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023A -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023A
KR20220054023A KR1020200138472A KR20200138472A KR20220054023A KR 20220054023 A KR20220054023 A KR 20220054023A KR 1020200138472 A KR1020200138472 A KR 1020200138472A KR 20200138472 A KR20200138472 A KR 20200138472A KR 20220054023 A KR20220054023 A KR 2022005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cillus
copper
fermented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955B1 (ko
Inventor
조주현
조현덕
강준철
양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to KR102020013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MUNE ENHANCEMENT COMPRISING BENICASA HISPIDA EXTRACT}
본 발명은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의약품 및 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 가능하다.
모든 생물체는 생명을 영위하기 위해 끊임없이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며, 영양소는 식품의 형태로 항상 외부로부터 공급되거나 일부는 체내에서 합성된다.
음식물 속에는 인간의 생명현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은 음식물을 섭취하여 소화기관에서 소화시키고 흡수하여 체내의 조직세포에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영양은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켜주며, 건강한 신체는 건강한 정신을 보장한다.
영양은 직접, 간접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의 균형섭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영양분의 부족도 문제이고, 과잉섭취 또한 심각한 문제이며, 이로 인해 각종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최근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성인병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인구가 점차 노령화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은 질병, 특히 만성 퇴행성질환이나 감염증, 계속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 일상의 활동력의 증대를 꾀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영양의 개선, 면역기능 강화, 적절한 운동과 휴식, 정신적 활동의 지속 등 생활양식 전반에 미치는 관리가 요구된다.
면역은 체내에 존재하는 자기방어체계로서 인체가 외부에서 침입하는 각종 물질이나 생명체를 자기 자신에 대한 이물질로 인식하여 제거하고 대사시키는 과정이다.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이나 병원 미생물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도 하지만 염증반응 등과 같이 자기 자신의 조직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면역기능의 변화를 조절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거나 변화의 폭을 줄여 주는 작용으로 면역기능 억제나 면역기능 증강으로 구분된다.
면역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 나이, 성별, 심리적 스트레스, 영양상태, 식이습관, 질병 등이 있다.
면역 기능의 조절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은 현재까지, 저하된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기능성과 과도한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성, 자기 성분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자가면역기능 조절 기능성으로 구분된다.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과민반응은 천식, 계절성 또는 동년성 비염, 알러지성 부비강염, 결막염, 식품과 약품에 의한 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벌침에 의한 알러지 등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여러 원인으로 인한 면역기능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면역 증강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부작용 및 생체 안전성의 문제가 있으므로 장기 복용이 가능하고 예방용으로도 적합한 면역 증진 조성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 유래의 기능성 식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효모(yeast)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p.) 또는 갈락토마이세스 속(Galactomyces sp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균주 또는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p.) 균주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바실러스 메가테리(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등록된 Bacillus subtilis CJH 101(MW063656) 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등록된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MW07991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효모(yeast) 또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균주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뼈 건강 개선 또는 성장 촉진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면역 증진 활성이 우수하므로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용도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효모(Galactomyces geotrichum)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간균(Bacillus megaterium)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간균(Bacillus amyloliquefaciens)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간균(Bacillus subtilis)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간균(Bacillus subtilis CJH 101)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류코노스톡 균주(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을 평가(NO assay)한 결과이다. (A)는 동과 원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 (B)는 동과 건조물을 발효한 열수 추출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효모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TNF-a)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과 간균 발효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TNF-a)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동과(winter melon)”는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동아 또는 동화라고도 불리우며, 학명은 Benincasa hispida, Benincasa cerifera, Benincasa cerifera Savi 등이다.
상기 동과는 열대 아시아산으로 중국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재배대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동과는 식용 또는 약용하여 왔고, 과거에는 동화선, 동화누르미, 동화적, 동화돈채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식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활비결서에 따르면 동과 즙액을 밤마다 얼굴에 바르고 자면 얼굴이 백옥처럼 희고 맑게 되므로 피부 미백에 탁월하다고 하였고, 검은 피부색을 바꾸는 비법이라 하였으며, 동과씨는 기미를 없애는 효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바 있다.
상기 “면역(immunity)”은 생물체 내에서 병원체와 종양 세포 등을 탐지한 후 무력화하여 질병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하는 기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면역 증진(Immunostimulation)”은 암 및 염증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체 방어 기전을 보강하는 일련의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전략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미생물을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 십배의 활성이 증대되거나 기타 유효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발효를 거친 대사물질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발효 과정에 의해 입자가 작아지고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증진될 수 있으므로, 그로 인한 기능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천연 원료를 파쇄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거나, 천연원료를 건조한 후 가수하여 발효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효모(yeast)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효모(yeast)”는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술이나 빵 등 식품의 발효에 널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p.) 또는 갈락토마이세스 속(Galactomyces spp.)일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 균주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미세스 보우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또는 사카로미세스 엘립소이드(Saccharomyces ellipsoids)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Saccharomyces cerevisiae)일 수 있다.
상기 갈락토마이세스 속(Galactomyces spp.) 균주는 누룩으로 발효시키는 천연 효모 중 하나로, 바람직하게는 갈락토마이세스 지오트리쿰(Galactomyces geotrichu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균주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균주는 막대 모양의 그람 양성균 세균의 총칭으로, 후벽균류의 한 종류이며, 바실러스 메가테리(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등록된 Bacillus subtilis CJH 101(MW063656) 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등록된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MW079917)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발효 균주에서 가장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균주를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기탁였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투여하고자 하는 개체에 대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당업자가 양적 상한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이나 발효된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동과 발효물을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핵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용매에 따른 생리 활성 물질의 선택성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예컨대 면역 증진이나 성장 촉진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성장 촉진 또는 뼈 건강 개선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이란 단순히 신장이 증가하는 것뿐 만 아니라 신체 각 기관의 해부학적, 형태학적 크기와 기능이 증가하는 것, 즉 기능의 발달 및 기관으로의 분화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동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여 뼈 길이를 성장시키고, 성장판 연골세포의 대사를 촉진하는 등 부작용 없이 우수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특히 어린이 성장 촉진용 식품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뼈 건강”은 정상적인 뼈의 분해와 재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체내 칼슘이 부족하거나 여러 가지 외부 요인으로 인해 뼈의 분해와 재형성 균형이 깨지면 골다공증, 골관절염 등 골 관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조골 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며 골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관절 및 뼈 건강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은 예컨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은 건강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동과 발효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후,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동과 발효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동과 발효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동과 발효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상기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동과 발효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면역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면역결핍, 면역저하 또는 면역계 손상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예방”은 병리학적 현상의 발생 빈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체 내의 염증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이 상기 조성물을 사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형제제는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효모( Galactomyces geotrichum )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1-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GG-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Galactomyces geotrichum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1-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GG-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Galactomyces geotrichum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2 :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2-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SC-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2-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SC-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Saccharomyces cerevisiae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3 : 간균( Bacillus megaterium )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3-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BM-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Bacillus megaterium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3-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BM-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Bacillus megaterium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4 : 간균( Bacillus amyloliquefaciens )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4-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BA-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Bacillus amyloliquefaciens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4-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BA-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Bacillus amyloliquefaciens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5 : 간균( Bacillus subtilis )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5-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BS-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Bacillus subtilis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30℃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5-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BS-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Bacillus subtilis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30℃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6 : 간균( Bacillus subtilis CJH 101)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6-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BS/1-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등록한 균주인 Bacillus subtilis CJH 101(등록번호 MW063656)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6-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BS/1-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Bacillus subtilis CJH 101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7 : 류코노스톡 균주(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 발효 추출물 제조
제조예 7-1. 생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Rm-LM/5-W)
멸균한 생동아 분쇄물 100g에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등록한 균주인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등록번호 MW079917)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1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제조예 7-2. 건동아 발효 추출물(HR1901-FDm-LM/5-W)
건동아 분쇄물 10g에 물 90mL을 넣어 멸균한 후,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 종균 10%(10mL)를 접종하고 5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동아 발효물을 샘플링하여 5배의 물을 넣고 120℃에 4 시간 동안 끓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농축기로 10 내지 20 brix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시료화 하였다.
실험예 1 : 세포 배양
세포주인 RAW264.7 macrophage cell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anassas.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을 위하여 10% Fetal Bovin Serum(FBS, Hyclone USA), 100 units/mL penicillin/Streptoycin(Hyclone, USA)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of Eagle’s medium, Hyclone,USA)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존재하의 incubator(Thermo, Forma, Germany)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 독성 평가(MTT assay)
살아있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 salt(WST-1)에서 formazan으로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생성된 formazan의 농도를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Ez-cytox(Dozen, Korea)을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5x103 cells / 100μL로 96 well에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10% MTT 시약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50 nm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세포생존율에 의한 독성 평가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측정 결과, 제조예 1 내지 7의 추출물은 모든 농도(10, 100, 1000 μg/mL) 범위 및 시간 범위(12, 24, 48, 60, 72 시간 발효)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 : 면역 효능 평가(NO assay)
Nitric Oxide(NO)의 농도 측정을 위해 그리스 반응(griess reaction)을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1-naphthyl)-ethylenediamine, sulfanilamide, 및 NO2 -가 반응하여 azo couling을 이루는데, 두 개의 링 형태가 540nm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 값을 가진다.
Raw264.7 세포를 5x104 cells / 250μL로 24 well plate 에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50 μL를 취해 N1 buffer 50μL를 혼합하고 5 내지 10분 상온에 반응시켰다.
N2 buffer 50 μL를 혼합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를 이용하여 56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효모(Galactomyces geotrichum) 24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1-1)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253%, 100 μg/mL에서 약 564%,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1082%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72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1-2)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138%, 100 μg/mL에서 약 383%,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439%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72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2-1)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69%, 100 μg/mL에서 198%,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320%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60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2-2)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64%, 100 μg/mL에서 143%,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289%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간균(Bacillus megaterium) 60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3-1)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96%,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650%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48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3-2)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42%,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370%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간균(Bacillus amyloliquefaciens) 48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4-1)의 경우 10 μg/mL에서 331%, 100 μg/mL에서 931%,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4208%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60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4-2)의 경우 100 μg/mL에서 107%,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412%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간균(Bacillus subtilis) 48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5-1)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76%, 100 μg/mL에서 약 271%,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461%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60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5-2)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106%,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397%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간균(Bacillus subtilis CHO 101) 48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6-1)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86%, 100 μg/mL에서 약 297%,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480%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간균(Bacillus subtilis CHO 101) 48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6-2)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158%,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412%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류코노스톡 속 균주(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 60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7-1)의 경우 10 μg/mL에서 약 24%, 100 μg/mL에서 약 171%,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561% NO 생성능이 증가하였고, 60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7-2)의 경우 100 μg/mL에서 약 135%,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약 336% NO 생성능이 증가하였다.
상기 각 발효 추출물은 발효 시간에 따라 면역 활성이 일부 변화하였으나, 발효하지 않은 동과 추출물 소재 대비 NO 생성능이 현저히 증진되었다.
상기 결과는 동과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은 효모 또는 간균 발효에 의해 현저히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 면역 효능 평가(TNF-a 생성량 평가)
면역 증가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Raw264.7 세포를 5x104 cells/250μL로 24 well plate 에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4시간동안 CO2 배양기에 배양한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 분리하여 세포들은 침전시켜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상층액 내 TNF-a 및 IL-6 생성량을 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사용자 매뉴얼에 기재된 방법대로 정량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효모(Galactomyces geotrichum) 24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1-1)의 경우 1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TNF-a 양이 5059 pg/mL, 100 μg/mL에서 7027 pg/mL,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8174 pg/mL 증가하였다.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48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2-1)의 경우 1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TNF-a 양이 3101 pg/mL, 100 μg/mL에서 4112 pg/mL,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5771 pg/mL 증가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간균(Bacillus megaterium) 48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3-2)의 경우 1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TNF-a 양이 3661 pg/mL, 100 μg/mL에서 4364 pg/mL,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6715 pg/mL 증가하였다.
간균(Bacillus amyloliquefaciens) 60시간 건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4-2)의 경우 1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TNF-a 양이 2715 pg/mL, 100 μg/mL에서 3686 pg/mL,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6751 pg/mL 증가하였다.
간균(Bacillus subtilis) 48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5-1)의 경우 1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TNF-a 양이 5634 pg/mL, 100 μg/mL에서 6573 pg/mL, 1000 μg/mL에서 대조군 대비 8446 pg/mL 증가하였다.
상기 각 발효 추출물은 발효 시간에 따라 면역 활성이 일부 변화하였으나, 발효하지 않은 동과 추출물 소재 대비 TNF-a 생성능이 현저히 증진되었다.
상기 결과는 동과 추출물의 면역 증진 활성은 효모 또는 간균 발효에 의해 현저히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5 : 골 재생 유도 활성 평가
in vivo에서 동과 발효 추출물의 골 재생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개골이 결손된 생쥐에 동과 발효 추출물, BMP-2 또는 대조군을 처리한 후, 마이크로 CT(μCT) 및 조직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 CT(μCT) 분석에 따르면, 동과 24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1 내지 7) 및 BMP-2은 6주 전 구간을 걸쳐 골 형성을 각각 24%, 24%, 23%, 26%, 24%, 31%, 34%, 33% 증가시킨 반면, 대조군의 경우 극소의 골 형성이 유도되었다.
조직학적 시험에 따르면, 제조예 1 내지 7의 시료 처리에 의해 대부분 섬유상 조직인 대조군 영역과 달리 결손 부위의 골 형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6 : 장골 길이 성장 활성 평가
흰쥐의 골 성장에 대한 동과 발효 추출물의 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정상적인 골 대사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형광인자가 칼슘과 킬레이트 결합을 통해 골에 침착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골 생성이 가장 활발한 성장기에 형광인자를 투여하면 투여된 형광인자는 골성장판 하부의 골신생부에 가장 많이 침착하여 선을 형성하므로, 시료를 1회 투여한 후 일정 기간 후에 형광선과 성장판 사이의 길이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성장한 길이를 측정하였다.
수집한 절편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놓고 건조한 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골 조직 내 형광인자의 침착으로 형성된 선과 성장판 사이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랫트의 장골 길이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동과 24시간 생동아 발효 추출물(제조예 1 내지 7)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 대비 길이 성장이 각각 22%, 24%, 27%, 25%, 24%, 29%, 31% 증가하였으며, 발효 시간을 달리한 시료 처리에 의해 동등한 수준의 장골 길이 성장 증가가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효모(yeast)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p.) 또는 갈락토마이세스 속(Galactomyces spp.)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균주 또는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p.) 균주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바실러스 메가테리(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등록된 Bacillus subtilis CJH 101(MW063656) 이고,
    상기 류코노스톡 속 균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 등록된 Leuconostoc mesenterodies CJH 205(MW079917)인 조성물.
  7.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과 발효 추출물은 효모(yeast) 또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또는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p.) 균주를 발효시켜 수득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뼈 건강 개선 또는 성장 촉진 용도를 더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200138472A 2020-10-23 2020-10-23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50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72A KR102501955B1 (ko) 2020-10-23 2020-10-23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72A KR102501955B1 (ko) 2020-10-23 2020-10-23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023A true KR20220054023A (ko) 2022-05-02
KR102501955B1 KR102501955B1 (ko) 2023-02-21

Family

ID=8159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472A KR102501955B1 (ko) 2020-10-23 2020-10-23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0A1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278A (ko) * 2010-03-16 2011-09-22 (주)휴럼 동아를 천연배지로 한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150132750A (ko) * 2014-05-16 2015-11-26 주식회사 피토메카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4278A (ko) * 2010-03-16 2011-09-22 (주)휴럼 동아를 천연배지로 한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150132750A (ko) * 2014-05-16 2015-11-26 주식회사 피토메카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ne and Doshi. Carissa congesta Wight and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as budding immunomodulatory agents.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October 2016, Vol. 54, pp. 650-65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70A1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955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N104982928B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379524B1 (ko) 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또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815256B1 (ko) 복분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2650005A2 (en)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tea extracts for reducing lipid level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1341263B1 (ko)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을 이용한 발효울금의 제조방법
KR102501955B1 (ko)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40143121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472951B1 (ko) 좁은잎천선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304618B (zh) 一种发酵富集蒲公英根活性成分的方法及其应用
KR102305964B1 (ko)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608502B1 (ko)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95132A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7725B1 (ko)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2664A (ko) 바실러스를 이용한 시트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30072667A (ko) 시트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070034801A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KR101668153B1 (ko)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저 나트륨 된장, 된장분말, 된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2286A (ko) 동과 발효 추출물 또는 동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KR101467362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