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522A - 마스크용 귀 보호구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귀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522A
KR20220050522A KR1020200134289A KR20200134289A KR20220050522A KR 20220050522 A KR20220050522 A KR 20220050522A KR 1020200134289 A KR1020200134289 A KR 1020200134289A KR 20200134289 A KR20200134289 A KR 20200134289A KR 20220050522 A KR20220050522 A KR 20220050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emisphere
string
beads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473B1 (ko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Priority to KR102020013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의 끈에 탈부착되는 비즈형 귀 보호구로서, 수평 절단면을 맞대고 하나의 비즈(beads)를 형성하는 제1 반구체 와 제2 반구체가 중심부로부터 편심 배치된 회전핀을 축으로 회전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 일부에는 마스크의 끈이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관통로(貫通路)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용 귀 보호구{BEADS FOR PROTECTING EAR PAIN FROM LONG TIME WEARING OF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귀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끈 부위에 장착되어 마스크의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귀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안면에 착용하여 입과 코에 오염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제지공장이나 방직공장, 채석장 등의 작업장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특히 화학공장 및 용접, 제련, 도금 등을 수행하는 금속가공공장의 작업장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하게 되어 마스크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분진이나 황사 또는 유해 먼지 등을 흡입할 경우 폐 등에 치명적인 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식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는 물론, 스포츠 및 등산을 행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먼지나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마스크는 끈을 사용자의 귀에 걸어 안면에 고정하게 되는데 끈을 장시간 귀에 걸게 될 경우에 끈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둘레는 다양한데 반해 마스크의 끈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헐겁거나 또는 꽉 조이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의 끈에 장착되어 마스크 끈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귀의 크기에 맞게 복수의 비즈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는 수평 절단면을 맞대고 하나의 비즈(beads)를 형성하는 제1 반구체 와 제2 반구체가 중심부로부터 편심 배치된 회전핀을 축으로 회전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 일부에는 마스크의 끈이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관통로(貫通路)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반구체의 절단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마스크의 끈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로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번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즈가 적어도 2개 이상 직렬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비즈 중 어느 하나의 제1 비즈와, 상기 제1 비즈와 인접한 제2 비즈는 연결부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비즈와 제 2비즈를 관통하는 마스크 끈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구(口)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즈는 방향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의 끈에 장착되어 마스크 끈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마스크를 장시간 동안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반구체의 회전에 따라 관통로를 개폐하여 마스크 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마스크 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귀 보호구의 제1 반구체가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귀 보호구의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예시된 귀 보호구의 제1 반구체가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제2 반구체에 형성된 마찰돌기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제2 반구체의 관통로에 길이조절구가 더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를 예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10)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귀 보호구(10)의 제1 반구체(120)가 회전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용 귀 보호구(10)는 마스크의 끈(1)에 장착되어 마스크 끈(1)의 압박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귀 보호구(10)는 비즈 형태로 형성되어 마스크 끈(1)에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귀 보호구(10)는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는 피부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부드럽고 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는 수평 절단면을 맞대어 결합되면 하나의 비즈의 형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는 명칭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1/2 비율의 반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구체(120)의 비율이 제2 반구체(110)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는 절단면에 구비된 회전핀(11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제1 반구체(120) 및 제2 반구체(110)는 회전핀(113)을 축으로 회전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회전핀(113)은 절단면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반구체(120)가 제2 반구체(110)로부터 회전핀(113)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반구체(120)는 반구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시킨다. 예컨대, 제1 반구체(120)가 회전에 따라 절단면을 개방하면 제1 반구체(120)의 절단면에 형성된 관통로(111)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2 반구체(110)는 제1 반구체(120)와 비즈 형태로 결합되는 반구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단면 일부에는 마스크의 끈(1)이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관통로(111)(貫通路)가 형성된다.
관통로(111)는 마스크의 끈(1)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관통로(111)는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에서 내측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로(111)의 개방된 부분에는 마스크의 끈(1)이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커버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개폐커버는 마스크 끈(1)이 개폐커버를 통해 관통로(111)에 삽입될 때 벌어져 마스크 끈(1)이 삽입 가능하게 하고, 마스크 끈(1)이 완전하게 삽입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관통로(1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관통로(111)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을 가로지르거나 또는 지그재그 또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로(111)의 형상이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경우 관통로(111)의 내부와 마스크 끈(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관통로(111)에 삽입된 마스크의 끈(1)이 관통로(111) 내부에서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에는 자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자성의 물질은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의 회전을 일정한 힘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방향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성분은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의 표면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귀 보호구(10)는 제1 반구체(120)와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반드시 구체의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제2 반구체(110)에 형성된 마찰돌기(114)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반구체(110)에 형성된 관통로(111)의 내부에는 마찰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마찰돌기(114)는 관통로(111)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마찰돌기(114)는 관통로(111) 내부에 삽입된 마스크 끈(1)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키고, 마스크 끈(1)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마스크 끈(1)이 관통로(111)에서 슬립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제2 반구체(110)의 관통로(111)에 길이조절구(115)가 더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길이조절구(115)는 관통로(111)에 삽입된 마스크 끈(1)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마스크 끈(1)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길이조절구(115)는 일단이 관통로(111)의 특정 부위에서 관통로(11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관통로(111)를 기준으로 회전핀(113)과 반대하는 영역에서 제2 반구체(110)의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조절구(115)는 제2 반구체(110)의 절단면을 향해 개방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귀 보호구(20)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용 귀 보호구(20)는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비즈가 적어도 2개 이상 직렬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비즈(21, 22, 23)의 개수는 무관하다. 또한, 직렬이라 함은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의 관통로(211, 311, 411)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관통로(211, 311, 411)들이 꼭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곡선의 형태로 연결되어도 가능하다. 즉,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는 곡선의 형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나열한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의 형상 및 구성은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귀 보호구(2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의 사이에는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00)가 형성된다.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는 연결부(500)에 의해 직렬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연결부(500)는 외형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500)의 외부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변형된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철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500)는 외형이 변경되면서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의 연결 각도를 변형시킬 수 있다.
연결부(500)의 내부에는 이웃하는 비즈의 관통로(211, 311, 411)와 연결되는 연결통로(501)가 형성된다. 연결통로(501)는 관통로(211, 311, 411)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방향을 향해 개방된다.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500)에는 길이조절구(510)가 형성된다.
길이조절구(510)는 관통로(211, 311, 411)에 삽입된 마스크 끈(1)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마스크 끈(1)의 길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길이조절구(510)는 일단이 연결통로(501)의 특정 부위에서 연결통로(50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연결부(500)의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길이조절구(510)는 관통로(211, 311, 411)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한편,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 각각에 형성된 회전핀(113)은 직선 상에서 연결된 관통로(211, 311, 411) 및 연결통로(501)를 기준으로 교번되게 지그재그 배열로 제2 반구체(11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의 제1 반구체(120)가 제2 반구체(110)로부터 회전할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방향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성분은 제1 비즈(21), 제2 비즈(22) 및 제3 비즈(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끈
10: 귀 보호구
110: 제2 반구체
111: 관통로
120: 제1 반구체

Claims (6)

  1. 마스크의 끈에 탈부착되는 비즈형 귀 보호구로서,
    수평 절단면을 맞대고 하나의 비즈(beads)를 형성하는 제1 반구체 와 제2 반구체가 중심부로부터 편심 배치된 회전핀을 축으로 회전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 일부에는 마스크의 끈이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을 가로지르도록 삽입되는 관통로(貫通路)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는 상기 제2 반구체의 절단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3. 제2항에 있어서,
    마스크의 끈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로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교번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가 적어도 2개 이상 직렬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비즈 중 어느 하나의 제1 비즈와, 상기 제1 비즈와 인접한 제2 비즈는 연결부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비즈와 제 2비즈를 관통하는 마스크 끈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구(口)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는 방향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귀 보호구.
KR1020200134289A 2020-10-16 2020-10-16 마스크용 귀 보호구 KR10247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289A KR102474473B1 (ko) 2020-10-16 2020-10-16 마스크용 귀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289A KR102474473B1 (ko) 2020-10-16 2020-10-16 마스크용 귀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522A true KR20220050522A (ko) 2022-04-25
KR102474473B1 KR102474473B1 (ko) 2022-12-07

Family

ID=8145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289A KR102474473B1 (ko) 2020-10-16 2020-10-16 마스크용 귀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520A (ja) * 2004-02-16 2005-08-25 Tamagawa Eizai Co Ltd マスク
JP3117209U (ja) * 2005-08-31 2006-01-05 北條 すみれ 調節式のひも付フェイスマスク
KR20120037166A (ko) * 2010-10-11 2012-04-19 이명희 장신구 체결구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KR20190072378A (ko) * 2017-12-15 2019-06-25 김회철 마스크 걸이끈 조절장치
JP3221899U (ja) * 2019-03-26 2019-06-27 芳夫 武田 球状鼻孔マスク
KR20190102641A (ko) * 2018-02-27 2019-09-04 김태철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209B2 (ja) 1990-05-18 2000-12-11 東洋通信機株式会社 情報記録カードの処理装置
JP3221899B2 (ja) 1991-12-10 2001-10-22 東立通信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520A (ja) * 2004-02-16 2005-08-25 Tamagawa Eizai Co Ltd マスク
JP3117209U (ja) * 2005-08-31 2006-01-05 北條 すみれ 調節式のひも付フェイスマスク
KR20120037166A (ko) * 2010-10-11 2012-04-19 이명희 장신구 체결구
KR200486739Y1 (ko) * 2017-11-15 2018-06-27 주식회사 케이엠 마스크의 착용끈 길이조절기구
KR20190072378A (ko) * 2017-12-15 2019-06-25 김회철 마스크 걸이끈 조절장치
KR20190102641A (ko) * 2018-02-27 2019-09-04 김태철 마스크
JP3221899U (ja) * 2019-03-26 2019-06-27 芳夫 武田 球状鼻孔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73B1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9979A (ko) 안면 마스크
KR20150111363A (ko) 청정 공기 입구 챔버를 갖는 호흡 마스크
KR20180003164U (ko) 마스크
WO2020045949A1 (ko) 마스크 어셈블리
EP3622995A1 (en) Respiratory mask
ZA202213546B (en) High quality mask
KR20220050522A (ko) 마스크용 귀 보호구
KR200493243Y1 (ko) 밴드 내장형 마스크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JP3205333U (ja) 耳カバー付きマスク
KR101215209B1 (ko) 체크밸브를 이용한 코마개
KR20200024594A (ko) 일체형 마스크
KR20150145520A (ko) 코마스크
KR200495334Y1 (ko) 길이가변식 김서림 차단판을 갖는 일회용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TWM598155U (zh) 口罩結構改良
KR1025708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266701B1 (ko) 찰상을 방지하고 호흡로 확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272996B1 (ko) 마스크용 김서림 방지 결착대
JP2013172812A (ja) 衛生マスク
CN208639664U (zh) 一种口罩
KR20220001445U (ko) 귀걸이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CN212325498U (zh) 一种鼻口镜口罩
KR102419151B1 (ko) 리필형 마스크
KR20220086282A (ko) 귀 통증 완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