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182A -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182A
KR20220053182A KR1020200137324A KR20200137324A KR20220053182A KR 20220053182 A KR20220053182 A KR 20220053182A KR 1020200137324 A KR1020200137324 A KR 1020200137324A KR 20200137324 A KR20200137324 A KR 20200137324A KR 20220053182 A KR20220053182 A KR 2022005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ice record
user
memo
compu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300B1 (ko
Inventor
이수미
신지은
정예림
황길환
장정훈
정남규
임대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00B1/ko
Priority to JP2021014195A priority patent/JP7166370B2/ja
Priority to TW110135178A priority patent/TWI807428B/zh
Priority to US17/448,616 priority patent/US20220093103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10L17/24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the user being prompted to utter a password or a predefined phr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5Feedback of the input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RATE FOR SPEECH-TO-TEXT RECORDING}
아래의 설명은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음성 변환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녹음이 종료되면 녹음된 구간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음성 변환 기술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217호(공개일 2014년 05월 23일)에는 음성 녹음 및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화 음성의 녹음 중에 해당 대화의 맥락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들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화 음성을 녹음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작성한 메모를 기반으로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음성 기록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단어 혹은 사용자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인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커스텀 키워드에 대해 부스팅(boosting)을 적용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의 녹음 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의 화자 발성 구간 별로 해당 구간에 매칭된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기록에 대한 정보로 입력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음성 기록의 제목과 대화에 참여하는 참석자 정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등록된 키워드를 상기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기록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해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의 종류나 유형에 기초한 가중치에 따라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에 대한 오탈자 검사를 통해 일부 단어를 상기 커스텀 키워드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음성 기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음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음성의 녹음 중에 해당 대화의 맥락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에 대해 부스팅(boosting)을 적용함으로써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해당 단어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음성을 녹음하는 도중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단어, 사용자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학습하여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기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를 이용한 음성 인식 결과의 예시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또는 회의록 관리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이하, '음성 기록'이라 약칭함)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많은 사람들이 회의나 다양한 미팅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대화 음성에 대한 녹음을 진행하고 녹음 중인 대화 음성의 맥락과 관련된 내용을 PC 등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로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성 녹음과 메모가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음성과 메모를 각각 따로 확인해야 하고 이로 인해 녹음된 내용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면서 메모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녹음 및 텍스트 변환을 포함하는 음성 기록 기능을 메모 기능과 통합된 하나의 기능으로 제공하여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녹음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하여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앱과 웹의 실시간 연동을 통해 녹음을 진행하는 디바이스와 메모를 작성하는 디바이스 간에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음성 녹음 기능과 메모 작성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앱과 클라이언트 상에서 접속 가능한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전용 웹 사이트를 통해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음성 기록 관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도 4에 따른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기록 생성부(310), 메모 매칭 관리부(320), 및 음성 기록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가 음성 기록을 생성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음성 기록 생성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은 도 4에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S410 내지 S430)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0)에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대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함으로써 음성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측 디바이스에서는 녹음 기능을 실행하여 녹음되는 음성 파일을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음성 파일을 전달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이미 공지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화자에 의한 발성 구간에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 결과인 음성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 화자 별로 발성 구간을 분할하는 화자분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회의, 인터뷰, 거래, 재판 등 여러 화자가 일정한 순서 없이 발성하는 상황에서 녹음된 음성 파일의 경우 발성 내용을 화자 별로 분할하여 자동 기록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메모 매칭 관리부(32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에서 음성 녹음 중에 혹은 음성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수신하여 단계(S410)에서 생성된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메모 매칭 관리부(320)는 클라이언트에서 녹음이 진행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음성 기록과 녹음 진행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할 수 있다. 음성 기록은 화자 발성 구간의 기점을 나타내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 매칭 관리부(320)는 음성 기록의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해당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메모 매칭 관리부(320)는 음성 기록이 존재하는 음성 파일에 대해 클라이언트에서 음성이 재생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음성 기록과 음성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매칭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 매칭 관리부(320)는 특정 시점의 발성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해당 시점의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음성 기록 제공부(33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음성 기록에 대한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음성 기록을 음성 기록과 매칭된 메모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제공부(330)는 음성 녹음 중에 혹은 음성 재생 중에 작성된 메모를 음성 기록과 함께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 기록과 메모를 듀얼 뷰 방식으로 함께 보여줄 수 있다. 듀얼 뷰 방식은 음성 기록과 메모를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과 해당 음성의 녹음이나 재생 시간 동안 작성된 메모를 나란히 보여줌으로써 대화 기록을 탐색하기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음성 기록 제공부(330)는 음성 기록과 메모를 듀얼로 보여주는 방식 이외에도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음성 기록과 메모 중 하나를 단독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기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상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음성 녹음과 메모 작성을 위한 디바이스로 동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환경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동일 계정으로 로그인된 모바일 앱과 PC 웹을 연동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음성 녹음을 진행하고 녹음 중인 음성과 관련하여 PC 웹을 통해 메모를 작성하는 사용 환경 등 다양한 사용 환경 또한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은 음성 기록 관리 서비스의 홈 화면 구성으로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 메뉴 목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음성 기록을 폴더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폴더 목록(501)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은 새로운 음성 기록을 생성하기 위한 '새노트 만들기' 메뉴(502)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에서 '새노트 만들기' 메뉴(502)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을 제공한다.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은 음성 기록의 제목을 입력하기 위한 '제목' 입력란(611), 대화에 참여하는 참석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참석자' 입력란(612), 음성 녹음을 위한 '녹음 시작' 메뉴(613), 음성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 업로드' 메뉴(61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기 위해 녹음 기능과, 파일 업로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에서 '녹음 시작' 메뉴(613)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녹음 화면(720)을 제공한다. 음성 녹음 화면(720)은 기본적인 녹음 인터페이스로, 녹음이 진행된 시간 정보, 녹음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일시정지 버튼, 녹음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음성 녹음 화면(720)은 녹음 중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메모 인터페이스(721), 및 녹음 중에 북마크를 기록할 수 있는 북마크 인터페이스(72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메모 인터페이스(721)는 텍스트 기반의 입력은 물론이고,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기능, 파일 첨부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 인터페이스(721)를 통해 녹음 중에 해당 음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이나 첨부할 내용 등을 메모로 작성할 수 있고, 메모 이외에도 북마크 인터페이스(722)를 통해 중요 구간의 녹음 시점에 북마크를 남길 수 있다. 녹음 진행 시간을 기준으로 녹음 중에 입력된 메모나 북마크가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모 작성이 시작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메모 작성 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고, 북마크가 입력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북마크 지정 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음성 기록에 대한 북마크는 북마크 인터페이스(722)를 이용한 수동 설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동 설정 기능 또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주요 키워드(일례로, 음성 기록의 제목이나 태그 등)가 발성되는 구간에 북마크를 자동 기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에서 '파일 업로드' 메뉴(614)가 선택되는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음성 파일을 탐색하기 위한 파일 탐색 화면을 제공하고, 파일 선택 화면에서 특정 파일이 선택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파일의 업로드를 실행하는 파일 업로드 화면(830)을 제공한다. 파일 업로드 화면(830)은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정보(예컨대, 파일 이름, 파일 길이 등)와 함께, 파일 업로드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831)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녹음 화면(720)을 통한 음성 녹음이 완료되거나 혹은 파일 업로드 화면(830)을 통한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의 진행 상황(915)을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녹음의 경우 녹음과 동시에 음성 파일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거나 혹은 녹음이 완료되면 녹음된 음성 파일 전체가 일괄 업로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이 완료된 음성 파일에 대해 음성 기록과 메모(및 북마크)를 시간적으로 매칭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는 음성 기록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에서 제공하는 파일 목록에서 특정 음성 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제목의 음성 기록에 대하여 듀얼 뷰 방식으로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보여줄 수 있다. 음성 기록 관리 화면(500)에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에서 입력된 제목(1041)과 참석자 정보(1042)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음성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영역(1060)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는 발성 구간 별로 해당 구간의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음성 파일에서 텍스트가 발성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타임스탬프가 표시될 수 있다. 메모 영역(1050)에서는 음성 파일의 녹음 중에 작성된 메모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메모 별로 메모 작성이 시작된 시점의 녹음 진행 시간이 해당 메모의 타임스탬프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보여줄 수 있으며, 이때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타임스탬프를 기준으로 매칭하여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자1이 발성한 00분 02초 시점에 작성된 메모를 해당 발성 구간의 텍스트와 같은 선상에 맞춰 보여줄 수 있다.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타임스탬프 기준의 동일선상에 맞추지 않고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각각 시간 순으로 단순 정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외에도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정렬하는 방식은 듀얼 뷰 방식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컨트롤러 영역(1060)은 프로그레스 바, 재생/일시정지 버튼, 뒤로 건너뛰기 버튼, 앞으로 건너뛰기 버튼, 음량 조절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메모가 작성된 구간을 나타내는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가 기록된 구간을 나타내는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가 프로그레스 바 상에 노출될 수 있다.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인디케이터 디스플레이 요소(예컨대, 색상, 모양 등)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구간의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메모 영역(1050)에서 특정 메모를 선택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당 메모가 작성된 구간의 음성을 재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의 상호 간에 선택 영역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메모 영역(1050) 내에서 해당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볼 수 있고, 아울러 컨트롤러 영역(1060) 내 프로그레스 바 상의 메모 인디케이터(1061)와 북마크 인디케이터(1062)를 통해 쉽고 편리한 탐색이 가능함에 따라 대화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북마크가 지정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다른 구간의 텍스트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구간의 텍스트에 대해 북마크 아이콘(1171)을 표시할 수 있다. 북마크 아이콘(1171)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북마크가 지정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에 하이라이트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북마크가 지정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에 대해 '편집' 메뉴(1172)를 제공하여 북마크 구간의 텍스트 편집을 유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북마크가 지정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에 대해 '편집' 메뉴(1172)가 선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구간의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화면(1270)을 제공한다.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북마크가 지정된 발성 구간의 텍스트를 편집 화면(1270)을 통해 편집된 텍스트로 갱신한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 포함된 북마크 구간 이외에도 발성 구간의 텍스트 각각에 대해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메모 영역(1050)에 포함된 메모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에 대해 화자나 키워드 등을 이용한 그룹핑을 기초로 필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에서 특정 화자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화자의 발성 구간에 대한 음성 기록과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여 보여줄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화자가 발성한 구간의 음성 기록과 해당 화자의 발성 구간에 대해 작성된 메모를 모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과 메모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여 보여주는 것 또한 가능하다. 키워드를 이용한 메모 그룹핑의 경우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메모, 또는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발성 구간에 작성된 메모를 그룹핑 대상으로 할 수 있다. 화자나 키워드 이외에도 음성 기록과 메모를 분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을 필터링에 활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을 함께 보여주는 듀얼 뷰 방식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기록 영역(1040)과 메모 영역(1050)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음성 인식 기술에서는 고유 명사나 전문 용어 등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의 경우 일반적인 단어에 비해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화의 맥락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단어들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음성 인식 방법은 음성 기록 생성부(35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도 4의 음성 기록 관리 방법에 포함된 단계(S410)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301)에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파일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으로부터 음성 인식을 위한 커스텀 키워드(custom keyword)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대화 음성의 녹음 도중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통해 해당 대화의 맥락과 관련하여 작성한 메모를 기반으로 해당 메모에서 명사 등 적어도 일부 품사에 해당되는 단어를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음성 기록에 대한 정보로서 입력된 단어들, 예를 들어 음성 기록 생성 화면(610)을 통해 입력한 음성 기록의 제목이나 태그, 참석자 정보에서 명사 등 적어도 일부 품사에 해당되는 단어를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사전 구축된 커스텀 사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기록의 제목과 관련하여 해당 제목과 관련된 카테고리의 단어들을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편집 기능(예를 들어, 도 12를 통해 설명한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기록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내용, 다시 말해 최종적으로 수정된 내용에서 명사 등 적어도 일부 품사에 해당되는 단어를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사용자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등록된 키워드를 커스텀 키워드로 활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된 사전 데이터베이스 혹은 컴퓨터 장치(200)와 연동 가능한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를 기반으로 추천 단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 단어 중 적어도 일부를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단어의 종류나 유형 등에 기초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에 비해 보다 유니크한 단어를 중요 키워드로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 고유 명사와 전문 용어에 해당되는 단어를 일반 명사(보통 명사)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 맞춤법 검사 등 오탈자 검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 중에서 명백한 오탈자로 판단되는 단어를 커스텀 키워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단계(S1302)에서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단계(S1301)에서 추출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응되는 음성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커스텀 키워드에 대한 부스팅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키워드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학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커스텀 키워드에 음성 인식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른 키워드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인식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커스텀 키워드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녹음 중 작성된 메모(1401)인 <웹 버전 추가>에서 커스텀 키워드(1402) <'웹', '버전', '추가'>를 추출할 수 있으며, 커스텀 키워드(1402)에 대해 부스팅을 적용하는 음성 인식을 통해 개선된 음식 인식 결과(1403)를 획득할 수 있다. 부스팅 이전 음성 인식 결과(1404)가 '외벽에서 쓰는 기능 초과를 했고요'라 할 때, 커스텀 키워드(1402) <'웹', '버전', '추가'>에 대한 부스팅을 통해 '웹에서 쓰는 기능 추가를 했고요'와 같이 보다 정확한 음식 인식 결과(1403)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엔진에서 커스텀 키워드(1402)를 이용하여 '외벽'과 같이 '웹'과 유사한 인식들을 모두 '웹'으로 튜닝해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녹음 중 작성된 메모(1501)인 <iOS 인트로 예정>에서 커스텀 키워드(1502) <'iOS', '인트로', '예정'>를 추출할 수 있다. 부스팅 이전 음성 인식 결과(1504)가 '아이오에스 쪽은 지금 이쪽하고'라 할 때, 커스텀 키워드(1502) <'iOS', '인트로', '예정'>에 대한 부스팅을 통해 'iOS 쪽은 지금 인트로하고'와 같이 보다 정확한 음식 인식 결과(1503)를 얻을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메모(1501)의 일부 키워드가 영어로 입력된 경우 외래어나 한국식 발음을 적용하여 부스팅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엔진에서 한국식 발음 '아이오에스'를 메모(1501)에 작성된 영어 표기 형식 'iOS'로 튜닝해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녹음 중 작성된 메모 이외에도 음성 기록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기록의 제목과 참석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음성 기록 정보(1601)에서 커스텀 키워드(1602)를 추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성 기록의 제목이 <Android 데모>이고, 참석자 정보가 <홍길동, 김형제>일 때, 커스텀 키워드(1602)는 <'Android', '데모', '홍길동', '김형제'>를 추출할 수 있다. 부스팅 이전 음성 인식 결과(1604)가 '네 형주님 만들어 주신 말씀이세요'라 할 때, 커스텀 키워드(1602) <'Android', '데모', '홍길동', '김형제'>에 대한 부스팅을 통해 '네 형제님 Android 말씀해주세요'와 같이 보다 정확한 음식 인식 결과(1603)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화자 발성 구간 별 음성 인식 결과에 대하여 해당 구간에 매칭된 메모에서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부스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화자 발성 구간 별로 다른 커스텀 키워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음성 기록이 생성된 이후 음성 기록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단어를 커스텀 키워드로 획득한 경우에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기록 생성 과정을 다시 한번 수행하여 해당 음성 기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음성 기록 생성부(310)는 음성 기록 업데이트 과정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단어, 즉 커스텀 키워드에 대한 부스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음성의 녹음 중에 해당 대화의 맥락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에 대해 부스팅을 적용함으로써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해당 단어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대화 음성을 녹음하는 도중에 메모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단어, 사용자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등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들을 학습하여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커스텀 키워드에 대해 부스팅(boosting)을 적용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의 녹음 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의 화자 발성 구간 별로 해당 구간에 매칭된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기록에 대한 정보로 입력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음성 기록의 제목과 대화에 참여하는 참석자 정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등록된 키워드를 상기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음성 기록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해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의 종류나 유형에 기초한 가중치에 따라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에 대한 오탈자 검사를 통해 일부 단어를 상기 커스텀 키워드에서 제외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기록 관리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음성 기록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기록을 생성하는 음성 기록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음성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텀 키워드에 가중치를 적용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커스텀 키워드에 대해 부스팅을 적용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의 녹음 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를 상기 음성 기록과 매칭하여 관리하는 메모 매칭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음성의 화자 발성 구간 별로 해당 구간에 매칭된 메모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기록에 대한 정보로 입력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음성 기록의 제목과 대화에 참여하는 참석자 정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로 등록된 키워드를 상기 커스텀 키워드로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기록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해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음성 기록 제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편집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단어에서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어의 종류나 유형에 기초한 가중치에 따라 상기 커스텀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0137324A 2020-09-23 2020-10-22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4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24A KR102446300B1 (ko) 2020-10-22 2020-10-22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21014195A JP7166370B2 (ja) 2020-10-22 2021-02-01 音声記録のための音声認識率を向上させ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110135178A TWI807428B (zh) 2020-09-23 2021-09-22 一同管理與語音檔有關的文本轉換記錄和備忘錄的方法、系統及電腦可讀記錄介質
US17/448,616 US20220093103A1 (en) 2020-09-23 2021-09-23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ext transcript and memo for audio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24A KR102446300B1 (ko) 2020-10-22 2020-10-22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82A true KR20220053182A (ko) 2022-04-29
KR102446300B1 KR102446300B1 (ko) 2022-09-22

Family

ID=8142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324A KR102446300B1 (ko) 2020-09-23 2020-10-22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66370B2 (ko)
KR (1) KR1024463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087A (ja) * 2004-12-21 2006-07-0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字幕生成装置、検索装置、文書処理と音声処理とを融合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203B2 (ja) * 2006-02-27 2011-08-31 日本放送協会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5054711B2 (ja) * 2009-01-29 2012-10-24 日本放送協会 音声認識装置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5362651B2 (ja) * 2010-06-07 2013-12-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重要語句抽出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52328B2 (ja) * 2017-12-13 2022-04-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20200403818A1 (en) * 2019-06-24 2020-12-24 Dropbox, Inc. Generating improved digital transcripts utilizing digital transcription models that analyze dynamic meeting contex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8087A (ja) * 2004-12-21 2006-07-0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字幕生成装置、検索装置、文書処理と音声処理とを融合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8817A (ja) 2022-05-10
KR102446300B1 (ko) 2022-09-22
JP7166370B2 (ja)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8236B2 (en) Intent-specifi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result generation
CN107516511B (zh) 意图识别和情绪的文本到语音学习系统
Schalkwyk et al. “Your word is my command”: Google search by voice: A case study
US8160881B2 (en) Human-assisted pronunciation generation
US81708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accuracy of searches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US8725492B2 (en) Recognizing multiple semantic items from single utterance
US20200042279A1 (en) Platform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media content
US11527233B2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speech packet
US20120016671A1 (en) Tool and method for enhanced human machine collaboration for rapid and accurate transcriptions
US9922650B1 (en) Intent-specifi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result generation
JP6280312B2 (ja) 議事録記録装置、議事録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807428B (zh) 一同管理與語音檔有關的文本轉換記錄和備忘錄的方法、系統及電腦可讀記錄介質
CN115082602B (zh) 生成数字人的方法、模型的训练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180725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446300B1 (ko) 음성 기록을 위한 음성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37752B1 (ko) 인공지능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음성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0669B1 (ko) 앱과 웹의 연동을 통해 음성 파일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060149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peech template selection for speech recognition
CN108255917A (zh) 图像管理方法、设备及电子设备
JP201505274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3586B1 (ko)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기록에서 유사 발음의 단어를 포함하여 검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27213B1 (ko)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 기록과 메모를 함께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7128222B2 (ja) 映像コンテンツに対する合成音のリアルタイム生成を基盤としたコンテンツ編集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050410A (ko) 영상 컨텐츠에 대한 합성음 실시간 생성에 기반한 컨텐츠 편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09987A (ko) 회의 안건 체크의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