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900A -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 Google Patents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900A
KR20220053900A KR1020200138218A KR20200138218A KR20220053900A KR 20220053900 A KR20220053900 A KR 20220053900A KR 1020200138218 A KR1020200138218 A KR 1020200138218A KR 20200138218 A KR20200138218 A KR 20200138218A KR 20220053900 A KR20220053900 A KR 2022005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all plate
shaft
bracket
baby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119B1 (ko
Inventor
박해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Priority to KR102020013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52Panels
    • A47B2220/0055Furniture made of several parallel slats, hinged together by transverse rods passed through respective ends of sl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비 룸을 구성하는 벽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식으로 접어서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복수의 벽체판이 구비되고, 벽체판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가드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를 형성하되, 각각의 축 결합부에 브라켓이 락킹축에 의하여 축결합되도록 하여 벽체판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락킹축은 제1,2락킹부를 형성하고, 브라켓과 연결가드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며, 락킹축이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를 걸림부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접이구조가 원터치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Folding baby room}
본 발명은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비 룸을 구성하는 벽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접이식으로 접어서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방심하는 사이에 여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유아를 위하여 안전이 확보된 놀이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이비 룸이 사용되는 것으로,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를 서로 결합하여 울타리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면서 놀이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구조이다.
즉, 울타리 자체로는 부피가 너무 커서 운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리구성된 여러 부속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의 베이비룸은 벽체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가정에서 영,유아를 돌보는 보호자는 여성이나 노약자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부속들을 조립하고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그 조립구조를 축으로 끼워서 조립하는 등 누구나 쉽게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치구조를 단순화한 제품들이 제안되었고, 이러한 단순 끼움 구조의 제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에서 혼자서 설치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분해하는 시간도 설치하는 시간만큼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한 번 설치하면 영,유아가 어느정도 성장할때까지 베이비 룸의 설치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베이비룸은 영,유아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실내 공간에서 베이비 룸이 차지하는 공간의 비중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손님이 방문하거나 집안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어쩔 수 없이 공간확보를 위해서 베이비 룸을 치워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베이비 룸을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분해하여 보관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접이구조가 원터치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의 벽체판이 구비되고, 벽체판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가드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를 형성하되, 각각의 축 결합부에 브라켓이 락킹축에 의하여 축결합되도록 하여 벽체판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락킹축은 제1,2락킹부를 형성하고, 브라켓과 연결가드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를 형성하며, 락킹축이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를 걸림부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이비 룸에 의하면, 울타리의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베이비 룸을 펼치거나 접을 때 울타리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터치 버튼 방식으로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수납가방이나 박스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벽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해,조립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조립부속이 분실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품 출고시 이미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포장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유통과정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베이비 룸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벽체의 기울기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각도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각도조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대 360°까지 벽체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벽체를 전개시켜 베이비 룸의 울타리를 독특한 형상으로 변형 사용하거나 실내공간 구조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이 설치된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 조립구조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의 폴딩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또 다른 연결구조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결합구조도
도 11은 도 8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8의 연결수단의 장착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벽체판의 걸림 해제 구조를 나타낸 락킹핀 작동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벽체판의 걸림 구조를 나타낸 락킹핀 작동 구조도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놀이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벽체판(100)이 연결수단(20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 들을 연결하여 복수의 벽체판을 하나의 울타리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울타리를 구성하는 벽체판(100)을 서로 분리하지 않고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벽체판(100)의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대략적인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벽체판(100)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무늬를 구현하는 등 그밖에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판의 크기(폭)을 달리하도록 구성하여 벽체판을 조립할 때 다양한 옵션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여러 개의 벽체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출입을 위하여 개폐되는 도어(D)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베이비 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연결수단(200)의 작동구조를,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의 접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베이비 룸은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벽체판(100)의 양측에 연결수단(200)을 구비하고, 그 연결수단(200)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벽체판(100)을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끼리 병렬로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을 축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각도를 조절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의 양측에 각각 브라켓(220)이 형성되고, 그 브라켓(2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가드(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결가드(240)는 벽체판(100)이 병렬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맞대응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브라켓(220)을 연결가드(240)를 이용하여 맞결합하여 이웃하는 벽체판(100)이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22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축 결합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가드(240)는 브라켓(220)의 축 결합부(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242)가 형성되며, 이격된 두 개의 축 결합부(242)에 브라켓(220)의 축 결합부(222)가 락킹축(260)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벽체판(100)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서로 조립되어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락킹축(260)이 승하강함에 따라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의 회동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회동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공회전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써 브라켓(220)의 상부에 실린더 형태로 돌출되게 체결부(226)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가드(240)의 하부에도 상기 체결부(226)와 맞물림되는 끼움부(246)를 마련하여 체결부(226)의 외주연과 끼움부(246)의 내주연에 각각 홈과 돌기 구조로 강제 끼움으로 맞물려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맞물림부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되어 별도의 체결부속이 필요없이도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가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226)를 홈으로 구성하고, 끼움부(246)를 돌기로 형성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246)를 구성하는 돌기를 내주면 전체에 형성하지 않고 일부분에만 형성하면 연결가드(240)에 브라켓(220)을 가압방식으로 끼울 때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기울여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부속의 분리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끼움부(246)를 구성하는 돌기를 내주면의 일부만 형성함에 있어서, 내경의 절반 즉 반원을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공회전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락킹축(260)은 제1,2락킹부(262,264)가 형성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224,244)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축(260)은 탄성요소(280)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262,264)를 걸림부(224,244)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설치상태를 해제하여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로 절개되어진 슬롯홀(2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락킹부(262)는 슬롯홀(225)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돌부(264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슬롯홀(225)과 돌부(264a)는 락킹축(260)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롯홀(225)과 돌부(262a)가 형성되어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가드(240)에 형성된 걸림부(244)는 축 결합부(242)의 내경에 복수의 치산구조로 요철면(245)이 형성되고, 상기 제2락킹부(264)는 그 요철면(245)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치산구조로 요철면(264a)을 형성함으로써 치산이 맞물려 회전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가드(240)의 요철면(245)에 락킹축(260)의 요철면(264a)이 맞물리면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와 락킹축(260)이 서로간에 맞물려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울타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반대로 연결가드(240)의 요철면(245)에 락킹축(260)의 요철면(264a)이 맞물림된 상태가 해제되면 브라켓(220)과 락킹축(260)만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고 연결가드(240)는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벽체판(100)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80°로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90°인 직각으로 벽체 모서리를 구성하거나, 360°로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100)을 서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연결가드(240)에 의하여 벽체판(100)을 다단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벽체판(100)을 펼쳐사 사용할 때 벽체판(100)이 절첩되는 각도는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2)와 연결가드(240)의 축 결합부(242)의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180°로 펼쳐 설치하거나 또는 최대 360°까지 접힘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한 각도로 벽체판(100) 설치각도의 가변폭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2락킹부(264)와 결합부(242)의 요철면(264a,245)의 피치가 방사상으로 배열될 때 그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설정하여 설정된 각도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면을 방사형으로 36개의 맞물림되는 치산구조로 형성하면 10°씩 설정이 가능하고, 그 치산수량을 조절하여 90°, 135°,180°, 225°,270°등으로 몇 가지의 특정 설치각도를 설정하게 하거나, 설치각도가 등각의 각도를 30°,60°, 90°… 등으로 등각으로 분할되게 배치되도록 하면, 그 각도에 대응하게 각도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락킹축(260)이 맞물려 고정되면서 각도설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벽체판(100)의 결합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베이비 룸의 울타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가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어 락킹축(260)이 브라켓(22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를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하면 락킹부의 조립 및 작동구조를 더 간소화하면서도 락킹축이 이탈되지 않고 설정된 구간 내에서만 안정적으로 상,하 슬라이드 작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제2락킹부(264)의 락킹 해제구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함으로써 제2락킹부(264)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더라고 제1락킹부(262)의 걸림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체판을 접거나 펼친 후 락킹축(26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1,2락킹부가 동시에 다시 걸림상태가 되면서 벽체판의 절첩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벽체판을 펼치거나 접는 과정에서 제1락킹부(262)의 걸림상태가 빠지지 않고, 슬롯홀(225) 내에서만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부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베이비룸을 경량구조로 제작하면서도 충격흡수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벽체판(100)을 블로워 성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한데, 브라켓(220)을 벽체판(100)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브라켓(220)만을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즉, 브라켓(220)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벽체판(100)에는 장착부(12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장착부(120)는 벽체판(100)의 상단 양측변으로부터 내입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20)에 장착된 락킹축(260)을 벽체판(100)의 양측 최외곽에 근접하도록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연결가드(240)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브라켓(220)의 하부측으로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워 브라켓(220)을 벽체판(100)의 장착부(120)에 피스 고정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연결가드(24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브라켓(220)이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20)이 장착부(120)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착부(120)에는 내입 형성된 장착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부(121)를 마련하고, 브라켓(220)에는 그 끼움부(121)의 횡단면에 맞물려 측방향에서 끼워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홀더(221)를 형성하여 블로워 성형물인 벽체판(100)에 사출 성형물인 브라켓(220)을 장착함에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수단(200)은 벽체판(1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브라켓(220)에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운 후 장착부(120)에 조립하고, 두 개의 벽체판(100)을 인접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연결가드(240)를 끼워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체판(100)이 직립상태로 병렬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0)이 상부측에 형성되는 경우 벽체판(100)의 양측변 하단에는 벽체판(100)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가이드(30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회동가이드(300)는 상기 락킹축(260)과 동일 축상에 위치되게 힌지축(320)을 형성하여 벽체판(100)이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도조절을 하거나 폴딩구조로 접을 경우에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상,하부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벽체판(100)의 힌지축(320)이 이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벽체판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가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받침가드(340)에는 이격된 간격으로 홀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축끼움부(342)가 형성되어 힌지축(320)을 끼워 축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가드(340)에 형성되는 축 끼움부(342)는 하부측에 받침면이 형성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벽체판(100)이 받침가드(34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하중이 발생되므로 받침가드(340)가 바닥에 긴밀이 안착된다.
이 받침가드(340)는 벽체판(100)이 설치된 상태를 정위치 고정하기 위하여 논슬립요소(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논슬립요소(360)는 받침가드(340)의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패드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흡착식 고무패드가 장착되어 벽체판(100)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가압될 때 흡착식 고무패드가 바닥면에 흡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흡착식 고무패드는 벽체판(100)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벽체판(100)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서로 맞물리는 결합각도에 따라 이웃하여 연결된 벽체판(100)의 연결각도가 조절,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이들을 연결하여 베이비 룸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수단(20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락킹축(260)의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한 위치유도구(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슬롯홀(225a)과 제2슬롯홀(225b)이 이 축 결합부(222)의 원주를 따라서 반복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락킹축(260)은 하단에 락킹축을 누를 때마다 락킹축을 회전시켜 상,하 높낮이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유도구(270)가 장착되되, 위치유도구(270)는 돌부(272)가 형성되어 돌부가 제1슬롯홀(225a) 또는 제2슬롯홀(225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락킹축(260)이 상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락킹축(260)에 형성된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걸림되게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벽체판(100)에 장착된 브라켓(220)의 각도조절 상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유도구(270)가 회전하면서 돌부(272)가 제1,2슬롯홀(225a,225b)에 번갈아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락킹축(260)과 위치유도구(270)가 상,하로 맞물리게 경사면이 형성된 회동유도부(266,27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260)을 눌러서 벽체판(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160)을 누르면 락킹축(260)과 위치유도구(270)가 탄성요소(28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가 제1슬롯홀(225a)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유도부(266,276)가 작용하여 미세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를 제2슬롯홀(225b)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돌부(272)가 제2슬롯홀(225b)에 안착되면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이 더이상 락킹축(260)에 미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결착되지 않으며, 벽체판(100)을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벽체판(100)을 접거나 필요한 각도로 펼쳐지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벽체판(100)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축(16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위치유도구(270)가 제2슬롯홀(225b)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유도부(266,276)가 작용하여 미세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위치유도구(270)의 돌부(272)를 제2슬롯홀(225a)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돌부(272)가 제1슬롯홀(225a)에 삽입되면 탄성요소(2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락킹축(260)을 상부측으로 깊숙히 삽입할 수 있게 되고, 락킹축(260)의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결착되면서 벽체판(100)의 회동 작동이 제한되며 각도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벽체판(100)을 펼치거나 접을 때 락킹축(260)을 한 번 누른 후 벽체판을 회동시켜 서로 인접한 벽체판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벽체판의 회동을 제한하고 회동된 상태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원터치 동작에 의하여 간편하게 베이비 룸을 펼치고 접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판(100)은 복수의 벽체판 중 다른 벽체판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구성되는 소수의 특수벽체판(100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비 룸을 특수벽체판(100a)을 배치하고, 특수벽체판(100a)에 도어(D)를 장착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특수벽체판(100a)을 복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수벽체판 중 하나 이상의 특수벽체판에 도어(D)를 장착하여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비 룸을 사각형 또는 원형의 울타리 형태과 같이 베이비 룸을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비 룸을 의 전,후방벽에 특수벽체판(100a)을 배치시키면 좌,우측의 벽체판(100) 구성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므로 좌,우측의 벽체판(100)이 전,후방벽의 사이에 접어서 수용되기 때문에 베이비 룸의 폴딩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측벽을 구성하는 벽체판은 특수벽체판의 좌,우폭의 절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베이비 룸을 좌,우 대칭형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접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을 구성하는 벽체판이 전,후방벽체 사이에서 중첩되게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0: 벽체판
120: 장착부 121: 끼움부
200: 연결수단
220: 브라켓 222: 축 결합부 224: 걸림부
225: 슬롯홀
240: 연결가드 242: 축 결합부 244: 걸림부
245: 요철면
260: 락킹축 262: 제1락킹부 262a: 돌부
264: 제2락킹부 264a: 요철면 266: 회동유도부
270: 위치유도구 272: 돌부 276: 회동유도부
300: 회동가이드
320: 힌지축
340: 받침가드 342: 축끼움부
360: 논슬립요소

Claims (5)

  1. 복수의 벽체판(100)이 구비되고, 벽체판(100)의 측변에는 서로 인접한 벽체판을 연결수단(200)으로 조립하여 울타리 형태로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는 베이비 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00)은,
    벽체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라켓(220)과,
    벽체판을 인접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브라켓(220)을 조립하여 벽체를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연결가드(2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가드(240)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축 결합부(242)가 형성되되, 각각의 축 결합부(242)에 브라켓(220)이 락킹축(260)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벽체판(100)의 회동가능한 가변각도를 확보하면서 서로 인접한 벽체판(100)을 수평상태로 펼치거나 서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킹축(260)은 제1,2락킹부(262,264)가 형성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에는 제1,2락킹부가 각각 걸림되도록 걸림부(224,244)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축(260)은 탄성요소(280)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받아 왕복 작동하면서 제1,2락킹부(262,264)를 걸림부(224,244)에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베이비 룸을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설치상태를 해제하여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킹부(264)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가 제1락킹부(262)의 상,하 락킹 해제되는 구간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어 락킹축(260)이 브라켓(22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 간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벽체판(10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된 걸림부(224)는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는 제1슬롯홀(225a)과 제2슬롯홀(225b)이 이 축 결합부(222)의 원주를 따라서 반복 배열되고,
    상기 락킹축(260)은 하단에 락킹축을 누를 때마다 락킹축을 회전시켜 상,하 높낮이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유도구(270)가 장착되되, 위치유도구(270)는 돌부(272)가 형성되어 돌부가 제1슬롯홀(225a) 또는 제2슬롯홀(225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락킹축(260)이 상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락킹축(260)에 형성된 제2락킹부(264)가 연결가드(240)의 걸림부(244)에 걸림되게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하여 원터치로 벽체판(100)에 장착된 브라켓(220)의 각도조절 상태를 제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은 벽체판(100)의 양측변에 형성된 장착부(120)에 장착되고,
    브라켓(220)과 연결가드(240)는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는 맞물림부에 의하여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브라켓(220)의 하부측으로 락킹축(260)과 탄성요소(280)를 순차적으로 끼워 브라켓(220)을 벽체판(100)의 장착부(120)에 피스 고정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연결가드(24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브라켓(22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100)의 양측 하단에는 회동가이드(300)가 장착되고, 상기 회동가이드(300)는 상기 락킹축(260)과 동일 축상에 위치되게 힌지축(320)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벽체판(100)의 힌지축이 이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벽체판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받침가드(340)가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KR1020200138218A 2020-10-23 2020-10-23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KR10252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ko) 2020-10-23 2020-10-23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ko) 2020-10-23 2020-10-23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00A true KR20220053900A (ko) 2022-05-02
KR102521119B1 KR102521119B1 (ko) 2023-04-13

Family

ID=8159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18A KR102521119B1 (ko) 2020-10-23 2020-10-23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4110A1 (en) * 2003-05-29 2004-12-09 Simplicity, Inc.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90067997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WO2010139387A1 (de) * 2009-06-04 2010-12-09 Indowoods Sa Sperrgitter
KR101077744B1 (ko) * 2011-05-09 2011-10-27 양승규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KR20160003709U (ko) * 2015-04-17 2016-10-26 진양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매트 펜스
KR200490846Y1 (ko) * 2019-04-09 2020-01-13 이대호 각도조절 브라켓
KR102153940B1 (ko) *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4110A1 (en) * 2003-05-29 2004-12-09 Simplicity, Inc.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90067997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트 패턴 형성방법
WO2010139387A1 (de) * 2009-06-04 2010-12-09 Indowoods Sa Sperrgitter
KR101077744B1 (ko) * 2011-05-09 2011-10-27 양승규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KR20160003709U (ko) * 2015-04-17 2016-10-26 진양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매트 펜스
KR200490846Y1 (ko) * 2019-04-09 2020-01-13 이대호 각도조절 브라켓
KR102153940B1 (ko) *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mick0914/221740121819 > *
네이버 블로그, 인터넷: < URL: https://blog.naver.com/pgs3996/221771147078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119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870A (en) Play enclosure apparatus
US5697111A (en) Foldable playyard having lockable hub
AU731805B2 (en) Foldable playyard with latch locking hub system
US5259803A (en) Toy construction set featuring gears and radiant connectors
US5466058A (en) Stackable interlocking modular storage system
KR950010826A (ko) 유아용 보행기
US7401367B2 (en) Playard
CA2566737C (en) Support member for a bed frame
US20140215713A1 (en) Play gy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3061506B1 (en) Jungle gym
EP2837309A1 (en) Infant playpen capable of receiving the installation of multiple removable accessories
US6554676B1 (en) Toy building set
US20030061657A1 (en) Hub lock for playard
TW201511988A (zh) 兒童座椅
JPH0342829Y2 (ko)
KR20220053900A (ko)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EP3501614A1 (en) Toy building brick system
US11957254B2 (en) Support connecting structure, support, baby crib, and crib body of baby crib
JP4466410B2 (ja) 組立式コンテナ
AU2021269138A1 (en) Topper accessories for a playard
KR200482267Y1 (ko) 조립식 매트 펜스
KR102519310B1 (ko)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CN209152841U (zh) 围栏连接件
CN204876807U (zh) 锁定件及围栏
KR102519102B1 (ko) 정리함으로 변형되는 베이비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