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791A -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791A
KR20220051791A KR1020210096528A KR20210096528A KR20220051791A KR 20220051791 A KR20220051791 A KR 20220051791A KR 1020210096528 A KR1020210096528 A KR 1020210096528A KR 20210096528 A KR20210096528 A KR 20210096528A KR 20220051791 A KR20220051791 A KR 2022005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ular degeneration
peptide
composition
xa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경
이유종
편선홍
김채연
정성은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그넷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그넷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그넷바이오텍
Priority to PCT/KR2021/0141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6039A1/ko
Publication of KR2022005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5Polycationic or polyanionic oligopeptides, polypeptides or polyamino acids, e.g. polylysine, polyarginine, polyglutamic acid or peptide 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구 투여 제형으로 부작용 없으며, 질병 진행에 따른 안구 내 염증억제 및 세포사멸 억제를 통해 황반변성 제어하여 신생혈관 억제제 무반응 환자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단계의 황반병성에서도 질병 진행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comprising Fas signaling-blocking peptide}
본 발명은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는 망막의 정상적인 시각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망막색소상피의 변성은 여러 망막 변성 질환을 일으킨다. 망막 중심 부위의 신경조직인 황반은 시세포가 밀집되어있으며,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시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노화, 유전 요인, 염증, 스트레스, 과한 자외선 노출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망막에 변성이 일어나면 시력의 손상이 생긴다. 이러한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MD)은 특히, 노화에 의해 노인 환자에게 주로 발병하고 있으며, 이를 연령 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이라 한다.
전세계적으로 상기 연령 관련 황반변성을 치료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건식 황반변성은 황반변성의 90%를 차지하나 치료제가 없으며 습식 황반변성의 경우는 치료약이 있으나 기존 의약품은 약 40% 환자에서 무반응을 보인다. 또한, 안구 내 주사 치료방식은 부작용의 우려가 있고, 사용이 복잡하고 접근성이 떨어진다. 기존 신생혈관억제제 형태의 치료제는 습식 황반변성에만 적용 가능한 의약품으로 신생혈관이 생성되지 않는 초기 단계인 건식 황반변성에는 효과가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846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906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7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Fas-FaL 시그널에 의하여 발생하는 세포사멸을 제어하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1]
A-B
상기 식에서,
A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내고,
B는 존재하지 않거나,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구 투여 제형으로 기존 신생혈관 억제제가 보이는 단백뇨, 고혈압, 출혈과 같은 부작용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질병 진행에 따른 안구 내 염증억제 및 세포사멸 억제를 통해 황반변성을 제어하여 신생혈관 억제제 무반응 환자 치료 가능성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신생혈관이 생성되지 않는 초기 단계인 건식 황반변성에서도 질병 진행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펩타이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존 수용성 점안 제형 또는 주사 제형에 복합적인 제형 개발의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유세포 분석을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유세포 분석을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형광물질을 이용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안구전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모식도이다.
도 4는 형광물질을 이용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안구전달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정상 쥐 안구에서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모식도이다.
도 6은 정상 쥐 안구에서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독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정상 쥐 안구에서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독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황반변성 모델에서 qPCR 및 TUNEL assay를 통한 FBP eye drop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모식도이다.
도 9는 Real Time PCR을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치료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치료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치료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친칠라 토끼 식황반변성 모델에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점안투여 후 0일 및 7일째 유리체 혼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친칠라 토끼 건식 황반변성 모델에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점안투여 후 7일(도 13a) 및 14일(도 13b)째 안저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랫트 황반변성 모델에서 점안액 또는 유리체강 내 주입술에 의한 FBP 펩타이드 투여 후 황반변성 치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H&E 염색 및 TUNEL assay).
도 15는 랫트 황반변성 모델에서 점안액 또는 유리체강 내 주입술에 의한 FBP 펩타이드 투여 후 H&E 염색 및 TUNEL assay 결과를 ImageJ 를 통해 측정하여 One way anova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랫트 황반변성 모델에서 점안액 또는 유리체강 내 주입술에 의한 FBP 펩타이드 투여 후 염증성 유전자의 qPC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사멸 시 세포막에 발현하는 Fas에 결합하여 세포 사멸을 제어하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Blocking Peptide(FBP), 8mer)를 점안 제형으로 투여하여 황반변성 동물모델에서 안구 내 망막세포의 사멸 제어와 Fas-FasL(soluble form)의 결합에 의하여 발생하는 염증을 제어하여 망막세포 사멸과 안구 염증에 의하여 발생하는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였다. 특히, Fas-FasL 결합을 제어하는 FBP 펩타이드를 점안제로 만들어 안구 투여 시 황반 주변부 망막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치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주사 제형의 치료제 투입과 비교하여 혁신적인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건식 황반변성이 유도된 친칠라 토끼에 시험물질을 초자체내 투여 및 반복 점안투여하였을 때,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수준, 망막 두께 측정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에서 시험물질의 투여가 소듐 아이오데이트에 의하여 유도된 건식 황반변성의 진행을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늦춘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건식 황반변성이 유도된 랫트 모델에서 FBP 펩타이드의 유리체강 내 주입술을 통한 수정체 전달에 의해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망막 두께가 잘 보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안제의 시제품은 환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이 간편한 안약 제형으로 개발이 가능하고 Fas-FasL 시그널에 의한 세포사멸을 FBP 펩타이드 함유 점안제 투여 시 황반변성에 관여하는 망막세포의 세포사멸의 억제와 염증의 제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FBP 펩타이드는 동물 모델에서 안구 장벽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PP) 및/또는 폴리아르기닌, 예컨대 3, 4, 6 또는 9-아르기닌(R)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1]
A-B
상기 식에서,
A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내고,
B는 존재하지 않거나,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단독의 단일 펩타이드 또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및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Fas"는 Fas, FasR(Fas receptor), APO-1 (apoptosis antigen 1), 또는 CD95(cluster of differentiation 95)로도 불리며, 세포사멸(apoptosis)을 조절하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tumor necrosis factor, TNF)의 일종이다. Fas가 리간드와 결합하게 되면 다중화(multimerization)를 통해 활성화되고, 그 결과로 여러 어댑터(adaptor) 단백질들이 Fas에 결합한다. 결합한 어댑터 단백질들은 다양한 세포사멸 신호전달 체계를 활성화시키며, 대표적인 신호전달 조절인자에는 카스파제, NF-κB, SAPK(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Bcl-2 패밀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는 상기에서 설명한 Fas에 결합하여 통상적인 Fas 리간드와 반대로 Fas의 하위 신호전달 체계를 억제하는 활성, 세포사멸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1에서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Gly, Ala, Ser, Thr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Xaa1 및 Xaa3는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서 Xaa2만 존재할 수 있고, 2) Xaa1 및 Xaa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존재하면서 Xaa2가 존재할 수 있으며, 3) Xaa1 내지 Xaa3 모두 존재하지 않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열된 서열일 수 있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5'-3')
1 CDEHF
2 YCDEHF
3 YCDEHFY
4 YCDEHFA
5 YCDEHFC
6 YCDEHFM
7 FCDEHFC
8 YCDEHFCY
9 YCDEHFMY
10 YCDEHFCF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는 펩타이드의 향상된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의 N- 및/또는 C-말단이 수식(modification)될 수 있다. 상기 수식은 상기 펩타이드의 N- 및/또는 C-말단에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아미드기, 포르밀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나, 펩타이드의 개질, 특히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인 비보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일반식 1의 펩타이드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및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는 하기 표 2에 나열된 것일 수 있다.
명칭 아미노산 서열(5'-3') 서열번호
TAT GRKKRRQRRRPPQ 11
Penetratin RQIKIWFQNRRMKWKK 12
Polyarginines Rn(n=3, 4, 6, 9) 13
DPV1047 VKRGLKLRHVRPRVTRMDV 14
pVEC LLIILRRRIRKQAHAHSK 15
M918 MVTVLFRRLRIRRACGPPRVRV 16
M1073 MVRRFLVTLRIRRACGPPRVRV 17
BPrPr (1-28) MVKSKIGSWILVLFVAMWSDVGLCKKRP 18
MPG GALFLGFLGAAGSTMGAWSQPKKKRKV 19
Pep-1 KETWWETWWTEWSQPKKKRKV 20
Transportan GWTLNSAGYLLGKINLKALAALAKKIL 21
MAP KLALKLALKALKAALKLA 22
MAP12 LKTLTETLKELTKTLTEL 23
MAP17 QLALQLALQALQAALQLA 24
GALA WEAALAEALAEALAEHLAEALAEALEALAA 25
p28 LSTAADMQGVVTDGMASGLDKDYLKPDD 26
PreS2 PLSSIFSRIGDP 27
VT5 DPKGDPKGVTVTVTVTVTGKGDPKPD 28
Bac 7 [(Bac (1-24)] RRIRPRPPRLPRPRPRPLPFPRPG 29
PPR and PRR PPRn and PRRn(n = 3-6) 30
SAP VRLPPPVRLPPPVRLPPP 31
SAP(E) VELPPPVELPPPVELPPP 32
CyLoP-1 CRWRWKCCKK 33
gH 625 HGLASTLTRWAHYNALIRAF 34
CPP-C PIEVCMYREP 35
C105Y CSIPPEVKFNKPFVYLI 36
Pep-7 SDLWEMMMVSLACQY 37
SG3 RLSGMNEVLSFRW 38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황반변성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황반변성은 건식 황반변성, 또는 습식 황반변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에게 소정의 물질, 즉 본 발명에 따른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또는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와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체강 내로 주사, 점안 형태의 국소 투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사제, 액제, 연고 등의 투여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주사제로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현탁화제, 안정제, 완충제, 보존제, 증점제, 등장화제 등과 함께 수성 현탁주사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액제로 제조되는 경우, 안과용 액제로 사용되는 임의 투여 형태, 예컨대, 수성 안과용 액제, 수성 에멀젼 안과용 액제, 점성 안과용 액제 및 용해된 안과용 액제 등 같은 수성 안과용 액제; 또는 비수성 안과용 액제 및 비수성 에멀젼 안과용 액제와 같은 비수성 안과용 액제로 제공될 수 있다.
수성 에멀젼 안과용 액제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이상 당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등장화제, 완충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증점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가용화제 및 용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완충제는 포스페이트 완충제, 보레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타르트레이트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예컨대, 아세트산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등장화제는 소르비톨, 글루코스 에리스리톨 및 만니톨과 같은 당류,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콜, 및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방부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및 에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와 같은 알킬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벤질 알콜, 페네틸 알콜, 소르브산 및 그의 염, 티메로살, 폴리콰테르늄, 브롬화 벤조도데시늄, 옥시클로로복합체 및 클로로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정화제는 시클로덱스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 (비닐피롤리돈)와 같은 수용성 중합체,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트윈 80®), 폴리소르베이트 20, 티록사폴과 같은 계면활성제, 트로메타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 트로메타민을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염산, 아세트산, 인산, 황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모노에탄올아민, 암모니아수 및 수산화암모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증점제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보머, 포비돈, 폴록사머, 폴리카르보필 및 그의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킬레이팅제는 소듐 에데테이트, 시트르산나트륨 및 응축 인산나트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용화제 또는 용매는 글리세린, DMSO, DMA, N-메틸피롤리돈, 에탄올, 벤질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 내지 가용화제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들 간에는 일부 중복이 있을 수 있으며, 임의의 성분이 용매 또는 가용화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바, 임의의 성분이 제제 내에서 용매의 역할을 한다면 용매로 보고 용매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면 가용화제로 볼 수 있다. 또는, 가용화제는 일부 변형에서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의 조합이 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이온성, 음이온성 (즉, 비누, 술포네이트), 양이온성 (즉, CTAB), 쯔위터이온성, 중합체성,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 11, 12, 13, 또는 14 이상의 HLB를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의 폴리옥시에틸렌 산물, 폴리에톡시레이티드 피마자유 또는 폴리에톡시레이티드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옥실 피마자유 또는 이의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치료적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과 횟수 는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의료업 종사자나 관련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성인 황반변성 환자에게 점안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예컨대 점안액을 1회당 1~4 방울(약 0.025~0.1 mL)의 투여량으로 1일당 1~10회까지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료업 종사자나 관련 통상의 기술자는 치료할 환자의 나이, 무게, 성별 및 반응뿐만 아니라, 치료될 상황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실제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멸균용기 내 충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사용에 관한 지시문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문은 상기 조성물이 충진된 용기 또는 상기 용기를 포장한 제2의 용기에 물리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제2의 용기 내부에 함께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상체는 인간 또는 인간 이외의 생물, 예를 들면 소, 원숭이, 새, 고양이, 마우스, 랫트, 햄스터, 돼지, 개, 토끼, 양, 말 등의 비인간 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 투여 방식 등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세포 분석을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치료 펩타이드의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AnnexinV/7AAD 염색을 진행하였다. AnnexinV/7AAD 염색법은 세포사멸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색법이다. AnnexinV는 세포막 안쪽에 주로 존재하다가 세포사멸 시작 시에 바깥으로 노출되는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e)에 결합하여 세포사멸 초기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로 사용된다. 7AAD는 형광을 띄며 DNA에 강하게 결합하는 화학물질로 세포사멸 후기에 절편화된 DNA를 염색하여 세포사멸 후기 마커로 사용된다. AnnexinV/7-AAD 염색법은 이 두 가지 물질과 유세포 분석기를 활용하여 세포를 4개 분획으로 나누게 된다. 두 가지 모두 염색되지 않은 AnnexinV(-)/7AAD(-)세포는 살아있는 세포(Live cells)로 AnnexinV만 염색된 AnnexinV(+)/7AAD(-) 세포들은 세포사멸 초기단계 세포(Early Apoptosis Cell)로 두가지 모두 염색된 세포 AnnexinV(+)/7AAD(+)는 세포사멸 후기단계 세포(Late Apoptosis)로 7AAD만 염색된 AnnexinV(-)/7AAD(+)는 세포괴사(Necrosis)로 구분 지어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 정상, Mock 및 FBP 처리 군으로 나누고, Mock 군은 Jurkat cell에 Fas L 0.25 ㎍/mL을 처리한 후 12hr 뒤 Annexin V & 7-AAD로 염색하며, FBP 군은 Jurkat cell에 Fas L 0.25 ㎍/mL 및 300 μM의 FBP 처리 후 12hr 뒤 Annexin V & 7-AAD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2에서와 같이, AnnexinV 염색을 통해서 Fas 결합 펩타이드가 세포사멸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형광물질을 이용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안구전달 여부 확인
형광물질이 실제로 안구 내부의 표적위치인 망막색소상피층까지 도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Fas 결합 FBP 펩타이드에 형광물질인 Alexa488를 결합하여(FBP:Alexa488=20:1(w/w), 컨쥬게이션 조건: 실온에서 4시간) 안구에 투여한 뒤 12시간 후에 안구를 적출하여 동결절단(cryosection)한 샘플을 형광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을 위해, 마우스를 정상(n=3), 9R-FBP(n=3), TAT-FBP(n=3) 처리 그룹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안구에 하루에 한번 eye drop로 3일 동안 5 mg/mL의 FBP를 5 ㎕/eye(총 25 ㎍/eye)를 투여하였다(도 3 참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광 물질을 결합한 Fas 결합 펩타이드가 실제로 안구 내부의 표적 위치인 망막색소상피층까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란색 형광이 세포핵을 염색한 모습이고 초록색 형광이 Alexa488을 결합시킨 Fas 결합 펩타이드이다. 세포투과성을 가진 9R-펩타이드와 TAT-펩타이드 모두 안구장벽을 통과하여 표적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정상 쥐 안구에서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세포독성 확인
제작한 펩타이드가 실험동물에서 세포독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20 ㎍ 펩타이드를 1일 3회 3일간 점안하여 TUNEL assay로 사멸한 세포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를 FBP(Sham, n=2), FBP 9R(n=2), FBP 9R/siRNA(25 : 1로 복합체 제조, n=2) 처리 그룹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안구에 8시간 간격으로 하루에 3번 eye drop로 10 mg/mL의 FBP 9R을 2 ㎕/eye(총 20 ㎍/eye)를 총 9회 eye drop 후 투여하고 8시간 후에 TUNEL assay로 사멸한 세포를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도 6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투과성이 없는 Fas결합 펩타이드와 동일한 세포독성을 보였고 siRNA와 복합체를 이룬 펩타이드도 동일한 세포독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간 PCR을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치료효과 확인
NaIO3를 통해 쥐의 황반변성을 유도하고(NaIO3 I.P 50 mg/kg) 3일 뒤에 2 mg/mL이 펩타이드를 5 ㎕/eye로 1일 3회씩 3일간 투여하여(총 9회 eye drop, 총 10 ㎍/eye)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스테로이드성 염증 억제제인 덱사메타손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은 무작위 서열로 구성된 Fas 결합 펩타이드와 세포투과성이 없는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은 실제로 제작한 펩타이드가 염증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각 실험군들에 해당하는 펩타이드 및 약물을 처리하였고, 눈을 적출하여 실시간 PCR을 통해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먼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정상 쥐(n=2)의 눈을 통해 발현량의 기준으로 잡고, 그 외 쥐들은 화학 약품을 복강 내 주사로 주입하여 황반변성을 유도하였다. 유도 후에 아무 약품도 처리하지 않은 그룹이 Mock(n=2)이고,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성 염증억제제인 덱사메타손이 양성 대조군(n=2)(안내 주사, 10 ㎍(10 ㎕)), 그리고 세포투과성이 없는 펩타이드(FBP, eye drop 10 ㎍(5 ㎕))와 세포투과성을 가지지만 무작위적인 서열을 포함한 SCR-펩타이드(ScrFBP-9R, eye drop 10 ㎍(5 ㎕))를 각각 음성 대조군(n=2)으로 설정하였다. TAT-펩타이드(TAT-FBP, eye drop 10 ㎍(5 ㎕))와 9R-펩타이드(9R-FBP, eye drop 10 ㎍(5 ㎕))는 세포투과성을 가지는 치료 펩타이드로 효과 검증이 필요한 표적 그룹(각각 n=3)이다(도 8 참조).
도 9에서와 같이, 정상 대비 Mock에서 염증수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TNF-a 수치가 3배 이상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은 Mock 대비 낮은 TNF-a 수치를 보였고, 음성 대조군인 펩타이드와 SCR-펩타이드는 Mock과 비슷한 수치가 나왔다. 반면, 모델링한 표적 그룹인 TAT-펩타이드와 9R-펩타이드가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의 TNF-a 수치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양상으로 보아, 황반변성이 유도된 쥐에 투여한 표적 그룹이 염증 억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5> Tunel assay를 통한 Fas 결합 펩타이드의 치료효과 확인
실제로 제작한 펩타이드가 망막 세포사멸 억제 효과가 있는지 실험하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이 각 실험군들에 해당하는 펩타이드 및 약물을 처리하였고, 눈을 적출하여 Cryoblock을 만든 뒤 Tunnel assay를 통해 사멸된 세포 수를 확인하였다.
도 10 및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가 사멸하여 붉게 염색된 부분이 Fas 결합 펩타이드 그룹인 Tat-펩타이드와 9R-펩타이드에서 모두 음성 대조군 대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작한 펩타이드 그룹에서 항염증제인 덱사메타손과 동일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정상그룹과 비교했을 때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토끼 황반변성 모델에서 치료 효과
소듐 아이오데이트(Sodium iodate, NaIO3) 유도 친칠라 토끼 황반변성 모델에서 시험물질의 초자체내 및 점안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1: 유발대조군, G2: TA1 초자체내 투여군, G3: TA2 점안 투여군, G4: TA3 점안 투여군, G4: TA4 점안 투여군). NaIO3는 건식 황반변성 (Dry Aged-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ry AMD) 전임상 실험 모델을 제작하는데 널리 쓰여온 물질이다. 본 시험에서는 NaIO3를 토끼의 이정맥에 정맥투여한 후, 망막 색소상피세포층과 광수용세포의 퇴화를 유도하여 건식 황반변성 질환모델을 제작하고, 퇴화된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면적 분석, ERG (Electroretinogram) 측정,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촬영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시험물질의 효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은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 (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사료는 ㈜카길애그리퓨리나에서 생산하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드림바이오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 507)로부터 공급받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며, 물은 정수된 물을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순화, 투여 및 관찰 기간 동안 토끼용 스테인레스제 사육상자 (W 500 x L 800 x H 500 mm)에서 1 마리/사육상자로 사육하였다. 군 분리는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된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하고 순위화한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무작위법으로 분배하였다. 시험군은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된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
번호
유발
여부
투여물질 투여
경로
투여량
(μg/eye)
투여액량
(μL/eye)
G1 M 4 1-4 Y Vehicle 점적 - 50
G2 M 4 5-8 Y TA1 I.Vt 250 40
G3 M 4 9-12 Y TA2 점적 250 50
G4 M 4 13-16 Y TA3 점적 250 50
G5 M 4 17-20 Y TA4 점적 250 50
투여 시험물질은 적량의 시험물질을 부형제에 5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투여 경로는 초자체내 및 점안투여를 선택하였으며, 점안 투여의 경우, 시험물질 투여개시 예정일 (Day 0)부터 시험물질 및 부형제를 2 회/일로 14 일간, 총 28 회 반복 투여하였다. 초자체내 투여의 경우, G2 투여일 (Day 1)에 시험물질을 단회 투여하였다. 투여량은 점안 투여군의 경우 1 회 점안시 5 mg/mL 즉, 250 μg/50 μL로 투여하였으며, 초자체내 투여의 경우, 1 회 투여 시 조제물의 상층액을 40 μL씩 투여하였다. 점안 투여의 경우, 보조자가 동물을 사육상자 밖으로 꺼내어 자연스럽게 보정한 후, 투여자는 피펫을 이용하여 각 시험군에 해당하는 시험물질을 우안 각막 중앙에 점안하였다. 초자체내 투여의 경우, 동물이 마취된 상태에서 시험물질을 해당 동물의 우측 안구에 31 gauge 주사바늘이 장착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초자체내 투여하였다.
황반변성 모델은 유발일 (Day 0)에 황반변성을 유발할 동물에 대하여 NaIO3 (Sigma-Aldrich Co.)를 60 mg/kg의 용량으로 단회 정맥 투여하여 제작하였다.
(1) 혼탁 확인 시험
2.0 kg 이상 New Zealand White Rabbit (한림실험동물,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유리)에 시험물질을 투여하여, 시험물질 투여 전 (Day 0), 투여 후 3 일째 및 7 일째에 동물을 마취한 다음, 안저카메라 (TRC-50IX,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안저 촬영을 실시하여 안구 혼탁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물질을 투여한 후 3 일째 및 7 일째에 안구혼탁을 확인한 결과, 전 개체에서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2) 안저 촬영
NaIO3 투여 전 및 실험 종료 전에 동물의 우측 안구에 산동제 (미드리아실 1 % 점안액)를 점안한 후, 동물을 마취한 다음, 안저카메라 (TRC-50IX,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안저 촬영을 실시하였다. 안저 이미지를 Image J (NIH, Bethesda, MD)를 이용하여 망막 색소상피층이 퇴화된 부분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안저이미지 상 시신경 부위를 제외한 망막 부위를 전체 면적 (Total area)로 정하고, 전체면적 중 망막 색소상피층의 퇴화된 부위(Degenerated area)로 정하여 그 비율을 백분율 (%)로 산출하였다.
퇴화된 부위 (%) = 퇴화된 부위 / 전체 부위
도 13a-b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분석 결과, 황반변성 유발 후 7 일째에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 (G2-5)의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황반변성 유발 후 14 일째에 TA2 투여군의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TA1 투여군, TA3 투여군 및 TA4 투여군의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RPE 퇴행
RPE 퇴행 (UNIT: %)
시간
(일)
G1 G2 G3 G4 G5
7 70.51±2.80 54.09±6.62** 42.19±7.50*** 56.63±7.28* 53.78±5.84**
14 80.16±6.62 65.52±8.27 53.98±5.44** 66.89±7.32 76.68±10.71
N 4 4 4 4 4
NaIO3 투여일을 0으로 정함.
데이터는 평균±S.D로 표현.
G1: 비히클, G2: TA1, G3: TA2, G4: TA3. G5: TA4
***/**/* G1과 비교하여 p<0.001/p<0.01/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
(3) Electroretinogram (ERG) 측정
실험 종료 전에 모든 생존 동물의 우측 안구에 대하여 망막 전위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물을 마취한 뒤, 60 분간 암실에서 적응시키고, ERG 장비 (HMs-ERG, Ocuscience, USA)를 이용하여 망막 전위차를 측정하였다. 망막 전위차는 ISCEV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Electrophysiology of Vision)의 망막기능 평가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광수용체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A-wave amplitude 및 M
Figure pat00001
ller cell 등의 신경아교세포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B-wave amplitude를 평가하였다. 암실에서 플래시에 의한 망막 전위도를 측정하였다.
ERG (Electroretinogram)는 광자극에 대한 망막의 반응을 전기적 신호의 파형으로 기록하여 망막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이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반변성 유발 후 14 일째에 ERG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전 개체에서 ERG의 특징적인 파형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 결과를 미루어 보아 전 개체에서 광자극에 대한 망막의 반응은 소실된 것으로 사료된다.
ERG (Electroretinogram)
ERG (UNIT: μV)
시험 G1 G2 G3 G4 G5
a wave 0.0±0.0 0.0±0.0 0.0±0.0 0.0±0.0 0.0±0.0
b wave 0.0±0.0 0.0±0.0 0.0±0.0 0.0±0.0 0.0±0.0
N 4 4 4 4 4
NaIO3 투여일을 0으로 정함.
데이터는 평균±S.D로 표현.
G1: 비히클, G2: TA1, G3: TA2, G4: TA3. G5: TA4
(4)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촬영
실험 종료 전에 모든 동물에 대하여 우측 안구에 대하여 OCT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시신경을 기준으로 Upper 및 Lower 부분 2 부분을 촬영한 뒤 각 이미지에서 3 point의 망막 두께를 분석하여 총 6 개의 값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를 촬영하여 망막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TA1 투여군 및 TA2 투여군의 망막 두께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6).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OCT (UNIT: μm)
시간(일) G1 G2 G3 G4 G5
14 113.8±9.7 132.0±4.8* 132.8±9.0* 120.1±7.3 122.9±10.1
N 7 7 7 7 7
NaIO3 투여일을 0으로 정함.
데이터는 평균±S.D로 표현.
G1: 비히클, G2: TA1, G3: TA2, G4: TA3. G5: TA4
* G1과 비교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
(5)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시험 종료일에 모든 생존동물에 대하여 마취를 실시하고, 안락사를 실시한 뒤, 유발된 안구를 적출하고 각막 중앙에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puncture를 실시한 뒤, 10 % 중성완충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삭정, 탈수, 파라핀 포매, 박절 등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한 뒤,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 현미경 (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전체망막 두께 대비 Outer Nuclear Layer (ONL)의 두께의 비율 (%)을 계산한다. 한 안구 당 시신경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2 장의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각 슬라이드 당 3 point를 측정하여 총 6 개의 값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대하여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적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시험군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을 경우,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7.04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안구 조직을 H&E 염색하여 망막 두께 대비 Outer Nuclear Layer (ONL)의 두께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의 전체 망막 두께 대비 비율 수준은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7).
ONL ratio
ONL ratio (UNIT: %)
시간(일) G1 G2 G3 G4 G5
14 20.38±2.75 25.17±1.58** 27.26±1.20*** 24.54±1.67* 24.04±1.09
N 7 7 7 7 7
NaIO3 투여일을 0으로 정함.
데이터는 평균±S.D로 표현.
G1: 비히클, G2: TA1, G3: TA2, G4: TA3. G5: TA4
* G1과 비교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
상술한 바와 같이, 건식 황반변성이 유도된 친칠라 토끼에 시험물질을 초자체내 투여 및 반복 점안투여하였을 때, 망막 색소상피세포층 퇴화 면적 수준, 망막 두께 측정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에서 TA1, TA2, TA3 및 TA4 시험물질의 투여가 소듐 아이오데이트에 의하여 유도된 건식 황반변성의 진행을 유발대조군에 비하여 늦춘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랫트 황반변성 모델에서 치료 효과
랫트 황반변성 모델에서 점안액 또는 유리체강 내 주입술에 의한 FBP 펩타이드의 황반변성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학적 분석(H&E / TUNEL assay)은 동물을 희생시킨 후 안구를 적출하여 OCT compound라는 물질을 이용해 안구를 고정 및 동결하여 동결절편기로 박절한 뒤 실험을 진행하였다.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여 조직병리 분석을 진행하였고(H&E 염색), TUNEL assay를 통해 세포사멸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동물은 랫트이고, 각 그룹당 마리수 3마리로 진행하였다. 각 그룹별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다.
Normal: 아무 물질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Mock(6G)(음성대조군): 안구내에서 실험적으로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헥사글라이신(6G)을 점안액(Eyedrop) 형태로 투여한 Mock(6G)투여군;
Dexamethasone(양성대조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계 약물로 안구내 염증을 줄여 항염증효과를 통해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덱사메타손 투여군;
FBP(ED): 세포사멸억제 효과를 가진 치료펩타이드인 FBP를 점안액 형태로 투여한 FBP Eyedrop(이하 FBP(ED)) 투여군;
FBP(Ivt): 세포사멸억제 효과를 가진 치료펩타이드인 FBP를 유리체강 내 주입술을 통해 투여한 FBP intravitreal injection (이하 FBP(Ivt)) 투여군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반변성이 진행됨에 따라 망막에 존재하는 세포들이 사멸하게 되어 망막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데, H&E 염색을 통해 측정한 망막의 두께를 One way anova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각 그룹을 음성대조군인 Mock(6G)그룹과 비교했을 때, 덱사메타손 투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Mock(6G) vs 덱사메타손: ns (not significant)), FBP Eyedrop 투여군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Mock(6G) vs FBP ED : ns (not significant)). 반면 FBP intravitreal injection 투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Mock(6G) vs FBP Ivt : * (Significant)). 이를 통해 FBP intravitreal injection 투여군에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망막 두께가 잘 보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UNEL assay 후 파란색으로 염색된 전체 세포핵에서 붉은색으로 염색된 사멸된 세포의 비율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ImageJ 를 통해 측정하여 One way anova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음성대조군인 Mock(6G) 그룹과 비교했을 때, 덱사메타손 투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Mock(6G) vs 덱사메타손: ns (not significant)), FBP Eyedrop 투여군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Mock(6G) vs FBP ED : ns (not significant)). 반면 FBP intravitreal injection 투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Mock(6G) vs FBP Ivt : *** (Significant)). 이를 통해 FBP intravitreal injection 투여군에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붉은 세포인 TUNEL 양성 세포비율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염증성 유전자의 qPCR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qPCR 분석은 동물을 희생시킨 후 안구를 적출하여 RNA를 분리한 뒤 이를 통해 합성한 cDNA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목적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각 목적유전자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TNF-α: TNF-α는 급성염증반응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면역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으로 발현량이 높아지면 염증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IL-1β: IL-1β는 만성 염증반응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발현량이 높아지면 염증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Fas: Fas는 Fas-Fas리간드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수용체로 수치가 높아지면 세포사멸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Caspase3: Caspase3는 세포사멸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발현량이 높아지면 세포사멸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qPCR을 통해 측정한 목적유전자의 발현량을 One way anova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그룹을 음성대조군인 Mock (6G) 그룹과 비교했을 때 모든 목적유전자들의 발현량이 공통적으로 덱사메타손과 FBP Ivt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FBP Ivt 투여군에서 염증성 인자와 세포사멸 인자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comprising Fas signaling-blocking peptide <130> P21U10C0131 <150> KR 10-2020-0135102 <151> 2020-10-19 <160> 3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1 Cys Asp Glu His Phe 1 5 <210> 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2 Tyr Cys Asp Glu His Phe 1 5 <210> 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3 Tyr Cys Asp Glu His Phe Tyr 1 5 <210> 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4 Tyr Cys Asp Glu His Phe Ala 1 5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5 Tyr Cys Asp Glu His Phe Cys 1 5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6 Tyr Cys Asp Glu His Phe Met 1 5 <210> 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7 Phe Cys Asp Glu His Phe Cys 1 5 <210> 8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8 Tyr Cys Asp Glu His Phe Cys Tyr 1 5 <210> 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9 Tyr Cys Asp Glu His Phe Met Tyr 1 5 <210> 1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Blocking Peptide <400> 10 Tyr Cys Asp Glu His Phe Cys Phe 1 5 <210> 1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TAT <400> 11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Pro Pro Gln 1 5 10 <210> 1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enetratin <400> 12 Arg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13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olyarginines(3R, 4R, 6R, or 9R) <400> 13 Arg Arg Arg 1 <210> 14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DPV1047 <400> 14 Val Lys Arg Gly Leu Lys Leu Arg His Val Arg Pro Arg Val Thr Arg 1 5 10 15 Met Asp Val <210> 15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VEC <400> 15 Leu Leu Ile Ile Leu Arg Arg Arg Ile Arg Lys Gln Ala His Ala His 1 5 10 15 Ser Lys <210> 16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918 <400> 16 Met Val Thr Val Leu Phe Arg Arg Leu Arg Ile Arg Arg Ala Cys Gly 1 5 10 15 Pro Pro Arg Val Arg Val 20 <210> 17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1073 <400> 17 Met Val Arg Arg Phe Leu Val Thr Leu Arg Ile Arg Arg Ala Cys Gly 1 5 10 15 Pro Pro Arg Val Arg Val 20 <210> 18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BPrPr (1-28) <400> 18 Met Val Lys Ser Lys Ile Gly Ser Trp Ile Leu Val Leu Phe Val Ala 1 5 10 15 Met Trp Ser Asp Val Gly Leu Cys Lys Lys Arg Pro 20 25 <210> 19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PG <400> 19 Gly Ala Leu Phe Leu Gly Phe Leu Gly Ala Ala Gly Ser Thr Met Gly 1 5 10 15 Ala Trp Ser Gln Pro Lys Lys Lys Arg Lys Val 20 25 <210> 20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ep-1 <400> 20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20 <210> 21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Transportan <400> 21 Gly Trp Thr Leu Asn Ser Ala Gly Tyr Leu Leu Gly Lys Ile Asn Leu 1 5 10 15 Lys Ala Leu Ala Ala Leu Ala Lys Lys Ile Leu 20 25 <210> 2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AP <400> 22 Lys Leu Ala Leu Lys Leu Ala Leu Lys Ala Leu Lys Ala Ala Leu Lys 1 5 10 15 Leu Ala <210> 2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AP12 <400> 23 Leu Lys Thr Leu Thr Glu Thr Leu Lys Glu Leu Thr Lys Thr Leu Thr 1 5 10 15 Glu Leu <210> 24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MAP17 <400> 24 Gln Leu Ala Leu Gln Leu Ala Leu Gln Ala Leu Gln Ala Ala Leu Gln 1 5 10 15 Leu Ala <210> 2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GALA <400> 25 Trp Glu Ala Ala Leu Ala Glu Ala Leu Ala Glu Ala Leu Ala Glu His 1 5 10 15 Leu Ala Glu Ala Leu Ala Glu Ala Leu Glu Ala Leu Ala Ala 20 25 30 <210> 26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28 <400> 26 Leu Ser Thr Ala Ala Asp Met Gln Gly Val Val Thr Asp Gly Met Ala 1 5 10 15 Ser Gly Leu Asp Lys Asp Tyr Leu Lys Pro Asp Asp 20 25 <210> 2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reS2 <400> 27 Pro Leu Ser Ser Ile Phe Ser Arg Ile Gly Asp Pro 1 5 10 <210> 28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VT5 <400> 28 Asp Pro Lys Gly Asp Pro Lys Gly Val Thr Val Thr Val Thr Val Thr 1 5 10 15 Val Thr Gly Lys Gly Asp Pro Lys Pro Asp 20 25 <210> 29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Bac 7 [(Bac (1-24)] <400> 29 Arg Arg Ile Arg Pro Arg Pro Pro Arg Leu Pro Arg Pro Arg Pro Arg 1 5 10 15 Pro Leu Pro Phe Pro Arg Pro Gly 20 <210> 3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PR and PRR (PPRn and PRRn (n=3~6)) <400> 30 Pro Pro Arg Pro Arg Arg 1 5 <210> 31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SAP <400> 31 Val Arg Leu Pro Pro Pro Val Arg Leu Pro Pro Pro Val Arg Leu Pro 1 5 10 15 Pro Pro <210> 3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SAP(E) <400> 32 Val Glu Leu Pro Pro Pro Val Glu Leu Pro Pro Pro Val Glu Leu Pro 1 5 10 15 Pro Pro <210> 3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CyLoP-1 <400> 33 Cys Arg Trp Arg Trp Lys Cys Cys Lys Lys 1 5 10 <210> 3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gH 625 <400> 34 Cys His Gly Leu Ala Ser Thr Leu Thr Arg Trp Ala His Tyr Asn Ala 1 5 10 15 Leu Ile Arg Ala Phe 20 <210> 3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CPP-C <400> 35 Pro Ile Glu Val Cys Met Tyr Arg Glu Pro 1 5 10 <210> 36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C105Y <400> 36 Cys Ser Ile Pro Pro Glu Val Lys Phe Asn Lys Pro Phe Val Tyr Leu 1 5 10 15 Ile <210> 3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Pep-7 <400> 37 Ser Asp Leu Trp Glu Met Met Met Val Ser Leu Ala Cys Gln Tyr 1 5 10 15 <210> 38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ell Penetrating Peptide: SG3 <400> 38 Arg Leu Ser Gly Met Asn Glu Val Leu Ser Phe Arg Trp 1 5 10

Claims (9)

  1.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일반식 1]
    A-B
    상기 식에서,
    A는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Fas Blocking Peptide)를 나타내고,
    B는 존재하지 않거나, 세포투과성 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를 나타낸다
    [일반식 2]
    Xaa1-Cys-Asp-Glu-His-Phe-Xaa2-Xaa3
    상기 식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임의의 아미노산이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Ala, Gly, Val, Leu, Ile, Met, Pro, Ser, Cys, Thr, Asn 및 Gl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존재하지 않거나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에서,
    Xaa1 및 Xaa3는 각각 독립적으로 Tyr, Phe 및 Tr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aa2는 Gly, Ala, Ser, Thr, Met 및 Cy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은 SEQ ID NOS: 1 내지 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는 SEQ ID NOS: 11 내지 3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의 단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 및 세포투과성 펩타이드의 융합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황반변성은 건식 황반변성 또는 습식 황반변성 중 어느 하나인,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점안 제형 또는 주사 제형인,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096528A 2020-10-19 2021-07-22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1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4146 WO2022086039A1 (ko) 2020-10-19 2021-10-13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5102 2020-10-19
KR1020200135102 2020-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91A true KR20220051791A (ko) 2022-04-26

Family

ID=8139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28A KR20220051791A (ko) 2020-10-19 2021-07-22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7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468A (ko) 2011-11-02 2013-05-10 제일약품주식회사 낭성구조물로부터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
KR20140079067A (ko) 2012-12-18 2014-06-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Ebv 감염 인간망막색소 상피세포를 이용한 혈관신생 질환용 세포 모델
KR20170049775A (ko) 2015-10-28 2017-05-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망막색소상피 분화 유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468A (ko) 2011-11-02 2013-05-10 제일약품주식회사 낭성구조물로부터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
KR20140079067A (ko) 2012-12-18 2014-06-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Ebv 감염 인간망막색소 상피세포를 이용한 혈관신생 질환용 세포 모델
KR20170049775A (ko) 2015-10-28 2017-05-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망막색소상피 분화 유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9392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препараты для лечения вирусных инфекций глаза
US11918577B2 (en)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for topical eye treatment of retin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JP2023179739A (ja) 角膜の混濁および瘢痕化の予防および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20220175876A1 (en) Angio-3 for treatment of retinal angiogenic diseases
JP2020501510A (ja) 目の表面で使用するためのアンカードメインを含む繋留タンパク質に基づく薬物
WO2021129658A1 (zh) 融合蛋白在治疗年龄相关性黄斑变性中的应用
KR20220051791A (ko)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540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cular disease
EP3886858B1 (en) Compounds for treatment of eye diseases associated with excessive vascularisation
WO2022086039A1 (ko)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3827B1 (ko) 안구 건조증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짧은 합성 펩티드의 용도
KR20220062279A (ko) 안질환의 치료 방법
Komlos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ARVO)-2022 Annual Meeting. Denver/Virtual-May 1-4 and 11-12, 2022
KR20230131213A (ko) 탄파너셉트 안과용 조성물을 이용한 안구건조증의 치료
Baid Lens epithelium derived growth factor (1-326): a new protein drug for retinal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