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358A -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358A
KR20220050358A KR1020200133949A KR20200133949A KR20220050358A KR 20220050358 A KR20220050358 A KR 20220050358A KR 1020200133949 A KR1020200133949 A KR 1020200133949A KR 20200133949 A KR20200133949 A KR 20200133949A KR 20220050358 A KR20220050358 A KR 2022005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ocarina
sound
ensemble
so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학
Original Assignee
안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학 filed Critical 안용학
Priority to KR102020013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358A/ko
Publication of KR2022005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4Valves; Valve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취구를 하나의 취구로 제작하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용이하게 화음 파트로 연주할 수 있는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는, 화음 소리를 생성하는 제 1 중공관; 울림 소리를 확대시키는 제 2 중공관; 및 멜로디 소리를 생성하는 제 3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중공관의 일측 외면에 상기 제 1 중공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중공관의 타측 외면에 상기 제 3 중공관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ASSISTIVE APPARATUS OF OCARINA FOR SOLO, DUET OR ENSEMBLE}
본 발명은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화음 파트로 연주할 수 있는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카리나(Ocarina)'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거위'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스위트 포테이토(Sweet Potato)라고 불리기도 하는 악기의 일종이다.
각 나라별로 전해져 내려오는 전통 악기는 고유의 이름이 있으나, 오카리나라는 말이 생긴 후부터 흙으로 만들어진 폐관악기이면 통상 '오카리나'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인 '훈' 은 '한국의 오카리나'라고 말해도 될 것이다.
오카리나는 인류의 문명이 발달하기 시작한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적이지만 흙으로 만든 휘슬(한음을 낼 수 있는 원시적인 악기)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악기로 제작, 발전되었다.
지역의 분포는 유럽,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시아에도 원시적인 오카리나가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오카리나는 잉카 문명 지역에서 발굴된 거북모양의 오카리나로 알려져 있다.
현재 거위 모양의 오카리나는 19세기에 이탈리아의 G 도나티라는 사람이 처음 만들었다.
오카리나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T자형과 공모양의 오카리나로 나뉘며, 오카리나를 제조하기 위한 재질은 점토 등에서 발달하여 금속, 합성수지 또는 동물뼈 등 다양하다.
이러한 오카리나는 폐관악기의 일종으로, 입으로 불어넣은 바람이 내부에서 반사되어 공명되고, 이러한 오카리나는 그 음색이 우아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 있는데, 위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입에 물고 불며, 윗면에는 운지 구멍이 있고 밑면에는 운지 구멍과 소리 구멍이 있다.
온음계이지만 운지법에 따라 반음계도 낼 수 있다
이러한 오카리나 악기에 있어서, 음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은, 운지 구멍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고, 소리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음색을 결정하는 것은, 오카리나의 공기 주입 구멍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일부 빠져나가는 엣지형의 소리 구멍과 오카리나의 내부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공명 현상에 의해 좌우된다.
손가락으로 오카리나의 운지 구멍을 파지한 상태에서 취구를 통해 공기를 오카리나 내부로 불어넣으면, 불어넣어진 공기는 소리 구멍에 부딪혀서 와류를 발생시키고, 와류는 파장을 형성하며 형성된 파장의 주파수는 운지 구멍의 개폐에 따라 달라져, 오카리나는 다양한 음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하지만 정확한 음정의 음을 내기 위해 오카리나의 운지 구멍의 수 및 운지 구멍 수에 따른 조합은 제한되어 있어, 오카리나가 발생시킬 수 있는 음역은 제한된다.
즉, 종래의 오카리나는 음을 내기 위한 영역대가 13계음이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오카리나가 알토 C의 저음 영역대에서 13계음을 제공할 경우, 이 하나의 오카리나는 소프라노 G의 중음 영역대나 소프라노 C의 고음 영역대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넓은 음역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오카리나를 이용해야만 했다.
즉, 저음 영역대를 제공하는 오카리나와, 중음 영역대를 제공하는 오카리나와, 고음 영역대를 제공하는 오카리나를 각각 가진 상태에서 음역대에 맞는 오카리나를 연주함으로써 넓은 음역대를 연주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오카리나로 저음 음역대부터 고음 음역대까지 중 2개 이상의 음역대를 제공하는 더블 오카리나 또는 트리플 오카리나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더블 오카리나 또는 트리플 오카리나는 연주시 멜로디 연주를 위해 2개 또는 3개의 취구 모두를 입에 물기 위해 입을 크게 벌려야 하는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점과, 바람이 새지 않도록 입으로 2개 또는 3개 취구 모두를 잡아줘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주시 취구로 침이 많이 들어가고, 바람새는 소리가 많이 나며, 연주자의 호흡이 용이하지 않고, 멜로디 연주 구현으로 인한 화음 구현에 어려움이 많아 일반이들이 좋은 소리를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4359호(2016년 11월 8일 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취구를 하나의 취구로 제작하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용이하게 화음 파트로 연주할 수 있는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독주, 중주 또는 합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는, 화음 소리를 생성하는 제 1 중공관; 울림 소리를 확대시키는 제 2 중공관; 및 멜로디 소리를 생성하는 제 3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중공관의 일측 외면에 상기 제 1 중공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중공관의 타측 외면에 상기 제 3 중공관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1 중공관 내지 상기 제 3 중공관이 연결되는 영역의 일단부에는 1개의 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취구는, 상기 제 1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1 취입관; 상기 제 2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2 취입관; 및 상기 제 3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3 취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취구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을시 상기 제 1 취입관 내지 상기 제 3 취입관의 내부로 동시에 바람이 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2 중공관 내부로 바람이 취입되면 울림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2 중공관의 후면에는 제 1 바람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람 구멍에 의해 상기 울림 소리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1 중공관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공관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화음 소리는 낮음은 도에서 시까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3 중공관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중공관의 후면에는 제 2 바람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중공관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고음의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바람 구멍에 의해 상기 멜로디 소리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멜로디 소리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1옥타브의 멜로디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1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에지 구멍; 상기 제 2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에지 구멍; 상기 제 3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3 에지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이 개방시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의 폐쇄시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여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 1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상기 화음 소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2 중공관에서 울림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2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2 중공관에서 상기 울림 소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 3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3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상기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에서, 상기 제 2 에지 구멍의 상부에는 개방시 라음이 구현되고 폐쇄시 솔음이 구현되는 알토 G키를 구현시키는 G키 운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취구를 하나의 취구로 제작하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용이하게 화음 파트로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자서도 독주로 멜로디의 구현이 가능함과 아울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화음 파트로 연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생 교육용 음악 악기로써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음 전용 악기로써의 역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하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제 1 취입관 내지 제 3 취입관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가,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하면도이며,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의 제 1 취입관 내지 제 3 취입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1 중공관(100) 내지 제 3 중공관(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목재, 도자기 성분의 흙, 금속, 합성 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도자기 성분의 흙으로 제작할 경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고가이며, 합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 금형을 통해 형성하므로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중공관(100)은 내부가 중공이며 화음 소리를 생성한다.
제 2 중공관(200)은 내부가 중공이며 울림 소리를 확대시킨다.
제 3 중공관(300)은 내부가 중공이며 멜로디 소리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 2 중공관(200)의 일측 외면에는 제 1 중공관(100)이 연결되고, 제 2 중공관(200)의 타측 외면에는 제 3 중공관(300)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제 1 중공관(100) 내지 제 3 중공관(300)은 각각의 외형이 바나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중공관(100)의 체적이 가장 크고 제 3 중공관(300)의 체적이 가장 작다.
한편, 제 1 중공관(100)과, 제 2 중공관(200)과, 제 3 중공관(300)은 각각 외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중공관(100)과, 제 2 중공관(200)과, 제 3 중공관(300)은 각각 독립된 영역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1 중공관(100) 내지 제 3 중공관(300)이 연결되는 영역의 일단부에는 1개의 취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취구(400)는 사용자가 입으로 불어서 제 1 중공관(100) 내지 제 3 중공관(300) 내부로 바람을 취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더블 오카리나 또는 트리플 오카리나는 음역대의 확장을 위해 이와 같은 취구가 각각 2개 또는 3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연주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취구(400)가 1개로 이루어져 있어 초보자가 독주, 합주 또는 중주를 하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취구(400)는 각각 3개의 취입관과 연결되어 있다.
제 1 취입관(410)은 제 1 취입구(411)를 통해 제 1 중공관(100) 내부로 연결된다.
제 2 취입관(420)은 제 2 취입구(421)를 통해 제 2 중공관(200) 내부로 연결된다.
제 3 취입관(430)은 제 3 취입구(431)를 통해 제 3 중공관(300) 내부로 연결된다.
즉, 취구(400)는 제 1 취입관(410)과, 제 2 취입관(420)과, 제 3 취입관(430)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취구(400)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을시 제 1 취입관(410) 내지 제 3 취입관(430)의 내부로 동시에 바람이 취입된다.
이에 의해, 제 1 중공관(100)에서는 화음 소리를 생성하고, 제 2 중공관(200)에서는 울림 소리를 생성하며, 제 3 중공관(300)에서는 멜로디 소리를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제 1 취입관(410) 내지 제 3 취입관(430) 내부로 동시에 바람이 취입되더라도 모든 취입관(410, 420, 430)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추후 설명하는 운지 구멍의 개폐 동작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2 중공관(200) 내부로 바람이 취입되면 울림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제 2 중공관(200)의 후면에는 제 1 바람 구멍(2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바람 구멍(210)에 의해 울림 소리가 확대된다.
즉, 울림 소리를 더 크고 웅장하게 해주는 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1 중공관(10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을 3개로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음 영역대에 따라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은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은 제 1 중공관(100)으로부터 제 1 중공관(100)의 외부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1 중공관(100)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제 1 중공관(100)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트리플 오카리나에서는 저음과, 중음과, 고음 3개의 음역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합주 또는 중주용의 보조 연주가 주 목적인 관계로 제 1 중공관(100)에 의해 생성되는 화음 소리가 매우 중요하다.
제 1 중공관(100)에서, 이러한 화음 소리는 낮음은 도에서 시까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3 중공관(30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을 4개로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멜로디 영역대에 따라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은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은 제 3 중공관(300)으로부터 제 3 중공관(300)의 외부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멜로디 소리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1옥타브의 멜로디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 3 중공관(300)의 후면에는 제 2 바람 구멍(350)이 형성되며, 제 3 중공관(300)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제 3 중공관(300)에서 고음의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제 2 바람 구멍(350)에 의해 멜로디 소리가 확대될 수 있다.
즉, 제 2 바람 구멍(350)에 의해 멜로디 소리를 더 크고 웅장하게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1 중공관(100) 하부에는 제 1 에지 구멍(140)이 형성되고, 제 2 중공관(200) 하부에는 제 2 에지 구멍(220)이 형성되며, 제 3 중공관(300) 하부에는 제 3 에지 구멍(360)이 형성된다.
즉, 제 1 중공관(100)은 하부에 제 1 에지 구멍(140)을 포함하고, 제 2 중공관(200)은 하부에 제 2 에지 구멍(220)을 포함하며, 제 3 중공관(300)은 하부에 제 3 에지 구멍(3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이 개방시 소리가 발생하고,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의 폐쇄시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에서,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여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 1 에지 구멍(140)을 개방시 제 1 중공관(100)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가 발생되고, 제 1 에지 구멍(140)을 폐쇄시 제 1 중공관(100)에서 화음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에지 구멍(220)을 개방시 제 2 중공관(200)에서 울림 소리가 발생되고 제 2 에지 구멍(220)을 폐쇄시 제 2 중공관(200)에서 울림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3 에지 구멍(360)을 개방시 제 3 중공관(300)에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고 제 3 에지 구멍(360)을 폐쇄시 제 3 중공관(300)에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적절히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생성함으로써, 독주, 합주 또는 중주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오카리나와 함께 합주 또는 중주를 수행하는 보조 장치인 관계로 독주 연주보다 합주 또는 중주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1 중공관(100)과 제 1 취입관(410)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취입구(411)와, 제 2 중공관(200)과 제 2 취입관(420)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취입구(421)와, 제 3 중공관(300)과 제 3 취입관(430)에 의해 연결되는 제 3 취입구(431)를 포함한다.
제 1 취입구(411)는 제 1 중공관(100)과 연통됨으로써, 사용자가 제 1 취입구(411)를 통해 공기를 삽입시키면, 제 1 취입구(411)를 통해 삽입된 공기는 제 1 중공관(100)으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제 2 취입구(421)는 제 2 중공관(200)과 연통됨으로써, 사용자가 제 2 취입구(421)를 통해 공기를 삽입시키면, 제 2 취입구(421)를 통해 삽입된 공기는 제 2 중공관(200)으로 진입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3 취입구(431)는 제 3 중공관(300)과 연통됨으로써, 사용자가 제 3 취입구(431)를 통해 공기를 삽입시키면, 제 3 취입구(431)를 통해 삽입된 공기는 제 3 중공관(300)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제 1 취입구(411)를 통해 제 1 중공관(100)으로 진입된 공기는 제 2 중공관(200) 또는 제 3 중공관(3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 2 취입구(421)를 통해 제 2 중공관(200)으로 진입된 공기는 제 1 중공관(100) 또는 제 3 중공관(3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3 취입구(431)를 통해 제 3 중공관(300)으로 진입된 공기는 제 1 중공관(100) 또는 제 2 중공관(20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제 1 중공관(100)과, 제 2 중공관(200)과, 제 3 중공관(300)은 각각 외부가 연결되어 있어 제 1 중공관(100)과, 제 2 중공관(200)과, 제 3 중공관(300)은 각각 독립된 영역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1개의 취구(400)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으면, 제 1 중공관(100)과, 제 2 중공관(200)과, 제 3 중공관(3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이 진입하게 되지만, 사용자가 적절히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필요로 하는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어느 누구라도 용이하게 연주를 수행할 수 있고, 팀을 이루어 합주를 수행할 때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어 연주의 완성도 및 퀄리티를 한층 더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1 중공관(100)의 일측면에 제 1 취입구(411)를 통과한 바람이 제 1 중공관(100)에서 화음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운지를 위해 형성되는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러한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을 개폐함으로써 다른 오카리나와 합주 또는 중주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밴드의 베이스 기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3 중공관(300)의 일측면에 제 3 취입구(431)를 통과한 바람이 제 3 중공관(300)에서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운지를 위해 형성되는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러한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110, 120, 130)을 개폐함으로써 다른 오카리나 없이도 독주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2 중공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에지 구멍(220)의 상부에 개방시 라음이 구현되고 폐쇄시 솔음이 구현되는 알토 G키를 구현시키는 G키 운지 구멍(2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G키 운지 구멍(230)은 개방시 라음이 구현되고, 폐쇄시 솔음이 구현되는 알토 G키를 구현시킨다.
이러한 알토 G키는 오카리나와 팀을 이루어 합주 또는 중주시 화음을 위해 매우 중요한 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는 제 2 중공관(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에지 구멍(220)의 상부에 G키 운지 구멍(230)을 포함하여 오카리나와의 합주 또는 중주의 퀄리티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왼손 엄지 손가락과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1 에지 구멍(140) 내지 제 3 에지 구멍(360)과, G키 운지 구멍(230)을 운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왼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왼손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화음 운지 구멍(110, 120, 130)을 운지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오른손 나머지 손가락을 통해 멜로디 운지 구멍(310, 320, 330, 340)을 운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1000)를 이용하여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취구를 하나의 취구로 제작하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용이하게 화음 파트로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자서도 독주로 멜로디의 구현이 가능함과 아울러 독주, 중주 또는 합주시 화음 파트로 연주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학생 교육용 음악 악기로써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음 전용 악기로써의 역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제 1 중공관
110, 120, 130 : 화음 운지 구멍
140 : 제 1 에지 구멍
200 : 제 2 중공관
210 : 제 1 바람 구멍
220 : 제 2 에지 구멍
230 : G키 운지 구멍
300 : 제 3 중공관
310, 320, 330, 340 : 멜로디 운지 구멍
350 : 제 2 바람 구멍
360 : 제 3 에지 구멍
400 : 취구
410 : 제 1 취입관
411 : 제 1 취입구
420 : 제 2 취입관
421 : 제 2 취입구
430 : 제 3 취입관
431 : 제 3 취입구
1000 : 오카리나 보조 장치

Claims (12)

  1. 화음 소리를 생성하는 제 1 중공관;
    울림 소리를 확대시키는 제 2 중공관; 및
    멜로디 소리를 생성하는 제 3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중공관의 일측 외면에 상기 제 1 중공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중공관의 타측 외면에 상기 제 3 중공관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관 내지 상기 제 3 중공관이 연결되는 영역의 일단부에는 1개의 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구는,
    상기 제 1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1 취입관;
    상기 제 2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2 취입관; 및
    상기 제 3 중공관 내부로 연결되는 제 3 취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취구를 통해 바람을 불어넣을시 상기 제 1 취입관 내지 상기 제 3 취입관의 내부로 동시에 바람이 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관 내부로 바람이 취입되면 울림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공관의 후면에는 제 1 바람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람 구멍에 의해 상기 울림 소리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관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화음 운지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공관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음 소리는 낮음은 도에서 시까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중공관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멜로디 운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중공관의 후면에는 제 2 바람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중공관 내부로 취입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고음의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바람 구멍에 의해 상기 멜로디 소리가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소리는 낮은 도에서 높은 도까지 1옥타브의 멜로디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1 에지 구멍;
    상기 제 2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에지 구멍;
    상기 제 3 중공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 3 에지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이 개방시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의 폐쇄시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지 구멍 내지 상기 제 3 에지 구멍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여 화음 소리, 울림 소리 또는 멜로디 소리를 발생시키되,
    상기 제 1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저음의 화음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1 중공관에서 상기 화음 소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2 중공관에서 울림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2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2 중공관에서 상기 울림 소리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제 3 에지 구멍을 개방시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고 상기 제 3 에지 구멍을 폐쇄시 상기 제 3 중공관에서 상기 멜로디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에지 구멍의 상부에는 개방시 라음이 구현되고 폐쇄시 솔음이 구현되는 알토 G키를 구현시키는 G키 운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KR1020200133949A 2020-10-16 2020-10-16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KR20220050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49A KR20220050358A (ko) 2020-10-16 2020-10-16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49A KR20220050358A (ko) 2020-10-16 2020-10-16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58A true KR20220050358A (ko) 2022-04-25

Family

ID=8145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49A KR20220050358A (ko) 2020-10-16 2020-10-16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3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59B1 (ko) 2016-08-02 2016-11-08 윤희숙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59B1 (ko) 2016-08-02 2016-11-08 윤희숙 확장된 음역을 갖는 이중취구 오카리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fe et al. Acoustic impedance spectra of classical and modern flutes
JPS62112199A (ja) 四分音達成装置
Heiss The flute: New sounds
Heiss Some Multiple-Sonorities for flute, oboe, clarinet, and bassoon
KR20220050358A (ko) 독주, 합주 또는 중주용 오카리나 보조 장치
KR100797656B1 (ko) 음 조절용 키를 갖춘 대피리
Fromme Performance technique on brass instruments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Wolfe et al. The acoustics of wind instruments—and of the musicians who play them
KR20210133416A (ko) 오카리나
Rindel Acoustical aspects of the transverse flute from 1700 to present
CN214847693U (zh) 一种管乐器
JP3528578B2 (ja) 木管楽器
Baines Shawms of the sardana coblas
Knehans Unfinished Earth
Tay Recomposing reality: The composer as illusionist
KR101453480B1 (ko) 넓은 음역을 낼 수 있는 목관 악기
Lamouris The Place Where Everyone Waits
Kärnekull Wolfe Shared Echoes and Co-Creative Resonances: A close sampling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 co-creative exploration of things shared
Koonce Playing Bach on the Guitar
Reed Flux
Blaikley The Development of Modern Wind Instruments
Lundberg Inwards Listening: Meditations on Sound in Search of Silence
Ramsey Woodwind Instrument Group
Kwiecień-Długosz Heart of darkness
Taylor Music for Prague, 196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