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601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601A
KR20220052601A KR1020200136737A KR20200136737A KR20220052601A KR 20220052601 A KR20220052601 A KR 20220052601A KR 1020200136737 A KR1020200136737 A KR 1020200136737A KR 20200136737 A KR20200136737 A KR 20200136737A KR 20220052601 A KR20220052601 A KR 2022005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sound signal
frequency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한
박정근
정성훈
한종희
김기연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601A/ko
Priority to PCT/KR2021/012599 priority patent/WO2022085953A1/ko
Priority to EP21883025.5A priority patent/EP4201324A4/en
Priority to CN202180072310.2A priority patent/CN116348030A/zh
Publication of KR2022005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601A/ko
Priority to US18/123,535 priority patent/US202302256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및 스피커, 마이크,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드라이버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피커를 통해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제4 주파수 및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마이크를 통해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청력 검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 청각 기기의 사용의 증가로 인해 난청을 가진 사용자가 증가하고, 난청의 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 제조사들의 전자 장치를 이용한 개인 청력 검사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기존 청력 검사 방식으로는, PTA(pure tone audiometry) 방식, 일과성유발이음향방사(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TEOAE) 방식 또는 변조이음향방사(distortion production otoacoustic emission, DPOAE) 방식 등이 있다.
PTA 방식은 무향실에서 순음을 출력하고, 출력된 순음을 들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수동 검사 방식으로, 다양한 청각 기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장시간 검사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일과성유발이음향방사 방식은 넓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한 소리를 순간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시간 지연을 갖는 응답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여, 시간에 따른 응답 특성을 보고 주파수 별 모세포(hair cell)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일과성유발이음향방사 방식의 경우 한 쪽 귀 당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검사할 수 있으나, 주변 소음에 취약하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변조이음향방사 방식은 한 쪽 귀 당 f1 및 f2의 주파수를 갖는 두 개의 순음 신호를 각각 두 개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응답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여, 응답 소리에 포함된 출력하지 않은 2f1-f2의 주파수를 갖는 3차 저주파 상호왜곡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청력을 검사하는 방식이다. 변조이음향방사 방식은 정확도가 높고 소음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변조이음향방사 방식은 난청의 조기 발견에 유리하나, 원하지 않는 왜곡 신호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쪽 귀 당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한다. 즉, 한 쪽 귀에 대응되는 하나의 청각 기기에 두 개의 스피커가 별도로 동작해야만 하므로, 한 쪽 귀 당 2개의 채널 조절을 위한 사운드 프로세서 및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양 쪽 귀를 동시에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 쪽 귀 당 2개씩 총 4개의 채널 조절을 위한 사운드 프로세서 및 드라이버가 필요하여 기존 개인 청각 기기를 이용하여 변조이음향방사 방식을 이용한 청력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인 제약이 높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검사를 위한 사운드 신호에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왜곡 신호를 상쇄하기 위한 역위상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함으로써 한 쪽 귀 당 하나의 채널로 동작하는 하나의 스피커만으로도 변조이음향방사 방식의 청력 검사가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메모리,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쪽 귀 당 하나의 채널을 갖는 하나의 스피커만을 이용하여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청력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이퀄라이제이션을 획득 및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청력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청력 검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조이음향방사(distortion production otoacoustic emission, DPOAE)를 이용한 청력검사 시스템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청력검사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를 출력하고, 사운드 출력 이후 사용자(10)의 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10)의 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 중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10)의 청력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를 결합한 하나의 사운드 신호를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복수의 신호는, 제1 주파수의 순음 신호, 제2 주파수의 순음 신호, 제1 주파수의 순음 신호 및 제2 주파수의 순음 신호와 관련된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및,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중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호변조왜곡은 두 개의 독립된 입력 신호가 필터 내에서 결합하여 생기는 왜곡으로, 입력 신호의 기본 주파수와 그 고조파 성분들의 선형 조합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들이 출력 신호에 나타나는 비선형 왜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예: f1)의 신호와 제2 주파수(예: f2)의 신호가 결합되는 경우, f2-f1, 2f1-f2, 2f2-f1과 같은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음향방사는 달팽이관의 외유모세포에서 자발적으로 또는 음자극에 의해 증폭되어 발생하는 소리 에너지이다. 청신경의 절단 여부와 무관하게 발생 가능하고, 외부 조건의 변화에 둔감하며, 와우성 난청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음향방사는 청각 기능에 해를 미치지 않으면서도 적은 시간으로 간단하게 달팽이관 및 청각유모세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난청의 조기 진단, 신생아와 유·소아의 청력 검사 등의 객관적인 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변조이음향방사는 이음향방사 중 하나로 두 개의 다른 주파수(f1, f2)를 가지는 순음인 자극음을 동시에 가했을 때 두 자극음이 중첩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여러 주파수의 이음향방사로, 달팽이관의 비선형 특성 중 하나인 변조 산물로서, 변조이음향방사의 반응 크기는 두 순음(pure tone)의 상대적, 절대적 강도와 주파수의 비율에 영향을 받으며, f2가 1.2f1이고, f1 신호의 세기가 f2 신호의 세기보다 5-10dBSPL 높을 때, 2f1에서 f2 사이의 주파수에서 가장 강한 반응이 나타난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동작 및 출력된 사운드에 대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이어 프로브를 포함하고, 이어 프로브의 일부가 사용자(10)의 외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이어 프로브는 사용자(10)의 외이에 삽입되는 형태 뿐만 아니라, 사용자(10)의 귀의 일부를 바깥에서 감싸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청력검사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200)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외부 장치(200)를 스마트폰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스크탑, TV,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서버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10)의 한쪽 귀에 착용되는 하나의 이어폰만이 도시되었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10)의 양쪽 귀에 각각 착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에서의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측 귀에 착용되는 복수의 이어폰 중 일측의 이어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130), 드라이버(140), 스피커(150) 및 마이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10)에는 청력 검사를 위한 복수의 프로토콜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토콜은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의 청력 검사를 위한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예: f1, f2)에 대한 정보 및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의 결합에 의한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중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는 3차 저주파 상호변조왜곡의 주파수로 2f1-f2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프로토콜이 각각이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는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 또는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획득(①)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제1 사운드를 생성(②)하도록 DSP(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SP(1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SP(130)는 사용자의 한쪽 귀에 대응되는 스피커(150) 당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신호는 변조이음향방사를 검출하기 위한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SP(130)는 청각 검사를 위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두 개의 신호 및, 두 개의 신호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조이음향방사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상호변조왜곡 신호를 상쇄하기 위한 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를 드라이버(140)에 출력할 수 있다. 신호를 결합하는 동작은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로 인해, 한쪽 귀 당 하나의 스피커(150)만을 이용하여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청력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드라이버(140)는 DSP(13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150)는 제1 사운드 신호를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③)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50)는 전자 장치(100)의 이어 프로브의 일부에 배치되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마이크(16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DSP(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60)는 전자 장치(100)의 이어 프로브의 일부에 배치되어 스피커(15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가 출력된 후, 출력된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④)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된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에는 출력된 제1 사운드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달팽이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SP(130)는 마이크(160)를 통해 수신한 제2 사운드 신호에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이음향방사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두 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가 f1 및 f2임을 기반으로 2f1-f2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마이크(160)를 통해 수신한 제2 사운드 신호는 프로세서(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2 사운드 신호에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마이크(160)를 통해 외부 소음을 측정하고, 외부 소음 측정 결과에 따라 청력 검사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추출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출력된 제1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주파수 신호의 세기 및 제2 주파수 신호의 세기에 대한 추출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의 사용자 청력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청력 검사를 위한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변조이음향방사 신호의 추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제어변경 및/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을 수행변경(⑦)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스피커(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이퀄라이제이션이란 음악 장르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저음부터 고음까지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예: 음량)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이퀄라이제이션이 기저장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기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이퀄라이제이션이 없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이퀄라이제이션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 센서 또는 전원 공급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예: 프로세서(120) 또는 DSP(130))는,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복수의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한쪽 귀에 대응되는 스피커(15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주파수가 f1인 제1 신호(410), 주파수가 f2인 제2 신호(411) 및,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420)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두 신호를 결합하면, 복수의 상호왜곡변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가 f1인 제1 신호(410) 및 주파수가 f2인 제2 신호(411)를 결합하면, f2-f1, 2f1-f2, 2f2-f1의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가 발생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중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주파수를 갖는 상호변조왜곡 신호(412)의 역위상 신호(420)를 더 결합하여 f1 및 f2의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중 주파수가 2f1-f2인 상호변조왜곡 신호(412)가 상쇄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2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15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 후, 제2 사운드 신호를 마이크(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운드 신호의 출력 후 마이크(160)를 통해 제2 사운드 신호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DPOAE) 신호(4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운드 신호에서 변조이음향방사(DPOAE) 신호(430)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및 f2의 복수의 상호변조왜곡 신호 중 주파수가 2f1-f2인 상호변조왜곡 신호(412)가 상쇄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였기 때문으로, 주파수가 f1 및 f2인 순음 신호에 의해 자극된 사용자(10)의 달팽이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430)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3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복수의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여 한쪽 귀에 대응되는 스피커(150)를 통해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주파수가 f3인 순음 신호, 주파수가 f4인 순음 신호 및, f3 및 f4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3-f4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4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150)를 통해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 후, 제4 사운드 신호를 마이크(1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3 사운드 신호의 출력 후 마이크(160)를 통해 수신된 제4 사운드 신호는, 주파수가 f3인 순음 신호 및 주파수가 f4인 순음 신호에 의해 자극된 사용자(10)의 달팽이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제4 사운드 신호에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주파수를 변경한 사운드 신호의 출력 및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추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5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3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스피커(150)를 제어하거나, 특정 주파수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이퀄라이제이션이 기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이퀄라이제이션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것이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이퀄라이제이션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2cc 커플러(20)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2cc 커플러(20)는 보청기 성능 분석시 사용되는 부품으로, 사용자의 외이도의 용적과 유사한 2cc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5(a)에서는 2cc 커플러(20)만이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외이도의 용적에 따라 2cc와는 다른 용적의 커플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2cc 커플러(20)는 사람의 귀와는 달리 선형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선형적인 특징이라 함은,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사운드 신호를 2cc 커플러(20)에 출력한 경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에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상호변조왜곡음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2cc 커플러(20)를 통해서는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사운드 신호의 상호변조왜곡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주파수가 f1인 신호와 주파수가 f2인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510) 및 주파수가 f1인 신호, 주파수가 f2인 신호 및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521)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520) 각각을 스피커를 통해 2cc 커플러(2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도 5(b)와 같이 2cc 커플러(20)로부터 획득된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예: 3차 저주파 상호변조왜곡)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f1의 신호 및 f2의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510)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530)의 세기가 약 7dBSPL일 수 있다.
그러나, f1의 신호, f2의 신호 및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521)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520)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540)의 세기가 약 1dBSPL일 수 있다.
이를 통해,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경우, 상쇄 간섭을 통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는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서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10)의 귀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귀는 비선형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비선형적인 특징이라 함은,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사운드 신호를 사용자(10)의 귀에 출력한 경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에 복수의 주파수에 대한 상호변조왜곡음이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왜곡음은 3차 저주파 상호변조왜곡음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주파수가 f1인 신호와 주파수가 f2인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610) 및 주파수가 f1인 신호, 주파수가 f2인 신호 및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621)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620) 각각을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10)의 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도 6(b)와 같이 사용자(10)의 귀로부터 획득된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예: 3차 저주파 상호변조왜곡)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양쪽 귀에는 각각의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 신호(610 또는 620)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f1의 신호 및 f2의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610)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630)의 세기는, 왼쪽 귀의 경우 약 6dB, 오른쪽 귀의 경우 약 5.5dB일 수 있다.
그러나, f1의 신호, f2의 신호 및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621)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620)의 반사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640)의 세기는, 왼쪽 귀의 경우 약 19dB, 오른쪽 귀의 경우 약 19dB일 수 있다.
이를 통해,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f1 및 f2의 상호변조왜곡음과 상쇄되어 낮게 측정됨으로써 정상 청력이 난청으로 잘못 판단됨을 알 수 있다. 도 6(b)에서는 역위상 신호를 미적용한 경우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f1 및 f2의 상호변조왜곡음과 상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오히려 보강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청력의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f1 및 f2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인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경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f1 및 f2의 상호변조왜곡음이 이미 제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귀에서 발생된 변조이음향방사 신호가 정상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정확한 청력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변조이음향방사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10 동작에서,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주파수별 음량(sound pressure level)을 측정하고, 스피커와 내부 마이크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동작은 전자 장치의 출하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주파수 별로 음량을 변경하면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레벨 미터(sound level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레벨 미터(sound level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전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는 도 8(b)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전자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사운드 신호(예: 순음 신호)의 음량과 사운드 레벨 미터에서 측정된 음량의 비교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특정 주파수(예: f1(2kHz)) 및 특정 위상(예: 0°, 90°, 180°, 270°)을 갖는 사운드 신호(예: 순음 신호)를 음량을 순차적으로 변경(예: -30dBV ~ -120dBV)하면서 출력하고, 사운드 레벨 미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사운드 신호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량과 사운드 레벨 미터에서 측정된 사운드 신호의 음량이 비례하는 경우, 스피커의 출력에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만약, 비례하지 않는 특정 구간이 포함되면,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에서의 스피커의 특성을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도 8(b)는 전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음량과 사운드 레벨 미터에서 측정한 사운드 신호의 음량의 비교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및 사운드 레벨 미터가 측정한 사운드 신호는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특정 주파수(예: f1(2kHz)) 및 특정 위상(예: 0°, 90°, 180°, 270°등)을 갖는 사운드 신호(예: 순음 신호)를 음량을 순차적으로 변경(예: -30dBV ~ -120dBV)하면서 출력하고, 사운드 레벨 미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사운드 신호의 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에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음량과 사운드 레벨 미터에서 측정된 사운드 신호의 음량이 비례하는 경우, 마이크의 입력에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만약, 비례하지 않는 특정 구간이 포함되면, 전자 장치는 특정 구간에서의 마이크의 특성을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72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변조이음향방사(DPOAE)의 음원을 세부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한 청력 검사에 사용될 복수의 주파수(예: f1, f2)가 결합된 사운드 신호의 출력 음량에 대하여 기대하는 음량으로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720 동작에서는 변조 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예: 2f1-f2)의 신호는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각각 특정 음량을 가지는 복수의 주파수(예: f1, f2)의 신호가 결합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2cc 커플러에 출력하고, 2cc 커플러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출력 음량에 대한 입력 음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73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상호변조왜곡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변조왜곡 역위상 신호의 주파수는 두 개의 주파수(예: f1, f2)에 대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예: 2f1-f2)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는 2f1-f2로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변경(예: -30dBV ~ -120dBV)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2cc 커플러에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결과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9에는 위상이 0°인 f1 신호 및 f2 신호와, 위상이 0°, 90°, 180°, 270°로 다른 2f1-f2 신호가 포함된 각 사운드 신호의 측정 결과가 포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두 개의 주파수의 신호만을 결합한 사운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상호변조왜곡음(910)의 크기가 약 -70 dBV임이 확인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각각 특정 음량을 가지는 두 개의 주파수(예: f1 및 f2)의 신호에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경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특정 세기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2f1-f2의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위상이 0°이고 세기가 -70dBV인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2f1-f2의 신호(920)의 세기가 최소가 될 수 있다. 이는 f1 및 f2이 스피커의 필터 내에서 결합될 때 발생된 2f1-f2의 상호변조왜곡음이 f1 및 f2와 함께 결합된 위상이 0°이고 세기가 -70dBV인 2f1-f2의 역위상 신호에 의해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최적의 세기(930)는 -70dBV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730 동작에서는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하지 않았을 때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2f1-f2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변경하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2f1-f2의 신호의 세기가 낮아지는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수식을 통해 f1 및 f2의 신호를 결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될 2f1-f2의 신호의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정된 2f1-f2의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결합될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상호변조왜곡 역위상 신호의 각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특정 음량을 갖는 f1 신호 및 f2 신호와, 결정된 세기의 2f1-f2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2cc 커플러로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는 f1 신호 및 f2 신호의 위상은 0°로 고정하고,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위상을 변경(예: 0° ~ 36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위상을 1°단위로 변경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위상을 변경하면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결과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2f1-f2의 역위상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했을 때,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신호(1010)의 세기는 약 -70 dBV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0을 참조하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위상이 25°인 경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2f1-f2의 신호(1020)의 세기는 약 -81 dBV로 낮을 수 있다. 이는 f1 및 f2이 스피커의 필터 내에서 결합될 때 발생된 2f1-f2의 상호변조왜곡음이 f1 및 f2와 함께 결합된 위상이 25°인 2f1-f2의 역위상 신호에 의해 가장 많이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2f1-f2의 역위상 신호의 최적의 각도(1030)는 25°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75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측정된 수치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각 주파수(예: f1, f2) 별 스피커의 캘리브레이션 값, 각 주파수 별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 값, 각 주파수 별 필터 내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크기, 각 주파수의 신호의 세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 및 각도에 대한 수치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필터 내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는 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토콜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는 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측정된 수치는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되어 외부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와 대응되는 크래들(cradle) 장치가 사용자의 외이도의 용적과 유사한 용적(예: 2cc)의 공간을 갖는 형태로 제조된 경우, 크래들 장치와 전자 장치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전자 장치는 크래들 장치의 공간을 이용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 장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및/또는 보관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크래들 장치에서의 주파수 별 사운드 신호의 특성과 2cc 커플러에서의 주파수 별 사운드 신호의 특성 간의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크래들 장치에서의 특성 값에 보정 값을 더하여 2cc 커플러에서의 특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크래들 장치를 이용하여 2cc 커플러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청력 검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101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포함된 센서(예: 근접 센서, 접촉 센서, 조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102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프로토콜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은 2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103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직전에 수행된 청력 검사 이후 설정된 주기(예: 1달, 1주일 등)의 시간이 지나면,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는 주변 환경의 소음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청력 검사를 위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예: 노이즈)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컨텐트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면,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재생 중이거나, 영상 컨텐트의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거나, 통화 음성이 출력 중이면, 전자 장치는 검사에 적절한 환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1103-예), 1104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프로토콜 중 1개의 목표 검사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1개의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청력 주파수 범위와 관련된 2개의 주파수 신호 및 2개의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105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청력 수준이 기존 기록보다 낮아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전 청력 검사 결과가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는 이전 청력 검사 결과와 현재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낮아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는 설정된 정상 수치와 현재 청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기존 기록보다 낮아졌다고 판단되면(1105 동작-예), 1106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청력보호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청력 보호를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외부 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청각적인 알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귀 휴식, 정밀 검사 또는 음량을 줄일 것을 권유하는 피드백, 귀의 피로도를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검사된 주파수 범위의 음량을 줄여서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수준이 기존 기록을 유지하거나 좋아졌다고 판단되면(1105 동작-아니오), 1107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검사된 주파수 범위의 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검사를 수행할 다음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 수행 순서는 설정된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주 듣는 사운드 신호의 복수의 주파수 범위 중 음량이 큰 부분이 빈번한 주파수 범위와 관련된 프로토콜이 검사를 수행할 다음 프로토콜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음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전, 1103 동작으로 돌아가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1103-아니오), 1108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음악이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음악 재생 중이 아니면(1108 동작-아니오), 전자 장치는 1103 동작으로 돌아가서 청력 검사에 적절한 환경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조용한 환경으로 이동 요청 또는 전자 장치 재착용 요청과 같은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음악 재생 중이면(1108 동작-예), 1109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한 곡의 재생이 끝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음악 한 곡의 재생이 끝나지 않은 경우(1109-아니오), 전자 장치는 한 곡의 재생이 끝나는지 여부를 재차 판단할 수 있다. 음악 한 곡의 재생이 끝난 경우(1109-예), 1110 동작에서, 전자 장치는 1개의 목표 검사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한 곡의 재생이 끝난 후 다음 곡 재생 전에 1개의 검사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1개의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청력 주파수 범위와 관련된 2개의 주파수 신호 및 2개의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를 결합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곡의 재생 사이에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청력 검사 프로토콜이 반영된 청력 검사용 음악을 재생하거나, 청력 검사 프로토콜에 기반한 사운드 신호가 삽입된 컨텐트의 사운드 신호(예: 음악)를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컨텐트의 사운드 신호를 분석하고, 청력 검사 프로토콜에 기반한 사운드 신호가 삽입되어도 컨텐트의 사운드 신호를 듣는데 거부감이 없는 부분에 청력 검사 프로토콜에 기반한 사운드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1110 동작에서의 프로토콜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1105 동작, 1106 동작 또는 1107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됨이 감지되었음을 전제로 기재하며, 설정된 주기(예: 1달, 1주일 등)를 기반으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때마다 수시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청력 검사를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한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2를 참조하면, 12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검사하고자 하는 청력 주파수 범위와 관련된 2개의 주파수 신호 및 2개의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토콜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구성으로, 이어폰인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4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외부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변조 이음향방사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5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제1 변조 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이 획득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 별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6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7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의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운드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하거나,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예: 음량)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이퀄라이제이션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시각적 피드백(예: 메시지 표시)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예: 알림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도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시각적 피드백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208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1209 동작에서,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됨이 감지되었음을 전제로 기재하며, 설정된 주기(예: 1달, 1주일 등)를 기반으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때마다 수시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청력 검사를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한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3을 참조하면, 13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4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외부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1 변조 이음향방사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5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제1 변조 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하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이 획득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 별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의 1301 동작 내지 1305 동작은 도 12의 1201 동작 내지 1205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6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운드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에서 특정 주파수 신호의 음량을 낮추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하거나,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예: 음량)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이퀄라이제이션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7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308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시각적 피드백(예: 메시지 표시)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예: 알림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도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시각적 피드백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외부 장치(200)는 본 개시의 청력 검사를 위한 사운드 신호 생성 및 분석 동작을 수행하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됨이 감지되었음을 전제로 기재하며, 설정된 주기(예: 1달, 1주일 등)를 기반으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때마다 수시로 청력 검사가 수행되거나, 사용자가 청력 검사를 위한 조작 명령을 입력한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4를 참조하면, 1401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검사하고자 하는 청력 주파수 범위와 관련된 2개의 주파수 신호 및 2개의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2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전송하고, 14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1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를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6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7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제1 변조 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하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이 획득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의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파수 범위 별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획득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8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09 동작에서, 외부 장치(200)는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41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4의 1404 동작 내지 1410 동작은 도 13의 1302 동작 내지 1308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5를 참조하면, 15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예: 외부 장치(200))에 의해 획득된 것을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변경된 음량 및/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변경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에 의해 변경된 값을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5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음향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음향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와 기연결되었던 단말 장치(예: 외부 장치(200))일 수도 있고,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획득과 무관한 다른 외부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또는 헤드셋)인 전자 장치(100)가 기연결되었던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스마트폰 또는 음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503 동작에서, 외부 음향 장치(300)는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504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음향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음량 또는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1501 동작에서 저장된 값을 기반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도 16을 참조하면, 160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경된 음량 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예: 외부 장치(200))에 의해 획득된 것을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변경된 음량 및/또는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변경된 것이거나,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단말 장치에 의해 변경된 값을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602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음향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음향 장치(300)는 전자 장치(100)와 기연결되었던 단말 장치(예: 외부 장치(200))일 수도 있고,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 획득과 무관한 다른 외부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또는 헤드셋)인 전자 장치(100)가 기연결되었던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스마트폰 또는 음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603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외부 음향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604 동작에서, 외부 음향 장치(300)는 수신된 이퀄라이제이션을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외부 음향 장치(300)로 이퀄라이제이션을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외부 음향 장치(300)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음향 장치(300)는 수신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이퀄라이제이션이 변경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605 동작에서, 외부 음향 장치(300)는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606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음량을 기반으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쪽 귀 당 하나의 스피커만으로 변조이음향방사를 이용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맞게 개인화된 이퀄라이제이션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메모리,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출력될 사운드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컨텐트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면, 상기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출력 완료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주기를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은, 2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가 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이로 삽입되기 위한 이어 프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이어 프로브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대응되는 크래들(cradle) 장치 에 상기 전자 장치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음량 또는 상기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이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음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량 변경 또는 상기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출력될 사운드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컨텐트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면, 상기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출력 완료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은, 2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가 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와 대응되는 크래들(cradle)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경된 음량 또는 상기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이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저장된 음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마이크;
    메모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스피커, 상기 마이크, 상기 메모리,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운드의 음량 제어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출력될 사운드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컨텐트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면, 상기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출력 완료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주기를 기반으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은,
    2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가 0인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이로 삽입되기 위한 이어 프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이어 프로브의 일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대응되는 크래들(cradle)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음량 또는 상기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이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음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1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주파수의 신호, 제2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3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2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3 주파수의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제2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제4 주파수의 신호, 제5 주파수의 신호 및, 상기 제4 주파수 및 상기 제5 주파수의 변조이음향방사(DPOAE)와 관련된 제6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를 결합한 제3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3 사운드 신호와 관련된 제4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6 주파수의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제1 변조이음향방사 신호 및 상기 제2 변조이음향방사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음량 변경 또는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변경 또는 상기 이퀄라이제이션(equilization, EQ)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출력될 사운드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의 세기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도록 상기 이퀄라이제이션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청력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청력이 저하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컨텐트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이면, 상기 컨텐트 사운드 신호의 출력 완료 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각각은,
    2개의 순음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상기 2개의 순음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조이음향방사와 관련된 주파수의 역위상 신호의 세기가 0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대응되는 크래들(cradle) 장치에 상기 전자 장치가 접촉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음량 또는 상기 변경된 이퀄라이제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이퀄라이제이션이 적용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저장된 음량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컨텐트 사운드 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36737A 2020-10-21 2020-10-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52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7A KR20220052601A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1/012599 WO2022085953A1 (ko) 2020-10-21 2021-09-15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1883025.5A EP4201324A4 (en) 2020-10-21 2021-09-1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180072310.2A CN116348030A (zh) 2020-10-21 2021-09-15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8/123,535 US20230225637A1 (en) 2020-10-21 2023-03-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7A KR20220052601A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601A true KR20220052601A (ko) 2022-04-28

Family

ID=8128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37A KR20220052601A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25637A1 (ko)
EP (1) EP4201324A4 (ko)
KR (1) KR20220052601A (ko)
CN (1) CN116348030A (ko)
WO (1) WO2022085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4899A1 (en) * 2022-10-13 2024-04-1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viding signals for otoacoustic emission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2671B2 (en) * 2002-01-30 2011-04-12 Natus Medical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n-cooperative frequency specific assessment of hearing impairment and fitting of hearing aids
US20040234089A1 (en) * 2003-05-20 2004-11-25 Neat Ideas N.V. Hearing aid
KR101712099B1 (ko) * 2010-01-06 201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음향방사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535112B1 (ko) * 2014-06-20 2015-07-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력 보호를 위한 이어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E102014108663A1 (de) * 2014-06-20 2015-12-24 Ernst Dalhof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uchung des Hörvermögens
DE102017005675A1 (de) * 2017-06-16 2018-12-20 Eberhard-Karls-Universität Tübin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uchung des Hörvermög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4899A1 (en) * 2022-10-13 2024-04-1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providing signals for otoacoustic emission measu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1324A1 (en) 2023-06-28
WO2022085953A1 (ko) 2022-04-28
CN116348030A (zh) 2023-06-27
US20230225637A1 (en) 2023-07-20
EP4201324A4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lestina et al. Smartphone-based sound level measurement apps: Evaluation of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ound level meter standards
US20110009770A1 (en) Audiometric Testing and Calibration Devices and Methods
EP2640095B1 (en)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device with active occlusion control to a user
US11665488B2 (en) Auditory device assembly
US20120130271A1 (en)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Kits, Systems and Methods
CN113475097B (zh) 作为声音发射器的显示器的反馈控制
US8213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hearing aid
CN103874001B (zh) 听力仪器及识别听力仪器的输出变换器的方法
CN101448180A (zh) 一种移动电话扬声器测试系统
US9414173B1 (en) Fitting verification with in situ hearing test
US201401947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ring assessment over a network
CN114143646B (zh) 检测方法、装置、耳机和可读存储介质
US202302256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5604628A (zh) 一种基于耳机喇叭频响的滤波器校准方法及装置
Champlin et al. Audiometric calibration: Air conduction
KR101458998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합된 보청기 기능의 실행 방법
US20120224733A1 (en) Fitting of sound processors using improved sounds
CA2382679A1 (en) In-situ transducer modeling in a digital hearing instrument
CN113613121B (zh) 一种获取耳机声压级的方法、装置及耳机
CN114827861A (zh) 一种助听器的自我验配系统
CN103919559A (zh) 声场测听信号输出装置
Struck Refinements in the electroacoustic testing of headphones
Ravn et al. Hearing aid–related standards and test systems
Durmuş et al. An Evaluation of Performance Tests of In-Ear Hearing Aids
KR101442797B1 (ko) 보청기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