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42A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42A
KR20220052542A KR1020200136612A KR20200136612A KR20220052542A KR 20220052542 A KR20220052542 A KR 20220052542A KR 1020200136612 A KR1020200136612 A KR 1020200136612A KR 20200136612 A KR20200136612 A KR 20200136612A KR 20220052542 A KR20220052542 A KR 20220052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based oil
cosmetic composition
oil
eye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099B1 (ko
Inventor
곽수홍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0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임으로써, 피부 위에서 쏠림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균일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우수한 성형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Dry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한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기재로 하는 글리터와 기타 원료(Borosilicate) 사이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역할이 다른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시 우수한 성형안정성을 제공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기재로 하는 글리터(이하 PET 글리터)는 기존의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기재 글리터에 비해 높은 강도를 지녀 형상종횡비(Aspect Ratio)를 유지하면서 수십에서 수백 배 크기의 글리터 원료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해당 원료는 탈크(Talc)를 포함한 체질안료와 색소, 진주광택안료 등 제형에 포함되는 다른 원료들과의 상용성이 매우 좋지 않아 기존 글리터 아이섀도 제형에 해당 원료가 투입될 경우 다양한 제형적인 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 PET 글리터가 약 30% 이하로 소량 투입될 경우 피부에 도포할 때 해당 글리터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여 도포된 면적 안에서 균등한 광택을 내는 어려움이 있고, 약 20~40% 함량의 경우 해당 글리터의 packing에 의한 caking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40% 이상의 고함량일 경우 해당 원료 사이 공간을 채워줄 체질안료의 부재로 성형안정성 및 피부 위에서의 일정한 도포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아이메이크업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성형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39520호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고 오일 함량을 높임으로써, 서로 다른 기재와 사이즈의 글리터 원료가 일정하게 도포되는 효과를 가지며, 실제 자동 생산설비에서 원활한 생산 및 우수한 성형안정성을 갖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스터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및 에스터계 오일(C)로 이루어지고, 건식으로 제형화된 것을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A)의 점도는 30 내지 100 cSt(at 20 ℃ 이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의 점도는 100 내지 300(at 20 ℃ 이며,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의 점도는 150 내지 250(at 100 ℃ 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에스터계 오일(A)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은 2.0 내지 6.0 중량%인 것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A)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헥실라우레이트(HEXYLLAURATE)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B)는 옥틸도데실 스테롤 스테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터계 오일(C)는 폴리부텐(Polybute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에스터계 오일(C) = 3∼5 : 3∼5 : 1 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6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또한, 페이오프량에 의한 피부 밀착력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세 종류의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임으로써, 피부 위에서 쏠림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균일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우수한 성형안정성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비교예1,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타정품을 같은 압력으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2회 원을 그리며 롤링한 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터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및 에스터계 오일(C)로 이루어지고, 건식으로 제형화된 것을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글리터 아이쉐도우의 광택을 유지하면서 PET 글리터와 기타 원료, 특히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기재 글리터 사이의 상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오일 바인더 함량을 충분히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글리터 입자를 충분한 양의 오일이 감쌈으로써, 기재가 다르더라도 피부 표면에서 비슷한 정도의 유동성을 갖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PET 글리터의 쏠림 현상을 줄이고, 모든 글리터 입자가 고르게 피부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절한 점도의 오일을 선정하여 일정한 양의 페이오프량(Pay-off: 화장 시 묻어나오는 양)과 성형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며, 실제 생산 설비에서의 원활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벌크의 응집을 최소화 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에스터계 오일에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및 에스터계 오일(C)를 포함함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점도 에스터계 오일(A)은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처방하여도 벌크의 응집에 미미한 영향을 주므로 오일바인더 전체의 함량을 높이는 데 유리한 특징이 있고, 중점도 에스터계 오일(B)의 경우, 높은 상용성으로 오일 바인더 혼합에 유용하고 제형 안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고점도 에스터계 오일(C)은 제형 안정도 증가 및 글리터 입자, 특히 크기가 큰 PET 글리터의 부착력을 높이는 데 유용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글리터의 광택 증가 및 안티케이킹제 역할로서 실리콘계 오일인 디이메티콘(Dimethicone)을 함께 사용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각 상이한 점도는, 에스터계 오일(A) 30 내지 100 cSt(at 20 ℃ 이고, 에스터계 오일(B) 100 내지 300(at 20 ℃ 이며, 에스터계 오일(C) 150 내지 250(at 100 ℃ 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터계 오일(A) 40 내지 60(at 20 ℃ 이고, 에스터계 오일(B) 150 내지 250(at 20 ℃ 이며, 에스터계 오일(C) 200 내지 230(at 100 ℃ 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오일의 점도가 하한보다 미만일 경우제형 안정성의 하락을 일으킬 수 있다. 상한을 초과할 경우 벌크 응집을 과하게 촉진하여 벌크 유동성을 낮춤으로써 실제 자동 생산 설비에서의 생산 과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Packing에 의한 Caking 현상을 일으켜 원활한 Pay-off를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오일 자체의 함량을 높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저점도 에스터계 오일(A)에 비해 고점도인 에스터계 오일(B), (C) 의 점도 변화가 제형 안정성 및 벌크 응집에 더욱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에스터계 오일(A)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은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터계 오일(A)은 10.2 내지 10.7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은 10.2 내지 10.7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은 2.3 내지 3.2 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각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이 하한보다 미만일 경우, 오일 함량 감소로 인한 제형 안정도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에스터계 오일(A)의 함량이 하한보다 미만일 경우, 매끄럽지 못하고 비교적 따끔거리는 텍스처와 함께 표면에서의 일정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에스터계 오일 (B)와 (C)의 경우 하한보다 미만일 경우 제형안정도 하락에 더욱 큰 영향을 주며, 큰 입자경의 글리터 부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각 오일의 함량이 상한을 초과할 경우 과도한 벌크 응집으로 자동 생산 설비에서의 원활한 생산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에스터계 오일(A)의 경우 상한을 초과하는 함량은 오히려 벌크의 성형성을 떨어트림으로써 제형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고, 상한을 초과하는 에스터계 오일(B)와 (C)는 Packing에 의한 Caking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A)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헥실라우레이트(HEXYLLAURATE)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B)는 옥틸도데실 스테롤 스테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터계 오일(C)는 폴리부텐(Polybute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에스터계 오일(C) = 3∼5 : 3∼5 : 1 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에스터계 오일(C) = 4 : 4 : 1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의 비율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시 성형 안정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Pay-off가 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이메티콘(Dimethic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2.0 중량%보다 미만일 경우에는 글리터의 광택 감소 및 피부 위에서의 원활한 도포를 저하시킬 수 있고, 6.0 중량%보다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안정성의 하락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0.7 내지 20 cSt(at 20 ℃의 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cSt(at 20 ℃이며, 0.7 cSt 미만의 경우 휘발성을 가질 수 있어 제형 변화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고, 20 cSt 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벌크 응집을 일으킬 수 있다.
이상 3종의 에스터 오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이한 점도를 갖는 추가적인 에스터 오일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건식으로 제형화된 프레스드 파우더 타입 글리터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글리터 입자 원료를 제외한 파우더 상의 원료를 헨셀믹서에 투입하고 1500 rpm으로 2분 동안 2회 혼합한 뒤, 글리터 입자 원료를 투입하고 400 rpm으로 30초간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오일상인 성분을 65 ℃로 가온한 후 미세분사하여 700 rpm으로 1분간 2회 혼합하였다. 혼합된 벌크는 여과 처리 후 내용물을 알루미늄 팬에 충진하고,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축성형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휘발성 용제가 사용되지 않는 건식으로 제형화된 것으로, 습식으로 제조된 아이섀도의 경우 벌크 제조 시 상기의 원료들을 휘발성 용제와 섞어 슬러리 타입으로 만든 뒤 압축 성형과 동시에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방식으로 만드는 것과는 상이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번호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1.0 1.0 1.0 1.0 1.0
2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5.0 5.0 5.0 5.0 5.0
3 에틸렌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4.0 4.0 4.0 4.0 4.0
4 실리카카프릴릭
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메티콘
1.0 1.0 1.0 1.0 1.0
5 칼슘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CI 77891)
적색산화철 (CI 77491)
틴옥사이드 (CI 77861)
15.0 15.0 15.0 15.0 15.0
6 칼슘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CI 77891)
틴옥사이드 (CI 77861)
10.0 10.0 10.0 10.0 10.0
7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티타늄디옥사이드 (CI 77891)
틴옥사이드 (CI 77861)
18.5 18.5 18.5 18.5 18.5
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17.0 17.0 17.0 17.0 17.0
9 옥틸도데칸올 10.444 13.055 7.833 11.75 -
10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10.444 7.833 13.055 - 23.5
11 폴리부텐 2.612 2.612 2.612 11.75 -
12 다이메티콘 3.5 3.5 3.5 3.5 3.5
13 프로판다이올 0.5 0.5 0.5 0.5 0.5
14 메틸프로판다이올 1.0 1.0 1.0 1.0 1.0
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표 1의 각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계량한 후, 파우더 원료인 1~4을 헨셀믹서에 투입하고 1500 rpm으로 2분 간 혼합하였다. 같은 믹서에 글리터 입자 원료인 5~8을 투입하고 400 rpm으로 3초 간 혼합한 뒤, 오일 상인 9~14를 65 ℃로 가온한 후 미세분사하여 700 rpm으로 1분간 2회 혼합하였다. 혼합된 벌크는 분쇄 처리 후 내용물을 알루미늄 팬에 충진하여 압축성형 하였다. 실시예1(에스터계 오일(A): (B): (C) = 4: 4: 1) 및 비교예1(에스터계 오일(A): (B): (C) = 5: 3: 1) 과 비교예2(에스터계 오일(A), (B). (C) = 3: 5: 1), 비교예3(에스터계 오일(A): (B): (C) = 1: 0: 1) 과 비교예4(에스터계 오일(A): (B): (C) = 0: 1: 0) 는 오일 상인 성분의 함량차이를 제외하고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되었다.
[실험예 1 내지 3]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된 조성물의 특성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용감 및 제형 안정도에 대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용감/안정감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도포력 (부드럽게 도포되는가) 5 5 5 2 4
촉촉함 4 5 3 4 4
가루날림(많이 날릴수록 낮음) 4 2 5 2 3
밀착력 5 3 5 5 3
성형성 5 3 5 1 5
벌크 응집(응집이 적을수록 높은 점수) 5 5 3 3 5
관능평가 (만족스럽다 5 - 만족스럽지 않다 1)
실험예 1. 사용감(도포감) 측정
상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건식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이용한 사용감을 측정하여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용감은 25~35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 평가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력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저점도 에스터오일 ?t량이 높은 비교예 1의 경우 도포 시 촉촉함이 가장 높았으나, 낮은 성형성으로 가루날림 또한 많았다. 고점도 에스터 오일의 함량이 낮으므로 글리터 입자의 밀착력과 성형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고점도 에스터 오일 함량이 높은 비교예 2의 경우 가루날림이 적고 밀착력이 높았으나, 성형성이 높아 페이오프량(Pay-off: 화장 시 묻어나오는 양)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또한 저점도 에스터 오일 함량이 낮으므로 촉촉함이 부족하고 타정품 표면의 거친 사용감이 느껴졌다.
고점도 에스터 오일과 저점도 에스터 오일의 1:1 구성비로 이루어진 비교예 3은 고점도 에스터 오일의 함량이 가장 높아 피부 위에서 부드럽게 도포되지 않았고, 낮은 성형성으로 가루날림 또한 많았다. 이는 고점도 에스터 오일의 함량 과다로 오일바인더 전체의 점도가 증가한 결과 벌크 내에서의 분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점도 에스터 오일 단독으로 이루어진 비교예 4의 경우 저점도, 고점도 에스터 오일의 부재로, 도포력과 성형성이 다소 부족하였다. 또한 한 가지 오일을 단독으로 고정하는 비교예 4의 경우는 색상에 따라 다양한 글리터 원료를 사용해야 하는 아이섀도의 제형안정성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적절한 처방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실험예 2. 제형 안정도 측정
상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건식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고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제형 안정도의 평가는 경도테스트 및 낙하테스트로 구성하였다. 경도 테스트의 경우 TECLOCK/TYPE C/GS-701N 경도계를 사용하였고, 알루미늄 팬에 압축 성형된 타정물 하나 당 3회씩 총 6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낙하테스트의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의 바닥에 높이 70cm 위에서 알루미늄 팬에 압축 성형된 타정물을 수직방향으로 3회 낙하하는 시험을 각 2회씩 진행하여 내용물의 탈락 정도를 확인하였다.
제형 안정도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 테스트 11.3 9.5 16.4
낙하 테스트(잔존량을 중량%로 계산) 100 100 100
경도 테스트의 결과 비교예1, 실시예1, 비교예2의 순서로 경도가 낮게 측정되었고, 낙하 테스트의 결과 세 예시 모두 내용물의 깨짐 혹은 탈락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각 예시는 오일바인더 함량이 매우 높은 편이므로 제형적 안정도를 만족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경도 값이 10 미만일 경우 낮은 성형성과 과도한 가루 날림이 존재하며, 15 이상일 경우 Pay-off가 부족하며 벌크 응집도가 과도하게 높아, 실시예 1에 비해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1, 비교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후 각 조성물을 같은 압력으로 손가락을 이용하여 2회 원을 그리며 롤링한 후, 피부에 도포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많은 양의 내용물이 도포되었으나 낮은 밀착력으로 원활히 도포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촉촉함이 적어 적은 양의 내용물이 도포되어 글리터 효과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형 안정도를 높임으로써, 피부 위에서 쏠림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균일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우수한 성형안정성을 가진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에스터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각각 상이한 점도를 갖는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및 에스터계 오일(C)을 포함하고, 건식으로 제형화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A)의 점도는 30 내지 100 cSt(at 20℃ 이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의 점도는 100 내지 300(at 20℃ 이며,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의 점도는 150 내지 250(at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에스터계 오일(A)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B)은 7 내지 14 중량%, 상기 에스터계 오일(C)은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A)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헥실라우레이트(HEXYLLAURATE)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스터계 오일(B)는 옥틸도데실 스테롤 스테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및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에스터계 오일(C)는 폴리부텐(Polybut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A): 에스터계 오일(B): 에스터계 오일(C) = 3∼5 : 3∼5 : 1 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오프량에 의한 피부 밀착력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6612A 2020-10-21 2020-10-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12A KR102529099B1 (ko) 2020-10-21 2020-10-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12A KR102529099B1 (ko) 2020-10-21 2020-10-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42A true KR20220052542A (ko) 2022-04-28
KR102529099B1 KR102529099B1 (ko) 2023-05-08

Family

ID=8144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612A KR102529099B1 (ko) 2020-10-21 2020-10-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0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7103A1 (en) * 2004-06-08 2005-12-29 Vanina Filippi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st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polymer
KR20170038269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투명한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631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39520A (ko) 2018-06-08 2019-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7103A1 (en) * 2004-06-08 2005-12-29 Vanina Filippi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ster and at least one film-forming polymer
KR20170038269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투명한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6315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39520A (ko) 2018-06-08 2019-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099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0092B1 (ko)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232A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8032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286913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838478B1 (ko)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9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식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JP5170779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59284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163180B1 (ko)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89783B1 (ko) 부러짐 현상이 개선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CN109862867B (zh) 水润感优异的彩妆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51581A (ko)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US6652844B1 (en) Solid product capable of being handled based on hydrophobic mineral powder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9183A (ko) 페이스트 상 에스터 오일과 다공성 구상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321692B1 (ko) 나일론에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이 코팅된 원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23076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펄 고함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