층체(2)에는, 예를 들어 기존의 방향성 전자 강판 또는 기존의 무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적층체(2)에 사용함으로써, 철손 중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권철심(1)의 철손을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 강판 S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0.20mm 이상으로 해도 되고, 0.40mm 이하로 해도 된다. 두께가 작은(얇은) 전자 강판 S를 사용함으로써, 전자 강판 S의 판 두께 면 내에 있어서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철손 중의 와전류손을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권철심(1)의 철손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 강판 S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8mm 이상이다. 또한, 전자 강판 S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5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7mm 이하이다.
적층된 전자 강판 S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강판 S의 표면에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서 서로 절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강판 S의 층간이 절연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강판 S의 판 두께 면 내에 있어서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와전류손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권철심(1)의 철손을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자 강판 S의 표면에는, 콜로이달 실리카 및 인산염을 함유하는 절연 코팅액을 사용하여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2)는,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S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3)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3)가 개재하는 변부(22)에 있어서, 스페이서(3)가 개재한 전자 강판 S 사이에는 간극 부분(22A)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에서는, 1개의 변부(22)에 있어서의 3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전자 강판 S의 일정 적층 매수마다 스페이서(3)가 개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3)가 개재한 전자 강판 S 사이에는, 간극 부분(22A)이 형성되어 있다. 권철심(1)이 절연유에 침지되어서 사용되는 경우, 절연유는, 간극 부분(22A)을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간극 부분(22A)은,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의 전열 경로가 된다. 그리고, 간극 부분(22A)의 양측의 전자 강판 S로부터 간극 부분(22A)을 흐르는 절연유에 열이 전달되어,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이 방열된다. 또한, 간극 부분(22A)은, 스페이서(3)가 전자 강판 S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발생한 공극 부분을 말하지만, 간극 부분(22A)의 크기에 대해서는, 당해 공극 부분과 스페이서(3)를 포함하는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가 1mm 이상이면, 전자 강판 S의 열을 방열하기에 충분한 유량의 절연유가 간극 부분(22A)을 흐른다. 이에 의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이다. 또한,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가 2mm 이하이면, 전자 강판 S로부터 간극 부분(22A)에 누출되는 자속(누설 자속)의 증대가 억제되어, 철손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9mm 이하이다. 또한,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스페이서(3)의 적층 방향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란, 간극 부분(22A)의 전자 강판 S의 적층 방향을 따른 최대 길이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전열 경로인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1매의 전자 강판 S의 두께 이상이다. 바꾸어 말하면, 1매의 전자 강판 S의 두께 이상의 간극을 전열 경로로 한다.
또한,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는, 판 폭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일정하게는,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의 ±10%를 포함한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가 대략 일정함으로써, 간극 부분(22A)에 있어서의 절연유의 체류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절연유는 전자 강판 S의 열을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를 판 폭 방향으로 대략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3)의 판 폭 방향 길이 또는 전자 강판 S의 적층면에 있어서의 스페이서(3)의 위치 등을 변경하면 된다. 또한, 스페이서(3)의 판 폭 방향 길이는, 전자 강판 S의 판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스페이서(3)는, 판 폭 방향을 따라서 전자 강판 S의 판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극 부분(22A)은,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마련되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하지만, 복수의 변부(2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 부분(22A)이 보다 많은 변부(22)에 마련됨으로써, 권철심(1)을 구성하는 전자 강판 S와 절연유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전자 강판 S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간극 부분(22A)이 복수의 변부(22)에 마련됨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이 균일하게 억제된다. 따라서, 간극 부분(22A)은, 4개의 변부(22) 모두에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체(2)의 4개의 변부(22)에 길이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긴 변부에 전열 경로를 마련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부와,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부를 갖고 있고, 적어도 긴 변부에 스페이서가 개재하고 있다.
간극 부분(22A)을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은, 86.0% 이상 9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 부분(22A)을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이 86.0% 이상임으로써, 낮은 철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극 부분(22A)을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9.5% 이상이다. 또한, 간극 부분(22A)을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이 91.0% 미만임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층체(2)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점적률은, JIS C 2550-5: 2011에 기초하여 산출 가능하다. 또한, JIS C 2550-5: 2011은, IEC 60404-13: 1995, 「Magnetic materials-Part13: Methods of measurement of density, resistivity and stacking factor of electrical steel sheet and strip」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간극 부분(22A)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 변부(22)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22A)의 거리, 변부(22)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22A)의 거리, 및 인접하는 간극 부분(22A)의 거리가 동등해지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연유에 의해 권철심(1)이 보다 균일하게 냉각되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간극 부분(22A)이 변부(22)에 있어서의 1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마련되는 경우, 간극 부분(22A)은, 변부(22)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22A)의 거리 및 변부(22)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22A)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3)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개재하여 간극 부분(22A)을 형성한다. 스페이서(3)의 소재는, 비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3)가 비자성체라면, 스페이서(3)에 있어서의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철손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페이서(3)의 소재는, 구체적으로는 수지, 구리 또는 놋쇠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스페이서(3)의 소재는,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스페이서(3)에 구리를 사용함으로써, 간극 부분(22A)뿐만 아니라 스페이서(3) 자체에 의해서도 전자 강판 S의 열을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3)는, 적층체(2)의 변부(22)에만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간극 부분(22A)은, 적층체(2)의 변부(22)에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굴곡부(21)에 간극 부분을 마련한 경우, 방열 면적의 증대보다도, 간극 부분으로부터의 자속 누출에 의한 철손의 증대가 우려되기 때문에, 굴곡부(21)보다도 방열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변부(22)에 간극 부분(22A)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3)의 크기는, 간극 부분(22A)을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 부분(22A)의 적층 방향 길이를 1mm 이상 2mm 이하로 하기 위해서, 스페이서(3)의 적층 방향 길이는 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한 간극 부분(22A)이 형성되면, 1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3)의 수량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1개의 변부(22)에 있어서, 3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스페이서(3)가 개재하고 있지만, 스페이서(3)가 개재하는 전자 강판 S 사이의 수는, 도 2에 도시한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권철심(1)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해도 된다. 그러나, 스페이서(3)가,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있음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철손의 증대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3)는,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의 X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강판 S가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굴곡부(21)와, 서로 인접하는 굴곡부(21) 사이에 위치하는 변부(22)를 갖는 적층체(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2)는,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S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열체(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1)은,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S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열체(4)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1)과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체(2)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체(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적층체(2)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전열체(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열체(4)는,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S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다. 전열체(4)는, 도 3에서는, 1개의 변부(22)에 있어서 3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있다. 전열체(4)가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S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됨으로써,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은, 전열체(4)를 흘러, 권철심(1)의 외부에 방열된다. 따라서, 전열체(4)는,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의 전열 경로이다.
전열체(4)의 소재는, 고열전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체(4)의 소재가 고열전도율의 재료임으로써,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을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열체(4)의 소재는, 비자성체 또한 절연체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체(4)의 소재가 비자성체 또한 절연성의 재료라면, 전열체(4)에 있어서의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철손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열체(4)의 소재는, 페놀 수지(베이크라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놀 수지는, 높은 열전도율을 갖고, 비자성체 또한 절연체이기 때문에, 전자 강판 S에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함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열체(4)에 있어서의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철손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열체(4)에는,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기재 페놀 수지 적층판, 천 기재 페놀 수지 적층판, 유리 천 기재 페놀 수지 적층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열체(4)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변부(22)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넓게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체(4)가 변부(22)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넓게 개재하면, 전자 강판 S와 전열체(4)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전자 강판 S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열체(4)는,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마련되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하지만, 복수의 변부(2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체(4)가 보다 많은 변부(22)에 마련됨으로써, 권철심(1)을 구성하는 전자 강판 S와 절연유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전자 강판 S의 열이 전열체(4)를 통해 절연유에 효율적으로 흐른다. 즉, 전자 강판 S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열체(4)가 복수의 변부(22)에 마련됨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이 균일하게 억제된다. 따라서, 전열체(4)는, 4개의 변부(22)에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열체(4)를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은, 86.0% 이상 9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열체(4)를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이 86.0% 이상임으로써, 낮은 철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열체(4)를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9.5% 이상이다. 또한, 전열체(4)를 갖는 변부(22)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점적률이 91.0% 미만임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점적률은, JIS C 2550-5: 2011에 기초하여 산출 가능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열체(4)의 질량은 고려하지 않고 산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열체(4)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 변부(22)의 내주면과 전열체(4)의 거리, 변부(22)의 외주면과 전열체(4)의 거리, 및 인접하는 전열체(4)의 거리가 동등해지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권철심(1)은 전열체(4)를 통하는 절연유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냉각되어,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전열체(4)가 변부(22)에 있어서의 1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마련되는 경우, 전열체(4)는, 변부(22)의 내주면과 전열체(4)의 거리 및 변부(22)의 외주면과 전열체(4)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는, 1개의 변부(22)에 있어서, 3개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전열체(4)가 개재하고 있지만, 전열체(4)가 개재하는 전자 강판 S 사이의 수는, 도 3에 도시한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권철심(1)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해도 된다. 그러나, 전열체(4)가,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있음으로써, 권철심(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철손의 증대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열체(4)는, 복수의 변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22)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전자 강판 S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형태의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변형예는, 단독으로 본 개시의 상기 실시 형태에 적용되어도 되고, 조합에서 본 개시의 상기 실시 형태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각 변형예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대신에 적용되어도 되고, 본 개시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에 있어서의 외주가 팔각형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적층체에 있어서의 외주는, 다각형, 둥근 모서리 사각형, 장원형, 또는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장원형의 적층체는, 전자 강판을 권회하여 제조된다. 한편, 팔각형의 적층체는, 환상으로 절곡한 복수의 전자 강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조된다. 환상으로 절곡한 복수의 전자 강판을 판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조한 적층체는, 전자 강판을 권회하여 제조한 적층체와 비교하여, 굴곡부에 있어서의 점적률이 작아지기 쉽다. 그 때문에, 적층체(2)의 복수의 굴곡부(21) 중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21)의 점적률을 높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수단을 사용하여 굴곡부(21)를 내주측 및 외주측으로부터 압축함으로써, 굴곡부(21)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굴곡부(21)의 점적률이 높아지고, 적층체(2)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에 있어서의 내주가 사각형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층체에 있어서의 내주는, 다각형, 둥근 모서리 사각형, 장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체에 있어서의 내주가 팔각형인 경우, 팔각형의 인접하는 2개의 정점을 연결하는 부분이 구석부가 되고, 적층체에 있어서의 내주가 장원형인 경우에는, 호상의 부분이 구석부가 된다. 적층체에 있어서의 내주가, 다각형, 둥근 모서리 사각형, 장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경우에 있어서, 굴곡부는, 인접하는 하나의 변부와 다른 변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의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 및 다른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 S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전자 강판 S가 굴곡하여 적층된 부분이다.
또한, 적층체의 내주는, 외주의 형상에 따른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체의 외주가 팔각형인 경우에는, 내주는 팔각형이어도 되고, 적층체의 외주가 둥근 모서리 사각형인 경우에는, 내주는 둥근 모서리 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전열 경로(간극 부분(22A), 전열체(4))는,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상기의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중첩되는 전자 강판 S 중, 한쪽의 전자 강판 S의 변부(22)를 구성하는 부분에 절곡 가공으로 오목형 부분을 형성하고, 이 오목형 부분의 내측을 간극 부분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를 복수 설명하였다. 이들의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은,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변부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는, 적층된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경로를 갖는다. 이 전열 경로에 의해, 교류 자장을 가한 때에 전자 강판에 발생하는 열이 효율적으로 방열되어, 권철심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이 전열 경로는, 변부에 있어서의 적층된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전자 강판으로부터 전열 경로에 대한 누설 자속은 적고, 낮은 철손이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은, 변압기(도시하지 않음)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압기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철심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구비한다. 1차 권선에 교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권철심에 자속이 발생하고, 발생한 자속의 변화에 따라, 2차 권선에 전압이 발생한다. 당해 권철심은, 복수의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변부는, 적층된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전열 경로를 갖기 때문에, 권철심에 발생한 열은 이 전열 경로를 통하여 방열된다. 그 결과, 낮은 철손이 유지되고, 또한,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이어서, 본 개시의 시험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시험예에서의 조건은, 본 개시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용한 일 조건예이고, 본 개시는, 이 일조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시험예 1)
두께가 0.23mm의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적층하고, 4개의 굴곡부와 4개의 변부를 갖는 대략 팔각형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길이는 20mm로 하고, 4개의 변부의 각각이 표 1에 나타내는 수의 간극 부분을 갖는 권철심을 이하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적층체의 4개의 변부의 각각에 대해서, 전자 강판 사이에 페놀 수지(베이크라이트)제의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간극 부분을 마련하였다. 간극 부분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 변부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변부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및 인접하는 간극 부분의 거리가 동등해지도록 마련하였다. 변압기 No.2에서는, 간극 부분을, 변부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및 변부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마련하였다. 간극 부분에 대해서, 적층 방향 길이는 1mm, 판 폭 방향 길이는 300mm, 권회 방향 길이는 100mm로 하였다. 이 권철심에 권선을 권회하고, 탱크 내에 당해 권철심을 설치해서 이 탱크 내를 절연유로 채우고, 용량이 20kVA의 변압기를 제조하였다.
권철심에 대해서, JIS C 2550-5: 2011에 기초하여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제조한 변압기에 대해서, JEC-2200에 기초하여 철손(무부하손)을 측정하였다. 제조한 변압기를 12시간 가동시킨 후의 권철심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표 1에, 1개의 변부당의 간극 부분의 수, 점적률, 온도, 철손 및 철손 증가율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과 권철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점적률은, 4개의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의 평균값이다.
제조한 변압기는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간극 부분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변압기 No.1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변압기 온도가 저하되고 있고, 또한, 변압기 No.1의 철손을 기준으로 한 철손 증가율이 10% 미만인 경우, 평가 결과를 「A(우수)」로 하고, 변압기 No.1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변압기 온도가 저하되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변압기 No.1의 철손을 기준으로 한 철손 증가율이 10% 이상인 경우, 평가 결과를 「B(양호)」로 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B보다도 A가 양호하다. 또한, 표 1 중의 발명예는 본 개시를 적용한 실시예를 가리키고, 비교예는 본 개시를 적용하고 있지 않은 예를 가리킨다.
Figure pct00001
변부에 마련되는 간극 부분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권철심과 절연유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권철심의 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적률이 저하됨에 수반하여, 권철심 온도가 저하되었다. 변압기 No.4에서는, 온도 상승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변압기 No.5는,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있지만, 철손의 증가율이 10% 초과가 되었다.
(시험예 2)
두께가 0.20mm의 방향성 전자 강판을 사용하여,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권철심을 제작하고, 제작한 권철심을 사용하여 용량이 1kVA의 변압기를 제조하였다.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길이는 20mm로 하고, 4개의 변부의 각각이 표 2에 나타내는 수의 간극 부분을 갖는 권철심을 이하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간극 부분에 대해서, 적층 방향 길이는 1mm, 판 폭 방향 길이는 200mm, 권회 방향 길이는 70mm로 하였다. 제조한 변압기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 권철심의 온도 및 철손(무부하손)을 측정하였다. 표 2에, 1개의 변부당의 간극 부분의 수, 점적률, 온도, 철손 및 철손 증가율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과 권철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표 2 중의 점적률은, 4개의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의 평균값이다. 변압기의 평가는,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의 기준에서 행하였다. 또한, 표 2 중의 발명예는 본 개시를 적용한 실시예를 가리키고, 비교예는 본 개시를 적용하고 있지 않은 예를 가리킨다.
Figure pct00002
변부에 마련되는 간극 부분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권철심과 절연유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권철심의 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적률이 저하됨에 수반하여, 권철심 온도가 저하되었다. 변압기 No.4에서는, 온도 상승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변압기 No.5는,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있지만, 철손의 증가율이 10% 초과가 되었다.
(시험예 3)
두께가 0.23mm의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적층하고, 4개의 굴곡부와 4개의 변부를 갖는 대략 팔각형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적층체의 길이는 20mm로 하고, 4개의 변부 중 1개의 변부에 표 3에 나타내는 수의 전열체를 갖는 권철심을 이하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적층체 중 1개의 변부에 대해서, 전자 강판 사이에 베이크라이트제의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간극 부분을 마련하였다. 간극 부분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 변부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변부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및 인접하는 간극 부분의 거리가 동등해지도록 마련하였다. 변압기 No.2에서는, 간극 부분을, 변부의 내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 및 변부의 외주면과 간극 부분의 거리가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마련하였다. 간극 부분에 대해서, 적층 방향 길이는 1mm, 판 폭 방향 길이는 150mm, 권회 방향 길이는 100mm로 하였다. 이 권철심에 권선을 권회하고, 탱크 내에 당해 권철심을 설치해서 이 탱크 내를 절연유로 채우고, 용량이 10kVA의 변압기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변압기에 대해서,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간극 부분을 갖는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 권철심의 온도 및 철손(무부하손)을 측정하였다. 표 3에, 간극 부분을 갖는 변부에 있어서의 간극 부분의 수, 점적률, 온도, 철손 및 철손 증가율을 나타낸다. 또한, 표 3 중의 점적률은, 간극 부분을 갖는 변부에 있어서의 전자 강판의 점적률이다. 변압기의 평가는,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의 기준에서 행하였다. 또한, 표 3 중의 발명예는 본 개시를 적용한 실시예를 가리키고, 비교예는 본 개시를 적용하고 있지 않은 예를 가리킨다.
Figure pct00003
이상, 본 개시에 의하면, 낮은 철손을 유지하고, 또한, 온도 상승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또한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상기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변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는,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경로를 갖고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변부에만 있는, 권철심.
(부기 2)
상기 전열 경로를 갖는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강판의 점적률은, 86.0% 이상 91.0% 미만인, 부기 (1)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3)
상기 전자 강판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열 경로의 길이는, 1mm 이상 2mm 이하인,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4)
상기 전열 경로는,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있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5)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발생한 간극 부분이 상기 전열 경로인,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6)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체인, 부기 5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7)
상기 전열 경로는, 비자성 또한 절연성의 전열체로 형성되는,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8)
상기 전열 경로는, 페놀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부기 7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9)
모든 상기 변부에 상기 전열 경로가 있는, 부기 1 내지 부기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0)
상기 변부에는, 제1 변부와, 해당 제1 변부보다도 긴 제2 변부가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제2 변부에만 있는, 부기 1 내지 부기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1)
측면에서 본 때의 상기 적층체의 형상은, 4개의 상기 변부와 4개의 상기 굴곡부를 갖는 팔각형인, 부기 1 내지 부기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2)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되어,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상기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변부를 갖는 적층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는,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유로를 갖는 권철심.
(부기 13)
상기 전열 유로를 갖는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강판의 점적률은, 86.0% 이상 91.0% 미만인, 부기 12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4)
상기 전자 강판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열 유로의 길이는, 1mm 이상 2mm 이하인, 부기 12 또는 부기 13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5)
상기 전열 유로는,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구비되는, 부기 12 내지 부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6)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발생한 간극 부분이 상기 전열 유로인, 부기 12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7)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체인, 부기 16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8)
상기 전열 유로는, 비자성 또한 절연성의 전열체로 형성되는, 부기 12 내지 부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19)
상기 전열 유로는, 페놀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부기 18에 기재된 권철심.
(부기 20)
측면에서 본 때의 상기 적층체의 형상은, 팔각형인, 부기 12 내지 부기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철심.
또한, 2019년 9월 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19-160544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11)

  1. 복수의 전자 강판이 측면으로 보아 환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는, 복수의 굴곡부와, 인접하는 상기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변부를 갖고,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는,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전자 강판에 면하는 전열 경로를 갖고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변부에만 있는, 권철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경로를 갖는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강판의 점적률은, 86.0% 이상 91.0% 미만인, 권철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강판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열 경로의 길이는, 1mm 이상 2mm 이하인, 권철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경로는,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 1개 이상 3개 이하의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있는, 권철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부에 있어서의 적층된 상기 전자 강판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전자 강판 사이에 발생한 간극 부분이 상기 전열 경로인, 권철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체인, 권철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경로는, 비자성 또한 절연성의 전열체로 형성되는, 권철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경로는, 페놀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권철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변부에 상기 전열 경로가 있는, 권철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부에는, 제1 변부와, 해당 제1 변부보다도 긴 제2 변부가 있고,
    상기 전열 경로는, 상기 제2 변부에만 있는, 권철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본 때의 상기 적층체의 형상은, 4개의 상기 변부와 4개의 상기 굴곡부를 갖는 팔각형인, 권철심.
KR1020227010618A 2019-09-03 2020-09-03 권철심 KR20220054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0544 2019-09-03
JP2019160544 2019-09-03
PCT/JP2020/033491 WO2021045169A1 (ja) 2019-09-03 2020-09-03 巻鉄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393A true KR20220054393A (ko) 2022-05-02

Family

ID=7485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618A KR20220054393A (ko) 2019-09-03 2020-09-03 권철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351890A1 (ko)
EP (1) EP4027359A4 (ko)
JP (1) JP7488824B2 (ko)
KR (1) KR20220054393A (ko)
CN (1) CN114342019A (ko)
AU (1) AU2020343587B2 (ko)
BR (1) BR112022003886A2 (ko)
CA (1) CA3152995A1 (ko)
MX (1) MX2022002585A (ko)
WO (1) WO2021045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0447A4 (en) * 2019-09-10 2022-11-30 Nippon Steel Corporation WRAPPED CO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1184A1 (fr) * 1981-08-06 1983-02-11 Ducellier & Cie Procede d'obtention d'une bobine a circuit magnetique ferme et a aimant permanent pour l'allumage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H0295220U (ko) * 1988-09-13 1990-07-30
US9013263B2 (en) * 2008-09-03 2015-04-21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Wound iron core for static apparatus, amorphous transformer and coil winding frame for transformer
WO2012099170A1 (ja) * 2011-01-19 2012-07-26 株式会社 テクノバ 非接触給電装置
EP2858079B1 (en) * 2012-06-05 2017-11-15 Technova Inc. Contactless power transfer transformer
CN203787252U (zh) * 2014-01-03 2014-08-20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自耦变压器铁芯及自耦变压器
JP6224468B2 (ja) * 2014-01-27 2017-11-01 東芝産業機器システム株式会社 巻鉄心および巻鉄心の製造方法
CN104575972A (zh) * 2014-12-12 2015-04-29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绝缘木撑条的卷铁芯自耦变压器
JP6531613B2 (ja) 2015-10-26 2019-06-19 日本製鉄株式会社 低騒音巻き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449045A (zh) * 2016-08-27 2017-02-22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卷铁芯变压器的铁芯结构
JP6776952B2 (ja) * 2017-03-06 2020-10-28 日本製鉄株式会社 巻鉄心
US10840015B2 (en) * 2017-07-26 2020-11-17 Hitachi Industrial Products, Ltd. Laminated core rotatable transformer
JP2019160544A (ja) 2018-03-13 2019-09-1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169A1 (ja) 2021-03-11
MX2022002585A (es) 2022-04-25
EP4027359A1 (en) 2022-07-13
CN114342019A (zh) 2022-04-12
US20220351890A1 (en) 2022-11-03
EP4027359A4 (en) 2022-11-30
JP7488824B2 (ja) 2024-05-22
AU2020343587A1 (en) 2022-04-07
CA3152995A1 (en) 2021-03-11
JPWO2021045169A1 (ko) 2021-03-11
BR112022003886A2 (pt) 2022-05-24
AU2020343587B2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0914B2 (ja) 巻線及び磁気部品
US6661327B1 (en) Electromagnetic inductor and transformer device and method making the same
US10102966B2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KR20220054393A (ko) 권철심
JP5824001B2 (ja) トランス
JP5844766B2 (ja) カップルドインダクタ
US11990268B2 (en) Transformer comprising winding
JP6857494B2 (ja) 静止誘導電器
EP3062319B1 (en) Transformer for reducing eddy current losses of coil
RU2817293C1 (ru) Ленточный сердечник
US9941043B2 (en) Core for an electrical induction device
KR100388604B1 (ko) 타원형 타권 핼리시스로 권선된 평각 코일을 갖는 리액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86562Y1 (ko) 자속차폐판을 구비한 유입변압기
JP7288213B2 (ja) 巻鉄心
KR102555275B1 (ko) 변압장치용 철심구조
JP7176306B2 (ja) 変圧器
JP2023146181A (ja) 三相三脚巻鉄心およびこれを用いた三相三脚巻鉄心変圧器
KR101082955B1 (ko) 변압기의 냉각구조
CN109923626B (zh) 用于电感应装置的芯体
JP2020167324A (ja) インダクタ
JP2023176086A (ja) 静止電磁機器用鉄心
JP2019029454A (ja) コア、トランス
KR20180082601A (ko) 변압기나 리액터용 철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