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22A -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22A
KR20220052522A KR1020200136568A KR20200136568A KR20220052522A KR 20220052522 A KR20220052522 A KR 20220052522A KR 1020200136568 A KR1020200136568 A KR 1020200136568A KR 20200136568 A KR20200136568 A KR 20200136568A KR 20220052522 A KR20220052522 A KR 2022005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sound wave
risk
uni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304B1 (ko
Inventor
김남철
백동엽
윤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13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48Tracking techniques using an accelerometer or inertia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63Acoustic tracking systems, e.g. usin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cannula)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 측정부; 상기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CANNULA-BASED LIPOS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UND WAVE DETECTION}
본 발명은 지방흡입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이용하여 수술 위험을 예측함으로써 수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흡입술은 시술자가 피시술자를 시술하는 동안 고도의 집중력을 유지하여 시술장치를 조종하거나,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시술시간 내내 직접 시술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심각한 피로감을 유발하며, 오랜 시간의 시술로 인하여 저하된 집중력으로 출혈, 근육 파열 등의 시술사고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환자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지방 흡입 시 카뉼라는 가급적 정확하게 피하 지방층을 타겟팅하여 움직여야 하며, 해당 지방층은 피부층과 근육층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카뉼라는 시술자가 직접 눈으로 보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손끝 감각만을 이용하여 움직인다는 점에서 스트로크 동작의 일부는 목표 지방층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으며, 매회 스트로크 동작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시각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면 기존보다 높은 수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7896(2012.05.14)호는 센서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뉼라들을 가진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캐뉼라를 구비하거나 그것에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파트를 제공하고, 베이스 파트는 환자의 피부에 베이스 파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면 또는 장착면, 사용시 베이스 파트에 공급 약물 등을 연결하는 고정 수단, 및 센서 및/또는 전송기(transmitter) 유니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캐뉼라는 후퇴(retraction) 수단에 부착되거나 그것을 구비하고, 후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캐뉼라를 그 피하적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환자의 피부와 결합하지 않은 위치로 캐뉼라를 후퇴시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5486(2012.10.18)호는 곡선형 캐뉼라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 몸의 동일한 개구를 통해서 연장된 강성 곡선형 캐뉼라들을 갖도록 로봇 수술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고, 의사가 직관적인 제어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곡선형 캐뉼라들과 이들의 관련된 기구들을 움직이는 원격조종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7896(2012.05.1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5486(2012.10.1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이용하여 수술 위험을 예측함으로써 수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하 조직의 각 레이어 별로 미세하게 전달되는 저항과 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를 탐지하여 지방흡입 과정에서 캐뉼라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는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cannula)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 측정부; 상기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음파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핸드피스 내부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캐뉼라에 장착된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스트로크 동작의 왕복이동 및 왕복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음파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진입에 따른 스트로크 동작 과정에서 상기 미세 음파에 관한 진폭(amplitude) 및 진동 주파수(vibration frequency)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위험도 산출부는 상기 진폭 및 상기 진동 주파수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변화율 산출 모듈; 상기 수술부위의 위치 및 상기 스트로크 동작을 기초로 상기 변화율에 따른 조직 층(layer) 모델을 구축하는 조직 모델 구축 모듈; 및 상기 조직 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스트로크의 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제공부는 상기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알람으로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제공부는 상기 알람으로서 진동 및 소리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캐뉼라의 현재 위치, 해당 위치 주변의 조직 구조 및 위험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시각화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은 환자의 수술부위에 캐뉼라(cannula)를 삽입하여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단계; 상기 캐뉼라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은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이용하여 수술 위험을 예측함으로써 수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방법은 피하 조직의 각 레이어 별로 미세하게 전달되는 저항과 저항에 따른 진동 주파수를 탐지하여 지방흡입 과정에서 캐뉼라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방흡입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방흡입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흡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방흡입 시스템(100)은 캐뉼라(110), 디스플레이 장치(130), 지방흡입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Cannula)(110)는 환자의 신체에 해당하는 수술부위에 직접 삽입되어 지방 등의 목표 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캐뉼라(110)는 몸속에 삽입하는 가늘고 긴 형태의 관에 해당하는 몸체부와 몸체부를 지지하면서 시술자의 조작을 위한 핸드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110)는 수술부위 -예를 들어, 지방층- 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방 세포를 파괴하고 지방 세포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캐뉼라(110)는 밀폐되는 선단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술 부위 삽입시 신체 내부 기관 또는 근육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뉼라(110)는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는 의료 기구에 해당하고 흉강이나 복강에 삽입하여 액체를 추출 또는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할 수 있으며, 기관절개술을 수행하는 경우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캐뉼라(110)는 흡입을 위한 흡입홀의 사이즈와 개수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수술부위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캐뉼라(110)는 지방흡입 장치(150)와 유선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캐뉼라 수술 진단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CRT, LCD, PDP로 구현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지방흡입 장치(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지방흡입 장치(150)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지방흡입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70)와 연동하여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미세 음파를 탐지하여 캐뉼라 수술에 대한 진단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캐뉼라 수술은 캐뉼라(110)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수술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캐뉼라(110)를 이용한 지방흡입술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흡입 장치(150)는 캐뉼라(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캐뉼라(1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방흡입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70)와 연동하여 캐뉼라 수술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지방흡입 장치(150)는 도 1과 달리, 캐뉼라(110), 디스플레이 장치(130) 또는 데이터베이스(17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방흡입 장치(15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방흡입 장치(150)는 사전에 다양한 수술 데이터를 학습하여 캐뉼라 수술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된 결과를 기초로 캐뉼라 수술 과정에서 수집된 수술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수술 데이터에 대한 예측 결과를 출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은 다양한 지방흡입 수술에서 수집된 환자의 신체 정보,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및 미세 음파에 관한 정보를 학습한 결과로서 구축될 수 있고, 실제 지방흡입 수술 과정에서 측정되는 미세 음파를 적용한 출력으로서 해당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정확성 또는 위험성, 지방흡입의 성공 확률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지방흡입 장치(150)가 캐뉼라의 움직임과 미세 음파에 기초하여 해당 움직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70)는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생성된 수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미세 음파 분석을 위해 기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뉼라 수술에 관한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지방흡입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방흡입 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지방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지방흡입 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지방흡입 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지방흡입 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지방흡입 장치(15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지방흡입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방흡입 장치(150)는 동작 감지부(310), 음파 측정부(330), 위험도 산출부(350), 알람 제공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310)는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은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관한 동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정한 구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하는 단위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은 전/후 방향으로 한 번 왕복하는 움직임으로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고, 캐뉼라(110)의 움직임은 연속적인 복수의 스트로크 동작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동작 감지부(310)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부(310)는 캐뉼라(110)의 핸드피스 내부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동작 감지부(310)는 핸드피스 내부에 모듈화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핸드피스 자체의 움직임을 통해 핸드피스와 직접 결합된 캐뉼라(110)의 몸체부에 관한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부(310)는 캐뉼라(110)에 장착된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왕복이동 및 왕복경로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감지부(310)는 캐뉼라(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 감지 센서는 단일 센서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는 변위 센서, 각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변위 센서(displacement sensor)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 또는 위치를 계측할 수 있는 센서에 해당하고, 각도 센서(angle sensor)는 미세 각도 또는 축의 회전각도와 같은 비교적 큰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해당하며, 자이로 센서(gyro sensor)는 각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들은 각각의 센싱 메커니즘(mechanism)에 따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지방흡입 장치(150)는 동작 감지부(310)를 통해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신호들을 환자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음파 측정부(330)는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파 측정부(330)는 캐뉼라(110)의 핸드피스 내부에 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음파 측정부(330)는 음파 탐지 센서를 통해 스트로크 동작에서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음파 탐지 센서는 캐뉼라(110)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캐뉼라(1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캐뉼라(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음파 탐지 센서와의 연결을 위한 추가 구성이 필요하고, 잡음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낮은 신호 품질로 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파 측정부(330)는 캐뉼라(110)의 진입에 따른 스트로크 동작 과정에서 미세 음파에 관한 진폭(amplitude) 및 진동 주파수(vibration frequency)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음파 측정부(330)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 중 수술부위로의 진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음파 탐지 센서를 통해 미세 음파의 진폭과 진동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진폭(amplitude)은 미세 음파의 세기에 해당할 수 있고, 진동 주파수(vibration frequency)는 미세 음파의 높낮이에 해당할 수 있다. 진폭은 미세 음파의 음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데시벨(dB)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진동 주파수는 초당 진동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헤르쯔(Hz)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위험도 산출부(350)는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위험도 산출부(350)는 캐뉼라(110)의 몸체부가 피부 조직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각 레이어(layer)의 특성에 따른 미세한 변화를 수치화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도 산출부(350)는 캐뉼라(110)의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이동방향과 거리를 고려하여 미세 음파에 의해 도출되는 조직 층의 변화를 기초로 수술부위의 조직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따른 위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는 캐뉼라(110)의 움직임이 지방층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는지, 출혈이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조직 층으로 잘못 움직이고 있는지를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객관적 수치로서 표현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험도 산출부(350)는 진폭 및 진동 주파수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변화율 산출 모듈, 수술부위의 위치 및 스트로크 동작을 기초로 변화율에 따른 조직 층(layer) 모델을 구축하는 조직 모델 구축 모듈 및 조직 층 모델을 기초로 스트로크 동작의 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화율 산출 모듈은 진폭 및 진동 주파수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도 산출부(350)는 미세 음파의 진폭 및 진동 주파수가 급격히 변화하는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서 서로 다른 조직 층 간의 경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직 모델 구축 모듈은 수술부위의 위치 및 스트로크 동작을 기초로 변화율에 따른 조직 층(layer)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조직 모델 구축 모듈은 수술부위에 관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조직 층 구조를 모델화할 수 있다.
또한, 위험도 산출 모듈은 조직 층 모델을 기초로 스트로크 동작의 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조직 모델 구축 모듈에 의해 구축된 조직 층 모델은 3차원 모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적용하면 수술 부위에서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따른 위험도, 적합도 등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위험도 산출 모듈은 스트로크의 방향 및 이동거리를 기초로 조직 층 모델 상에서 스트로크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동작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동작 영역 내에 목표 수술층 이외의 조직 층에 대한 비율 및 확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해당 비율 및 확률을 기초로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관한 위험도 또는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알람 제공부(370)는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알람 제공부(370)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 중 위험도가 높은 동작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방흡입을 수행하는 의사 등의 시술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 높은 안전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람 제공부(370)는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알람으로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방흡입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30)와 연결되어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방흡입 장치(150) 자체적으로 내부에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알람 제공부(370)는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시각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제공부(37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위험도에 따라 기 설정된 색상의 광원으로 표현되는 시각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위험 등급(예를 들어, 위험, 주의, 보통, 안전 등)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텍스트를 시각화 정보로 제공할 수 있으며, 측정된 위험도를 수치화된 형태의 시각화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람 제공부(370)는 알람으로서 진동 및 소리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캐뉼라의 현재 위치, 해당 위치 주변의 조직 구조 및 위험도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알람 제공부(370)는 캐뉼라(110)의 핸드피스 내부에 포함된 진동 모터를 통해 인지 가능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스피커 모듈을 통해 인지 가능한 사운드를 재생하여 시술자에게 위험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람 제공부(370)는 청각적 정보나 촉각적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여 위험 상황에 대한 알림을 다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알람 제공부(37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뉼라(110)의 움직임과 미세 음파의 분석을 통해 예측된 조직 층 모델과 캐뉼라(110)의 움직임 및 해당 움직임에 연관된 세부 정보를 다양한 시각화 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지방흡입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감지부(310), 음파 측정부(330), 위험도 산출부(350) 및 알람 제공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방흡입 장치(150)는 동작 감지부(310)를 통해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410). 지방흡입 장치(150)는 음파 측정부(330)를 통해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지방흡입 장치(150)는 위험도 산출부(350)를 통해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S450). 지방흡입 장치(150)는 알람 제공부(370)를 통해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방흡입 장치(150)는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을 감지하고 해당 스트로크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탐지하여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대한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5에서, 캐뉼라(110)는 몸속에 삽입하는 가늘고 긴 형태의 관에 해당하는 몸체부(510)와 몸체부(510)를 지지하면서 시술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 부분에 해당하는 핸드피스(5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캐뉼라(110)는 지방층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지방 세포를 파괴하고 지방 세포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부(510)의 선단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수술 부위 삽입시 신체 내부 기관 또는 근육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510)의 선단부에는 지방흡입을 위한 흡입홀(5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홀(550)의 사이즈, 개수 및 모양은 수술부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캐뉼라(110)의 핸드피스(530)는 내부에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피스(530)는 동작 감지 센서(531)와 음파 탐지 센서(5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드피스(530) 내부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센서들은 핸드피스(530)와 연결된 몸체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미세 진동이나 미세 음파를 직접적으로 센싱한다는 점에서 캐뉼라(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센서들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센싱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지방흡입 장치(150)는 환자의 피하 조직(610)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110)의 스트로크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탐지하여 캐뉼라(110)의 움직임에 대한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캐뉼라(110)의 몸체부(510)는 몸속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늘고 긴 형태의 관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몸체부(510)가 몸속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조직 층들과의 마찰로 인해 미세 음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조직 층의 물리적 특성과 시술자의 조작 특성에 따라 미세 음파의 진폭이나 진동 주파수에도 미세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 미세 음파의 진폭의 변화가 발생하는 ① 구간과 ② 구간은 피하 조직(610)에서 서로 다른 조직 층(예를 들어, 근육층과 지방층)에 해당할 수 있다. 지방흡입 장치(150)는 이러한 미세 음파의 변화, 구체적으로 미세 음파의 진폭(amplitude)이나 진동 주파수(vibration frequency)의 변화를 분석하여 캐뉼라(110)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스트로크 동작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뉼라(110)의 몸체부(510)는 피하 조직(610)의 조직 층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조직 층을 통과할 때마다 몸체부(510)와 조직 층 간의 마찰에 의한 미세 음파가 발생할 수 있다. 지방흡입 장치(150)는 이러한 미세 음파 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눈으로 보이지 않는 지방흡입 영역을 예측할 수 있으며, 캐뉼라(110)가 타겟팅한 조직 층이 지방층인지에 따라 그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캐뉼라(110)의 핸드피스(530) 내부에는 음파 탐지 센서(533)가 포함될 수 있고, 음파 탐지 센서(533)는 캐뉼라(110)의 몸체부(5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탄성파(elastic wave)를 센싱함으로써 캐뉼라(110) 외부에서 동작하는 센서에 비해 노이즈가 감소되고 향상된 신호 품질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음파 탐지 센서(533)는 지방흡입 장치(15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캐뉼라(110)의 동작 과정에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센싱 동작을 자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방흡입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디스플레이 장치
150: 지방흡입 장치 17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동작 감지부 330: 음파 측정부
350: 위험도 산출부 370: 알람 제공부
390: 제어부
510: 몸체부 530: 핸드피스
531: 동작 감지 센서 533: 음파 탐지 센서
550: 흡입홀 610: 피하 조직

Claims (8)

  1. 환자의 수술부위에 삽입되어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캐뉼라(cannula)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환자의 수술 과정에서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 측정부;
    상기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 및
    상기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제공부를 포함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 및 상기 음파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핸드피스 내부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캐뉼라에 장착된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스트로크 동작의 왕복이동 및 왕복경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측정부는
    상기 캐뉼라의 진입에 따른 스트로크 동작 과정에서 상기 미세 음파에 관한 진폭(amplitude) 및 진동 주파수(vibration frequency)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산출부는
    상기 진폭 및 상기 진동 주파수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변화율 산출 모듈;
    상기 수술부위의 위치 및 상기 스트로크 동작을 기초로 상기 변화율에 따른 조직 층(layer) 모델을 구축하는 조직 모델 구축 모듈; 및
    상기 조직 층 모델을 기초로 상기 스트로크 동작의 방향 및 이동거리에 따른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제공부는
    상기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알람으로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제공부는
    상기 알람으로서 진동 및 소리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캐뉼라의 현재 위치, 해당 위치 주변의 조직 구조 및 위험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시각화된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8. 환자의 수술부위에 캐뉼라(cannula)를 삽입하여 피하 지방을 흡입하는 단계;
    상기 캐뉼라의 스트로크(stroke)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 음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미세 음파를 분석하여 상기 스트로크 동작에 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방법.
KR1020200136568A 2020-10-21 2020-10-21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KR10253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68A KR102537304B1 (ko) 2020-10-21 2020-10-21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68A KR102537304B1 (ko) 2020-10-21 2020-10-21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22A true KR20220052522A (ko) 2022-04-28
KR102537304B1 KR102537304B1 (ko) 2023-05-30

Family

ID=8144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568A KR102537304B1 (ko) 2020-10-21 2020-10-21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03A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층 감지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896A (ko) 2009-08-07 2012-05-14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센서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뉼라들을 가진 전달 장치
KR20120115486A (ko) 2009-11-13 2012-10-18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곡선형 캐뉼라 수술 시스템
KR20170006582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시술 추적장치
KR20180109559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능형 지방흡입 수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922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9933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 흡입 부위의 밸런스 조정 장치
KR20200055169A (ko) * 2018-11-07 2020-05-21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인공지능 기반의 캐뉼라 수술 진단 장치
KR20200131039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흡입의 시술상황 실시간 체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896A (ko) 2009-08-07 2012-05-14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센서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캐뉼라들을 가진 전달 장치
KR20120115486A (ko) 2009-11-13 2012-10-18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곡선형 캐뉼라 수술 시스템
KR20170006582A (ko) * 2015-07-08 2017-01-18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시술 추적장치
KR20180109559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능형 지방흡입 수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922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층에 삽입되는 캐뉼라를 감지하여 지방흡입의 안전성을 상승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9933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 흡입 부위의 밸런스 조정 장치
KR20200055169A (ko) * 2018-11-07 2020-05-21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인공지능 기반의 캐뉼라 수술 진단 장치
KR20200131039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지방흡입의 시술상황 실시간 체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03A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층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304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09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 utilizing a touch screen
CN108883541A (zh) 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4660679B2 (ja) スマートツール
US9483122B2 (en) Optical shape sensing device and gesture control
JP6382174B2 (ja) 生体情報モニタ、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20172354A1 (en) Ultrasound System with Pressure and Flow Determination Capability
CN109890295A (zh) 用于运行医学手术装置的碰撞保护系统的方法、医学手术装置、计算机程序和数据载体
EP2233099A2 (en) Computer-assisted system for guiding a surgical instrument during percutaneous diagnostic or therapeutic operations
KR20160105440A (ko) 알람 이벤트의 임상적 관련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660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fset during navigation-assisted surgery
EP3461402A1 (en) Interactive display of selected ecg channels
KR102537304B1 (ko) 음파 탐지를 이용한 캐뉼라 기반의 지방흡입 장치 및 위험도 모니터링 방법
JP2022037101A (ja) 超音波システム及び方法
CN117241738A (zh) 在超声图像中显示血管
KR10214916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캐뉼라 수술 진단 장치
WO2020142338A1 (en) Needle insertion into subcutaneous target
KR20160014470A (ko) 비시각 정보 제공 기반의 컴퓨터 보조 진단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
KR20220003497A (ko)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JP2018158273A (ja) 生体情報モニタ、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374289B2 (ja) 長尺状医療用デバイスの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86775B1 (ko) 초음파 프로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층 감지 방법
US20230017745A1 (en) Control and feedback based on insertion force
WO2020121536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医療システム、操作制御方法、及び操作制御プログラム
JPWO2017073331A1 (ja) 処理装置、超音波観測装置、処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処理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CN113766868A (zh) 用于在医疗程序期间确定弯折和患者移动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