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490A - Washing - Google Patents

Wa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490A
KR20220115490A KR1020210068888A KR20210068888A KR20220115490A KR 20220115490 A KR20220115490 A KR 20220115490A KR 1020210068888 A KR1020210068888 A KR 1020210068888A KR 20210068888 A KR20210068888 A KR 20210068888A KR 20220115490 A KR20220115490 A KR 2022011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ischarge hole
pulsator
discharge
ag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철
강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08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670350A/en
Priority to PCT/KR2022/001458 priority patent/WO2022173156A1/en
Publication of KR202201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490A/en
Priority to US18/324,905 priority patent/US202302958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washing machine having a pulsator with an improved structure is disclosed.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tub, a rotating tub provid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tub, the pulsator provided in the rotating tub and generating a washing water current, an agitator coupled to the pulsator and generating a water current by rubbing laundry with water,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to discharge foreign materials or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Description

세탁기{WASHING}washing machine{WASHING}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펄세이터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pulsator.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 세탁수 및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uses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to stir laundry, washing water, and detergent put into a drum together so that washing is performed through mutual friction.

일반적으로 세탁기에는 수조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Pulsator)로 세탁수와 세탁물을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수조 내부의 중앙에 돌출 구비되는 아지테이터(Agitator)로 세탁수와 세탁물을 교반시켜 세탁을 실행하는 아지테이터형 세탁기와, 피세탁물이 담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상승시켰다가 낙하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세탁을 실행하는 드럼세탁기가 있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by rota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with a pulsat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loor inside the water tank, and an agitator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re are an agitator-type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by stirr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with a furnace, and a drum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while repeatedly raising and dropping the laundry by rotating a drum containing the laundry.

또한, 세탁기는 물을 저장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가 구비된다. 회전조의 하부에는 회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설치된다. 펄세이터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고, 펄세이터가 형성하는 수류에 의해서 세탁수와 세탁물이 교반되고 회전 유동됨으로써 세탁물이 세탁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tub for storing water and a rotating tub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A pulsator that forms a water flow while rotating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tank. The pulsator rot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o form a water flow, and the washing water and laundry are stirred and rotated by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pulsator to wash the laundry.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물의 유동에 복잡성을 부여하여 세탁력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a structure for improving washing power by adding complexity to the flow of laundry has been conduct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펄세이터의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pulsat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펄세이터와 아지테이터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is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펄세이터와 아지테이터의 결합부분에 물과 이물질이 되도록 배출유로가 마련된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discharge passage is provided so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are form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에 마련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에 결합되고, 세탁물과 물을 마찰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아지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아지테이터 내부의 이물 또는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아지테이터의 결합부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a rotat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 pulsator provided in the rotary tub to generate washing water; and an agitator coupled to the pulsator and provided to generate a water flow by rubbing the laundry with water, wherein foreign substances or water inside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are discharged. It includes; a discharge part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과, 상기 아지테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ulsator and a second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gitator.

또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pulsator,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under the agitator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제1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제2결합부에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면 중심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바디와, 상기 결합홈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groov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and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body.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coupling groove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body.

또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결합홈 바디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바디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 돌기바디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gitator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body, and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include more

또한,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결합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결합돌기의 바닥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지테이터 내부의 물 및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formed to discharg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agitator,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아지테이터 또는 상기 펄세이터의 내부와 상기 펄세이터의 외부 사이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agitator or the pulsator and the outside of the pulsator.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펄세이터 내부의 이물 및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포함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tub accommodating laundry; Includes;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in the rotating tub, wherein the pulsator is rotatably coupled to a first part rotat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tub, rotatab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part a second part, a coupling part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and water inside the pulsator are discharged through the coupling part includes

또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을 포함하며,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또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part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배출홀은, 상기 펄세이터 내부의 물 및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 상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formed to discharg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pulsator,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located on the discharge passage.

본 발명의 펄세이터는 세탁물과 세탁수를 마찰시켜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uls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shing pow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to generate washing water flow by rubbing the laundry with the washing water.

또한, 펄세이터와 아지테이터의 결합부분에 물과 이물질이 되기위한 배출유로가 마련되어, 펄세이터 내부에 이물과 세탁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discharge passage for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s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ing water from remaining inside the pulsator.

또한, 펄세이터와 아지테이터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ulsator and agitat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나타내는 부분분해 사시도,
도 6 은 도 3 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결합부에 마련된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도 5 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단면도,
도 10 은 도 8 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는 도 11의 D 부분의 확대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art of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7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8;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lsat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11;
13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part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s "tip", "rear end", "upper", "lower", "upper" and lower"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by this term is not limi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1)와, 터브(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 , the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a tub 11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to store washing water, and the inside of the tub 11 . It may include a rotating tub 12 rotatably disposed in the pulsator 100,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rotating tub 12 to generate a water flow.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0a)가 형성된다. 캐비닛(10)의 상면에는 투입구(10a)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10a)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cabinet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 inlet 10a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to put laundry into the rotating tub 12 . A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0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 The inlet 10a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

터브(11)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터브(11)는 일정량의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바닥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터브(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현가장치(15)에 의해 터브(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The tub 11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cabinet 10 . The tub 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 water. The tub 11 may be supported on the cabinet 10 by the suspension 15 . Vibration generated in the tub 11 may be attenuated by the suspension 15 .

터브(11)의 상부에는 터브(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17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tub 11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11 .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7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7 is supplied into the tub 11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6 . A water supply valve 18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17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회전조(12)는 대략 바닥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터브(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The rotary tub 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11 . The rotary tub 12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13 are formed on the side thereof. A balancer 14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tub 12 so that the rotating tub 12 can stably rotate during high-speed rotation.

터브(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10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On the out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tub 11, a motor 25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rotating tub 12 and the pulsator 100, and a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25 are applied to the rotating tub 12 and the pulsator ( A power switching device 26 for simultaneous or selective transmission to 100 is installed.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10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10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A hollow dewatering shaft 29 is coupled to the rotating tub 12 , and the washing shaft 27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dewatering shaft 29 is coupled to the pulsator 100 through the washing shaft coupling unit 28 . can be The motor 25 may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rotary tub 12 and the pulsator 100 according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witching device 26 includes an actuator 3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power switching, a rod part 31 that moves linear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0, and a rod part 31 connected to the rod part ( 3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utch unit 32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터브(11)의 바닥에는 터브(11)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23)에 연결될 수 있다.A drain hole 2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ub 11 to discharge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ub 11 , and a first drain pipe 21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20 . A drain valve 22 for intermittent drainage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21 . The outlet of the drain valve 2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ipe 23 for discharging wash water to the outside.

회전조(12)는 터브(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조(12)는 그 중심 축이 터브(11)의 중심 축과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tub 12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11 . The rotating tub 12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rotating tub 12 may be disposed so that its central axis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ub 11 .

회전조(12)의 내측 바닥에는 펄세이터(10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100)는 회전조(12)의 내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조(12)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고, 수류를 발생시켜 회전조(12) 내의 세탁물이 마찰에 의해 세탁되도록 할 수 있다.The pulsator 10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rotating tub 12 . The pulsator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tub 12, agitates the laundry put into the rotating tub 12 with washing water, and generates a water flow to remove the laundry in the rotating tub 12. It can be washed by fric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저면을 나타내는 부분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ulsator.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100)는 회전조 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수류를 발생시키고, 회전조(12) 내의 세탁물을 펄세이터(100)에 의해 발생한 수류에 의해 교반되며 마찰에 의해 세탁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3 to 5, the pulsator 10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otating tub to generate a water flow, and washes the laundry in the rotating tub 12 into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pulsator 100. It is agitated by means of friction and is provided to be washed by friction.

펄세이터(100)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110)과, 제1부분(110)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lsator 10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0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second portion 120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110 to be rotatably provided.

펄세이터의 제1부분(110)은 회전조(12)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고, 제2부분(120)은 제1부분(110)의 중심에 직립하도록 결합되어 세탁물과 세탁수(물)을 마찰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is provided under the rotating tub 12 to generate a washing water flow, and the second part 120 is coupled to stand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first part 110 to receive laundry and It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water flow by rubbing the washing water (water).

이하에서,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설치되는 제2부분(120)을 아지테이터 라고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part 120 coupled to 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100 and installed vertically extending upward will be referred to as an agitator.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은 펄세이터 바디(111)와, 펄세이터 바디(111)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날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 바디(1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펄세이터 바디(111)는 회전조(12) 내측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펄세이터 바디(111)에는 복수의 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110a)은 펄세이터 바디(111)의 원주방향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110a)을 통해 세탁수는 펄세이터(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100 may include a pulsator body 111 and at least one body wing 11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 The pulsator body 111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The pulsator body 11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tub 12 . A plurality of holes 110a may be formed in the pulsator body 111 . The plurality of holes 110a may be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sator body 111 . Wash water may move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10a.

펄세이터 바디(111)의 상면에 형성되는 바디날개(113)는 복수개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펄세이터 바디(111)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ody wings 1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sator body 111 .

펄세이터 바디(111)에는 세탁축(27)의 세탁축결합부(28)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홈(116)이 형성된 축결합보스(115)가 마련될 수 있다. 축결합보스(115)는 펄세이터 바디(111)의 중심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보스(115)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복수의 스플라인홈(116a)이 형성된 축결합홈(116)이 마련된다.The pulsator body 111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boss 115 in which a shaft coupling groove 116 is formed so that the washing shaft coupling portion 28 of the washing shaft 27 can be fitted. The shaft coupling boss 115 may be formed on the center rea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 The shaft coupling boss 115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shaft coupling groove 116 in which a plurality of spline grooves 116a are formed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펄세이터 바디(111)의 배면에는 축결합보스(115)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117)가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 바디(111)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117)는 임펠러의 기능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ibs 117 extending radially around the shaft coupling boss 115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 A plurality of ribs 117 formed on the pulsator body 111 may be provided to function as an impeller.

펄세이터 바디(111)의 상면 중심에는 펄세이터(100)의 제2부분(120) 즉, 아지테이터(12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the second part 120 of the pulsator 100, that is, the coupling part 300 for coupling the agitator 120 may be provided. The coupl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펄세이터(100)의 아지테이터(12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지테이터 바디(121)와, 아지테이터 바디(1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아지테이터 날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gitator 120 of the pulsator 100 may include an agitator body 121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gitator wings 12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gitator body 121 .

아지테이터 바디(121)는 제1부분(110)에 결합되어 회전조(12)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지테이터 바디(121)는 제1부분(11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지테이터 바디(121)는 회전조(12) 내부에서 회전하여 세탁수와 혼합된 세탁물을 마찰시켜 세탁할 수 있다.The agitator body 1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art 110 and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rotating tub 12 . The agitator body 121 may b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part 110 . The agitator body 121 rotates inside the rotating tub 12 to rub the laundry mixed with the wash water to perform washing.

아지테이터 날개(122)는 아지테이터 바디(121)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세탁물의 마찰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gitator wing 12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gitator body 121 to improve the friction of laundry.

아지테이터(120)의 하부에는 제1부분(110)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100)의 아지테이터(120)와 제1부분(110)은 결합부(3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A coupling part 30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gitator 120 for coupling with the first part 110 . The agitator 120 and 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1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art 300 .

펄세이터(100)는 제1부분(110)과 아지테이터(120)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lsator 1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300 provided to couple the first part 110 and the agitator 120 .

결합부(300)는 제1부분(110)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310)와, 제1결합부(310)에 대응되도록 아지테이터(120)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provided on the first part 110 and a second coupling part 320 provided on the agitator 120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may include

제1결합부(310)는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320)는 아지테이터(1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1결합부(3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100 .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gitator 120 ,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과 아지테이터(1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00)에는 펄세이터(100) 및 아지테이터(120) 내부의 이물질 및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coupling part 300 for coupling the first part 110 and the agitator 120 of the pulsator 100, the pulsator 100 and the agitator 120 are discharg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are discharged. A unit 400 may be provided.

배출부(400)는 펄세이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과 제2부분(120)의 결합부(300)에 위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pulsator 100 .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located at the coupling unit 300 of the first portion 110 and the second portion 120 of the pulsator 100 .

도 6 은 도 3 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결합부에 마련된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은 도 5 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단면도이며, 도 10 은 도 8 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FIG. 7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8.

도 6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100)는 제1부분(110)과 아지테이터(120)의 결합부(300)에 형성된 배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10 , the pulsator 100 may include a discharge part 400 formed in the coupling part 300 of the first part 110 and the agitator 120 .

펄세이터(100)의 결합부(300)는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310)와, 제1결합부(310)에 대응되도록 아지테이터(12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00 of the pulsator 1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provided in the first part 110 of the pulsator 100 and the agitator 120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provided at the lower end.

제1결합부(310)는 제1부분(11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310)는 펄세이터 바디(111)의 상면 중심에 원통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홈 바디(311)와, 결합홈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10 .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ncludes a coupling groove body 311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body 111, and a coupling groove 313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body. can

제1결합부(310)의 결합홈 바디(31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 바디(311)는 원형의 바닥(312)을 가지고, 상면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 바디(311)의 바닥(312)에는 복수의 결합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13)은 결합홈 바디(3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홈(313)은 결합홈 바디(311)의 원 둘레에 세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홈은 세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함홈의 개수는 펄세이터 또는 아지테이터의 크기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body 31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has a circular bottom 312 ,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opene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13 may be formed in the bottom 312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31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circle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re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defective groove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ulsator or agitator.

제1결합부(310)는 결합홈 바디(311)의 바닥(312) 중심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10)의 가이드 돌기(331)는 결합홈 바디(311)의 배면에 형성된 축결합보스(115)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31)는 축결합보스(115)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trusion 331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312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The guide protrusion 33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haft coupling boss 115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The guide protrusion 33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haft coupling boss 115 .

제1결합부(310)의 가이드 돌기(331)는 후술하는 제2결합부(320)의 가이드 홀(332)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310)의 가이드 돌기(331)는 제2결합부(320)의 가이드 홀(3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31)는 가이드 홀(332)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31)와 가이드 홀(332)은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의 결합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33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hole 33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protrusion 33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3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The guide protrusion 331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332 . The guide protrusion 331 and the guide hole 332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제2결합부(320)는 제1결합부(310)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320)는 결합홈 바디(311)에 대응되도록 아지테이터(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바디(321)와, 결합홈(313)에 대응되도록 결합돌기 바디(321)의 하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formed under the agitator 120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 and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313 . It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322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제2결합부(320)의 결합돌기 바디(32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바디(321)는 아지테이터(1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 바디(321)는 원형의 바닥면(321a)을 가지고, 결합돌기 바디(321)의 바닥면(321a)에는 복수의 결합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322)는 결합돌기 바디(32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322)는 결합돌기 바디(321)의 원 둘레에 세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322)는 제1결합부(310)의 결합홈(313)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end of the agitator 120 .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has a circular bottom surface 321a,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21a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2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2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circle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 The coupling protrusion 3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313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제2결합부(320)는 결합돌기 바디(321)의 바닥면(321a) 중심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3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320)의 가이드 홀(332)은 제1결합부(310)의 가이드 돌기(3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홀(332)은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332)은 가이드 돌기(331)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제1결합부(310)와 제2결합부(320)의 결합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hole 33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321a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 . The guide hole 33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protrusion 33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The guide hole 332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The guide hole 332 may be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331 to guid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제2결합부(320)는 아지테이터(120)의 하부에 마련되며, 아지테이터(120)는 제2결합부(320)와 제1결합부(310)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지지리브(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324)는 아지테이터 바디(121)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리브(324)는 아지테이터 바디(12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324)는 제1결합부(310)의 결합홈 바디(311)의 상단 개구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320 is provided under the agitator 120 , and the agitator 120 has a support rib ( 324)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upport rib 32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gitator body 121 . The support rib 324 may be formed to exte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gitator body 121 . The support rib 32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oupling groove body 311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펄세이터(100)의 결합부(300)에는 펄세이터(100) 및 아지테이터(12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upling unit 300 of the pulsator 10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400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pulsator 100 and the agitator 120 .

배출부(400)는 펄세이터(100)의 제1부분(110)과 제2부분(12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펄세이터(100)의 결합부(3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제1결합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제2결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10 and the second portion 120 of the pulsator 100 .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300 of the pulsator 100 . The discharge part 4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The discharge part 40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The discharg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holes.

배출부(400)는 제1부분(1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410)과 아지테이터(12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hole 410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10 and a second discharge hole 420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gitator 120 .

배출부(400)의 제1배출홀(410)과 제2배출홀(42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과 제2배출홀(420)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배출부(400)의 제1배출홀(410)은 제1부분(110)에 마련된 제1결합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은 제1결합부(310)의 결합홈(3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은 결합홈(313)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 of the discharge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unit 310 provided in the first portion 110 .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13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313 .

제2배출홀(420)은 아지테이터(120)에 마련된 제2결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홀(420)은 제2결합부(320)의 결합돌기(3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홀(420)은 결합돌기(322)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provided in the agitator 120 .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2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2 .

제1결합부(310)의 결합홈(313) 바닥에 형성된 제1배출홀(410)과 제2결합부(320)의 결합돌기(322) 바닥에 형성된 제2배출홀(420)은 서로 연결되어 통하게 된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313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2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come and pass

제1배출홀(410)과 제2배출홀(420)에 의해 펄세이터(100) 및 아지테이터(12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세탁수는 펄세이터(100) 및 아지테이터(12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e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pulsator 100 and the agitator 12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are removed from the pulsator 100 and the agitator 120 .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출부(400)는 펄세이터(100) 또는 아지테이터(120) 내부의 물 및 이물질이 펄세이터(100) 또는 아지테이터(1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유로(4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홀(410)과 제2배출홀(420)은 배출유로(400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과 제2배출홀(420)을 통해 펄세이터(100) 또는 아지테이터(120) 내부의 물 또는 이물질이 펄세이터(100) 또는 아지테이터(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ssage 400a formed so tha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pulsator 100 or agitator 12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100 or agitator 120. have.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may be located on the discharge passage 400a. Water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pulsator 100 or agitator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100 or agitator 120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41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 . have.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D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0 를 참조한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ulsato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It is a drawing.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10 .

도 1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100A)는 회전조(12)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부분(110A)과, 제1부분(110A)의 중심에 직립하도록 결합되어 세탁물과 세탁수(물)을 마찰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120A)을 포함할 수 있다.11 to 13, the pulsator 100A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tub 12 to generate a washing water flow with a first portion 110A, and the center of the first portion 110A It may include a second portion (120A) coupled to stand upright provided to generate a water flow by rubbing the laundry and washing water (water).

펄세이터(100A)는 제1부분(110A)과 제2부분(120A)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00A)는 제1부분(110A)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310A)와, 제2부분(120A)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32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lsator 100A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300A for coupling the first portion 110A and the second portion 120A. The coupling part 300A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310A provided in the first part 110A and a second coupling part 320A provided in the second part 120A.

이러한, 제1부분(110A)과 제2부분(120A)의 결합부(300A)에는 펄세이터(100A)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400A)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40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upling portion 300A of the first portion 110A and the second portion 120A, a discharge portion 400A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pulsator 100A may be provided. . The discharge unit 400A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holes.

배출부(400A)는 제1부분(110A)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410A)과 제2부분(120A)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42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400A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hole 410A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10A and a second discharge hole 420A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120A. .

배출부(400A)의 제1배출홀(410A)과 제2배출홀(420A)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A)과 제2배출홀(420A)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of the discharge unit 400A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배출부(400A)의 제1배출홀(410A)은 제1부분(110A)에 마련된 제1결합부(31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A)은 제1결합부(310A)의 결합홈(313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홀(410A)은 결합홈(313A)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13A)은 결합홈 바디(311A)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결함홈측면(313Aa)과, 결합홈측면(313A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홈바닥면(313A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홀(410A)은 결합홈(313A)의 모서리, 즉, 결합홈측면(313Aa)과 결합홈바닥면(313Ab)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of the discharge unit 40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unit 310A provided in the first portion 110A.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13A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A.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the coupling groove 313A. The coupling groove 313A may include a defect groove side surface 313Aa provided to extend below the coupling groove body 311A, and a coupling groove bottom surface 313Ab formed to extend from the coupling groove side surface 313Aa. .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coupling groove 313A, that i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groove side surface 313Aa and the coupling groove bottom surface 313Ab.

제2배출홀(420A)은 제2부분(120A)에 마련된 제2결합부(3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홀(420A)은 제2결합부(320A)의 결합돌기(322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홀(420A)은 결합돌기(322A)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320A provided in the second part 120A.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22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A.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formed at a corn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2A.

결합돌기(322A)는 결합돌기 바디(321A)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결함돌기측면(322Aa)과, 결합돌기측면(322Aa)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바닥면(322A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출홀(420A)은 결합돌기(322A)의 모서리, 즉, 결합돌기측면(322Aa)과 결합돌기바닥면(322Ab)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출홀(420A)는 제1배출홀(41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322A may include a defect protrusion side surface 322Aa provided to extend below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321A, and a coupling protrusion bottom surface 322Ab formed to exten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side surface 322Aa. .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2A, that is,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side surface 322A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bottom surface 322Ab.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제1결합부(310A)의 결합홈(313A)에 형성된 제1배출홀(410A)과 제2결합부(320A)의 결합돌기(322A)에 형성된 제2배출홀(420A)은 서로 연결되어 통하게 된다.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313A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form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22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2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o.

따라서, 제1배출홀(410A)과 제2배출홀(420A)에 의해 펄세이터(100A)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및 세탁수는 펄세이터(100A)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and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pulsator 100A by the first discharge hole 410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420A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100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ubject to change and substitution.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터브 12 : 회전조
100 : 펄세이터 110 : 제1부분
120 : 제2부분(아지테이터) 300 : 결합부
310 : 제1결합부 320 : 제2결합부
400 : 배출부 410 : 제1배출홀
420 : 제2배출홀
1: washing machine 10: cabinet
11: tub 12: rotary tub
100: pulsator 110: first part
120: second part (agitator) 300: coupling part
310: first coupling part 320: second coupling part
400: discharge unit 410: first discharge hole
420: second discharge hole

Claims (20)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에 마련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에 결합되고, 세탁물과 물을 마찰시켜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아지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아지테이터 내부의 이물 또는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아지테이터의 결합부에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tub;
a rotating tub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 pulsator provided in the rotary tub to generate washing water; and
It is coupled to the pulsator and includes an agitator provided to generate a water flow by rubbing the laundry and wate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so that foreign substances or water inside the pulsator and the agitator are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과,
상기 아지테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unit,
a first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ulsator;
and a second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git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는 세탁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each provided in pluralit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part,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pulsator,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under the agitator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제1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제2결합부에 마련되는 세탁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상면 중심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바디와,
상기 결합홈 바디의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세탁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upling part,
And a coupling groove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ulsator,
The washing machine including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recessed from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결합홈 바디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지테이터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바디와,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 돌기바디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coupling part,
a coupling protrusion bod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gitator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body;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body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결합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결합돌기의 바닥에 위치되는 세탁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protru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지테이터 내부의 물 및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에 위치되는 세탁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charge unit,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assage formed to discharg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agitator,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loc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아지테이터 또는 상기 펄세이터의 내부와 상기 펄세이터의 외부 사이에 형성되는 세탁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charge path is
A washing machin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agitator or the pulsator and the outside of the pulsator.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이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펄세이터 내부의 이물 및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a rotary tub for accommodating laundry;
Including; a pulsator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rotating tub;
The pulsator is
A first part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rotary tub;
a second part rotatably coupl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part;
a coupling part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coupled;
and a discharge hole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and water inside the pulsator are discharged through the coupling par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세탁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ischarge hole is
a first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part;
and a second discharge hol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art,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분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부분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upling part,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part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복수개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세탁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A washing machin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펄세이터 내부의 물 및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홀과 상기 제2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 상에 위치되는 세탁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discharge hole is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flow path formed to discharge the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pulsator,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re located on the discharge passage.
KR1020210068888A 2021-02-10 2021-05-28 Washing KR20220115490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08254.0A CN116670350A (en) 2021-02-10 2022-01-27 Washing machine
PCT/KR2022/001458 WO2022173156A1 (en) 2021-02-10 2022-01-27 Washing machine
US18/324,905 US20230295852A1 (en) 2021-02-10 2023-05-26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026 2021-02-10
KR20210019026 2021-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490A true KR20220115490A (en) 2022-08-17

Family

ID=8311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888A KR20220115490A (en) 2021-02-10 2021-05-28 Wa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54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461B2 (en) Detergent mix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160032515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054408B1 (en) washer
EP3845698B1 (en) Top-open type washing machine
US2022012777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80136141A (en)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240102220A1 (en) Impeller for laundry washing machine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KR20220115490A (en) Washing
US11479899B2 (en) Washing machine
US20230295852A1 (en) Washing machine
CN116670350A (en) Washing machine
EP3850147B1 (en) Water transmission devic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H10118382A (en) Electric washing machine
JP2017189514A (en) Washing machine
KR20220115491A (en) Washing
KR20220115492A (en) Washing machine
WO2023179189A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210141148A (en) Washing machine
KR100634797B1 (en) Washing machine
KR20140120547A (en) A washing machine
KR0132543Y1 (en) Two-way pump for a used washing machine
WO2020093839A1 (en) Vertical-axis washing machine
KR20220099876A (en) Washcing machine
KR20220053452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