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384A -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384A
KR20220053384A KR1020200137804A KR20200137804A KR20220053384A KR 20220053384 A KR20220053384 A KR 20220053384A KR 1020200137804 A KR1020200137804 A KR 1020200137804A KR 20200137804 A KR20200137804 A KR 20200137804A KR 20220053384 A KR20220053384 A KR 20220053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ype
setting
port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662B1 (ko
Inventor
이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빅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빅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빅랩
Priority to KR102020013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62B1/ko
Priority to US18/250,097 priority patent/US20230408295A1/en
Priority to PCT/KR2021/014759 priority patent/WO20220861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5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18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with arrangements for signalling that a predetermined value of an unspecified parameter has been excee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2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altering or correcting the law of variation
    • G01D3/024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with provision for altering or correcting the law of variation for range change; Arrangements for substituting one sensing member by an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2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 G01D3/032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affecting incoming signal, e.g. by averaging; gating undesired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 G08B29/24Self-calibration, e.g. compensating for environmental drift or ageing of components
    • G08B29/26Self-calibration, e.g. compensating for environmental drift or ageing of components by updating and storing reference thresho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G08B29/188Data fusion; cooperative systems, e.g. voting among different detectors

Abstract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이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초기 수신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Description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Method of setting sensor threshold}
본 발명은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습도 등을 센싱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대해서 임의의 센서가 입력하는 입력값을 기초로 해당 센서가 어떤 종류의 센서인지 파악하고, 해당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감지하거나 화재를 감시하는 등 다양한 환경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많은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센서는 그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상용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어 있어 각각의 센서를 통합하여 종합적인 시각으로 고장이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센서에 대해서 통합적인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또한, 고장이나 화재 등의 이상감지를 위해서는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중요하므로, 센서마다 각기 다른 임계치를 부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센서는 다양한 환경에 설치되므로 설치장소에 따라 정상상태의 온도, 습도 등이 달라질 수 있어 센서가 설치된 환경에 적합한 임계치를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센서 종류를 수용하고, 센서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0072728호(공개일자: 2020년 6월 23일, 발명의 명칭: 화재감지 센서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수용하고, 센서의 출력값을 기초로 센서의 종류 및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이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초기 수신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초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센서의 입력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상기 제2 시간이 더 긴 시간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유형은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는 유형이고, 상기 제2 유형은 적외선 또는 이산화탄소농도를 센싱하는 유형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 시스템은 화재감지 시스템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유형의 센서의 종류에 따른 상기 임계값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임계값을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유형의 센서의 종류에 따른 상기 배수값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배수값을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센서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센서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센서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센서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평균 입력값에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한 것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센서 시스템은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수용할 수 있고, 임의의 센서를 식별하여 식별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센서의 유형 및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입력값에 대한 범위를 설정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제1 시간 및 제2 시간 경과 후 임계값을 초과한 입력값을 수신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50)에 대응하여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50)에 대응하여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센서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1)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시스템(1)은 메모리(20), 프로세서(10), 통신부(30), 적어도 하나의 포트(40), 베이스부(6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50)를 포함한다. 센서 시스템(1)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단말(70)과 통신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메모리(20)는 프로세서(10)가 수행하는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임계값 또는 배수값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명령들을 수행하며, 포트(40)를 통해 입력되는 센서(50)의 입력값에 기반하여 센서(50)의 종류를 식별하고 각각의 센서(50)마다 임계치를 설정한다. 포트(40)는 센서(50)로부터 입력값을 전달받아 프로세서(10)에 신호를 전달한다. 센서(50)는 외부 환경 요인을 수치화하여 감지할 수 있다. 즉, 온도, 습도, 적외선 또는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감지하여 수치화하고 이를 포트(40)에 전달할 수 있다.
각 구성의 더욱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 단말(7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단말(70)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센서(50)는 온도, 습도, 적외선,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환경의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도, 습도, 적외선, 이산화탄소농도를 감지하는 센서(50)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50)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가 제1 시간 동안 포트(40)를 통해 포트(40)에 연결된 센서(50)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초기 수신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가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센서(50)의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식별 단계에서 센서(50)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가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포트(40)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 및 식별 단계에서 센서(50)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가 제2 시간 동안 포트(40)를 통해 포트(40)에 연결된 센서(50)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평균 입력값에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한 것을 포트(40)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각 단계들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0)가 제1 시간 동안 포트(40)를 통해 포트(40)에 연결된 센서(50)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초기 수신 단계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50)는 포트(40)에 연결되어 온도, 습도 등 감지 요소를 측정한 값을 입력값으로 포트(40)에 전달한다. 포트(40)는 입력값을 전달받아 프로세서(10)에 입력값을 전송한다. 여기서 입력값은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날로그 방식일 수 있고 디지털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 특정 센서(50)의 입력값은 0V ~ 5.0V 범위 내에서 입력될 수 있다. 입력값은 센서(50)의 측정한 값 자체일 수 있고, 센서(50)가 측정한 값이 소정의 비율로 변환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제1 시간 동안 입력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이 시작하는 시각은 포트(40)에 센서(50)가 연결된 시각 또는 센서 시스템(1)에 전원이 인가된 시각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포트(40)에 센서(50)를 결합하면 그 시각 이후로 제1 시간 동안 프로세서(10)가 포트(40)로부터 입력값을 수신한다. 제1 시간은 후속하는 식별 단계에서 센서(50)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입력값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이다.
포트(40)로부터 입력값을 수신한 프로세서(10)는 해당 입력값에서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포트(40)와 프로세서(10) 또는 포트(40)와 프로세서(10)를 연결하는 배선 등에 의해 입력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노이즈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50)의 입력값은 0V ~ 5.0V 범위에서 입력될 수 있는데, 소정의 시각에 0V ~ 5.0V 범위를 초과하는 입력값이 입력되었다면, 해당 입력값은 노이즈가 첨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0)는 해당 노이즈를 입력값에서 제거하여 후속하는 단계들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0)가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센서(50)의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프로세서(10)는 자신이 수신할 수 있는 입력값의 범위를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구간을 통해서 입력값에 따른 센서(50)의 유형과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동안 B구간에 속하는 입력값을 수신한 경우에는 프로세서(10)가 해당 포트(40)가 제2 유형의 센서(50)와 연결되었다고 식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의 유형이란 미리 정해진 특정한 방법으로 임계값이 설정되는 센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유형의 센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임계값이 설정된다. 그리고 제2 유형의 센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임계값이 설정된다.
그리고 센서의 종류란, 구체적으로 해당 센서가 측정하는 대상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느 센서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면, 그 센서의 종류는 온도 종류로 정의되고, 다른 어느 센서가 적외선을 측정하는 센서이면, 그 센서의 종류는 적외선 종류로 정의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식별 단계에서 센서(50)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가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포트(40)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유형은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는 유형일 수 있다. 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감지 요소는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되면, 해당 설치환경과 관련없이 제1 시간동안 입력된 입력값을 기초로 바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0)는 제1 유형의 종류에 따른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10)가 메모리(20)로부터 해당 임계값을 로드하여 해당 포트(40)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센서(50)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센서(5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50)가 입력받는 입력값이 범위가 0V ~ 5.0V 범위 라면 0V ~0.8V 범위는 A구간, 0.8V~1.6V 범위는 B구간, 1.6V~2.4V 범위는 C구간, 2.4V~3.2V 범위는 D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C구간에 해당하는 입력값이 제1 시간동안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0)는 센서(50)가 제1 유형이며 C종류에 해당한다고 식별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20)로부터 C종류에 해당되는 임계값을 로드할 수 있다. 만약 C종류가 온도 센서(50)를 의미한다면 임계값은 섭씨 50도에 대응되는 소정의 전압레벨일 수 있다.
메모리(20)에 저장된 제1 유형의 임계값은 제어 단말(70)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제1 유형의 임계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 단말(70)에 연결된 통신부(30)를 통하여 메모리(20)에 저장된 제1 유형의 임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별 단계에서 센서(50)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가 제2 시간 동안 포트(40)를 통해 포트(40)에 연결된 센서(50)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평균 입력값에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한 것을 포트(40)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유형은 적외선 또는 이산화탄소농도를 센싱하는 유형일 수 있다. 적외선 또는 이산화탄소농도와 같은 감지 요소는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되면, 해당 설치환경에 따라 설정되는 임계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도 적외선의 감지가 자주 또는 높게 발생하는 환경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감지되는 환경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는 공장과 같은 환경에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된다면, 그렇지 않은 환경과 임계치를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프로세서(10)는 제2 시간 동안 포트(40)를 통해 포트(40)에 연결된 센서(50)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평균 입력값을 산출한다. 프로세서(10)가 산출한 평균 입력값은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되는 환경에서 센서(50)가 입력하는 입력값의 기준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시간은 프로세서(10)가 입력값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만 판단하는 시간인데 반하여, 제2 시간은 프로세서(10)가 평균 입력값을 산출해야 하는 시간이므로 제1 시간보다는 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포트(40)에 센서(50)가 결합되면 센서(50)가 제1 유형인지 제2 유형인지 적은 시간 안에 판단할 수 있으나 센서 시스템(1)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른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제2 유형의 센서의 경우, 포트의 임계값은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입력값을 입력변수로 하여 미리 정해진 임계값 산출 방법에 따라 임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 산출 방법은 평균 입력값에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평균 입력값이 산출된 후에는 평균 입력값에 센서(5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하여 해당 포트(40)의 임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0)는 제2 유형의 종류에 따른 배수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10)가 메모리(20)로부터 해당 배수값을 로드하여 평균 입력값에 곱하는 것으로서 해당 포트(40)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센서(50)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센서(5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50)가 입력받는 입력값이 범위가 0V~5V 라면 0V~0.8V 범위는 A구간, 0.8V~1.6V 범위는 B구간, 1.6V~2.4V 범위는 C구간, 2.4V~3.2V 범위는 D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B구간에 해당하는 입력값이 제1 시간동안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0)는 센서(50)가 제2 유형이며 B종류에 해당한다고 식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로부터 B종류에 해당되는 배수값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20)에 저장된 제2 유형의 배수값은 제어 단말(70)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제2 유형의 배수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 단말(70)에 연결된 통신부(30)를 통하여 메모리(20)에 저장된 제2 유형의 배수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센서(50)에 대한 임계값이 설정된 후에는 이상감시 단계를 시작한다. 즉, 제1 시간과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센서 시스템(1)은 외부 환경의 감지 요소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상술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값을 수신하는 경우 외부 환경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프로세서(10)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값을 2회 수신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임계값을 초과한 입력값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0)는 이에 대응하는 위험신호를 제어 단말(70)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1초 동안 수신한 입력값 중 가장 큰 값을 대표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1초 동안 임계값을 초과한 입력값을 계수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대표값 또는 임계값을 초과한 횟수를 기초로 외부 환경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시스템(1)은 화재감지 시스템일 수 있다. 상술한 센서(50)들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서 온도, 습도, 적외선,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감지하여 프로세서(10)가 화재위험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10)가 판단한 화재위험은 제어 단말(70)에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센서 시스템
10: 프로세서
20: 메모리
30: 통신부
40: 포트
50: 센서
60: 베이스부
70: 제어 단말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구비하는 센서 시스템이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초기 수신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유형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 및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센서의 입력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보다 상기 제2 시간이 더 긴 시간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은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는 유형이고,
    상기 제2 유형은 적외선 또는 이산화탄소농도를 센싱하는 유형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은 화재감지 시스템인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유형의 센서의 종류에 따른 상기 임계값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임계값을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시스템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유형의 센서의 종류에 따른 상기 배수값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배수값을 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센서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센서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는 상기 센서의 종류마다 입력값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시간 동안 입력되는 입력값에 따라 상기 센서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임계값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평균 입력값에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배수값을 곱한 것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11.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입력값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1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상기 포트의 임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식별 단계에서 상기 센서가 제2 유형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2 시간 동안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연결된 센서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시간 동안의 평균 입력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입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KR1020200137804A 2020-10-22 2020-10-22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KR10254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04A KR102545662B1 (ko) 2020-10-22 2020-10-22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US18/250,097 US20230408295A1 (en) 2020-10-22 2021-10-20 Method for setting threshold value of sensor
PCT/KR2021/014759 WO2022086192A1 (ko) 2020-10-22 2021-10-20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04A KR102545662B1 (ko) 2020-10-22 2020-10-22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384A true KR20220053384A (ko) 2022-04-29
KR102545662B1 KR102545662B1 (ko) 2023-06-20

Family

ID=8129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04A KR102545662B1 (ko) 2020-10-22 2020-10-22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08295A1 (ko)
KR (1) KR102545662B1 (ko)
WO (1) WO2022086192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7U (ja) * 1991-07-03 1993-01-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コンピユータ
KR20090016314A (ko) * 2007-08-10 2009-02-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센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101159A2 (en) * 2008-03-12 2009-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A sensor interface
KR20090132812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및 이벤트 연동 처리 방법과 장치
US20130120178A1 (en) * 2011-11-15 2013-05-16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system
KR20140114674A (ko) * 2013-03-19 2014-09-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아날로그 센서의 종류 판별 장치
US20150378954A1 (en) * 2014-06-28 2015-12-31 Ryan M. Field Dynamically configurable analog frontend circuitry
KR20190003942A (ko) * 2016-03-24 2019-01-10 펄슨모어 엘티디. 스마트 디바이스와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완전한 시스템
KR102108932B1 (ko) * 2018-11-23 2020-05-1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시설물 계측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기반 데이터로거 시스템
KR20200072728A (ko) 2018-12-13 2020-06-23 전자부품연구원 화재감지 센서장치 및 시스템
KR102128676B1 (ko) * 2019-01-11 2020-06-30 주식회사 퍼스타 복합 센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6168B2 (en) * 2005-06-06 2008-02-26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threshold sensor
KR101418275B1 (ko) * 2012-12-05 2014-08-13 주식회사 크레타 센서특성 설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외부조건 측정 시스템
KR101827518B1 (ko) * 2016-07-15 2018-02-08 주식회사 나노켐 센서 감지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센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TWI693376B (zh) * 2019-03-18 2020-05-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遠端校正系統及其遠端校正感測器的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7U (ja) * 1991-07-03 1993-01-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コンピユータ
KR20090016314A (ko) * 2007-08-10 2009-02-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센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101159A2 (en) * 2008-03-12 2009-09-16 General Electric Company A sensor interface
KR20090132812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및 이벤트 연동 처리 방법과 장치
US20130120178A1 (en) * 2011-11-15 2013-05-16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system
KR20140114674A (ko) * 2013-03-19 2014-09-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아날로그 센서의 종류 판별 장치
US20150378954A1 (en) * 2014-06-28 2015-12-31 Ryan M. Field Dynamically configurable analog frontend circuitry
KR20190003942A (ko) * 2016-03-24 2019-01-10 펄슨모어 엘티디. 스마트 디바이스와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완전한 시스템
KR102108932B1 (ko) * 2018-11-23 2020-05-12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시설물 계측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기반 데이터로거 시스템
KR20200072728A (ko) 2018-12-13 2020-06-23 전자부품연구원 화재감지 센서장치 및 시스템
KR102128676B1 (ko) * 2019-01-11 2020-06-30 주식회사 퍼스타 복합 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8295A1 (en) 2023-12-21
KR102545662B1 (ko) 2023-06-20
WO2022086192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3823B1 (en) Testing of a network of hazard warning devices
EP3242174A1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2446146B (zh) 服务器及其避免总线冲突的方法
KR102415677B1 (ko) 센서 기반 신호 송신 방법들 및 장치들
CN102629888B (zh) 智能计量器评价装置及智能计量器评价方法
US8768265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ode devices of a condition monitoring system
BR112018002505B1 (pt) Método de processamento de sinal, equipamento de usuário, estação base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KR20220053384A (ko) 센서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방법
CN108983034B (zh) 一种内短路检测方法及装置
WO2012106194A3 (en) Biomarke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9843947B2 (en) Visual signal strength ind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CN107817397B (zh) 充电发热异常的检测方法及终端设备
EP3499928B1 (en)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a low-power wide-area network
EP2873984A1 (en) Sensor tag and sensor network system
JP2015026925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ドル装置
US10554440B2 (en) Sensor device
US20160050046A1 (en) Wireless Network with Power Aware Transmission Control
KR102340157B1 (ko) 센서모듈 장치
JP7015191B2 (ja) 検知装置、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プログラム
CN109286919A (zh) Ble设备及其数据包接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128534A1 (en) Method of generating abnormal state detection model
AU2021107309A4 (en) A remote radiation sensing device
KR20230105479A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20240129052A1 (en) Sensor Embedded Terminal, Disconnecting Determination Method and Disconnecting Determination Program
EP3406089A1 (en) Adapting beacon transmission rate and/or power based on a receive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