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091A -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091A
KR20220052091A KR1020200136032A KR20200136032A KR20220052091A KR 20220052091 A KR20220052091 A KR 20220052091A KR 1020200136032 A KR1020200136032 A KR 1020200136032A KR 20200136032 A KR20200136032 A KR 20200136032A KR 20220052091 A KR20220052091 A KR 20220052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safety
disaster
reality content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234B1 (ko
Inventor
남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더
Priority to KR102020013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234B1/ko
Priority to PCT/KR2020/014464 priority patent/WO2022085816A1/ko
Publication of KR2022005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등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게 화재, 풍수해 및 지진 등 재난 및 안전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각종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각각의 재난 및 안전사고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재난 및 안전사고의 대응방법 및 대응요령을 언제 어디서나 사전에 실전 체험과 교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VIDEO EDUCATION SYSTEM FOR DISASTER AND SAFETY ACCIDENT RESPONSE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5년에 발생한 삼풍백화점 붕괴부터 2014년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까지 비극적인 대향 재난을 겪었으며, 최근 대형 재난은 약 10년 전 5건에서 2018년 20건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즉, 최근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진 및 풍수해와 같은 자연재해와,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건물과 지하철의 화재 및 건물 붕괴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호주 산불, 후쿠시마 지진 등 재난은 특정 나라,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일상생활 속 다양한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 통계 중 오히려 최근인 2018년 242명 인명피해로 최다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상기 화재, 풍수해 및 지진 등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발생되면, 신중하고 냉철하게 행동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판단에 의해 돌출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겪게 된다.
즉, 각종 재난/재해 시 발생되는 갑작스러운 위급상황에 대한 훈련 또는 안전교육이 사전에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이 훨씬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세월호 사건 이후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마련했지만, 이론 중심 교육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 대상 재난 안전교육 콘텐츠는 심각하게 부족하고, 가정과 직장 등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붕괴 등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 발생시, 해당하는 재난/재해에 대한 발생원인과 신속한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미리 체험하여 훈련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616333호(2006.08.28.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등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게 화재, 풍수해 및 지진 등 재난 및 안전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각종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각각의 재난 및 안전사고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재난 및 안전사고의 대응방법 및 대응요령을 언제 어디서나 사전에 실전 체험과 교육이 가능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재생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35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교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난안전 교육은, 화재, 지진, 태풍, 해양사고, 항공사고, 및 테러 교육 중 적어도 하나의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실제 재난 현장 재현을 통한 선택형 게임 방식의 체험 안전교육 콘텐츠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스토리텔링이 있는 구성을 통해 실제와 동일한 생생한 재난 또는 안전사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언어 자막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 자막을 선택하여 재생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응되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학습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재생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되어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언어 자막들로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언어 자막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 등을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게 화재, 풍수해 및 지진 등 재난 및 안전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각종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각각의 재난 및 안전사고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재난 및 안전사고의 대응방법 및 대응요령을 언제 어디서나 사전에 실전 체험과 교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100),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Web) 및/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 특정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재생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되어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 특정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재생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 특정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재생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 특정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재생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복수의 언어 자막들로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언어 자막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 특정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재생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무선 통신모듈(110), A/V(Audio/Video) 입력모듈(120), 사용자 입력모듈(130), 센싱모듈(140), 출력모듈(150), 저장모듈(160), 인터페이스모듈(170), 단말 제어모듈(180) 및 전원모듈(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110)은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 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 제어모듈(18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모듈(112)과 통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과 통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120)은 오디오신호 또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부(121)와 마이크부(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카메라부(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부(12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하여 단말 제어모듈(18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입력모듈(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하는 터치입력모듈)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 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단말 제어모듈(18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센싱모듈(140)은 다수의 센서모듈들(예컨대, 중력 센서모듈, 가속도 센서모듈, 자이로 센서모듈, 근접 센서모듈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100)의 방위,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1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150)은 예컨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 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단말 제어모듈(180)과 버스로 연결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알람부(153)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모듈(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저장모듈(160)은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모듈(1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단말 제어모듈(180)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저장모듈(16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사용자 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저장모듈(160)에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모듈(16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180)은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s)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되며,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180)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180)은 배터리부(1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1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1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190)은 단말 제어모듈(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Battery)(1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1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0)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과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무선 연결은 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WB(Ultra Wideband), 및/또는 적외선(IR)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상적으로 머리에 안경과 같은 방법으로 착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포함되는 정밀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근접한 위치에서 단안 및/또는 양안에 소정의 영상을 맺힐 수 있도록 해주는 영상 표시 장치이다.
즉,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컨대, 안경이나 모자, 헬멧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렌즈 부위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을 통해 디지털 형태의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별도로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미리 탑재된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센서모듈(미도시)로부터 출력된 모션 감지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에는 예컨대,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본체모듈, 광학모듈, 디스플레이모듈, 무선통신모듈, A/V(Audio/Video) 입력모듈, 사용자입력모듈, 센서모듈, 저장모듈, 인터페이스모듈, 장치제어모듈, 및 전원공급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모듈은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는 면이 얼굴 형상의 곡면 구조를 이루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의 착용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본체부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눈과 근접한 위치에서 단안 또는 양안에 소정의 영상을 맺힐 수 있도록 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바람직하게, 한 쌍의 볼록렌즈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방식으로 무선 전송된 실시간 화면영상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방출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털 영상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내/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이동통신모듈, 무선망통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및/또는 위치정보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영상 신호, 센서 신호,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과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제어모듈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무선망통신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A/V 입력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내/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오디오신호 또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부와 마이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예컨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장치제어모듈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내/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입력모듈(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입력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연동하는 터치입력모듈)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과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내/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 감지신호를 상기 장치제어모듈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모션센서를 비롯하여 예컨대, 중력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통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착용 상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방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상기 장치제어모듈에 전달되어, 상기 장치제어모듈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 모션 감지신호,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모듈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저장모듈은 기본적으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기 저장모듈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s)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되며,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구비된 배터리부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모듈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Battery)(211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상기 장치제어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되고, 상기 장치제어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술한 구성요소들 이외에 음향출력모듈, 알람모듈, 및/또는 햅틱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예컨대,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 신호수신,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출력모듈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과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장치제어모듈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알람모듈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가상현실 콘텐츠 영상신호 수신,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상기 햅틱모듈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상기 햅택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장치제어모듈(210)에 의해 제어가능하다.
그리고,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0),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0)이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사용자 단말(100),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400)과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별도의 저장장치(350)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독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하여 저장장치(35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장치(350)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하여 저장장치(35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장치(350)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하여 저장장치(350)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장치(350)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교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난안전 교육은 예컨대, 화재, 지진, 태풍, 해양사고, 항공사고, 및 테러 교육 중 적어도 하나의 교육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예컨대, 실제 재난 현장 재현을 통한 선택형 게임 방식의 체험 안전교육 콘텐츠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예컨대, 스토리텔링이 있는 구성을 통해 실제와 동일한 생생한 재난 또는 안전사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장치(350)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언어 자막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 자막을 선택하여 재생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예컨대,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응되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학습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저장장치(35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즉,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350)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을 통해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400)은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된 가상현실 콘텐츠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300 :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
4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13)

  1.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재생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별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교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재난안전 교육은, 화재, 지진, 태풍, 해양사고, 항공사고, 및 테러 교육 중 적어도 하나의 교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실제 재난 현장 재현을 통한 선택형 게임 방식의 체험 안전교육 콘텐츠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거나, 스토리텔링이 있는 구성을 통해 실제와 동일한 생생한 재난 또는 안전사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언어 자막들 중 어느 하나의 언어 자막을 선택하여 재생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서버의 저장장치에 미리 제작 및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은, 재난 및 안전사고에 대응되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학습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8.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양안으로 공간감을 갖도록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을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재생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성인기, 및 노년기로 구분되어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애주기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HMD(Head Mounted Display)용, 유튜브(Youtube)용, 5G 플랫폼용, 및 카드보드(Cardboard)용 콘텐츠 포맷으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콘텐츠 포맷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약물 및 사이버 중독예방, 재난안전, 작업안전,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로 구분되어 저장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치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정보와 관련된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언어 자막들로 저장된 생애주기별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들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선택된 언어 자막의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KR1020200136032A 2020-10-20 2020-10-20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KR10248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32A KR102481234B1 (ko) 2020-10-20 2020-10-20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PCT/KR2020/014464 WO2022085816A1 (ko) 2020-10-20 2020-10-22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32A KR102481234B1 (ko) 2020-10-20 2020-10-20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91A true KR20220052091A (ko) 2022-04-27
KR102481234B1 KR102481234B1 (ko) 2022-12-28

Family

ID=812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32A KR102481234B1 (ko) 2020-10-20 2020-10-20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1234B1 (ko)
WO (1) WO202208581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33B1 (ko) 2005-02-03 2006-08-28 조미동 건설 안전교육 체험 시스템
KR20160109066A (ko)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재난 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
WO2017077660A1 (ja) * 2015-11-06 2017-05-11 株式会社三和機工 体感型仮想現実空間システム
KR20190069231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213A (ko) * 2015-06-05 2016-12-14 최대길 가상체험 안전교육 시설장치
KR101931649B1 (ko) * 2017-01-06 2018-12-21 한국과학기술원 가상현실기반 훈련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241B1 (ko) * 2019-04-05 2021-02-04 주식회사 에이알미디어웍스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33B1 (ko) 2005-02-03 2006-08-28 조미동 건설 안전교육 체험 시스템
KR20160109066A (ko) * 2015-03-09 2016-09-21 (주)굿게이트 훈련용 소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 현실 기반의 재난 대응 훈련 시스템 및 방법
WO2017077660A1 (ja) * 2015-11-06 2017-05-11 株式会社三和機工 体感型仮想現実空間システム
KR20190069231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민재홍 외 1, "생활안전 체험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설계 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3(2), 2019.10. 1부.* *
비특허 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234B1 (ko) 2022-12-28
WO2022085816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141B2 (en) Video camera band and system
CN110221432B (zh) 头戴式显示器的图像显示方法及设备
EP3148184B1 (en) Video telephon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generating realistic imag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642826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4156389A1 (ja) 情報処理装置、提示状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534784A (zh) 服务器、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0253800A1 (zh) 仿真对象的身份识别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0778956B2 (en) Experience sharing system comprising smart glasses and virtual reality or smartphone device
CN105528065B (zh) 向观看者显示定制放置的叠层
Pohl et al. See what I see: Concepts to improve the social acceptance of HMDs
CN113170279B (zh) 基于低功耗蓝牙的通信方法及相关装置
KR101828695B1 (ko) 스마트 헬멧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헬멧 영상 전송 시스템
US9794314B2 (en) Asynchronous audio and video in an environment
KR20130131787A (ko) 영상 투사 모듈,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lder et al. Towards uniformity for smart glasses devices: An assessment of function as the driver for standardisation
CN107277450A (zh) 一种利用ar实现远程指挥现场救灾的方法及设备
KR20160069271A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화상 회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81234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훈련을 위한 영상 교육 시스템
Zepernick Toward immersive mobile multimedia: From mobile video to mobile extended reality
CN117940878A (zh) 通过分布式和连接的真实世界对象建立社交连接
KR20220027039A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재난 대피 제어 및 관리 시스템
KR20180130270A (ko) 가상현실 관전 모드를 이용한 게임 방송 시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51329A (ko) 메타버스 기반의 인터랙티브 재난안전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30051328A (ko) 메타버스 기반의 인터랙티브 재난안전교육 콘텐츠 제공장치
KR20230050574A (ko) 메타버스 기반의 재난안전교육 훈련콘텐츠 저작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