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97A -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97A
KR20220003497A KR1020210192969A KR20210192969A KR20220003497A KR 20220003497 A KR20220003497 A KR 20220003497A KR 1020210192969 A KR1020210192969 A KR 1020210192969A KR 20210192969 A KR20210192969 A KR 20210192969A KR 20220003497 A KR20220003497 A KR 2022000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nformation
unit
contact means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847B1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이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권 filed Critical 이일권
Priority to KR102021019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3Reference marker arrangements for use with image guided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비게이터가 부착되어 시술 위치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방 흡입 장치와 같은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는 인체의 정해진 영역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접촉 수단; 및 상기 접촉 수단 또는 상기 접촉 수단과 결합된 작동 유닛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시술 경과 지도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An Surgical Apparatus Having a Navigator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Position of Surgical Procedure}
본 발명은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비게이터가 부착되어 시술 위치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지방 흡입 장치와 같은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 흡입 또는 주름 제거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레이저, 고주파 또는 초음파가 이와 같은 시술을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복부, 목 또는 허벅지와 같은 인체 부위의 지방을 제거하기 위한 케뉼라(cannular)는 고주파에 의하여 지방을 녹여 튜브로 유입시켜 지방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지방 흡입 과정에서 시술 부위를 정해진 스트로크(stroke) 횟수로 왕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부주위로 인하여 과도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시술된 부위와 시술이 예정된 부위에 대한 구분 또는 시술 강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시술 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529813호는 피시술자의 인체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링부; 피시술자의 지방이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지방 흡입의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에게 상기 흡입부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를 전달받아 영상으로 표시하며,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3차원 모델링 정보의 영상 위에 상기 위치 정보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66578호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대상체를 포함하는 생체에 대응하는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지오메트리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에 상기 대상체의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3차원 지오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세그멘테이션된 대상체의 3차원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에 대한 단면을 설정하고, 상기 3차원 지오메트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면의 3차원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입력 정보, 상기 단면의 3차원 위치 및 상기 대상체의 3차원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면의 위치를 가이드를 하는 내비게이터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초음파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체의 3차원 정보를 미리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시술 위치를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리고 시술 위치가 시술 수단에 의하여 직접 탐지되고, 시술 위치가 제한된 범위에서 탐지되는 것과 같이 불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하여 위치 탐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시술 장치 자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다양한 시술 조건에서 시술 위치의 탐지가 가능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529813호(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2015년06월17일 공고)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66578호(삼성메디슨 주식회사, 2014년06월02일 공개) 단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내비게이터를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정보 센서를 가지면서 정해진 탐지 수단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는 인체의 정해진 영역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접촉 수단; 및 상기 접촉 수단 또는 상기 접촉 수단과 결합된 작동 유닛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시술 경과 지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술 경과 지도는 상기 인체 또는 인체 주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전송된 시술 부위 지도에 기초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접촉 수단은 케뉼라의 흡입 튜브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전송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체의 시술 위치의 표시 방법은 시술 부위에 대한 시술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시술 부위를 중심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시술 위치가 결정되어 시술 지도가 작성되는 단계; 상기 시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을 가진 시술 장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접촉 수단의 위치가 탐지되는 단계; 상기 시술 지도에 대한 상기 접촉 수단의 위치가 산출되어 시술 장치 궤적이 획득되는 단계; 상기 시술 장치 궤적에 의하여 시술 경과 지도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시술 경과 지도가 디스플레이가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는 지방 흡입을 위한 케뉼라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시술 과정에서 시술 위치가 정확하게 탐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술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인체 시술 장치의 방향 및 위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시술 지도를 생성하는 것에 의하여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센서를 가진 지방 흡입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위치의 표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 시술 장치는 인체의 정해진 영역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접촉 수단; 및 상기 접촉 수단 또는 상기 접촉 수단과 결합된 작동 유닛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시술 경과 지도가 형성된다.
시술 장치는 얼굴, 목, 복부, 팔뚝 또는 허벅지와 같은 인체 부위의 지방 흡입을 위한 케뉼라(cannula), 다양한 형태의 고주파 장치, 레이저 장치 또는 초음파 장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주름 제거 또는 콜라겐 형성을 위한 장치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인체에 접촉 또는 삽입되어 치료, 미용, 건강 개선 또는 성형을 위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술 장치는 접촉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접촉 수단은 인체의 정해진 부위 또는 시술 부위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복적인 이동은 2차원 이동 또는 3차원 이동이 될 수 있다. 접촉 수단은 예를 들어 케뉼라의 흡입 튜브, 초음파 장치의 접촉 프로브 또는 고주파 장치로부터 인가된 고주파를 인체 내부로 전송하는 전극 패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수단에 의하여 지방 제거 또는 피하 지방층의 응고와 같은 시술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접촉 수단 또는 접촉 수단과 결합된 작동 유닛에 접촉 탐지 센서(11)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11)는 적어도 두 개가 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탐지 센서(11)는 접촉 수단의 이동과 관련성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속 수단, 접촉 수단에 결합된 작동 손잡이 또는 접촉 수단이 수용되는 케이싱과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 탐지 센서(11)는 접촉 수단의 위치와 관련성을 가지고 이로 인하여 접촉 수단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11)에 의하여 접촉 수단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체의 시술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11)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광학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고, 기준 좌표 또는 기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11)에 의하여 탐지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위치 정보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전송을 위한 통신 칩이 접촉 수단과 관련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은 접촉 탐지 센서(11)에 대한 접촉 수단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접촉 탐지 센서(1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수단의 시술 부위에 대한 접촉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11)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 접촉 위치가 되는 인체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센서(1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12)는 인체의 시술 부위 또는 시술 부위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센서(12)에 의하여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시술 부위에 대한 3차원 형태의 시술 지도가 작성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12)는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가 될 수 있고 위치 정보 센서(12)에서 전송된 정보는 적절한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신되어 처리되어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부가 시술 위치가 되는 경우 배꼽, 명치, 옆구리의 측면 또는 배꼽의 아래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 정보 센서(1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센서(12)에 의하여 전송된 시술 부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시술 부위에 대한 3차원 시술 지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설계 구조에 따라 위치 정보 센서(12)의 위치 정보가 접촉 탐지 센서(11)에 의하여 탐지되거나 위치 정보 센서(12)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센서(12)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위치 산출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산출 유닛(13)에 시술 부위 위치 및 접촉 위치에 대한 정보가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은 위치 정보 센서(1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술 지도를 만들면서 이와 동시에 접촉 탐지 센서(11)에 좌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수단의 궤적을 나타내는 시술 경과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시술 과정에서 시술 부위에 의한 정보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센서(12)의 위치 정보는 미리 결정되거나, 초기에 결정되면 시술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흡입 수단에 의한 시술 부위의 특정 부위의 변경 또는 피시술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인하여 위치 정보 센서(12)의 절대 위치 또는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수정 유닛(151)은 이와 같은 변화를 탐지할 수 있고, 위치 산출 유닛(13)에 의하여 실시간을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술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 값을 탐지하여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정 유닛(151)은 상기 변화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치 산출 유닛(13)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로부터 좌표 값으로 변화 값을 결정하고 이를 시술 경과 지도의 작성 과정에서 시술 경과 지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시술 경과 지도는 표시 형성 유닛(16)으로 전송될 수 있다. 표시 형성 유닛(16)은 시술 경과 지도를 채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시술이 이루어진 부위를 적색으로 표시하고,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부위를 노란색으로 표시하면서 이후 표시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을 검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흡입 수단의 이동 속도, 위치 변화와 같은 접촉 수단의 이동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형성 유닛(16)에서 만들어진 표시 정보는 시술 부위 표시 유닛(14)으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산출 유닛(13)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가 시술 부위 표시 유닛(14)으로 전송되어 표시 위치의 일치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시술 부위 표시 유닛(14)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로부터 시술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는 다양한 인체 시술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방 흡입을 위한 케뉼라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센서를 가진 지방 흡입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방 흡입 시술을 위한 케뉼라(21)는 접촉 수단이 되는 흡입 튜브(211) 및 흡입 튜브(211)의 고정을 위한 작동 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유닛(212)은 예를 들어 손잡이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작동 유닛(212)에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221, 222)가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221, 222)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또는 다른 위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221, 222)에 의하여 탐지된 위치 정보는 위치 탐지 유닛(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시술 부위의 주위에 다수 개의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가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는 위치 정보의 탐지가 가능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광학 센서, 자기 센서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 센서가 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221, 222)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접촉 탐지 센서(221, 222)의 위치 정보에 의하여 흡입 튜브(211)의 위치, 방향 및 속력이 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튜브(211)의 궤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221, 222)에 의하여 탐지된 흡입 튜브(211)의 위치 정보는 작동 유닛(212) 또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위치 탐지 유닛(23)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에 의하여 탐지된 시술 부위에 대한 위치 정보가 위치 탐지 유닛(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는 인체 시술 부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설치 지점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여 위치 탐지 유닛(23)으로 전송하거나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는 인체 부위의 위치 또는 위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 센서(P1,P2, P3, P4)에 의하여 전송된 시술 부위의 위치 정보에 의하여 시술 지도가 생성될 수 있다. 시술 과정에서 시술 과정에서 시술 위치가 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위치 변화는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에 의하여 탐지되어 위치 탐지 유닛(23) 또는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정보에 따라 시술 지도가 변경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센서(221, 222) 또는 위치 정보 센서(P1, P2, P3, P4)에 의하여 탐지된 위치 정보는 위치 탐지 유닛(23)을 경유하거나, 직접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위치 산출 유닛(13) 및 위치 산출 유닛(13)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 유닛(24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산출 유닛(13)은 위치 탐지 유닛(23)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산출 유닛(13)은 산출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여 좌표, 방향, 속력 또는 접촉 유닛과 관련된 다른 위치 정보를 시술 지도에 표시 가능한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산출 유닛(13)은 산출된 값을 표시 형성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 형성 유닛(16)은 시술 지도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표시 유닛(241) 및 위치 표시에 기초하여 시술된 영역, 시술 진행 영역 및 시술 예정 영역을 채색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하는 구분 표시 유닛(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표시 형성 유닛(16)에 의하여 생성된 표시 정보가 시술 부위 표시 유닛(1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케뉼라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양한 인체 시술 장치의 작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체(H) 또는 시술 장치(A)에 부착된 위치 탐지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가 얻어질 수 있고, 인체(H)에 부착된 위치 정보 센서는 시술 부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시술 장치(A)에 부착된 접촉 탐지 센서는 시술 부위 또는 접촉 부위에 대한 내비게이터(navigator)의 기능을 한다. 위치 탐지 센서 및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는 제어 유닛(C)에 설치되는 정보 획득 유닛(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획득 유닛(31)은 위에서 위치 탐지 유닛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획득 유닛(31)은 획득된 정보를 시술 위치 지도 유닛(32)으로 전송할 수 있고, 시술 위치 지도 유닛(32)에 의하여 시술 지도가 생성될 수 있다. 시술 지도 및 접촉 탐지 센서에 대한 정보는 정보 처리 및 전송 유닛(3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처리 및 전송 유닛(33)에서 제어 유닛(C)에 의하여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 위치 연산 유닛(34)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 위치 연산 유닛(34)은 장치의 구조에 대한 정보, 시술 부위에 대한 정보, 장치에서 접촉 탐지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인체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시술 부위 정보 또는 접촉 탐지 센서에 대한 정보를 예를 들어 상대적인 좌표로 변환하여 위치 산출 유닛(13)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산출 유닛(13)은 시술 부위의 위치에 대한 접촉 수단의 위치, 속력 또는 방향을 결정하여 비교기(35)로 전송할 수 있다. 비교기(35)는 위치 산출 유닛(13)에서 전송된 정보가 미리 결정된 시술 부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술 경과 지도 유닛(37)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시술 장치(A)에 상태 탐지 유닛(36)이 배치될 수 있다. 상태 탐지 유닛(36)은 예를 들어 시술 부위의 온도, 맥박 수 또는 혈압 측정을 위한 센서가 될 수 있다. 이후 상태 탐지 유닛(36)에서 탐지된 정보는 시술 경과 지도 유닛(37)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시술 경과 지도 유닛(37)은 시술 위치에서 접촉 수단의 이동 상황, 시술 상황 또는 상태 탐지 유닛(36)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시술 경과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술 경과 지도는 시술 부위 표시 유닛(14)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는 실시간으로 인체 시술을 위한 접촉 수단의 위치, 이동 상황을 탐지하여 시술 경과 지도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술 부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는 다양한 인체 시술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위치의 표시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한 인체의 시술 위치의 표시 방법은 시술 부위에 대한 시술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P41); 상기 시술 부위를 중심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시술 위치가 결정되어 시술 지도가 작성되는 단계(P43); 상기 시술 부위에 접촉되는 접촉 수단을 가진 시술 장치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접촉 수단의 위치가 탐지되는 단계(P44); 상기 시술 지도에 대한 상기 접촉 수단의 위치가 산출되어 시술 장치 궤적이 획득되는 단계(P46): 상기 시술 장치 궤적에 의하여 시술 경과 지도가 생성되는 단계(P48); 및 상기 시술 경과 지도가 디스플레이가 되는 단계(P4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방법은 얼굴, 목, 복부, 팔뚝 또는 허벅지와 같은 곳의 지방 흡입을 위한 케뉼라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고주파 장치 또는 초음파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시술 부위에 대한 시술 조건은 예를 들어 흡입 튜브의 삽입 위치, 이동 속도, 반복 횟수 또는 시술 부위의 온도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술 조건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장치의 종류, 시술 위치 또는 피시술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술 조건이 설정되면(P41), 탐지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P42). 탐지 위치는 시술 부위의 위치와 위치 변화의 탐지를 위하여 시술 부위 주위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센서 및 장치의 위치, 이동 상황 또는 이동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장치에 설치되는 접촉 탐지 센서의 위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센서의 위치가 결정되면(P42),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술 지도 작성될 수 있다(P43). 시술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실시간 위치 정보에 의하여 시술 지도가 갱신될 수 있다.
시술 지도가 작성되면(P43), 시술 장치에 의한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시술 장치에 배치된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접촉 위치가 탐지될 수 있다(P44). 접촉 탐지 센서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에서 시술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P45). 산출된 시술 위치에 따라 시술 지도에서 시술 장치 궤적이 획득될 수 있다(P46). 얻어진 시술 장치의 궤적은 시술이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비교기에 의하여 시술 위치가 오차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47). 만약 오차 범위를 벗어났다면(NO), 시술 장치의 시술 위치가 교정될 수 있다(P471). 이에 비하여 시술 위치가 오차 범위 내에 있다면(YES), 시술 경과 지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P48). 시술이 이루어지면서 시술 경과 지도가 계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시술 경과 지도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될 수 있다(P49). 필요에 따라 온도, 맥박 또는 혈압과 같은 정보가 탐지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방법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시술 과정에서 시술 위치가 정확하게 탐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술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인체 시술 장치의 방향 및 위치 탐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시술 장치는 시술 지도를 생성하는 것에 의하여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접촉 탐지 센서 12: 위치 정보 센서
13: 위치 산출 유닛 14: 시술 부위 표시 유닛
15: 시술 경과 지도 유닛 16: 표시 형성 유닛
21: 케뉼라 23: 위치 탐지 유닛
31: 정보 획득 유닛 32: 시술 위치 지도 유닛
33: 정보 처리 및 전송 유닛 34: 장치 위치 연산 유닛
35: 비교기 36: 상태 탐지 유닛
37: 시술 경과 지도 유닛 211: 흡입 튜브
212: 작동 유닛 221, 222: 접촉 탐지 센서
241: 위치 표시 유닛 242: 구분 표시 유닛
151: 수정 유닛 A: 시술 장치
C: 제어 유닛 H: 인체
P1, P2, P3, P4: 위치 정보 센서

Claims (1)

  1. 인체의 정해진 영역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접촉 수단; 및
    상기 접촉 수단 또는 상기 접촉 수단과 결합된 작동 유닛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접촉 수단의 이동과 관련성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탐지 센서(11);
    접촉 탐지 센서(11)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하여 접촉 위치를 결정하고 시술 부위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도록 시술 부위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정보 센서(12);
    위치 정보 센서(1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시술 부위에 대한 시술 지도를 생성하는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을 채색하면서 접촉 수단의 이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형성 유닛(16); 및
    미리 만들어진 시술 지도와 시술 경과 지도 유닛(15)으로부터 얻어진 궤적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치 정보 센서(12)의 위치 정보는 미리 결정되고 시술 부위의 특정 부위의 변경 또는 피시술자의 신체 움직임으로 인하여 위치 정보 센서(12)의 시술 부위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KR1020210192969A 2017-10-30 2021-12-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KR10250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69A KR102504847B1 (ko) 2017-10-30 2021-12-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72A KR20170123305A (ko) 2017-10-30 2017-10-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KR1020210192969A KR102504847B1 (ko) 2017-10-30 2021-12-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72A Division KR20170123305A (ko) 2017-10-30 2017-10-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97A true KR20220003497A (ko) 2022-01-10
KR102504847B1 KR102504847B1 (ko) 2023-02-27

Family

ID=603848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72A KR20170123305A (ko) 2017-10-30 2017-10-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KR1020210192969A KR102504847B1 (ko) 2017-10-30 2021-12-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72A KR20170123305A (ko) 2017-10-30 2017-10-30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233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176B1 (ko) * 2018-12-06 2020-12-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침 시술 가이드 기능을 가진 초음파 영상 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930A (ko) * 2003-12-30 2006-11-0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지방 조직의 파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00091319A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래보 지방흡입 수술용 로봇
KR20140040030A (ko) * 2012-09-24 2014-04-02 메디칸(주) 지방흡입용 캐뉼라
KR20140066578A (ko) 2012-11-23 2014-06-02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단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내비게이터를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4015A (ko) * 2012-09-26 2015-06-10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광학 및 비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529813B1 (ko) 2014-01-02 2015-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KR20150145037A (ko) *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테뷸라 지방흡입용 케뉼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930A (ko) * 2003-12-30 2006-11-0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지방 조직의 파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00091319A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래보 지방흡입 수술용 로봇
KR20140040030A (ko) * 2012-09-24 2014-04-02 메디칸(주) 지방흡입용 캐뉼라
KR20150064015A (ko) * 2012-09-26 2015-06-10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광학 및 비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40066578A (ko) 2012-11-23 2014-06-02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단면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내비게이터를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101529813B1 (ko) 2014-01-02 2015-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KR20150145037A (ko) *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 테뷸라 지방흡입용 케뉼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847B1 (ko) 2023-02-27
KR20170123305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09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laparoscopic surgery utilizing a touch screen
US10181074B2 (en) Positioning of an examination table relative to a medical imaging apparatus
CN106714656B (zh) 用于术中分割的系统和方法
US20130035590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ist with internal positioning of instruments
US10881353B2 (en) Machine-guided imaging techniques
EP3505133A1 (en) Use of augmented reality to assist navigation during medical procedures
CN106456135B (zh) 医疗系统
CN103971574B (zh) 超声引导肿瘤穿刺训练仿真系统
CN109152615A (zh) 在机器人手术过程期间识别和跟踪物理对象的系统和方法
CN105796161A (zh) 一种ct介入治疗中进行穿刺导航的方法及穿刺导航装置
KR102188176B1 (ko) 침 시술 가이드 기능을 가진 초음파 영상 기기
CN106999250A (zh) 用于机器人辅助的医疗处理的系统
CN103800051B (zh) 一种颅内穿刺辅助导向系统
US10390728B2 (en) Medical image diagnosis apparatus
CN109589091B (zh) 选定ecg信道的交互式显示器
CN205458954U (zh) 一种ct介入治疗的穿刺导航装置
KR102291452B1 (ko) 수술 지원 장치, 그 제어 방법, 그리고 수술 지원 시스템
US20200113419A1 (en) Medica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504847B1 (ko)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CN111407370A (zh) 一种用于肿瘤精准穿刺的导航装置及ct视觉导航系统
WO2015129834A1 (ja) 手術システムおよび医療器具の干渉回避方法
KR101529813B1 (ko) 흡입부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방 흡입 시스템
JP5410021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KR20170106767A (ko) 내비게이터를 가진 인체 시술 장치 및 그에 의한 인체 시술 위치 표시 방법
KR20200022078A (ko) 가상 현실 의료 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