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853A -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853A
KR20220052853A KR1020210142974A KR20210142974A KR20220052853A KR 20220052853 A KR20220052853 A KR 20220052853A KR 1020210142974 A KR1020210142974 A KR 1020210142974A KR 20210142974 A KR20210142974 A KR 20210142974A KR 20220052853 A KR20220052853 A KR 2022005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drain
hole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월
Publication of KR2022005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8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with an adjustabl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and a drainage structure for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the flowerpot with the adjustable drainage and water level configured to allow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to be easily adjusted during drainage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or side surface; and the drainage structure for the same. The flowerpot with the adjustabl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omprises: a flowerpot main body part; a drainage pipe; and a drainage adjustment pipe.

Description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위한 배수 구조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위한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 및/또는 측면 측을 통해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위한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and a drainage structure therefor, and the drainage flow rate configured so that th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during drainage through the bottom and/or side side And it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lable flowerpot and a drainage structure therefor.

화분에는 식물이 생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Pots need a constant supply of water in the right amount so that plants can survive and grow.

일예로, 화분에 직접 주기적으로 물을 주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며, 다른예로, 물 흡수용 홀이 하부에 형성된 화분을 물받이 받침대에 수납하고 물받이 받침대에 물을 공급하여 화분 내의 식물이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방식도 사용된다. As an example, a method of directly periodically watering a pot is used, and as another example, a pot with a water absorp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is stored in the drip tray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drip tray so that the plants in the pot absorb water. The way to do it is also used.

그런데, 물받이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물받이 받침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물의 수위가 너무 낮으면 식물이 물을 흡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물의 수위가 너무 높으면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장기간 고인 물이 썩어서 악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의 수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ethod using a drip tray, it is necessary to properly maintai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drip tray. If the water level is too low, it may be difficult for plants to absorb water, and if the water level is too high, the roots of the plant may rot or the water that has been standing for a long time will rot, causing problems such as odor. Also,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appropriate water level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한편, 최근에 벽면 장식(벽면 녹화)용으로 설치되는 화분의 경우, 물받이 케이싱 내에 소형 화분 케이싱이 수납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화분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the case of a flowerpot installed for wall decoration (wall greening),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flowerpot casing is accommodated in a drip tray casing, and a plurality of flowerpot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stacked and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런데, 상하 적층 결합 구조의 화분은 결합 설치된 다수 화분 내의 물의 수위를 함께 유지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식물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화분별로 물의 수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the pots of the top and bottom stacked combined structure are difficult to manage because the water level in multiple pots that are installed together must be maintained and managed. There were difficulties.

또한, 상하 적층 결합 구조의 화분은 물 공급시에 가장 상층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고 바닥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하층의 화분에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일반적으로 취하는데, 상->하 방향의 물흐름 구조로 인해 상층 화분에 물이 공급되는 시점과 하층 화분에 물이 공급되는 시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층 화분을 거쳐서 이뤄지는 물 공급 시에 하층 화분에 신속한 물 공급이 곤란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otted plant of the upper and lower stacked combination structure generally takes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most potted plant when water is supplied, an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drain pipe is supplied to the lower potter to be sequentially supplied with water. ,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pot and the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t due to the water flow structure in the upper->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supply water to the lower pot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pot.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4647 (2017년08월29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74647 (Registered on August 29, 20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30820 (2001년05월04일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30820 (Registered on May 04, 2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5913 (2020년05월21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2115913 (Registered on May 21, 20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면 및/또는 측면 측을 통해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위한 배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s a flowerpo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onfigured so that th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during drainage through the bottom and/or side side and to provide a drainage structure for thi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화분 본체부; 상기 화분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 측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선형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형 구간의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배수관로홀이 형성된 배수관;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배수관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한 배수 조절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조절관이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높이와 회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의 크기와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배수 유량과 화분 본체부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이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t body portion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It is provided in the flowerpot body part, and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cluding a linear s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art, and having a first drainage through hole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side part of the linear section a drain pipe having a first drain pipe hol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therein; and a hollow tube structu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ing a second drainage through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and a second drain pipe hol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part is formed, the drain pipe It includes; a drainage control pipe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By adjusting , the size and height of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overlap are changed, so that the drain flow rate of water drained through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overlap each other. Disclosed is a potted plant capable of controlling a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onfigured to be able to control the water level remaining in the pot body and the potted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조절관은 상기 배수관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밀착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control pipe is configured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of the drain pip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 조절관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밀착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pipe is configured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of the drain control pip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어느 하나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다른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Preferably, any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formed in a diagonal shap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It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어느 하나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다른 하나는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하나의 사선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또다른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된다. Preferably, any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formed in a diagonal shap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It extends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other diagonal line having a different angle from the one diagonal lin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어느 하나는 직각을 이루는 한 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 중의 다른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Preferably, any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with one side forming a right angl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is One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 중 외측에서 삽입 결합하는 어느 하나의 중공형 관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 중 내측에서 삽입 결합하는 다른 하나의 중공형 관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의 회전 시에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에 의해 상기 회전이 가이드 된다. Preferably, a guide groov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y one hollow tube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outside among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and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hollow tube, a guide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can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The rotation is guided.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홈은 상하 방향의 높이차를 갖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을 상승 또는 하강 이동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으로부터 다른 높이에 있는 또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으로 삽입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Preferably, two or more guide grooves are formed to have a difference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so that the drain control pipe is raised or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When moving down,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can be changed from one guide groove to another guide groove at a different height.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조절관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일측에 상기 배수관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drain control pipe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knob for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pipe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n one sid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3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갖는 대유량 배수관;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대유량 배수관은 상기 배수관보다 더 큰 내경과 더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rge flow rate drain pi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hollow tube structure in which a third drain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respectively. The drain pipe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and a larger height than the drain pip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필터 구멍이 형성되고 중공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상부와 측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결합하여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필터 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member having a filter hole formed therein and extending in a hollow shape, and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rained water by combining the upper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to cover the upper part and the side surface; further including.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관은 화분 본체부의 바닥부의 상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pipe is integrally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of the pot body part.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 본체부의 측벽부의 하부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가 상기 관통공의 내경면에 삽입되어 탄성 복원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L" 형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가 상기 실리콘 고무 호스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된다. Preferably,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flowerpot body, and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ightly coupled by elastic restoration.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formed in an "L" shape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 본체부의 측벽부의 내측에 상기 배수관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돌출편이 형성된다. Preferably, a guide protrusion for restrict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drain pip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of the pot body part.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 본체부의 바닥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가 상기 관통공의 내경면에 삽입되어 탄성 복원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직선형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가 상기 실리콘 고무 호스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된다. Preferabl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lowerpot body part, and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ightly coupled by elastic restor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formed in a straight line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 조절관은 상기 배수관보다 더 연질 소재로 형성된다. Preferably, the drain control pipe is formed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drain pipe.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담수 용기를 위한 배수 구조로서, 상기 담수 용기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 측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선형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형 구간의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배수관로홀이 형성된 배수관;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배수관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한 배수 조절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조절관이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높이와 회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의 크기와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의 배수 유량과 용기 내에 잔존하는 유체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수 구조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ainage structure for a fresh water container including a bottom part and a side wall part, and it is provided in the fresh water container, and includes a linear s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art, the upper part and a drain pipe having a hollow pipe structure in which a first drain through hole is formed at a lower end, respectively, and a first drain pipe hol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linear section; and a hollow tube structu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ing a second drainage through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and a second drain pipe hol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part is formed, the drain pipe It includes; a drainage control pipe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By adjusting the , the size and height of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overlap are changed, so that the fluid drained through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hole and the second drain hole overlap is drained. Disclosed is a drainage structure configured to enable control of a flow rate and a level of a fluid remaining in a contain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필터 구멍이 형성되고 중공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상부와 측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결합하여 배수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필터 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member having a filter hole formed and extending in a hollow shape, and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rained fluid by combining the upper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to cover them; further includ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분 바닥면 및/또는 측면 측을 통해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특히 상하 적층 결합 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식물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화분별로 물의 수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during drainage through the bottom and/or side of the po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differently for each pot.

또한 본 발명은,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배수용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배수관과 별도로 대유량 배수관이 구비되므로, 상층 화분을 거쳐서 하층 화분으로 물 공급 시에도 하층 화분에 신속한 물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hrough-hole for drainage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age control pipe, respectively, or a large flow rate drain pip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rain pipe, eve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t through the upper pot, water is quickly supplied to the lower po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화분의 적층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화분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배수관로홀 및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의 크기와 높이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설치 상태 모식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분의 하부측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설치 상태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ed state of the flowerpot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flowerpot of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ze and height of a region where a first drain hole and a second drain hole overlap are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are schematic view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schematic view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for drain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arranged and connected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1st, 2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ing",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represent the pres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be present or added. It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화분의 적층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화분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ed state of the flowerpot of FIG. 8,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flowerpot of FIG.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복수의 화분(10-1~10-3)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고 배수관(120)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낙하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화분이다. 변형예로서,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하나의 층으로 설치되어 하부로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층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화분(10)이 측면에 형성된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예, 끼움식, 슬라이딩식)을 통해 횡방향으로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 The flowerpot 10 of this embodiment is a flowerpot that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10-1 to 10-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ropping water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drain pipe 120 . As a modification, the flowerpot 10 of this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one layer and configured to drain water downward, and various known fastening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10 constituting one layer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They can als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eg, fitting type, sliding type).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화분 본체부(100)와 화분 케이싱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복수의 화분(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면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분 케이싱부(200)가 없이 화분 본체부(100)만 있어도 되며, 화분 본체부(100)의 형상도 공지의 다양한 화분 형상 중의 어느 하나가 되어도 좋다. 변형예의 하나로서, 도 24 및 도 25에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20)로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화분 본체부(100')가 예시되어 있다. 도 24 및 도 25의 화분은 화분 본체부(100')만으로 구성된다. 화분 본체부(100')의 형상은 타원형 통의 형상, 원형 통의 형상, 다각형 통의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The flowerpot 1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he flowerpot body part 100 and the flowerpot casing part 200, but if it is 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flowerpots 10 by stacking and combining them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 It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d structure. For example, only the pot body 100 may be used without the pot casing 200 , and the shape of the pot body 100 may be any one of a variety of known pot shapes. As one of the modified examples, the pot body part 100 ′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and inter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20 is illustrated in FIGS. 24 and 25 . The flowerpots of FIGS. 24 and 25 are composed of only the flowerpot body part 100'. The shape of the flowerpot body part 100 ′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n oval shape,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화분을 예로 들면, 화분 본체부(100)는 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부면이 개방된다. Taking the potted plant illustrated in FIGS. 8 to 10 as an example, the pot body part 100 can receive water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화분 본체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114,116)가 구비되며, 수납부(114,116)에는 화분 케이싱부(200)가 끼움 결합된다. 수납부(114,116)는 도 10과 같이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 2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least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114 and 116 are provided in the flowerpot main body 100 , and the flowerpot casing 200 is fitted to the accommodating parts 114 and 116 . The accommodating parts 114 and 116 may be provided with two left accommodating parts 114 and a right accommodating part 116 as shown in FIG. 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분 본체부(100)에는, 후면부(102)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측면 프레임부(104) 및 우측면 프레임부(106)가 전방(F) 측으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프레임부(104)의 전단 측에 좌측 수납부(114)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우측면 프레임부(106)의 전단 측에 우측 수납부(116)가 전방(F)으로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된다. In the pot body part 100, a left side frame part 104 and a right side frame part 10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part 102 toward the front (F) side, and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is formed. The left accommodating part 114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 on the front side of is formed by connecting

화분(10)의 하부면에는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하 적층 시에 결합부의 역할도 한다. A support part (not shown) serving as a leg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pot 10 , and the support part also serves as a coupling part when stacking up and down.

또한, 상기 화분 본체부(100)에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의 중앙측 단부(114a)와 우측 수납부(116)의 중앙측 단부(116a)가 중앙 프레임부(108)를 통해 중앙 측에서 연결된다. 중앙 프레임부(108)는 좌측 수납부(114)와 우측 수납부(116)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하부면에 다리 역할을 하는 지지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flowerpot body part 100 , the central end 114a of the left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central end 116a of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116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side through the central frame part 108 . is connected from The central frame part 108 is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left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116, and a support part (not shown) serving as a le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화분 본체부(100)에는, 상기 후면부(102), 좌측면 프레임부(104), 우측면 프레임부(106),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의 하부 측을 연결하는 바닥부(110)가 형성된다. 바닥부(110)는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art 102 ,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 the right side frame part 106 , the left side receiving unit 114 , and the right side receiving unit 116 are connected to the flowerpot body unit 100 . A bottom portion 110 is formed. The bottom part 110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water.

후면부(102), 좌측면 프레임부(104), 우측면 프레임부(106),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는 바닥부(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보관하는 측벽 기능을 제공하는 점에서, 측벽부(102,104,106,114,116)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rear part 102, the left side frame part 104, the right side frame part 106, the left side receiving part 114, and the right side receiving part 116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part 110 and function as a side wall to store water. In terms of providing , it can be seen as constituting the side wall portions 102, 104, 106, 114, and 116.

또한, 상기 화분 본체부(100)에는,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로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배수관(120)이 연장 형성된다. 배수관(120)은 화분 본체부(100)의 바닥부(110)의 상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1, 도 11),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도 19 내지 도 25). 또한, 배수관(120)의 하단부는 바닥부(110)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도 1, 도 11, 도 22, 도 23), 측벽부(104,106)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도 19 내지 도 21). 상기 화분 케이싱부(200)는 상기 좌측 수납부(114) 및 우측 수납부(116)에 각각 끼움 결합되며 하부에 물 공급용 홀(200a)이 형성된다. 화분 케이싱부(200) 내부에 심겨 있는 꽃이나 식물은 물 공급용 홀(200a)을 통해 화분 본체부(100) 바닥에 보관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flowerpot body part 100 , a drain pipe 120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preset height above the bottom part 110 . The drain pip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110 of the pot body part 100 ( FIGS. 1 and 11 ), or may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 FIGS. 19 to 25 ).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10 ( FIGS. 1 , 11 , 22 , and 23 ), and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the sidewall portions 104 and 106 ( FIGS. 19 to FIG. 19 ). 21). The flowerpot casing part 200 is fitted to the left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116, respectively, and a hole 200a for water supply is formed in the lower part. Flowers or plants planted in the flowerpot casing unit 200 may absorb water stored at the bottom of the flowerpot body unit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200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age control tub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바닥부(110)의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된 배수관(120)을 통해 하층에 위치한 또다른 화분 또는 외부로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flowerpot 10 of this embodiment, th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when draining another flowerpot located on the lower floor o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120 formed to exten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art 110. is configured to

일예로, 화분에 물을 주고 배수 시에 화분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 조절이 필요한데, 이는 각 식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필요시 뿌리가 최소한으로 물에 잠겨 있도록 하는 수위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pot when watering the pot and draining it. This is to set the water level so that the roots can be immersed in water to a minimum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다른예로, 화분 내 수위 조절과 별도로 화분 내의 물에 대해 시간당 배수 유량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마비와 같이 큰 유입 유량으로 화분 내의 식물이 잠깐 전체적으로 물에 흠뻑 젖도록 잠기게 하였다가 식물에 충분한 물을 적셔준 후에 서서히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 유량을 작게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완전히 배수된 상태에서 화분의 식물 뿌리 내에는 산소가 원활이 공급되므로 뿌리가 썩지 않고 활발한 운동을 하다가 일정한 주기에 또다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hourly drainage flow rate for water in the pot separately from controlling the water level in the pot. For example, with a large inflow rate such as during a rainy season, the plants in the pot are immersed in water for a short time, and then after the plants are wetted with sufficient water, the drainage flow rate can be adjusted to be small so that they can be drained gradually. After that, in the completely drained state, oxygen is smoothly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plants in the pot, so that the roots do not rot and they can exercise vigorously and then supply water again at regular intervals.

다른 관점에서, 화분 내에 유입된 물의 배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은, 배수 지연 조건을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화분 내에 큰 유량으로 물이 유입 중인 상태 또는 유입된 상태에서 배수 유량을 작게 되도록 설정하면 배수 지연이 크게 이뤄지도록 설정하는 것과 같으며, 배수 유량을 크게 되도록 설정하면 배수 지연이 작게 이뤄지도록 설정하는 것과 같다. From another point of view, adjusting the drainage flow rate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pot may be viewed as controlling the drainage delay condition. In other words, setting the drainage flow rate to be small when water is flowing in or flowing into the pot at a large flow rate is the same as setting the drainage delay to be large. Setting the drainage flow rate to be large sets the drainage delay to be small it's like doing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flowerpot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rovid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ontrol functions during drainag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배수관(120)과 배수 조절관(130)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flowerpot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rain pipe 120 and a drain control pipe 130 .

상기 배수관(120)은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 측으로 상하 방향(A1-A2)을 따라 연장 형성된 선형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배수용 관통홀(120b,120c)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형 구간의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배수관로홀(120a)이 형성된다. The drain pipe 120 includes a linear section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1-A2)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art 110, and first draining through holes 120b and 120c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respectively. A first drain pipe hole 120a having a hollow tube structure and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linear section.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은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상단이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고,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양단이 폐쇄된 형태일 수도 있다.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may have an open top as illustrated in FIG. 4 , or may have both ends closed as illustrated in FIG. 6 .

상기 배수 조절관(130)은 상하 방향(A1-A2)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배수용 관통홀(130b,130c)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배수관로홀(130a)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조절관(130)은 상기 배수관(120)의 선형 구간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밀착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원활한 밀착 삽입을 위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은 상기 배수관(120)보다 더 연질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drainage control tube 13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1-A2),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 which second drainage through-holes 130b and 130c ar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n one side A second drain pipe hole 130a extending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s forme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formed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of the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120 .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control pipe 130 be formed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drain pipe 120 for smooth insertion.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은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갯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e or mor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may b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을 통해 화분 내부의 물이 배수관(120)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배수용 관통홀(120c)을 통해 배수관(120)로 유입된 물이 화분 하부 측으로 배출된다. Water in the flowerpot flows into the drain pipe 120 through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and the first drai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20 Water introduced into the drain pipe 120 through the receiving through-hole 120c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t.

상단부 측 제1 배수용 관통홀(120b) 및 제2 배수용 관통홀(130b)보다 화분 내 물의 수위가 더 높은 상태에서는 상단부 측 제1 배수용 관통홀(120b) 및 제2 배수용 관통홀(130b)을 통해서도 화분 내부의 물이 화분 하부 측으로 배출되며, 이 경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만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상태보다 더 큰 유량으로 화분 내부의 물이 화분 하부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in the pot is higher than the first through-hole for drainage 120b and the second through-hole 130b for drainage on the upper side, the first through-hole for drainage 120b and the second through-hole for drainage on the upper side ( 130b), the water inside the pot is also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t, and in this case,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only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With a large flow rate, the water inside the pot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t.

상기 구성을 통해, 화분 내 물의 수위가 높을 때에는 상단부 측 제1 배수용 관통홀(120b) 및 제2 배수용 관통홀(130b)을 통해 물의 배수가 더욱 빨리 이뤄질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ot is high, water can be drained more quickly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for drainage 120b and the second through-hole for drainage 130b on the upper end side.

또한, 상기 구성을 통해, 도 2와 같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이 상기 배수관(120)의 내부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A1-A2) 높이와 회전 방향(P1-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크기와 높이(PP1의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배수 유량과 화분 본체부(100)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도 2의 부호 PP1은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최하단 지점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20 ,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1-A2) and the rotation direction (P1-P2) are As at least one is adjusted, the size and height (height of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are changed, so that the first drain pipe pat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ain rate of water drained through the area FA where th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and the level of water remaining in the pot body part 100 . Reference numeral PP1 in FIG. 2 denotes the lowest point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은 화분(10) 내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 통로의 크기를 정의하게 된다.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hole 130a overlap defines the size of the drain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n the flowerpot 10 is drained.

일예로, 도 2의 (a) 상태를 기준으로, 도 2의 (b) 상태가 되도록 제2 배수관로홀(130a)을 P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높이(PP1의 높이)가 더 낮아지게 되므로, 배수 후에 화분 내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가 더 낮아지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rotated in the P2 direction to the state of FIG. 2 (b) based on the state of FIG. 2 (a), the first drain hole 120a and the second Since the height (the height of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drain pipe hole 130a overlaps becomes lower,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maining in the pot after drainage is lowered.

역으로, 도 2의 (b) 상태를 기준으로, 도 2의 (a) 상태가 되도록 제2 배수관로홀(130a)을 P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높이(PP1의 높이)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배수 후에 화분 내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가 더 높아지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rotated in the P1 direction to the state of FIG. 2 (a) based on the state of FIG. 2 (b), the first drain hole 120a and the Since the height (the height of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drain pipe hole 130a overlaps becomes higher, the level of water remaining in the flowerpot after drainage becomes higher.

다른예로, 도 2의 (a) 상태를 기준으로, 도 2의 (c) 상태가 되도록 제2 배수관로홀(130a)을 P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또한 제2 배수관로홀(130a)의 상하 방향(A1-A2) 높이를 낮추게 되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되므로, 시간당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배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높이(PP1의 높이)가 더 낮아지게 되므로, 배수 후에 화분 내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가 더 낮아지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while rotating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n the P2 direction to the state of FIG. 2 (c) based on the state of FIG. (A1-A2) When the height is lowered, the size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becomes larger, so that the drain rate of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per hour this will increase At the same time, since the height (the height of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hole 130a overlap becomes lower, the level of water remaining in the pot after draining is higher. will be lowered

역으로, 도 2의 (c) 상태를 기준으로, 도 2의 (a) 상태가 되도록 제2 배수관로홀(130a)을 P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또한 제2 배수관로홀(130a)의 상하 방향(A1-A2) 높이를 높이게 되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크기는 더욱 작아지게 되므로, 시간당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배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높이(PP1의 높이)가 더 높아지게 되므로, 배수 후에 화분 내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가 더 높아지게 된다. Conversely, while rotating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n the P1 direction to the state of FIG. 2 (a) based on the state of (c) of FIG. A1-A2) If the height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becomes smaller. will decrease At the same time, since the height (the height of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becomes higher, the water level remaining in the pot after drainage becomes higher. do.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 사선, 삼각형, 역삼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은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관로홀(130a)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선 형태는 소정 폭을 갖는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an oblique line, a triangle, an inverted triangle, etc. as shown in FIG. 3 , but as a preferred example, the first drain pip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 hole 120a is formed in the shape of one diagonal lin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formed in the shape of one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agonal line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예를 들어, 상하로 여러 층이 적층된 화분(10) 중에서 상층 화분의 경우, 사용자가 화분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화분 내의 물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게 되므로 빠른 유속으로 하부층의 화분으로 물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 상부에서 물의 공급이 종료된 이후, 물을 화분 내에 유지해야 하는 상태에서는 화분 내의 물의 수위가 낮아질수록 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은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관로홀(130a)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2 배수관로홀(130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의 상하 높이 차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된 배수 구조는 이러한 형태의 배수 제어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 (c) 상태는 이러한 배수 제어 조작에 적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2의 (b)의 상태와 같이 다양한 상태로 배수 제어 조작을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per pot among the pots 10 stacked up and down in several layers,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user supplies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t, the water level in the pot rises rapidly, so the water level in the pot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pot in the lower layer.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After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t is finished, in a state where water needs to be maintained in the pot,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rate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as the water level in the pot is lower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diagonal lin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a single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better to be in the form. As a preferred example, the drain structure formed in a single straight line in which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length smaller than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s of this type To make drainage control operation easier. For example, the states (a) and (c) of Fig. 2 are suitable for such a water drainage control opera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drainage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tes as in the state of FIG. 2B .

변형예로서, 도 3의 (d)와 같이, 상기 제2 배수관로홀(130-1)은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a modification, as shown in (d) of FIG. 3 ,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1 extends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is a diagonal line having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t may be formed in a shape.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상하로 여러 층이 적층된 화분(10)을 예시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층으로 배치된 화분의 경우에도 하부로 물을 배수 시에 본 실시예의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을 위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flowerpot 10 in which several layers are stacked up and dow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flowerpot arranged in one layer, when water is drained downward, th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control of this embodiment Of course, the configuration for the can be applied.

한편,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외부 측면 또는 중공형의 내부 측면에는 상호 간의 삽입 밀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미세한 실링 요소(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일예로, 미세한 실링 요소는 직경이 작은 O 링 형태의 실링 요소가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외부 측면 또는 중공형의 내부 측면에 O 링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실링 패턴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 fine sealing elemen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r the hollow inner side of the drain pipe 120 and/or the drain control pipe 130 to further strengthen the mutually inserted adhesion state. For example, the fine sealing element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a small-diameter O-ring-shaped seal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drain pipe 120 and/or the drain control pipe 130 , and the drain pipe 120 and/or A sealing pattern providing a function similar to an O-ring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r the hollow inner sid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발췌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drain pipe and a drainage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는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배수 조절관(130)이 밀착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와 반대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는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배수관(120)이 밀착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exemplifies a case in which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of the drain pipe 120 , whereas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3 shows the drain control pipe 130 . ) exemplifies a case in which the drain pipe 12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도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3,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an be adjust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 so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배수관로홀(120a)은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배수관로홀(130a)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러한 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의 형상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1 to 3,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diagonal lin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exten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case in which it is formed in a single straight line or formed in a diagonal shape having a different angle from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has been exemplified. ) and the shape of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may be configured to be opposite.

즉,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는, 제1 배수관로홀(120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배수관로홀(130a)이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3 ,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extends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A case in which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oblique line is exemplified.

변형예로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같이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배수관(120)이 밀착 삽입되면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배수관로홀(120a)은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배수관로홀(130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a modific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3 , as the drain pipe 12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diagonal lin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oblique line having different angles.

또다른 변형예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배수 조절관(130)이 밀착 삽입되면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같이 제1 배수관로홀(120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배수관로홀(130a)이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된 하나의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modified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 ,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pipe 120 , and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3 , the first drain pipe The low hole 120a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may be formed in a single diagonal shape extending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또다른 변형예로서,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내부 또는 외부에 배수관(120)이 밀착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 중의 어느 하나는 직각을 이루는 한 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 중의 다른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배수관(120)이 밀착 삽입되고 제2 배수관로홀(130a)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배수관로홀(120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As another modification, any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while the drain pipe 120 is closely inserted into or outside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ght-angled triangle with one side forming a right angl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ormed with 14 is a view in which the drain pipe 120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and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ase in which it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it is exemplified.

도 14와 같이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 중의 어느 하나는 직각을 이루는 한 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로홀(120a) 및 제2 배수관로홀(130a) 중의 다른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a) -> (b)의 조작을 통해 직각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제2 배수관로홀(130a)의 하단부 높이를 조절하여 겹치는 영역(FA)의 높이(PP1의 높이)를 결정하고, (b) -> (c)의 조작을 통해 제2 배수관로홀(130a)의 좌우 회전 위치를 조절하여 겹치는 영역(F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2단계의 조절 방식을 통해 화분의 수위와 배수 유량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및/또는 회전 위치 조절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표면에는 상하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을 따라 눈금 표식이 구비될 수도 있다. 14, any one of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shape with one side forming a right angl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drain pipe hole ( When the other one of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rough the operation of (a) -> (b), it is located at the base of a right triangle. The height of the overlapping area FA (the height of PP1)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second drain hole 130a, and the second drain hole (b) -> (c) is The size of the overlapping area FA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ft/right rotation position of 130a). Through this two-step control method, the water level and drainage flow rate of the po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djusted. A scale mark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rain pipe 120 and/or the drain control pip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rotation direction so as to more accurately adjust the height and/or the rotational posi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4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age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은 상하 방향(A1-A2) 높이와 회전 방향(P1-P2)의 조절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accurately and conveniently guiding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and rotation direction (P1-P2) in the vertical direction (A1-A2).

이를 위해, 도 4 또는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0d)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20d)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130d)가 형성된다. 가이드 홈(120d) 및 가이드 돌기(130d)는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갯수 및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4 or FIG. 6 , a guide groove 120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of the drain pipe 120 , A guide protrusion 130d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0d and can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At least one guide groove 120d and one guide protrusion 130d may b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number and location are not limited.

상기 구성을 통해, 외력(사용자의 수조작)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의 회전(P1 또는 P2) 시에 상기 가이드 홈(120d) 및 가이드 돌기(130d)에 의해 배수 조절관(130)의 회전이 가이드된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ainage control pipe 130 is rotated (P1 or P2) by an external force (manual operation by the user), the drainage control pipe 130 by the guide groove 120d and the guide protrusion 130d. rotation is guided.

더욱 바람직하게,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가이드 홈(120d)은 상하 방향의 높이차를 갖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예,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More preferably, as illustrated in FIG. 5 , two or more guide grooves 120d ar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elastically deformed. It is formed of a material (eg,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do this.

상기 구성을 통해,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을 상승 또는 하강 이동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130d)가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120d)으로부터 다른 높이에 있는 또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120d)으로 삽입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삽입 위치의 변경 시에 가이드 돌기(130d) 및/또는 가이드 홈(120d)은 외력에 의해 미세하게 탄성 변형 및 복원 현상이 이뤄지게 된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moved up or down by an external force, the guide protrusion 130d is another guide groove 120d at a different height from any one guide groove 120d. ) to change the insertion position. When the insertion position is changed, the guide protrusion 130d and/or the guide groove 120d is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and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한편, 본 실시예의 배수관(120)은 회전 방향(P1-P2)의 사용자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 pipe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convenient user manipul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P1-P2).

이를 위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은, 상기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내부에 밀착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배수관(120)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배수관(120) 외부로 돌출된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일측에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130e)를 구비한다. 조절 손잡이(130e)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배수 조절관(130)의 회전(P1 또는 P2)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rain pipe 120 while closely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of the drain pipe 120 , and the drain pipe 120 )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knob 130e for easil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r low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By using the control knob 130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rotation (P1 or P2)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15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age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n excerpted and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and a drain control pipe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20d)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20d)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130d)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의 위치가 반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4 to 6, a guide groove 120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pipe 120, and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emplifies a case in which a guide protrusion 130d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0d and can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may be configured to be the opposite.

즉, 도 15 내지 도 17의 실시예는 배수 조절관(130)의 중공형 관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130d)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120)의 중공형 관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30d)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120d)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S. 15 to 17 , a guide groove 130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control pipe 130 , and the hollow pipe of the drain pipe 120 . A case in which a guide protrusion 120d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0d and can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xemplified.

도 15 내지 도 17의 실시예도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에 의해 배수 조절관(130)의 회전이 가이드 되는 구성이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15 to 17,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drainage control pipe 130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can be made in a manner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4 to 6 , so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5의 실시예는, 가이드 홈(120d)이 상하 방향의 높이차를 갖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을 상승 또는 하강 이동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130d)가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120d)으로부터 다른 높이에 있는 또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120d)으로 삽입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러한 구성도 도 16과 같이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의 위치가 상호 반대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5 , two or more guide grooves 120d ar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eg,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guide protrusion 130d is at a different height from any one of the guide grooves 120d when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moved up or down by an external force. The case where the insertion position can be changed with the guide groove 120d of the has been exemplified, and as shown in FIG. 16 , the positions of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trus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즉, 도 16의 실시예는 배수 조절관(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0d)이 상하 방향의 높이차를 갖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을 상승 또는 하강 이동 시에 상기 가이드 돌기(120d)가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130d)으로부터 다른 높이에 있는 또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130d)으로 삽입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경우를 예시한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16 , two or more guide grooves 130d formed in the drainage control pipe 130 ar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ainage control pipe 130 is raised or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An example in which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20d can be changed from one guide groove 130d to another guide groove 130d at a different height during movement is exemplified.

도 15 내지 도 17의 실시예도 회전 방향(P1-P2)의 사용자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더욱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 조절관(130)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일측에 회전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 손잡이(130e)를 구비한다. 15 to 17 als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convenient user manipula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P1-P2). To this e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knob 130e for easily adjusting the rotation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상하 적층 결합 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상층 화분을 거쳐서 하층 화분으로 물 공급 시에 하층 화분에 신속한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배수관(120)이 이물질로 인하여 막혔을 때 화분내의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대유량 배수관(1120)을 더욱 포함한다. The pot 10 of this embodiment enables rapid water supply to the lower pot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t through the upper pot in the pot of the upper and lower stacked combination structure, and when the drain pipe 120 is clogged due to foreign substances, A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back, it further includes a large flow rate drain pipe 1120 .

상기 대유량 배수관(1120)은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3 배수용 관통홀(1120b,1120c)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갖는다. The high flow rate drain pipe 1120 has a hollow tube structure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bottom part 110 and having third through-holes 1120b and 1120c form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respectively.

또한, 상기 대유량 배수관(1120)은 상기 배수관(120)보다 더 큰 내경과 더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arge flow rate drain pipe 11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and a larger height than the drain pipe 120 .

예를 들어, 상하로 여러 층이 적층된 화분(10) 중에서 상층 화분의 경우,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화분 내의 물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게 되므로 빠른 유속으로 하부층의 화분으로 물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에서 물의 공급이 종료된 이후, 물을 화분 내에 유지해야 하는 상태에서는 화분 내의 물의 수위가 낮아질수록 물이 하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per pot among the pots 10 stacked up and down in several layers, in the initial state of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the water level in the pot rises rapidly, so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pot of the lower layer at a fast flow rate. it is preferable After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outside is terminated, in a state in which water must be maintained in the pot,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rate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as the water level in the pot is lowered.

도 7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화분 내의 물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때에는 대유량 배수관(1120)을 통해 물의 배수 유량을 증가시켜 빠른 배수를 유도하고, 물의 수위가 낮아져서 물을 화분 내에 유지해야 하는 상태에서는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을 통해 미리 조절된 감소 유량 및 수위에 맞추어 배수가 이뤄지도록 단계별 배수 제어가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aking the configuration of FIG. 7,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ot rises rapidly, the water drain rate is increased through the large flow rate drain pipe 1120 to induce fast drainage,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to keep the water in the pot. Through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ainage step-by-step so that drainag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duced flow rate and water level adjusted in advance.

또한 도 7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하 적층 결합 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상층 화분을 거쳐서 하층 화분으로 물 공급 시에 하층 화분에 신속한 물 공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aking the configuration of FIG. 7 ,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t through the upper pot in the pot of the upper and lower stacked combin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supply water to the lower pot.

또한, 도 7의 구성을 취하는 경우, 배수관(120)이 이물질로 인하여 막혀 화분 내 수위 상승 시에 대유량 배수관(1120)을 통해 화분내의 물이 배수되므로 화분 외부로 물이 역류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ak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 7, the water in the pot is drained through the large flow rate drain pipe 112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ot rises because the drain pipe 120 is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can

바람직하게, 대유량 배수관(1120)의 물 유입 측인 상단부 측 제3 배수용 관통홀(1120b)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요소는 도 18의 상판부(302)의 형태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ird through-hole for drainage 1120b on the upper end side, which is the water inlet side of the large-flow drainage pipe 1120 , may include a filter elemen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Such a filter element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302 of FIG. 18 .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이다.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분은 필터 부재(3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lowerpot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300 .

필터 부재(300)는, 필터 구멍(302a,304b)이 형성되고 중공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의 상부와 측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결합하여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The filter member 300 has filter holes 302a and 304b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hollow shape, and the water drained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to cover them. It is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도 18에 예시된 필터 부재(300)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 필터 구멍(302a)이 형성된 상판부(302)와 상기 상판부(302)의 하부측으로 중공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 필터 구멍(304a)이 형성된 원통부(304)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상부와 측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The filter member 300 illustrated in FIG. 18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to extend hollowly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302 in which the first filter hole 302a is formed and the upper plate part 302, and has one or more products on the side surface. 2 It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304 having a filter hole 304a formed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rain pipe 120 and/or the drain control pipe 130 to cover the upper part.

특히,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은 크기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 영역을 가로막는 경우, 원하는 바의 수위 조절이나 배수량 조절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필터 부재(300)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can be finely adjusted in size. It may not be possible to control the water level or the displacement of the bar. The filter member 300 is installed to prevent this problem.

바람직하게, 필터 부재(300)는 배수관(120) 및/또는 배수 조절관(130)의 외측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제1 배수관로홀(120a)과 제2 배수관로홀(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크기 조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filter member 300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20 and/or the drain control pipe 130 so that the first drain pipe hole 120a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130a overlap. It is configured not to affect the size adjustment of the area FA.

필터 부재(300)는 도 18에 예시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원뿔형, 다각형 기둥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 The filter member 3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llustrated in FIG. 18 ,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 conical shape and a polygonal column shape are possible.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설치 상태 모식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분의 하부측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 및 배수 조절관의 설치 상태 모식도이다.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0 and 21 are a plurality of flowerpots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for connection, FIGS. 22 and 23 are schematic view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control pipe for drain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lower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120)은 화분 본체부(100)의 바닥부(110)의 상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1, 도 11),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도 19 내지 도 25). 또한, 배수관(120)의 하단부는 바닥부(110)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도 1, 도 11, 도 22, 도 23), 측벽부(104,106)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도 19 내지 도 21).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pip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flowerpot body portion 100 ( FIGS. 1 and 11 ), or may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 FIGS. 19 to 19 ). Fig. 25).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10 ( FIGS. 1 , 11 , 22 , and 23 ), and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the sidewall portions 104 and 106 ( FIGS. 19 to FIG. 19 ). 21).

특히, 도 19 내지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20,22)를 이용하여 배수관(120)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s. 19 to 23, a case in which the drain pipe 120 is prefabricated using the hollow silicone rubber hoses 20 and 22 is exemplified.

일예로, 도 19 내지 도 21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화분 본체부(100)의 측벽부(106)의 하부측에 관통공(10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06a)의 내경(d11)보다 더 큰 외경(d22)을 갖는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20)가 상기 관통공(106a)의 내경면에 삽입되어 탄성 복원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L" 형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관(2120)의 하단부가 상기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중공부 내면측(20-1)에 삽입 설치된다.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S. 19 to 21 , a through hole 106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06 of the flowerpot body 100 , and the inner diameter d11 of the through hole 106a .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20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d22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6a to form a closely coupled state by elastic restoration, and the drain pipe formed in an “L” shape The lower end of the 21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ner surface side 20-1 of the silicone rubber hose 20 and installed.

상기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화분은, 하나의 화분(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이 인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하나의 화분(10)의 제1 관통공(104a)과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의 제2 관통공(106a)을 상호 연결하는 물공급관(20)을 통해 하나의 화분(10) 내에 보관된 물을 또다른 하나의 화분(10)으로 횡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lowerpot of this embodiment has a first through hole 104a of one flowerpot 10 in a state where another flowerpot 10 is located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one flowerpot 10 . Water stored in one flowerpot 1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20 interconnecting the second through-hole 106a of another flowerpot 10 with the other flowerpot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designed to be supplied with

또한, 이러한 횡방향 물공급 과정에서 배수관(2120)의 제1 배수관로홀(2120a)과 배수 조절관(2130)의 제2 배수관로홀(2130a)이 겹치는 영역(FA)의 크기와 높이(PP1의 높이)를 조절하여 횡방향으로 배수되는 물의 배수 유량과 화분(10)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lateral water supply process, the size and height (PP1) of the area F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2120a of the drain pipe 2120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2130a of the drain control pipe 2130 overlap. height) to control the drainage flow rate of water dra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evel of water remaining in the flowerpot 10 .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화분(10)은 반드시 하나의 또다른 화분(10)과만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의 물공급관 연결 구조를 여러 측면에 각각 적용하여 전후,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한 2 이상의 화분(10)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one flowerpot 10 is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only one other flowerpot 10, and by applying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to several sides, respectively, two or more located in front, rear, top, bottom, or left and right It can be connected to the flowerpot 10 at the same time.

상기 물공급관(20)은 상기 관통공(104a,106a)의 내경(d11)보다 더 큰 외경(d22)을 갖는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로서, 외력(예, 작업자의 손 또는 기구로 누르는 힘)에 의해 외경(d22)이 탄성 축소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104a,106a)에 삽입 가능하고, 관통공(104a,10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의 제거에 의해 상기 외경(d22)이 탄성 복원되어 상기 관통공(104a,106a)의 내경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pipe 20 is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having an outer diameter d22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d11 of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and an external force (eg, a force pressing with the operator's hand or instrument) The outer diameter d22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in an elastically reduced state by the and is configured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일반적으로 화분(10)에는 많은 양의 물이 담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압이 높지 않으므로, 실리콘 고무 호스의 뛰어난 탄성 복원력만으로도 충분히 화분(10)의 관통공(104a,106a)에 대한 밀착 결합이 가능하고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관의 두께(외경과 내경의 차이 두께)가 두꺼운 실리콘 고무 호스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양호한 복원력 및 밀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고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물공급관(20)의 외면이 관통공(104a,106a)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외력(F1 또는 F2)에 의해 물공급관(20)이 관통공(104a,106a)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general, 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is not contained in the flowerpot 10, the water pressure is not high, so only the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ilicone rubber hose is sufficient for close bonding to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of the flowerpot 10, and Water leakage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when a silicone rubber hose with a thick tube thick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is used, better restoring force and adhesion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20 strongly adheres to the through holes 104a and 106a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ilicone rubber, water leakage is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water supply pipe 20 penetrates by the external force F1 or F2. Disengagement from the balls 104a and 106a is prevented.

일예로, 관통공(104a,106a)의 내경(d11)이 9.5 mm 인 경우, 물공급관(20)의 외경(d22)은 10 mm, 내경(d21)은 6 mm일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2120)의 하단부의 외경은 도 20의 경우 물공급관(20)의 내경(d21)보다 크면 되며 도 21의 경우 물공급관(20)의 내경(d21)보다 크면서 관통공(104a,106a)의 내경(d11)보다는 작아야 한다. For example, when the inner diameter d11 of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is 9.5 mm, the outer diameter d22 of the water supply pipe 20 may be 10 mm, and the inner diameter d21 may be 6 mm, and the drain pipe 2120 )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21 of the water supply pipe 20 in the case of FIG. 20, and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21 of the water supply pipe 20 in the case of FIG. d11).

본 실시예의 실리콘 고무 호스는 예를 들어, 의료장비용 또는 식품기계용 등으로 시판되는 공지의 실리콘 고무 호스가 사용될 수 있다. As the silicone rubber hose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well-known silicone rubber hose commercially available for medical equipment or food machines may be used.

압축영구줄음율 측면에서, 일반 유기계 고무의 압축영구줄음율은 온도 변화에 따라 현저하게 증대되는데 반해 실리콘 고무는 -100~250℃까지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탄성 및 복원력이 유지되므로 극심한 조건하에서 압축 변형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In terms of compression set, compression set of general organic rubber significantly increases with temperature change, whereas silicone rubber maintains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n a wide temperature range from -100 to 250 ° C. Even when this is required, excellent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압축저항성 측면에서, 실리콘 고무는 -85~260℃의 온도 사이에서 누르면 원형으로 돌아오는 복원 특성을 가지고 있다. In terms of compression resistance, silicone rubber has a restoring property tha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pressed at a temperature of -85 to 260°C.

내후성 측면에서, 실리콘 고무는 다른 유기계 고무와 달리 분자구조 내 대기층의 산소, 오존, 자외선 등과 반응하여 균열을 발생케하는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나 장기간 옥외에 방치하여도 물성 변화가 거의 없다. In terms of weather resistance, unlike other organic rubbers, silicone rubber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because there is no double bond that reacts with oxygen, ozone, and ultraviolet rays in the atmosphere in the molecular structure to cause cracks, so there is little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even when left outdoors for a long time .

본 발명자는 이러한 실리콘 고무의 우수한 탄성 및 복원 특성, 내후성 등에 착안하여, 실리콘 고무 호스를 물공급관(20)으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패킹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관통공(104a,106a)에 삽입하여도 외부 기후(예, 온도 변화, 산화, 오존,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물이 누설되지 않는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리콘 고무 호스의 특징은 다른 유기계 고무에서는 얻을 수 없는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ors, paying attention to the excellent elasticity and restoration characteristics, weather resistance, etc. of the silicone rubber, when using a silicone rubber hose as the water supply pipe 20, insert it into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without using a separate packing memb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bonding state in which water does not leak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affected by external climate (eg, temperature change, oxidation, ozone, ultraviolet rays,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ilicone rubber hoses are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other organic rubbers.

바람직하게, 화분 본체부(100)는 실리콘 고무 호스보다 더욱 경질의 소재(예,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외경(d22)이 탄성 축소된 상태로 상기 관통공(104a,106a)에 삽입된 상기 물공급관(20)이 외력의 제거에 의해 탄성 복원 시에, 상기 물공급관(20)의 외측면과 화분 본체부(100)의 관통공(104a,106a)은 강한 밀착 상태를 형성하게 되므로, 물의 누설이 방지되며 외력에 의해 물공급관(20)이 관통공(104a,106a)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공급관(20)도 실리콘 고무 호스보다 더욱 경질의 소재(예,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pot body part 100 is formed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silicone rubber hose (eg, hard synthetic resin). Through this, when the water supply pipe 20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d22 is elastically reduced by an external force is elastically restored by removing the external force, the water supply pipe 20 Since the outer surface of and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of the pot body part 100 form a strong contact state, water leakage is prevented, and the water supply pipe 20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by an external for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pipe 20 is also formed of a material (eg, hard synthetic resin) that is harder than the silicone rubber hose.

물공급관(20)이 결합되지 않은 측면의 관통공(104a,106a)은 탄성 소재의 마개(190)로 막을 수 있다. The through-holes 104a and 106a of the side to which the water supply pipe 20 is not coupled may be blocked with a stopper 19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 본체부(100)의 측벽부(106)의 내측에 상기 배수관(2120)의 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돌출편(150)이 형성된다. Preferably, a guide protrusion piece 150 for limit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drain pipe 2120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part 106 of the pot body part 100 .

일예로, 가이드 돌출편(150)은 측벽부(106)의 내측으로부터 평행하게 돌출된 2개의 돌출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평행한 돌출편 사이 공간에 "L" 형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관(2120)의 상단부(선형 구간)가 위치하여 기울어짐 등의 횡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For example, the guide protruding piece 1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wo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in parallel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06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end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2120 formed in an “L” shape is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parallel protruding pieces to prevent lateral movement such as inclination.

배수관(2120)의 하단부는, 도 20에 예시된 것처럼 관통공(106a)을 통과하지 않고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만 이룰 수도 있고, 도 21에 예시된 것처럼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관통공(106a)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0의 경우 배수관(2120)의 하단부를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고, 도 21의 경우 배수관(2120)의 하단부가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실리콘 고무 호스(20)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2120 may only be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06a as illustrated in FIG. It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06a) in a state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of the hose (20). In the case of FIG. 20,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2120 only need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20, so there is an advantage of convenient installation work, and in the case of FIG. 21,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2120 is a silicone rubber hose Since it provides a pressing force from the inside of the (20)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of making the bonding state of the silicone rubber hose (20) more robust.

한편, 도 22 내지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화분 본체부(100)의 바닥부(110)에 관통공(11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a)의 내경(d11)보다 더 큰 외경(d22)을 갖는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22)가 상기 관통공(110a)의 내경면에 삽입되어 탄성 복원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직선형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관(3120)의 하단부가 상기 실리콘 고무 호스(22)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된다. 부호 3130은 배수관(3120)에 삽입 결합되는 배수 조절관, 부호 3120a는 제1 배수관로홀, 부호 3130a는 제2 배수관로홀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S. 22 to 23 , a through hole 110a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110 of the flowerpot body part 100 , and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d11 of the through hole 110a is larger.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22 having (d22)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0a to form a close-coupled state by elastic restor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3120 formed in a straight line is the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22). Reference numeral 3130 denotes a drain control pip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drain pipe 3120 , reference numeral 3120a denotes a first drain pipe hole, and reference numeral 3130a denotes a second drain pipe hole.

도 22 내지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도 25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화분(10)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물공급을 하는 배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리하다. 22 to 23, it is advantageous to construct a drainage system for supplying wat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lowerpots 10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5 .

도 2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pots are connect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tate of arranging and connecting.

도 24 및 도 25에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중공형의 실리콘 고무 호스(20)로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화분 본체부(100')가 예시되어 있다. 24 and 25 illustrate a pot body part 100 ′ that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can be inter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a hollow silicone rubber hose 20 .

상기 화분 본체부(100')에는 관통공(104a',106a')이 측벽부에 형성되고, 물공급관(20)을 통해 복수의 화분 본체부(100')가 연결된다. Through-holes 104a ′ and 106a ′ ar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flowerpot body portion 100 ′, and a plurality of flowerpot body portions 100 ′ are connec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0 .

도 24 및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연결을 위해 상술한 "L" 형 배수관(2120)과 배수 조절관(2130)이 사용되며, 하측으로 배수하여 하측에 위치한 또다른 화분 본체부(100')에 상하 방향의 물공급을 하기 위해 상술한 도 22 내지 도 23의 선형 배수관(3120)과 배수 조절관(3130)이 사용된다. 24 and 25, the above-described "L"-shaped drain pipe 2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2130 are used for lateral connection, and another pot body part 100 that is drained to the lower side and located at the lower side '), the linear drain pipe 3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3130 of FIGS. 22 to 23 are used to supply wa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화분 설치용 프레임(2)에 복수의 화분 본체부(100')를 상기와 같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하면, 하나의 화분 물공급 시스템의 형태로, 전체 화분(10)의 물높이 및 배수 속도를 조절하면서 A1->A2->,...->A9의 순서로 배수 및 물공급이 가능하다. When a plurality of flowerpot body parts 100'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on the frame 2 for planting, in the form of one planter water supply system, the water level and drainage speed of the entire planter 10 Drainage and water supply are possible in the order of A1->A2->,...->A9 while adjusting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배수관(120) 및 배수 조절관(130)을 이용한 배수 구조는 예시 설명한 화분 이외에도, 복수의 용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낙하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담수 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담수 용기는 물을 포함하여 기름, 화학 약품 등 다양한 유체를 보관하는 용기일 수 있으며, 또한 배수 구조는 물을 포함하여 기름, 화학 약품 등 다양한 유체의 배수 시에 배수 유량(배수 지연) 및 수위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age structure using the drain pipe 120 and the drain control pipe 13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potted plant described as an example,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by stacking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ropping wa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a fresh water container for a variety of uses. The fresh water container may be a container for storing various fluids, such as oil and chemicals, including water, and the drainage structure controls the drainage flow rate (drainage delay) and water level when draining various fluids, including water, oil, chemicals, etc. make this easy to do.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modifications.

10: 화분
100: 화분 본체부
102: 후면부
104: 좌측면 프레임부
106: 우측면 프레임부
108: 중앙 프레임부
110: 바닥부
114: 좌측 수납부
116: 우측 수납부
120: 배수관
120a: 제1 배수관로홀
120b,120c: 제1 배수용 관통홀
120d: 가이드 홈
130: 배수 조절관
130a: 제2 배수관로홀
130b,130c: 제2 배수용 관통홀
130d: 가이드 돌기
130e: 조절 손잡이
200: 화분 케이싱부
200a: 물 공급용 홀
1120: 대유량 배수관
10: flowerpot
100: pot body part
102: rear part
104: left side frame portion
106: right side frame portion
108: central frame portion
110: bottom
114: left compartment
116: right side storage
120: drain pipe
120a: first drain pipe hole
120b, 120c: first through-hole for drainage
120d: guide groove
130: drain control pipe
130a: second drain pipe hole
130b, 130c: second through-hole for drainage
130d: turn guide
130e: adjustment knob
200: flowerpot casing part
200a: hole for water supply
1120: high flow drain pipe

Claims (6)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화분 본체부;
상기 화분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선형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형 구간의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배수관로홀이 형성된 배수관;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가지며 하단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배수관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한 배수 조절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조절관이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높이와 회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의 크기와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배수 유량과 화분 본체부에 잔존하는 물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a flowerpot body including a bottom and a side wall;
It is provided in the flowerpot body, and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cluding a linear s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drainage through hole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 is measur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linear section. a drain pipe having a first drain pipe hole formed so as to extend; and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 which second drainage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nd has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part, and a second drain pipe hole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lower end, It includes; a drain control pipe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An are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overlap as the drain control pipe adjusts at least one of a vertical height and a rotation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control pipe is inserted and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The size and height of the drain pipe are changed, so that the drain flow rate of water drained through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overlap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remaining in the flowerpot body can be adjusted. possible flowerp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측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ipe is a flowerpo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pipe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L"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ipe is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and the water level and drainage rate can be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화분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ipe is a flowerpot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ainage flow rate and water lev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ot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화분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된 실리콘 고무 호스의 중공부 내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 pipe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of the silicone rubber hose closely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ot body part.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는 담수 용기를 위한 배수 구조로서,
상기 담수 용기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선형 구간을 포함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선형 구간의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배수관로홀이 형성된 배수관;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배수용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중공형 관 구조를 가지며, 측면부 일측에 상하 높이 차이를 가지며 하단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2 배수관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한 배수 조절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조절관이 상기 배수관의 선형 구간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높이와 회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의 크기와 높이가 변경되어, 상기 제1 배수관로홀과 제2 배수관로홀이 겹치는 영역을 통해 배수되는 유체의 배수 유량과 용기 내에 잔존하는 유체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수 구조.
A drainage structure for a fresh water contain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wall portion, comprising:
It is provided in the freshwater container, and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cluding a linear s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drainage through hole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respectively, so as to have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linear section a drain pipe having an extended first drain pipe hole formed therein; and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a hollow tube structure in which second drainage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nd has a vertical height difference on one side of the side part, and a second drain pipe hole is formed to extend to have a lower end, It includes; a drain control pipe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An are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overlap as the drain control pipe adjusts at least one of a vertical height and a rotation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in control pipe is inserted and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ear section of the drain pipe The size and height of the drain structure are changed so that the drain flow rate of the fluid drained through the area where the first drain pipe hole and the second drain pipe hole overlap and the water level of the fluid remaining in the container can be adjusted.
KR1020210142974A 2020-10-21 2021-10-25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KR2022005285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48 2020-10-21
KR20200136848 2020-10-21
KR1020210060941A KR102319860B1 (en) 2020-10-21 2021-05-11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41A Division KR102319860B1 (en) 2020-10-21 2021-05-11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53A true KR20220052853A (en) 2022-04-28

Family

ID=785193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41A KR102319860B1 (en) 2020-10-21 2021-05-11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KR1020210142974A KR20220052853A (en) 2020-10-21 2021-10-25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41A KR102319860B1 (en) 2020-10-21 2021-05-11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986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20Y1 (en) 2001-03-02 2001-07-03 김견목 A flowerpot
KR101774647B1 (en) 2015-09-23 2017-09-05 현병찬 Water reservoir for pot
KR102115913B1 (en) 2019-07-22 2020-05-27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Flowerpo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2445B2 (en) * 2002-05-10 2006-07-26 有限会社アスク Planting pot
KR200448401Y1 (en) * 2009-08-12 2010-04-09 이정문 Flowerpot to having keep and draining water
KR101873148B1 (en) * 2017-02-08 2018-06-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ydroponic cultivating apparatus
KR102238792B1 (en) * 2020-04-02 2021-04-09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Flowerpot equipped with water supply pi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20Y1 (en) 2001-03-02 2001-07-03 김견목 A flowerpot
KR101774647B1 (en) 2015-09-23 2017-09-05 현병찬 Water reservoir for pot
KR102115913B1 (en) 2019-07-22 2020-05-27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Flower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860B1 (en)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2924A (en) Planter assembly having automatic water-feeding and drying intervals
CA2745877C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KR102115913B1 (en) Flowerpot
BR112016011026B1 (en) auto-irrigation system for multiple plant containers
JP4431774B2 (en) Running water seedling pot stand
KR101248076B1 (en)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CN103250618A (en) Automatic water infiltrating irrigation device
CN108064597B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ing plant growth
KR20210123196A (en) Flowerpot equipped with water supply pipe
KR102319860B1 (en)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KR101007875B1 (en) Plant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KR100997306B1 (en) Cover structure for a flowerpot
KR102406445B1 (en) Flowerpot with adjustable drainage flow and water level and drainage structures for the same
KR101280123B1 (en) Port table
KR101267938B1 (en) Planter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water
KR20070093504A (en) Padestal for installing a vegetation mat
KR101231973B1 (en) Indoor cultivation appliance
KR200329599Y1 (en) Drip-watering flowerpot
JPH0746140Y2 (en) Water level adjustment tank used in brackishing method
KR102621702B1 (e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for agricultural
KR20170001235U (en)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KR101868233B1 (en) A humidifier to use a watering plants
KR102249825B1 (en) Flowerpot
KR100458278B1 (en) A plant cultivation port using non-woven fabric
KR102109776B1 (en)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pot with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