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77A -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77A
KR20220051677A KR1020200135381A KR20200135381A KR20220051677A KR 20220051677 A KR20220051677 A KR 20220051677A KR 1020200135381 A KR1020200135381 A KR 1020200135381A KR 20200135381 A KR20200135381 A KR 20200135381A KR 20220051677 A KR20220051677 A KR 2022005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laylist
content
playlist
player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376B1 (ko
Inventor
이종혁
황효원
변우식
조성택
김성호
장준기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376B1/ko
Priority to PCT/KR2021/014545 priority patent/WO2022086107A1/ko
Publication of KR2022005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376B1/ko
Priority to US18/301,411 priority patent/US202302622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둘 이상의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와 같이 끊김 없이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아래의 설명은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기존 솔루션으로서 일례로 HLS(HTTP Live Streaming),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mp4 등이 존재한다.
이때, 일반적인 VOD(Video On Demand) 재생의 경우, 두 개의 VOD를 연속하여 재생할 때, 정확히 두 콘텐츠의 재생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워 끊김 없이(Gapless) 재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397183호
각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둘 이상의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와 같이 끊김 없이(Gapless)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플레이어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를 통해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제1 콘텐츠를 위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획득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VOD 타입에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플레이어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한 상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서버를 통해 제2 콘텐츠를 위한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여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어는 라이브 타입의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플레이어의 주기적인 요청에 대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한 이후에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끝을 나타내는 태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라이브 타입임을 명시하는 태그를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로를 기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절대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1 내용과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2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내용과 상기 제2 내용 사이에 타임라인이 변경됨을 명시하는 태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는 서로 상이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플레이어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를 통해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제1 콘텐츠를 위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VOD 타입에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플레이어로 제공하고, 상기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한 상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서버를 통해 제2 콘텐츠를 위한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여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각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둘 이상의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와 같이 끊김 없이(Gapless)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VOD 재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D 타입의 콘텐츠를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로 변경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콘텐츠처럼 연결된 두 개의 콘텐츠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재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은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콘텐츠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콘텐츠 제공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VOD 재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플레이어(310)는 서버(320)로 특정 콘텐츠에 대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일례로, HLS(HTTP Live Streaming) 프로토콜의 master.m3u8)를 요청(331)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20)는 요청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를 플레이어(310)로 제공(332)할 수 있다.
이후 플레이어(310)는 마스터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특정 화질에 해당하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일례로, HLS 프로토콜의 playlist.m3u8)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서버(320)로 요청(333)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30)는 요청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플레이어(310)로 제공(334)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310)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N개의 스트리밍 데이터(일례로, HLS 프로토콜의 ts 파일)를 서버(320)로부터 순차적으로 요청 및 수신(335)할 수 있다.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는 플레이어(310)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서버(320)가 플레이어(310)로 제공하는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의 예시(321)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예시(322)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예시(322)에서와 같이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태그 #EXT-X-ENDLIST(323)를 포함하고 있으면, 플레이어(310)는 더 이상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일례로, playlist.m3u8)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마지막 콘텐츠 청크(일례로, 0. ts 파일 내지 N.ts 파일)까지 모두 순차적으로 재생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콘텐츠들을 연속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두 개의 콘텐츠들의 타이밍(첫 번째 콘텐츠의 재생 종료 타이밍 및 두 번째 콘텐츠의 재생 시작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워 두 콘텐츠들간의 끊김 없는(Gapless) 재생이 어렵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리밍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레이어(410), 프록시(420) 및 복수의 서버들(430)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어(410) 및 프록시(420)는 스트리밍 콘텐츠의 재생을 위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설치 및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버들(430) 각각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장치에 설치 및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 장치(200)에 설치 및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과정(441)은 플레이어(410)가 프록시(420)를 통해 제1 서버(431)로 첫 번째 콘텐츠의 마스터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제1 서버(431)는 복수의 서버들(430)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과정(442)은 제1 서버(431)가 프록시(420)를 통해 플레이어(410)로 첫 번째 콘텐츠의 마스터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제3 과정(443)은 플레이어(410)가 프록시(420)를 통해 제1 서버(431)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는 제2 과정(442)에서 제공받은 마스터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플레이어(410)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4 과정(444)은 제1 서버(431)가 프록시(420)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제5 과정(445)은 프록시(420)가 제4 과정(444)에서 제공받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정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일례로, 프록시(420)는 VOD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로 수정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수정에 대해서도 이후 도 5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제6 과정(446)은 프록시(420)가 플레이어(410)로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어(410)는 첫 번째 콘텐츠를 VOD 타입이 아닌 라이브 타입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410)가 첫 번째 콘텐츠를 라이브 타입으로 인식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는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를 위해 플레이어(410)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특징을 활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라이브 타입에서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 내의 콘텐츠(ts 파일들)가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 "01:00"에는 playlist.m3u8 파일에 30 내지 40초 구간의 ts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고, 제2 시점 "01:10"에는 playlist.m3u8 파일에 40 내지 50초 구간의 ts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시점 "01:20"에는 playlist.m3u8 파일에 50 내지 60초 구간의 ts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410)는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playlist.m3u8 파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7 과정(447)은 플레이어(410)가 프록시(420)로 주기적으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 및 수신하고,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1 서버(431)로 순차적으로 요청 및 수신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410)는 주기적으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은 프록시(420)에 의해 처리되어 제6 과정(446)에서와 같이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주기적으로 플레이어(41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410)는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일례로, 0.ts 내지 N.ts)를 순차적으로 제1 서버(43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8 과정(448)은 프록시(420)가 제2 서버(432)로 두 번째 콘텐츠에 대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고, 제2 서버(432)로부터 두 번째 콘텐츠에 대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이러한 제8 과정(448)은 제7 과정(447)이 진행되는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프록시(420)는 제2 서버(432)로부터 두 번째 콘텐츠에 대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9 과정(449)은 플레이어(410)가 프록시(420)로 주기적으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 및 수신하고,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2 서버(432)로 순차적으로 요청 및 수신하는 과정의 예일 수 있다. 첫 번째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프록시(420)는 플레이어(410)로 두 번째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두 번째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 역시 제5 과정(445)에서와 같이 프록시(420)에 의해 수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한 플레이어(410)는 주기적으로 프록시(420)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일례로, 0.ts 내지 M.ts)를 순차적으로 제2 서버(43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어(410)의 관점에서는 두 개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하나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처럼 끊임없이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두 개의 콘텐츠가 각각 서로 다른 서버(제1 서버(431) 및 제2 서버(432))로부터의 콘텐츠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은 동일한 하나의 서버로부터의 두 개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VOD 타입의 콘텐츠를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로 변경하기 위해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VOD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10)를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20)로 수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20)에는 "#EXT-X-PLAYLIST-TYPE:LIVE"와 같이 해당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20)의 타입이 라이브임을 나타내기 위한 태그가 추가될 수 있으며, 태그 "#EXT-X-ENDLIST"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데이터(ts 파일)의 경로가 절대 경로(full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록시(420)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10)를 미디어 플레이리스트(520)와 같이 수정함으로써, 플레이어(410)가 해당 콘텐츠의 타입을 라이브 타입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어(410)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주기적으로 요청하게 되며, 하나의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주기적으로 요청에 따라 프록시(420)로부터 수신된 다음 콘텐츠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끊김 없이(Gapless) 두 개의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처럼 연결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HLS 프로토콜의 경우에 대한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설명을 통해 VOD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라이브 타입의 콘텐츠를 위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로 수정하는 것이 스트리밍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콘텐츠처럼 연결된 두 개의 콘텐츠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점선박스(610)는 첫 번째 VOD 콘텐츠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 프록시(420)에 의해 태그 "#EXT-X-ENDLIST"가 제거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점선박스(620)는 태그 "#EXT-X-ENDLIST"가 제거된 첫 번째 VOD 콘텐츠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다음 VOD 콘텐츠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다음 VOD 콘텐츠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도 프록시(420)에 의해 태그 "#EXT-X-ENDLIST"가 미리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두 개의 콘텐츠들의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들이 연결된 하나의 미디어 플레이리스트(710)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점선박스(711)는 제1 콘텐츠의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내용을, 제2 점선박스(712)는 제2 콘텐츠의 수정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3 점선박스(7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내용 사이에 추가된 태그 "#EXT-X-DISCONTINUITY"를 통해 미디어 플레이리스트(710)에 타임라인이 변경됨이 명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 확장된 미디어 플레이리스트(710)를 통해 자연스럽게 두 번째 콘텐츠의 재생이 이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410)에서의 동작 안정성을 위해, 프록시(420)는 첫 번째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후, 미디어 플레이리스트(710)에서 첫 번째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방법은 앞서 설명한 프록시(420)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프록시(420)는 플레이어(410)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8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810 내지 86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플레이어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를 통해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제1 콘텐츠를 위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플레이어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플레이어(4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어(410)가 제1 서버(431)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와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함에 따라 프록시(420)가 중간에서 마스터 플레이리스트 및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함을 설명한 바 있다.
단계(8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획득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VOD 타입에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끝을 나타내는 태그(일례로, HLS 프로토콜에서의 태그 "#EXT-X-ENDLIST")를 제거하고,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라이브 타입임을 명시하는 태그(일례로, HLS 프로토콜에서의 태그 "#EXT-X-PLAYLIST-TYPE:LIVE")를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로를 기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절대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로를 절대 경로로 변경하는 예는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단계(8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플레이어로 제공할 수 있다.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한 플레이어는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스트리밍 데이터의 절대 경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브 타입에서는 미디어 플레이리스트 내의 콘텐츠(일례로, HLS 프로토콜의 ts 파일들)가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함에 따라 플레이어는 제1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플레이어에서의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한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서버를 통해 제2 콘텐츠를 위한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는 서로 상이한 서버일 수 있다.
단계(85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여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1 내용과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2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내용과 상기 제2 내용 사이에 타임라인이 변경됨을 명시하는 태그(일례로, HLS 프로토콜의 태그 "#EXT-X-DISCONTINUITY")를 추가할 수 있다.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와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는 예는 앞서 도 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
단계(86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플레이어의 주기적인 요청에 대해,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되,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한 이후에는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는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포함하던 스트리밍 데이터의 절대 경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경우에 끊김 없이 제2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둘 이상의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와 같이 끊김 없이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플레이어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를 통해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제1 콘텐츠를 위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획득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VOD 타입에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플레이어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한 상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서버를 통해 제2 콘텐츠를 위한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여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는 라이브 타입의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플레이어의 주기적인 요청에 대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한 이후에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끝을 나타내는 태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라이브 타입임을 명시하는 태그를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로를 기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절대 경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1 내용과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2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내용과 상기 제2 내용 사이에 타임라인이 변경됨을 명시하는 태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는 서로 상이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7.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플레이어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서버를 통해 VOD(Video On Demand) 타입의 제1 콘텐츠를 위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VOD 타입에서 라이브 타입으로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플레이어로 제공하고,
    상기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한 상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서버를 통해 제2 콘텐츠를 위한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연결하여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는 라이브 타입의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플레이어의 주기적인 요청에 대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획득한 이후에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서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끝을 나타내는 태그를 제거하고,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라이브 타입임을 명시하는 태그를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가 포함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로를 기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절대 경로로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정된 제1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1 내용과 상기 제2 미디어 플레이리스트의 제2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미디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내용과 상기 제2 내용 사이에 타임라인이 변경됨을 명시하는 태그를 추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0135381A 2020-10-19 2020-10-19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KR10243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81A KR102432376B1 (ko) 2020-10-19 2020-10-19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1/014545 WO2022086107A1 (ko) 2020-10-19 2021-10-19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US18/301,411 US20230262292A1 (en) 2020-10-19 2023-04-17 Content playing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81A KR102432376B1 (ko) 2020-10-19 2020-10-19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77A true KR20220051677A (ko) 2022-04-26
KR102432376B1 KR102432376B1 (ko) 2022-08-12

Family

ID=8128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381A KR102432376B1 (ko) 2020-10-19 2020-10-19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62292A1 (ko)
KR (1) KR102432376B1 (ko)
WO (1) WO202208610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259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솔박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광고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
KR20130118944A (ko) * 2011-01-11 2013-10-30 애플 인크. 실시간 또는 준 실시간 스트리밍
KR101743228B1 (ko) * 2016-01-22 2017-06-05 네이버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2800B2 (en) * 2014-06-11 2017-06-27 Google Inc. Enhanced streaming media playback
KR102610480B1 (ko) * 2016-09-26 2023-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944A (ko) * 2011-01-11 2013-10-30 애플 인크. 실시간 또는 준 실시간 스트리밍
KR20130059259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솔박스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광고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
KR101743228B1 (ko) * 2016-01-22 2017-06-05 네이버 주식회사 스트리밍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376B1 (ko) 2022-08-12
US20230262292A1 (en) 2023-08-17
WO2022086107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3628B2 (en) Dynamically altering playlists
US11350184B2 (en) Providing advanced playback and control functionality to video client
US20220174346A1 (en) Video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JP7297086B2 (ja) セッションのメディアデータを受信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21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usic on mobile devices
US20180220202A1 (en) Real-Time Interstitial Content Resolution and Trick Mode Restrictions
JP2020017954A (ja) リアルタイムライブ映像とイベントの同期化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3767639A (zh) 基于http的动态自适应流传输的方法和装置
JP2022526807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メディアデータを受信する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87997B6 (ja) タイムマシン機能のためのスライディングウィンドウ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201670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streaming content
US20130179546A1 (en) Converting data stream in user equipment
EP2882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content in a data stream
US20230217047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fast-switching mode between channels in multi-live transmission environment
KR20210136814A (ko) 영상과 응원봉 제어 신호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432376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
US118385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back streaming content using local streaming server
KR102376348B1 (ko) 다중 라이브 송출 환경에서의 채널 간 심리스 전환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8375B1 (ko) 다수의 스트리밍 콘텐츠들을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56859A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KR101833386B1 (ko)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6155800A1 (en) Accessing content
JP2023520757A (ja) Httpを介した動的適応ストリーミ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