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452A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452A
KR20220053452A KR1020210043231A KR20210043231A KR20220053452A KR 20220053452 A KR20220053452 A KR 20220053452A KR 1020210043231 A KR1020210043231 A KR 1020210043231A KR 20210043231 A KR20210043231 A KR 20210043231A KR 20220053452 A KR20220053452 A KR 2022005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rum
stirring
hole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현
여운걸
박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19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5932A1/en
Priority to US17/508,433 priority patent/US20220127776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tub in which a water is stored; a drum body which is rotationally provided inside the tub and wherein a target to be washed is stored; a drum inlet introducing the target to be washed into the drum body; a stirring bod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rotatable inside the drum body; a chamber formed inside the stirring body;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stirr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 washing water flow forming unit provided on the stirring body and forming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body when the stirring body rotates; and 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provided in the chamber and forming the water flow inside the chamber when the stirring body rotates.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remaining foreign substances in an stirring unit which forms the water flow inside a drum.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a laundry object, an object to be dried) and an apparatus for drying clothes.

세탁이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모터의 로터에 연결된 교반부 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Among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that can be washed include a cabinet,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to store water, a drum provided in the tub, a stirring unit provided in the drum, a drum rotating shaft rotating the drum, and the drum rotating shaft. It was provided to pass through and there was a case including a rotating shaft of the stirring unit connected to the stirring unit and the rotor of the motor, and a clutch connecting the drum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보통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교반부는 무게 감소, 제작비용의 절감, 구동부의 부하 저감을 위해, 상기 교반부의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중공 바(hollow shaft) 구조였다. 중공 바 형상의 종래 교반부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 내부로 터브 내부의 물이나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The stirring unit is a means for increasing washing power by forming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and is generally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The stirring unit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had a hollow shaft structure in which a chamber was formed inside the stirring unit to reduce weight,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e the load on the driving unit. The conventional agitator having a hollow bar sha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lint in the tub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during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remaining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a stirring unit that forms a water flow in the drum.

또한, 본 출원은 교반부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교반부 내부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의 배출을 강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introduction of water into the stirring unit and forcing the discharge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unit.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저장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로 세탁대상을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교반바디; 상기 교반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 상기 교반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챔버에 연통하는 배출구; 상기 교반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류 형성부; 및 상기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 시 상기 챔버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배출수류 형성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a drum body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store a laundry object; a drum inlet for introducing a washing object into the drum body; a stirring bod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rotatable inside the drum body; a chamber formed inside the stirring body;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stirr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provided in the stirring body and forming a water flow in the drum body when the stirring body is rotated; and 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provided in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form a water flow in the chamber when the stirring body rotates.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plate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상기 배출구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하나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tes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etween one through-hole and the other through-hole.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기 또는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plate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and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can be

상기 배출구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1수류형성부 및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제2수류형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includes a first through-hole, a second through-hole, and a third through-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of 120 degrees based on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stirring body, and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is the stirring forming the chamber. At least one of a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and a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project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may include any one.

상기 제1수류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2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first plat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second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and a third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제2수류형성부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기 또는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plate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and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here is.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o guide water in the chamber to the outlet.

상기 교반바디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챔버 및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바 형상의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rring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provided in a disk shape; and a bar-shaped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provided with the chamber and the outlet.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 제1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unit may include a first blade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extend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toward the edge of the first body.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blade that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lade may be fix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form a spiral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바디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이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디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이 상기 드럼 투입구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하는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lade forms a water stream in which water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toward the drum inlet when the first body rotates in any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nd the first body When rotating in the other one of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ater may be provided to form a water flow that descends from the drum inle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에 연통하는 바디 관통홀; 상기 바디 관통홀에 결합하여 상기 챔버를 폐쇄하는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바디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바디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body through-hole passing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 cap coupled to the body through-hole to close the chamber; and a sealing par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ap and the body through-hole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chamb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body through-hole.

본 출원은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residual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tirring unit that forms the water flow inside the drum.

또한, 본 출원은 교반부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교반부 내부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의 배출을 강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introduction of water into the stirring unit and forcing the discharge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unit.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교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교반부에 구비된 배출수류 형성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교반부에 구비된 경사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3 and 4 show an example of a stirring unit
5 shows an example of 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provided in the stirring unit.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in the stirring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부(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 , a tub 2 provided in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tub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store clothes. It includes a drum (3) providing a space to be used, and a stirring unit (5)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drum.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는 투입구(11)가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투입구(11)가 캐비닛(1)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n inlet 11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1 .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inlet 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 and the inlet 11 is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1 by a door 13 . opens and closes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와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코스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스위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과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may include a control panel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course selectable by a user, a power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put unit for enabling selection and execution of a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바디(21),및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The tub 2 includes a tub body 2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store water, and a tub inlet po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21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tub body with the outside ( 23) is provided to include.

상기 터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 지지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상기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The tub body 2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is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the tub support part 25 . The tub inlet 23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inlet 11 .

상기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41),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41)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4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1)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물을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이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급수홀(미도시)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tub 2 receives water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s water stored in the tub 2 through a drain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41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a valve 42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4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The water supply pipe 41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tub body 21 through the tub inlet 23 , and a water supply hole (not shown)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body 21 . City)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1 shows the former as an example.

상기 배수부는 펌프(45),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펌프(45)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43), 상기 펌프(45)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47)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 unit includes a pump 45 , a first drain pipe 43 guiding water inside the tub body 21 to the pump 45 ,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45 outside the cabinet 1 .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drain pipe 47 to guide.

상기 터브(2)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3)은 상부면에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33)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터브 투입구(23) 및 드럼 투입구(33)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공급될 것이다.The drum 3 provided inside the tub 2 may be provided as a cylindrical drum body 31 having a drum inlet 33 on its upper surface. Since the drum inlet 33 is located below the tub inlet 23 , the clothes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are supplied to the drum body 31 through the tub inlet 23 and the drum inlet 33 . will be supplied with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과 원주면에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35)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5)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 공간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A plurality of drum through-holes 35 are provided on the bottom and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um body 31 . The inner space of the drum body 31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tub body 21 through the drum through-hole 35 .

상기 교반부(5)는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The stirring unit 5 is provided to rotate inside the drum body 31 , and is a means for forming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body 31 , and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드럼 바디(31)와 상기 교반부(5)는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6)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회전시키는 드럼축(62), 상기 교반부(5)를 회전시키는 교반축(64), 및 상기 두 축(62, 64)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body 31 and the stirring unit 5 are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 . The driving unit 6 includes a drum shaft 62 rotating the drum body 31 , a stirring shaft 64 rotating the stirring unit 5 , and power required to rotate the two shafts 62 and 64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motor 61 for produc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6)는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에 위치하는 축지지부(27)를 통해 상기 터브(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61)는 상기 축지지부(27)에 고정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61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driving unit 6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and fixed to the tub 2 through a shaft support unit 27 located outside the tub body. . The motor 6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tator 611 fixed to the shaft support part 27 to form a rotating magnetic field when current is supplied, and a rotor 612 rotating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상기 드럼축(62)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 및 상기 축지지부(27)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축지지부(27)와 상기 로터(6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shaft 62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and the shaft support part 27 , one end being fixed to the drum body 31 , and the other end being the shaft support part 27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rotors 612 .

상기 드럼축(62)의 중앙에는 상기 교반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홀(621)이 구비되며, 상기 드럼축(62)은 터브 베어링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축지지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축지지부(2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축(62)에는 상기 축 관통홀(621) 내부에 위치하는 링 형상의 연결기어(622)가 구비될 수 있다.A shaft through hole 621 through which the stirring shaft passes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drum shaft 62, and the drum shaft 62 is rota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through a tub bearing. and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shaft support part 27 through the shaft support part bearing. A ring-shaped connecting gear 622 positioned inside the shaft through hole 621 may be provided on the drum shaft 62 .

상기 교반축(64)은 일단은 상기 로터(6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축 관통홀(621)에 삽입된 제1축(641), 상기 제1축에 고정된 주동기어(643), 일단은 상기 교반부(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축 관통홀(621)에 삽입된 제2축(642), 상기 축 관통홀(62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642)이 고정된 베이스(644),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643)와 상기 연결기어(622)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주동기어(643)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제1종동기어(645a), 제2종동기어(645b), 및 제3종동기어(645c)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irring shaft 64 has one end fixed to the rotor 612 and the other end is a first shaft 641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621, a main driving gear 643 fixed to the first shaft, one end is fixed to the stirring unit 5,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the second shaft 642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621, and the shaft through hole 621, to which the second shaft 642 is fixed. The base 644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riven gear 645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ase and connects the main driven gear 643 and the connecting gear 622 to each other. The driven gear may include a first driven gear 645a, a second driven gear 645b, and a third driven gear 645c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driven gear 643 .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로터(612)의 회전 시 상기 교반축(64)은 상기 로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5)는 상기 로터(6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교반축(64)의 회전 시 상기 연결기어(622)를 통해 상기 교반축의 회전운동이 상기 드럼축(62)에 전달되므로, 상기 로터의 회전 시 상기 드럼축(62)은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rotor 612 rotates, the stirring shaft 64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or. rotate in th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irring shaft 64 is rotated, sinc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tirring shaft is transmitted to the drum shaft 62 through the connecting gear 622, when the rotor rotates, the drum shaft 62 is the It will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상기 구동부(6)에 상기 드럼축(62)의 회전을 구속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교반부(5)는 회전시키되 상기 드럼(3)은 정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If the driving unit 6 is provided with a brake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shaft 6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rotates the stirring unit 5 while maintaining the drum 3 in a stationary state. will be able

상기 드럼축(62)과 상기 교반축(6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동력전달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7)는 상기 드럼축(62)과 상기 로터(612)의 연결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도 2는 상기 동력전달부(7)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7 so that the drum shaft 62 and the stirring shaft 64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um shaft 62 and the rotor 612 , and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

도 2의 동력전달부(7)는 상기 드럼축(62)의 자유단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즉, 도 2의 동력전달부(7)는 상기 드럼축(62)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축(62)의 길이방향(Y축 방향,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of FIG.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e along the free end of the drum shaft 62 .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of FIG. 2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shaft 62 and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ub) of the drum shaft 62 .

상기 드럼축(62)의 원주면에는 기어 이(gear teeth) 형상의 드럼축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612)에는 로터 체결부(6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동력전달부(7)가 상기 드럼축 체결부와 상기 로터 체결부(613)를 연결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은 상기 동력전달부(7)가 상기 드럼축 체결부와 상기 로터 체결부(613)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A drum shaft coupling part (not shown) in the form of gear teeth may be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shaft 62 , and a rotor coupling part 613 may be provided on the rotor 612 . 2 shows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part 7 connects the drum shaft coupling part and the rotor coupling part 613, and FIG. 1 shows that the power transmission part 7 is connected to the drum shaft coupling part. A cas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rotor fastening part 613 is released is shown.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로터(612)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바디(31) 및 교반부(5)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그러나,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로터(612)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5)는 상기 로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드럼 바디(31)는 상기 로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When the rotor 612 rotates in the state of FIG. 2 , the drum body 31 and the stirring unit 5 will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when the rotor 612 rotates in the state of FIG. 1 , the stirring unit 5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or, and the drum body 3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or.

상기 동력전달부(7)는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축지지부(27)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지지부(27)에는 상기 동력전달부(7)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상태로 로터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5)는 로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기 드럼 바디(31)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shaft support unit 27 in the state of FIG. 1 . That is, the shaft support unit 27 may be provided with a brake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7 to prevent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this case, when the rotor rotates in the state of FIG. 1 , the stirring unit 5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or, but the drum body 31 will maintain a stopped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5)는 상기 제2축(642)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바디(5a), 및 상기 교반바디(5a)에 구비되어 회전 시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류 형성부(5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stirring unit 5 is provided in the stirring body (5a), and the stirring body (5a) rotated by the second shaft (642), the drum body (31) when rotating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5b that forms a water flow therein.

상기 교반바디(5a)는 상기 제2축(642)의 일단이 고정되는 디스크 형상의 제1바디(51), 상기 제1바디(51)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33)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제2바디(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642)은 상기 제1바디(51)의 중앙에 구비된 축 체결부(511)를 통해 상기 제1바디(5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tirring body (5a) is a disk-shaped first body 51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shaft 642 is fixed,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51 toward the drum inlet 33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bar-shaped second body 52 . The second shaft 64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51 through a shaft coupling part 511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51 .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5b)는 상기 제1바디(51)와 상기 제2바디(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5b)가 상기 제1바디(51) 및 제2바디(52) 각각에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b)는 상기 제1바디(51)에 구비된 제1블레이드(55), 및 상기 제2바디(52)에 구비된 제2블레이드(56)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5b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51 and the second body 52. In FIG. 3,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5b is the first body 51 ) and the second body 52 are shown in each case. That is,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b)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blade 55 provided on the first body 51 and a second blade 56 provided on the second body 52 . .

상기 제1블레이드(55)는 상기 제1바디(51)의 상부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1바디(51)의 회전중심이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1바디(51)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lade 55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51 and extends toward the edge of the first body 5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body 51 is located. can be provided with

상기 제2블레이드(56)는 상기 제2바디(52)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바디(52)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plate)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lade 56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31 and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2 . It may be provided as a fixed plate.

나아가, 수류의 형성이 용이하도록(세탁력과 헹굼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2블레이드(56)는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나선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blade 56 may be provided to form a spir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water flow (to increase washing and rinsing power).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제2블레이드(56)는 상기 제1바디(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33)를 향해 상승하는 수류를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바디(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드럼 투입구(33)에서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하는 수류를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에 형성하게 될 것이다.The second blade 56 of the form shown in FIG. 3 controls the water flow ris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31 toward the drum inlet 33 when the first body 51 rotates clockwise. It is formed inside the drum body 31, and when the first body 51 rotates counterclockwise, a water flow descending from the drum inlet 33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31 is transferred to the drum body ( 31) will form inside.

상기 제2바디(52)는 상기 제1바디(51)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33)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52)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바디(51)의 회전중심과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교반부(5)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second body 52 may be provided in a bar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51 toward the drum inlet 33 .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body 52 is preferably set to be the same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body 51 . This is to minimize vibrations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stirring unit 5 .

상기 제2바디(52)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챔버(5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521)는 상기 제2바디(52)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상기 교반부(5)의 회전을 위해 상기 구동부(6)에 공급되어야 하는 동력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A chamber 521 formed along a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52 . The chamber 521 is a means for minimizing the power that must b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 for rotation of the stirring unit 5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econd body 52 .

상기 챔버(521)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바디(52)의 상부면에는 상기 챔버(52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바디 관통홀(52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 관통홀(522)은 캡(525)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hamber 521 may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In this case, a body through hole 522 for communicating the chamber 521 with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 and the body through hole 522 is formed by a cap 525 . It may be provided to be closed.

상기 터브 바디(21)에 공급된 물이 상기 챔버(521)로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제2바디(52)의 원주면에는 상기 챔버(521) 내부의 물이나 이물질을 상기 드럼 바디(31)로 배출하는 배출구(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57)는 상기 제1바디(5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다수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possibility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tub body 21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521 cannot be excluded, water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chamber 521 is plac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An outlet 57 for discharging to the drum body 31 may be provided. The outlet 57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51 .

한편, 상기 배출구(57)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기 챔버(521) 내부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린트 등) 중 일부는 상기 챔버(521)에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챔버(521) 내부에 물과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려면, 상기 챔버(52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나, 상기 챔버(521)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구(57)가 위치된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상기 교반부에 구비되어야 한다.Meanwhile,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outlet 57 , some of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introduced into the chamber 521 may remain in the chamber 521 . In order to minimize the remain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chamber 521, a means for minimizing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chamber 521, or the water inside the chamber 521, the outlet 57 is located Means for forcibly moving in the direc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stirring uni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521)는 상기 캡(525)을 통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 캡(525)이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밀폐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챔버(521) 내부의 수위는 터브 바디(21)의 수위(W1)와 동일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hamber 521 remains closed through the cap 525 , but since the cap 525 does not seal the body through-hole 522 , the chamber 521 . The water level inside will be the same as the water level W1 of the tub body 21 .

그러나, 별도의 수단을 통해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밀폐하거나 상기 캡(525)이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밀폐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면,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챔버(521) 내부의 수위(W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수위(W1)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챔버(521) 내부의 수위가 터브 바디 내부의 수위보다 낮게 유지된다는 것(W2<W1)은 상기 챔버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챔버(521)에 잔류하는 물과 이물질의 양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owever, if the body through-hole 522 is sealed through a separate means or the cap 525 is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ealing the body through-hole 522 ,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body 21 . The water level W2 inside the chamber 521 may be maintained lower than the water level W1 of the tub body 21 . The fact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chamber 521 is maintained lower tha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W2 < W1) minimizes the amount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chamb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chamber 521. This means that the amount can be minimized.

도 4는 실링부(523)를 통해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밀폐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링부(523)는 링 형상의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sealing the body through-hole 522 through the sealing part 523 . The sealing part 523 may be provided with a ring-shaped elastic body (rubber, etc.).

상기 캡(525)은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폐쇄하는 캡 바디(5251), 상기 캡 바디(52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디(52)의 상단 원주면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체결홈(5253)을 형성하는 체결바디(52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526)는 상기 체결홈(5253)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ap 525 includes a cap body 5251 for closing the body through hole 522 and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provided in the cap body 5251 into which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is inserte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astening body 5252 forming a 5253. In this case, the sealing part 526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groove 5253 .

상기 바디 관통홀(522)을 통해 챔버(52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바디(52)의 상단 원주면에는 체결 링(52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링(524)은 상기 제2바디(52)의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링 형상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체결 링(524)이 제1체결 링(5241) 및 제1체결 링의 하부에 위치된 제2체결 링(5242)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chamber 521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body through hole 522 , a fastening ring 52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 The fastening ring 524 may be provided with a ring-shaped protrusion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In FIG. 4, the fastening ring 524 includes the first fastening ring 5241 and the first fastening ring 524. A case in which the second fastening ring 5242 is positioned under the first fastening ring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캡(525)이 상기 제2바디(52)에 결합되면, 상기 제1체결 링(5241) 및 제2체결 링(5242)은 상기 체결홈(5253)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526)는 상기 제1체결 링(5241)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체결 링(5241)과 제2체결 링(5242)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체결 링(524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When the cap 525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52 , the first fastening ring 5241 and the second fastening ring 5242 are provided on the second body to be positioned inside the fastening groove 5253 . can be In this case, the sealing part 526 may be locat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first fastening ring 5241, or locat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ring 5241 and the second fastening ring 5242, It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 lower point than the second fastening ring 5242 .

상기 챔버(521)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5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 내부에는 배출수류 형성부(5c)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 시 상기 챔버(52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배출수류 형성부(5c)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5c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mber so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52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57 .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5c that forms a water flow in the chamber 521 when the stirring body 5a is rotated.

상기 배출구(57)는 하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수 개의 관통홀이 상기 제2바디(52)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배출구(57)가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관통홀(571), 제2관통홀(572), 및 제3관통홀(57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outlet 57 may be provided as a single through-hole,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may be provided by being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2 . 5 is a first through-hole 571, a second through-hole 572, and a third through-hole ( 573)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이 경우,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5c)는 상기 챔버(521)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5d)에서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1수류형성부(58), 및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5d)을 향해 돌출된 제2수류형성부(5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5c is a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58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5d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521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a. ),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59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a toward the inner surface 5d of the stirring body.

상기 제1수류형성부(58)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제2바디의 내측면(5d)에서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수류형성부(58)가 상기 제2바디의 내측면(5d)에서 상기 교반바디(5a)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1플레이트(581), 제2플레이트(582), 및 제3플레이트(58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58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plates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5d of the second body forming the chamb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a. 5 shows a first plate 581 and a second plate 582 in which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58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5d of the second body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a. , and the third plate 583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581)는 상기 제3관통홀(573)과 상기 제1관통홀(57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582)는 상기 제1관통홀(571)과 상기 제2관통홀(57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플레이트(583)는 상기 제2관통홀(572)과 상기 제3관통홀(57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관통홀의 좌측에 플레이트가 구비됨).5 (a), the first plate 581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through-hole 573 and the first through-hole 571, and the second plate 582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57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72 , and the third plate 583 includes the second through hole 572 and the third through hole 573 . It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between (a plat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through hole).

이와 달리,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581)는 상기 제1관통홀(571)과 상기 제2관통홀(57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582)는 상기 제2관통홀(572)과 상기 제3관통홀(57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플레이트(583)는 상기 제3관통홀(573)과 상기 제1관통홀(57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관통홀의 우측에 플레이트가 구비됨). 나아가,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들(581, 582, 583)은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하나의 관통홀의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plate 581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 571 and the second through-hole 572, and the second plate 582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hrough-hole 572 and the third through-hole 573 , and the third plate 583 includes the third through-hole 573 and the first through-hole 571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between (a plate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rough hole). Furthermore, as shown in FIG. 5B , each of the plates 581 , 582 , and 583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 midpoint between one through-hole and the other through-hole.

상기 제2수류형성부(59)는 상기 교반바디(5c)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2바디의 내측면(5d)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교반바디(5c)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기 또는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59 extend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c toward the inner surface 5d of the second body and is radially disposed based 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5c.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plates.

상기 구동부(6)에 의해 상기 교반바디(5a)가 회전하면,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5c)에 의해 상기 챔버(521) 내부에는 수류가 형성될 것이다.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된 수류는 상기 교반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물의 흐름이 될 수도 있고, 무질서한 난류(turbulence flow)가 될 수도 있다.When the stirring body 5a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6, a water flow will be formed in the chamber 521 by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5c. The water flow formed inside the chamber may be a flow of water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irring unit, or may be a disordered turbulence flow.

어떤 형태이든 상기 챔버(521) 내부에 수류가 형성되면, 이물질이 챔버를 형성하는 내주면(5d)에 잔류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챔버(521)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구(57)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상기 챔버(521) 내부에 물과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a water flow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521 in any shap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d forming the chamber, and also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chamber 521 through the outlet 57 ) can be moved to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 inside the chamber 521 .

상기 챔버(521) 내부에 물과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을 더욱 낮추기 위해, 상기 교반부(5)에는 상기 챔버(521)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구(57)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513)은 상기 챔버(521)의 바닥면이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 inside the chamber 521 , the stirring unit 5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water inside the chamber 521 to the outlet 57 . . As shown in FIG. 6 , the inclined surface 513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521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edge.

즉, 상기 경사면(513)은 상기 제1수류형성부(58)가 위치된 지점(H)의 높이가 상기 배출구(57)가 위치된 지점(L)보다 높은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1플레이트(581)와 제1관통홀(571) 사이에 제1경사면(513a)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582)와 제2관통홀(572) 사이에는 제2경사면(513b)이 구비되며, 상기 제3플레이트(583)와 제3관통홀(573) 사이에는 제3경사면(513c)이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at is, the inclined surface 513 may be provided as a surfa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oint H at which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58 is located is higher than the point L at which the outlet 57 is located. 6 shows a first inclined surface 513a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581 and the first through hole 57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late 58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72. A case in which 513b is provided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513c is formed between the third plate 583 and the third through hole 573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제1경사면(513a)은 상기 제1플레이트(581)가 위치된 지점(H1)의 높이가 상기 제1관통홀(571)이 위치된 지점(L1)보다 높은 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513b)은 상기 제2플레이트(582)가 위치된 지점(H2)의 높이가 상기 제2관통홀(572)이 위치된 지점(L2)보다 높은 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경사면(513c)은 상기 제3플레이트(583)가 위치된 지점(H3)의 높이가 상기 제3관통홀(573)이 위치된 지점(L3)보다 높은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513a is provided as a surfa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oint H1 at which the first plate 581 is located is higher than the point L1 at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571 is located, and the second The inclined surface 513b is provided as a surfa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oint H2 at which the second plate 582 is located is higher than the point L2 at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572 is located,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513c ) may be provided as a surface in which the height of the point H3 at which the third plate 583 is located is higher than the point L3 at which the third through hole 573 is located.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으로 한정될 수 없다.Sinc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scribe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not be limited to the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도어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25: 터브 지지부 27: 축지지부
3: 드럼 31: 드럼바디 33: 드럼 투입구
35: 드럼관통홀 41: 급수관 42: 밸브
43: 제1배수관 45: 펌프 47: 제2배수관
5: 교반부 5a: 교반바디 51: 제1바디
511: 축 체결부 513: 경사면 52: 제2바디
521: 챔버 522: 바디 관통홀 524: 체결 링
525: 캡 5251: 캡 바디 5252: 체결바디
5253: 체결홈 526: 실링부 57: 배출구
5b: 세탁수류 형성부 55: 제1블레이드 56: 제2블레이드
5c: 배출수류 형성부 58: 제1수류형성부 59: 제2수류형성부
6: 구동부 61: 모터 62: 드럼축
621: 축 관통홀 622: 연결기어 64: 교반축
641: 제1축 643: 주동기어 642: 제2축
644: 베이스 645: 종동기어 7: 동력전달부
100: clothes processing device 1: cabinet 11: inlet
13: door 2: tub 21: tub body
23: tub inlet 25: tub support 27: shaft support
3: drum 31: drum body 33: drum inlet
35: drum through hole 41: water supply pipe 42: valve
43: first drain pipe 45: pump 47: second drain pipe
5: stirring unit 5a: stirring body 51: first body
511: shaft coupling part 513: inclined surface 52: second body
521: chamber 522: body through hole 524: fastening ring
525: cap 5251: cap body 5252: fastening body
5253: fastening groove 526: sealing part 57: outlet
5b: washing water flow forming unit 55: first blade 56: second blade
5c: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58: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59: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6: drive unit 61: motor 62: drum shaft
621: shaft through hole 622: connecting gear 64: stirring shaft
641: 1st axis 643: Main gear 642: 2nd axis
644: base 645: driven gear 7: power transmission unit

Claims (15)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저장되는 드럼 바디;
상기 드럼 바디로 세탁대상을 유입시키는 드럼 투입구;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교반바디;
상기 교반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
상기 교반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챔버에 연통하는 배출구;
상기 교반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바디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류 형성부; 및
상기 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 시 상기 챔버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배출수류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a drum body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store a laundry object;
a drum inlet for introducing a washing object into the drum body;
a stirring bod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rotatable inside the drum body;
a chamber formed inside the stirring body;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stirr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provided in the stirring body and forming a water flow in the drum body when the stirring body is rotated; and
and a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provided in the chamber and configured to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chamber when the stirring body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is provided as a plate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하나의 관통홀과 다른 하나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tes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etween one through-hole and the other through-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기 또는 플레이트(plat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plate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and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 간격으로 이격된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류 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제1수류형성부 및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제2수류형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and a third through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of 120 degrees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stirring body,
The discharge water flow forming part is a first water flow form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and the insid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stirring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s protruding toward the 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류형성부는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2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unit
a first plat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second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and
and a third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through hole and the first through 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류형성부는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교반바디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교반바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기 또는 플레이트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pa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plate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body forming the chamber and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ing body.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by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o guide the water inside the chamber to the outle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바디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된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챔버 및 상기 배출구가 구비된 바 형상의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tirring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provided in a disk shape; and a bar-shaped second body extending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body toward the drum inlet and having the chamber and the outl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washing water flow forming par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바디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제1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 제1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first blade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oward the drum inlet from the first body and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toward the edge of the first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류 형성부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econd blade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and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blade is fix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form a spiral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는 상기 제1바디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이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에서 상기 드럼 투입구를 향해 상승하는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제1바디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이 상기 드럼 투입구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하는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blade forms a water stream in which water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toward the drum inlet when the first body rotates in any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and the first body and when rotating in the other one of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water flows downward from the drum inle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에 연통하는 바디 관통홀;
상기 바디 관통홀에 결합하여 상기 챔버를 폐쇄하는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바디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바디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body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chamber;
a cap coupled to the body through-hole to close the chamber; and
and a sealing par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ap and the body through-hole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chamb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body through-hole.
KR1020210043231A 2020-10-22 2021-04-0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05345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956 WO2022085932A1 (en) 2020-10-22 2021-09-0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7/508,433 US20220127776A1 (en) 2020-10-22 2021-10-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10 2020-10-22
KR20200137310 2020-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52A true KR20220053452A (en) 2022-04-29

Family

ID=8142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31A KR20220053452A (en) 2020-10-22 2021-04-0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4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5741B2 (en) Clothes treating device
US698139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90516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venturi effect in a dispenser
US2022012777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20053452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AU2017309083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730908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20549A (en) A washing machine
US11629449B2 (en) Washing machine
KR102316359B1 (en) Laundry teatment apparatus
CN117120683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7203388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388568A1 (en) Clothes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3069887A (en) Clothes washing machine having a suds water saver
JP6347042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387609B1 (en) Laundry teatment apparatus
CN110114525B (en) Washing machine
US5193361A (en) Agibasket washer with centrally located premixing chamber
US20230272573A1 (en) Washing machine
US4397163A (en) Reduced energy consumption automatic washers
KR20230115578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210207310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220115490A (en) Washing
KR20230115579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