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051A -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051A
KR20220052051A KR1020200135942A KR20200135942A KR20220052051A KR 20220052051 A KR20220052051 A KR 20220052051A KR 1020200135942 A KR1020200135942 A KR 1020200135942A KR 20200135942 A KR20200135942 A KR 20200135942A KR 20220052051 A KR20220052051 A KR 2022005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arm
phone case
hol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박동철
Original Assignee
박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현 filed Critical 박정현
Priority to KR102020013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051A/ko
Publication of KR2022005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스트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스트랩 홀더는,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는 제1 지지암(arm)(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을 통과하여서 홀(23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St)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130,130',130")와, 상기 걸이부(130,130',1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arm)(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스트랩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100)를 탈착식으로 구성하면서도 극히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스트랩 홀더{A STRAP HOLDE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트랩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폰용 스트랩을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제작원가를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휴대폰 스트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생활필수품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전화 기능 이외에 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및 카메라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지고 가격이 비싸 사용 중 파손이나 흠집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큰 대형의 모바일 기기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모바일 기기을 파지한 상태에서 해당 기능을 조작하기가 쉽지 않고 조금이라도 부주의한 경우 손으로부터 쉽게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케이스에 장착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부분이 커버되는 기능과 별도의 심미감이 제공될 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사용중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조작할 때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손으로부터 추락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을 목에 걸기 위한 넥스트랩(이하 간단히 스트랩이라고 한다.)이 개발되어서 휴대폰을 목에 걸어서 편리하게 몸에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 구비된 스트랩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트랩을 휴대폰 케이스에 걸기 위해서 휴대폰 케이스에 별도의 걸고리를 반영구적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휴대폰 케이스에 상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어다. 예를 들면 스트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트랩을 걸기 위한 걸고리가 필요 없으므로 오히려 휴대폰 이용자에게는 불필요한 구성으로 여겨져서 상품성이 낮아지게 된다.
문헌1. 등록특허 제 20-0491578 호(공고일: 2020.05.07)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094111 호(공개일: 2020.08.06) 문헌3.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29502 호(공개일: 2016.1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의 목적은,
첫째, 휴대폰 스트랩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를 휴대폰 케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 사이에 놓아서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결합력[압착력]에 의해서 착탈식으로 고정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스트랩 홀더를 휴대폰 케이스에 착탈식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하나의 와이어를 단순히 절곡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과 제작 방법으로 제품(스트랩용 홀더)을 제작할 수 있어서 제품(스트랩용 홀더) 제작 비용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별도의 부품을 채택하지 않고도 와이어 형상의 홀더만으로도 스트랩을 안정적을 걸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휴대폰 케이스에 배치되는 스트랩 홀더가 유동이나 이탈이 없이 안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폰 스트랩 홀더는, 휴대폰을 목에 걸어서 휴대하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을 걸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에 있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지는 제1 지지암(arm)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의 내외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방으로 형성되고 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둘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와, 상기 휴대폰 케이스에 구비되어서 휴대폰 스트랩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 스트랩 홀더는,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지는 제1 지지암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의 내외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에 형성된 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폰 스트랩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를 휴대폰 케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 사이에 놓아서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결합력[압착력]에 의해서 착탈식으로 고정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스트랩 홀더를 휴대폰 케이스에 착탈식으로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나의 와이어를 단순히 절곡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과 제작 방법으로 제품(스트랩용 홀더)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제품(스트랩용 홀더) 제작 비용을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별도의 부품을 채택하지 않고도 와이어 형상의 홀더만으로도 스트랩을 안정적을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휴대폰 케이스에 배치되는 스트랩 홀더가 유동이나 이탈이 없이 안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에 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의 분리도 및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가 휴대폰 케이스(200)에 구비된 상태의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트랩(St)이 스트랩 홀더(100)에 건(hanging)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트랩 홀더(100)의 제1,2 지지암(110,120)이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된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4는 스트랩 홀더(100)의 제1,2 지지암(110,120)이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바닥부(210)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된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5는 스트랩 홀더(100)의 걸이부(130,130',130")의 걸림홈(131)에 스트랩(St)이 걸려진 상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걸이부(130,130',130")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도 6의 (a)는 V 자 형상의 걸이부(300')의 예시도이고, 도 6의 (b)는 반원 형상의 걸이부(300")의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의 변형된 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에 개시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가 휴대폰 케이스(200)에 구비된 측면 구성 개념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둘레부(210)의 하측부(221)의 내면(221a)에 제1,2 안착홈(241,242)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에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되는 것을 보이기 위한 분리 구성도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a)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의 (c)는 도 7의 (a)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8의 (d)는 제1,2 안착홈(241,242)에 제1,2 지지암(110,120)이 끼움 안착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결합 구성 개념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의 변형된 예에 의한 분리 구성도이고,
도 9의 (b)는 도 8의 (a)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의 변형된 예의 결합 구성도이고,
도 10의 (b)는 도 9의 (a)에서 제1,2 홀딩 플레이트(161,162)가 제1,2 지지암(110,120)에 체결되는 동작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가 걸리는 대상인 스트랩은 넥스트랩(neck strap)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는, 휴대폰(10)을 목에 걸어서 휴대하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St)을 걸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휴대폰(10)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바닥부(210) 또는 둘레부(210)의 내면(221a)] 놓여지는 제1 지지암(arm)(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을 통과하여서 홀(23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St)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130,130',130")와, 상기 걸이부(130,130',1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arm)(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2 지지암(120)과 걸이부(130,130',130")는 모두 하나의 와이어(wir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2 지지암(120)과 걸이부(130,130',130")는 하나의 와이어를 벤딩(절곡)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2 지지암(110,120)은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사이에 놓여지고,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스트랩(St)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200)에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에 놓아서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결합력[압착력]에 의해서 착탈식으로 고정 구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스트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200)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나의 와이어를 단순히 절곡하는 극히 간단한 구성과 제작 방법으로 제품[스트랩용 홀더(100)]을 제작할 수 있어서 제품[스트랩용 홀더(100)] 제작 비용을 초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암(110)은,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일측(좌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은, 상기 홀(230)을 기준으로 제1 지지암(110)의 반대편인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우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제1,2 지지암(110,120)은 휴대폰(10)의 둘레면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 사이에 놓여지고,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2 지지암(120)은 휴대폰 케이스(200)의 바닥부(210)에 위치하고, 휴대폰(10)의 저면(미도시)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바닥부(210) 사이에 놓여져서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1차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수직 절곡되며, 다시 홀(230) 쪽으로 절곡되어서 제2 지지암(120)으로 연장되는 예컨대 ┗┛ 형상인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1차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변(130a)과 상기 제1 절곡변(130a)에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선단부(130c)와 상기 선단부(130c)에서 홀(230) 쪽으로 절곡되어서 제2 지지암(120)으로 연장되는 제2 절곡변(13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부(130)의 선단부(130c)에는 스트랩(St)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St)이 끼워지도록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홈(131)에 스트랩(St)이 끼워져서 걸이부(130,130',130")에 걸리므로 스트랩의 유동을 예방할 수 있어서 별도의 부품[예컨대 링(ring)]을 채택하지 않더라도 스트랩(St)을 안정적을 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절곡되도록 V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V 자 형상의 걸이부(130')에 스트랩(St)이 끼워져서 걸리므로 안정적으로 걸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만곡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만곡 절곡되도록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의 아래에 단턱부(231a)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지지암(110)의 끝에서 상기 단턱부(231a)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홀(230)이 형성된 높이에 맞게]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수직절곡부(141)와, 상기 제2 지지암(120)의 끝에서 홀(230)이 형성된 높이에 맞게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수직절곡부(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130,130',130")는 상기 제1 수직절곡부(141)와 제2 수직절곡부(142)의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홀(230)의 아래에 단턱부(231a)가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스트랩 홀더(100)를 휴대폰 케이스(200)에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210)에 나란하게 수평으로 제1 안착홈(241)이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210)에 나란하게 수평으로 제2 안착홈(242)이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착홈(241)과 대칭적으로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의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안착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안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스트랩 홀더(100)가 휴대폰 케이스(200) 내부에서 유동이 되거나 빠지는 것을 잡아줄 수 있고, 안정적으로 휴대폰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끼움 안착되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끼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스트랩 홀더(100)의 제1,2 지지암(110,120)이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휴대폰 케이스(200)에 대한 휴대폰(10)의 삽입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일측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리브(151)와, 상기 제2 지지암(12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리브(15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1 끼움리브(151)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일측(좌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 지지암(120)과 제2 끼움리브(152)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타측(우측)이 끼워져서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둘레부(210)의 홀(230)에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200)에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스트랩 홀더(100)를 착탈식으로 견고하게 휴대폰 케이스(200)에 실장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트랩 홀더(100)가 휴대폰 케이스(200)로부터 이탈하거나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2 지지암(110,120)과 제1,2 끼움리브(151,152) 간의 이격거리(t2)는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끼움 공차(예컨대 ±0.2 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 고정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바닥부(210)에 재치되고,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 케이스(200)와 휴대폰(10) 사이에서 위치하여서 휴대폰(1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을 홀딩(holding)하는 면상의 제1 홀딩 플레이트(161)와, 일단이 상기 제2 지지암(120)에 고정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바닥부(210)에 재치되고,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 케이스(200)와 휴대폰(10) 사이에서 위치하여서 휴대폰(1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2 지지암(120)을 홀딩(holding)하는 면상의 제2 홀딩 플레이트(16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삽입되면서 제1,2 홀딩 플레이트(161,162)를 눌러서 잡아주므로, 제1,2 지지암(110,120)의 유동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제1,2 지지암(110,120)에 제1,2 홀딩 플레이트(161,162)를 체결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제1 접착테이프(161')의 접착면(161'f)에 제1 지지암(110)을 올려놓고, 제1 지지암(110)이 놓여진 제1 접착테이프(161')를 접으면 제1 홀딩 플레이트(161)가 형성되면서 제1 홀딩 플레이트(161)가 제1 지지암(110)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제2 접착테이프(162')의 접착면(162'f)에 제2 지지암(120)을 올려놓고, 제2 지지암(120)이 놓여진 제2 접착테이프(162')를 접으면 제2 홀딩 플레이트(162)가 형성되면서 제2 홀딩 플레이트(162)가 제2 지지암(120)에 고정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은, 충전기의 케이블 잭을 삽입하기 위한 충전용 홀(2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홀(230)은 상기 충전용 홀(230) 외에 둘레부(210)에 형성된 휴대폰의 동작버튼(예컨대 전원버튼 등)을 노출하기 위한 버튼용 홀(미도시) 또는 이어폰 잭을 끼우기 위한 이어폰잭 홀(미도시)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는, 휴대폰(10)이 안착구비되어서 휴대폰(10)을 보호하기 위하여,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방으로 형성되고 홀(23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둘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200)와, 상기 휴대폰 케이스(200)에 구비되어서 휴대폰 스트랩(St)을 걸기 위한 스트랩 홀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를 구성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는 전술의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스트랩 홀더(100)는,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는 제1 지지암(arm)(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을 통과하여서 홀(23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St)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130,130',130")와, 상기 걸이부(130,130',1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arm)(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 지지암(110,120)은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사이에 놓여지고,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은,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일측(좌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은, 상기 홀(230)을 기준으로 제1 지지암(110)의 반대편인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우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1차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수직 절곡되며, 다시 홀(230) 쪽으로 절곡되어서 제2 지지암(120)으로 연장되는 예컨대 ┗┛ 구형 형상으로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선단부(130c)에는 스트랩(St)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St)이 끼워지도록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130')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절곡되도록 V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홀(230) 쪽으로 만곡 절곡된 후에 다시 제2 지지암(120) 쪽으로 만곡 절곡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의 아래에 단턱부(231a)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지지암(110)의 끝에서 상기 단턱부(231a)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수직절곡부(141)와, 상기 제2 지지암(120)의 끝에서 홀(230)이 형성된 높이에 맞게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수직절곡부(14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130,130',130")는 상기 제1 수직절곡부(141)와 제2 수직절곡부(142)의 사이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210)에 나란하게 수평으로 제1 안착홈(241)이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부(210)에 나란하게 수평으로 제2 안착홈(242)이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안착홈(241)과 대칭적으로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의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안착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안착 구비됨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끼움 안착되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끼움 안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일측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리브(151)와, 상기 제2 지지암(12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리브(15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1 끼움리브(151)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일측(좌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 지지암(120)과 제2 끼움리브(152)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타측(우측)이 끼워져서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둘레부(210)의 홀(230)에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200)에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A)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 고정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바닥부(210)에 재치되고,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 케이스(200)와 휴대폰(10) 사이에서 위치하여서 휴대폰(1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을 홀딩(holding)하는 면상의 제1 홀딩 플레이트(161)와, 일단이 상기 제2 지지암(120)에 고정되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바닥부(210)에 재치되고, 휴대폰(10)이 휴대폰 케이스(200)에 안착되는 경우 휴대폰 케이스(200)와 휴대폰(10) 사이에서 위치하여서 휴대폰(10)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2 지지암(120)을 홀딩(holding)하는 면상의 제2 홀딩 플레이트(162)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랩 홀더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10 : 휴대폰 St : 스트랩
200 : 휴대폰 케이스
210 : 휴대폰 케이스의 바닥부 220 : 휴대폰 케이스의 둘레부
221 : 둘레부의 하측부 221a : 하측부의 내면
222 : 둘레부의 양측부 223 : 둘레부의 상측부
230 : 휴대폰 케이스의 홀 231 : 단턱부
241 : 제1 안착홈 242 : 제2 안착홈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
110 : 제1 지지암 120 : 제2 지지암
130,130',130" : 걸이부
130a : 제1 절곡변 130b : 제2 절곡변
130c : 선단부 131 : 걸림홈
141 : 제1 수직절곡부 142 : 제2 수직절곡부
151 : 제1 끼움리브 152 : 제2 끼움리브
161 : 제1 홀딩 플레이트 162 : 제2 홀딩 플레이트
161' : 제1 접착테이프 161'f : 제1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162' : 제2 접착테이프 162'f : 제2 접착테이프의 접착면

Claims (9)

  1. 휴대폰(10)을 목에 걸어서 휴대하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St)을 걸기 위한 휴대폰 스트랩용 홀더(100)에 있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는 제1 지지암(arm)(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지지암(110)에서 연장되되,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을 통과하여서 홀(23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되고, 휴대폰 스트랩(St)을 통과시켜서 걸기 위한 걸이부(130,130',130")와,
    상기 걸이부(130,130',13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반대편에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도록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절곡되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암(arm)(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 지지암(110,120)은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사이에 놓여지고,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은,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일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은,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타측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홀(230)이 있는 둘레부(210)의 내주면에 밀착 구비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2 지지암(120)은, 휴대폰 케이스(200)의 바닥부(210)에 위치하고 휴대폰(10)의 저면과 휴대폰 케이스(200)의 바닥부(210) 사이에 놓여져서 휴대폰(10)과 휴대폰 케이스(20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2 지지암(120)과 걸이부(130,130',130")는 하나의 와이어(wire)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선단부(130c)에는 스트랩(St)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랩(St)이 끼워지도록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6. 청구항 2에 있어서,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241)이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홀(230)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는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안착홈(242)이 상기 제1 안착홈(241)과 대칭적으로 외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의 홀(230)의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안착되어서 휴대폰 케이스(200)의 둘레부(210)에 안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이 상기 제1 안착홈(241)에 끼움 안착되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내면(221a)으로부터 휴대폰 케이스(20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이 상기 제2 안착홈(242)에 끼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암(11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지지암(11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끼움리브(151)와,
    상기 제2 지지암(120)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지지암(120)으로부터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두께(t1)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걸이부(130,130',130")의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리브(15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암(110)과 제1 끼움리브(151)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 지지암(120)과 제2 끼움리브(152)의 사이에 홀(230)이 형성된 둘레부(210)의 타측이 끼워져서, 상기 걸이부(130,130',130")가 둘레부(210)의 홀(230)에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로 휴대폰 케이스(200)에 스트랩 홀더(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210)에 형성된 홀(230)은, 충전용 홀(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트랩 홀더.
KR1020200135942A 2020-10-20 2020-10-20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KR20220052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2A KR20220052051A (ko) 2020-10-20 2020-10-20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942A KR20220052051A (ko) 2020-10-20 2020-10-20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051A true KR20220052051A (ko) 2022-04-27

Family

ID=813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42A KR20220052051A (ko) 2020-10-20 2020-10-20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0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502A (ko)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91578Y1 (ko) 2019-05-02 2020-05-07 이원정 모바일 케이스용 스트랩
KR20200094111A (ko) 2019-01-29 2020-08-06 오치완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일체형 핑거스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502A (ko)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200094111A (ko) 2019-01-29 2020-08-06 오치완 모바일디바이스 케이스 일체형 핑거스트랩
KR200491578Y1 (ko) 2019-05-02 2020-05-07 이원정 모바일 케이스용 스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9276627B2 (en) Leafing leather cover of cellular phone and smart phone using the same
US8311257B2 (en) Earphone mounting structure
US5661798A (en) Back clip structure of a mobile phone
KR20140134071A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20170231374A1 (en) Hang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20220052051A (ko) 휴대폰 스트랩 홀더 및 그것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어셈블리
CN110582738B (zh) 隐私屏幕过滤器
US4059971A (en) Earring having magnetically secured displaceable ornament for facilitating telephoning
CN215935261U (zh) 壳体组件及具有其的遥控器
KR102532654B1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KR20140146372A (ko)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CN216052817U (zh) 电子产品保护套
KR101521796B1 (ko)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
JP3157884U (ja) 耳掛け
CN217159976U (zh) 耳机盒保护壳
JP3895027B2 (ja) 付加機器
KR102245772B1 (ko) 휴대폰이 탈부착 가능한 영구 자석을 이용한 클립
KR102343669B1 (ko) 블루투스와 gps 기능이 탑재된 보조 배터리 장치
CN218603507U (zh) 指环支架
US933404A (en) Telephone apparatus.
CN211506959U (zh) 一种新型挂架
CN211995097U (zh) 垫用快速装拆的香薰盒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